맨위로가기

꼬리명주나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꼬리명주나비는 동아시아 원산의 나비로, 러시아, 중국, 한반도에 분포한다. 흰색과 검은색 줄무늬가 특징이며, 뒷날개에 가늘고 긴 돌기가 있다. 일본에서는 1970년대 이후 외래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외래생물법에 의해 주의 외래 생물로 지정되어 있다. 쥐방울덩굴을 먹이로 하여, 일본 재래종인 자주애벌레나비와 먹이 경쟁을 벌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2년 기재된 곤충 - 장수말벌
    장수말벌은 말벌속 곤충으로, 주황색 머리와 강력한 독침을 가지며, 동아시아 등지에 분포하고 꿀벌 등을 포식하며, 독으로 해충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농업 해충을 잡아먹어 이로운 곤충으로 평가받기도 하고, 유충과 성충은 식용으로, 둥지는 약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 1852년 기재된 곤충 - 꼬마장수말벌
    꼬마장수말벌은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땅속에 둥지를 짓고 다른 말벌 유충을 사냥하는 검은색 꼬리를 가진 24~37mm 크기의 말벌이다.
  • 호랑나비과 - 제비나비
    제비나비는 크기가 다양한 나비로, 검은 바탕에 녹색 비늘 덮인 앞날개와 꼬리 달린 뒷날개가 특징이며, 서식지 파괴와 환경 오염으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보호받고 있고, 무지개색 진화 연구 모델로 활용된다.
  • 호랑나비과 - 브루키아나붉은목도리비단제비나비
    브루키아나붉은목도리비단제비나비는 비단제비나비과의 나비로, 수컷은 검은색 바탕에 녹색 무늬, 암컷은 갈색 바탕에 흰색 섬광을 가지며, 여러 아종으로 나뉜다.
  • 조지 로버트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피오르드랜드펭귄
    피오르드랜드펭귄은 뉴질랜드 남섬 서해안에 서식하며 노란색 볏이 특징인 중간 크기의 펭귄으로, 오징어, 크릴, 물고기를 먹고, IUCN 적색 목록에 위기근접종으로 분류되어 외래 포식자와 인간의 간섭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 조지 로버트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도요타조
    도요타조는 주로 남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육상 조류로, 구악류에 속하며 레아류의 자매군으로 분류되고,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하여 짧은 거리를 날거나 주로 걸어 다니며, 수컷이 알을 품고 새끼를 기르는 잡식성 조류이지만,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일부 종은 개체 수 감소 위협을 받고 있다.
꼬리명주나비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호소오쵸
호소오쵸
학명Sericinus montela
명명자Gray, 1852
한국어 이름꼬리명주나비
일본어 이름호소오쵸
영어 이름Dragon Swallowtail
분류
동물계 Animalia
절지동물문 Arthropoda
곤충강 Insecta
나비목(린시목) Lepidoptera
상과아게하초우상과(아게하초우죠우카) Papilionoidea
아게하초우과(아게하초우카) Papilionidae
아과우스바아게하아과(우스바아게하아카) Parnassiinae
타이스아게하족(타이스아게하조쿠) Zerynthia
호소오초우속(호소오초우조쿠) Sericinus
호소오초우 S. montela

2. 분포

동아시아 일대가 원산지로, 러시아 연해주, 중국, 한반도에 분포한다.[1][2] 1970년대 이후 일본 각지에서 국지적으로 발생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외래종으로 추정된다.[1] 쓰시마 해협 성립 후에 세력을 확장한 것으로 보인다.

2. 1. 한국의 꼬리명주나비

동아시아 일대가 원산지로, 러시아 연해주, 중국, 한반도에 분포한다.[1][2] 원래 일본에는 서식하지 않았지만, 1970년대 이후 일본 각지에서 국지적으로 발생이 확인된 외래종이다.[1] 한반도 남단까지 분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에 서식하지 않았던 점으로 미루어 보아, 쓰시마 해협 성립 후에 세력을 확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2. 2. 일본의 꼬리명주나비

동아시아 일대가 원산지로, 러시아 연해주, 중국, 한반도[1][2]이다. 원래 일본에는 서식하지 않았지만, 1970년대 이후 일본 각지에서 국지적으로 발생이 확인된 외래종이다[1]. 한반도 남단까지 분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에 서식하지 않았던 점으로 미루어 보아, 쓰시마 해협 성립 후에 세력을 확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3. 형태

흰색과 검은색 줄무늬를 기조로 한 날개 무늬는 호랑나비와 비슷하지만, 앞날개 길이는 3cm 전후로 호랑나비보다 상당히 작다. 뒷날개에 있는 가늘고 긴 돌기가 이름의 유래이며, 이 돌기는 호랑나비의 것보다 훨씬 가늘고 독특하다. 돌기의 길이는 3cm 정도이며 뒷날개 자체의 길이와 거의 같다.[1]

수컷


수컷


암컷


호랑나비과 내에서는 계통적으로 오래된 종류로, 꼬리명주나비, 애기꼬리명주나비, 흰줄나비 등과 함께 흰줄호랑나비아과 (Parnassiinae)라는 그룹에 속한다. 이 그룹은 비교적 한랭한 지역에 사는 종이 많으며, 빙하기의 생존종이라고 여겨지는 종도 많다.[1]

3. 1. 유충

유충은 꼬리명주나비 등의 유충과 비슷하게 검은색을 띠고 짧은 털이 드문드문 난 애벌레이지만, 더 많은 돌기가 있다.[1]

4. 생태

성충은 일 년에 여러 번 발생한다. 수컷과 암컷의 날개 무늬는 거의 같지만, 수컷은 전체적으로 흰색을 띠는 반면, 암컷은 검은 부분이 많다. 여름형은 특히 전체적으로 검은 기미가 돈다. 성충은 먹이 식물인 쥐방울덩굴(마분초)이 자라는 숲 가장자리 등을 펄럭이며 천천히 난다. 암컷은 잎 뒷면 등에 뭉쳐서 알을 낳는다.

