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말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수말벌은 말벌속에 속하는 곤충으로, 밝은 주황색 머리와 검은색 겹눈, 강력한 독침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러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북미 지역에도 유입되었다. 둥지는 주로 지하에 짓고, 꿀벌, 사마귀 등 다양한 곤충을 포식한다. 장수말벌은 강력한 독으로 인해 해충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농업 해충을 포식하여 이로운 곤충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또한, 유충과 성충은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하며, 둥지는 약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곤충 - 사마귀
참사마귀는 사마귀목 곤충으로 몸이 가늘고 길며 앞가슴등판이 길고 날개가 짧고 좁은 특징을 가지며 한국, 중국, 일본, 미국 등지에 분포한다. - 베트남의 곤충 - 왕오색나비
왕오색나비는 일본, 한반도 등지에 분포하며 수컷은 청자색, 암컷은 갈색 날개를 가지고 6~7월에 발생하여 수액이나 썩은 과일에 모이고 팽나무 등을 먹으며 일본에서는 나라나비로 선정되었다. - 1852년 기재된 곤충 - 꼬마장수말벌
꼬마장수말벌은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땅속에 둥지를 짓고 다른 말벌 유충을 사냥하는 검은색 꼬리를 가진 24~37mm 크기의 말벌이다. - 1852년 기재된 곤충 - 꼬리명주나비
꼬리명주나비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대한민국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된 나비의 일종으로, 줄무늬 날개와 긴 꼬리 돌기가 특징이며 유충은 쥐방울덩굴을 먹지만 일본에서는 외래종으로 지정되어 재래종과 경쟁하는 문제가 있다.
장수말벌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학명 | Vespa mandarinia |
명명자 | Smith, 1852년 |
한국어 이름 | 장수말벌 |
영어 이름 | Northern giant hornet (이전: Asian giant hornet) |
분류 | |
계 | 동물 |
문 | 절지동물문 |
강 | 곤충강 |
아강 | 유시아강 |
목 | 벌목 |
과 | 말벌과 |
아과 | 말벌아과 |
속 | 말벌속 |
분포 | |
![]() | |
생태 및 습성 | |
서식지 | 아시아 |
먹이 | 다른 곤충, 꿀 |
특징 | 세계에서 가장 큰 말벌 공격적인 성향 |
위험성 | 꿀벌 군집 파괴 인간에게 심각한 쏘임 피해 |
크기 | |
몸길이 | 45 ~ 75 mm |
침 길이 | 6 mm |
2. 분류학 및 계통발생론
장수말벌은 말벌속에 속하며, 다른 말벌 7종과 함께 열대말벌 종군(''Vespa tropica'' species group)을 이룬다. 열대말벌 종군은 수컷의 제7복갑 가장자리 선단에 톱니가 하나 있는 종들의 군으로 정의된다. 그 가운데 장수말벌과 가장 가까운 종은 등검은말벌(''Vespa soror'')이다. 또한 암컷의 두순(머리방패) 가장자리 선단이 삼각형인 것도 기준이 된다. 두 종은 두순이 크고 삽입기(Aedeagus) 모양이 뚜렷하다는 점도 비슷하다.[130]
장수말벌은 일본 전역과 인도에서 동남아시아, 동아시아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103]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에서 규슈까지 분포하며, 남쪽으로는 야쿠시마와 다네가섬 근처까지 분포한다.
말벌속을 여러 아속으로 나누려는 시도는 예전부터 있었으나,[131] 종들 사이의 해부학적 유사성과 행동학적 유사성을 계통발생학과 결부시킬 수 없었기 때문에 결렬되었다.[127]
2012년에는 장수말벌의 아종으로 3아종이 인정되었다.[132] 동중국, 한국, 러시아, 일본에 사는 ''V. m. mandarinia'', 서중국, 인도, 네팔, 버마, 라오스, 말레이반도에 사는 ''V. mandarinia magnifica'', 타이완에만 사는 ''V. mandarinia nobilis'' 3아종이 그것이다. 과거에는 일본에 서식하는 장수말벌을 따로 ''V. mandarinia japonica''로 지정했으나 1997년 이 아종은 폐기되었다.[133] 2020년 개정에서는 모든 아종 서열이 제거되어 "japonica", "magnifica", "nobilis"는 서로 다른 색깔 형태에 대한 비공식적인 이름으로 간주된다.[2]
미토콘드리아 게놈은 Chen 외 (2015)에 의해 제공되었다.[