5. 외래종 문제 (일본)

일본에서는 꼬리명주나비가 외래종으로, 외래생물법에 의해 주의 외래 생물로 지정되었고, 식물 방역법으로도 수입이 금지되어 있다.[2] 1978년 도쿄도에서 처음 확인된 후, 주오 본선을 따라 야마나시현까지 분포를 넓혔으며,[1] 1990년대에는 교토부, 기후현, 도치기현, 미야기현, 후쿠오카현 등에서도 서식이 확인되었다.[2] 비행 능력이 낮아, 현재까지 서식이 확인된 지역은 불법 방사 등 인위적인 방법으로 분포를 넓힌 것으로 추정된다.[1][2]

아름다운 외관 때문에 일부 지역에서 보호 활동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외래종이라는 인식이 충분히 퍼져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3] 앞으로도 의도적인 방사로 분포가 확대될 우려가 있다.[3]

꼬리명주나비 유충은 쥐방울덩굴을 먹는데, 이는 일본 재래종인 자주애벌레나비의 먹이와 같아 먹이 자원을 두고 경쟁할 위험이 있다.[1] 꼬리명주나비의 분포가 국지적이어서 전국적으로 자주애벌레나비의 개체 수나 분포에 큰 영향은 없지만, 꼬리명주나비가 많이 서식하는 지역에서는 자주애벌레나비의 생존 밀도가 낮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1]

5. 1.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꼬리명주나비는 일본에서 외래종으로, 외래생물법에 의해 주의 외래 생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식물 방역법에 의해서도 수입이 금지되어 있다.[2] 1978년 도쿄도에서 처음 확인된 후, 주오 본선을 따라 야마나시현까지 분포를 넓혔다.[1] 1990년대에는 교토부, 기후현, 도치기현, 미야기현, 후쿠오카현 등에서도 서식이 확인되었다.[2] 꼬리명주나비는 비행 능력이 낮아, 현재까지 서식이 확인된 지역은 불법 방사 등 인위적인 방법으로 분포를 넓힌 것으로 추정된다.[1][2]

꼬리명주나비는 아름다운 외관 때문에 일부 지역에서 보호 활동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외래종이라는 인식이 충분히 퍼져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3] 앞으로도 의도적인 방사로 분포가 확대될 우려가 있다.[3]

꼬리명주나비 유충은 쥐방울덩굴을 먹이로 하는데, 이는 일본에 서식하는 자주애벌레나비의 먹이와 같다. 따라서 먹이 자원을 두고 경쟁할 위험이 있다.[1] 꼬리명주나비의 분포가 국지적이어서 전국적으로 자주애벌레나비의 개체 수나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꼬리명주나비가 많이 서식하는 지역에서는 자주애벌레나비의 생존 밀도가 낮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1]

5. 2. 보전 노력과 과제

일본에서 꼬리명주나비는 외래종으로, 처음 확인된 것은 1978년 도쿄도이며, 수년 안에 주오 본선을 따라 야마나시현까지 분포를 넓혔다.[1] 1990년대에는 교토부, 기후현, 도치기현, 미야기현, 후쿠오카현 등 지리적으로 떨어진 지역에서도 서식이 확인되었다.[2] 꼬리명주나비는 비행 능력이 낮기 때문에, 현재까지 서식이 확인된 지역은 불법적인 방사 등 인위적인 수단으로 분포를 넓힌 것으로 추정된다.[1][2]

외래생물법에 의해 주의 외래 생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식물 방역법에서도 수입이 금지되어 있다.[2] 그러나 꼬리명주나비의 아름다운 외관 때문에 일부 지역에서는 보호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어, 외래종이라는 인식이 충분히 퍼져 있다고 보기 어렵다.[3] 앞으로도 의도적인 방사로 분포가 확대될 우려가 있다.[3]

꼬리명주나비 유충의 먹이는 쥐방울덩굴인데, 이는 일본에 서식하는 재래종인 자주애벌레나비의 먹이와 같다. 따라서 먹이 자원을 놓고 경쟁할 위험이 있다.[1] 꼬리명주나비의 분포가 국지적이어서 전국적으로 자주애벌레나비의 개체 수나 분포에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지만, 꼬리명주나비가 많이 서식하는 지역에서는 자주애벌레나비의 생존 밀도가 낮아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1]

참조

[1] 서적 決定版 日本の外来生物 平凡社 2008-04-21
[2] 웹사이트 ホソオチョウ https://www.nies.go.[...] 国立環境研究所
[3] 서적 外来種ハンドブック 地人書館 2002-09-30
[4] 서적 쉽게 풀어 쓴 우리나비 (주)이퍼블릭 2008-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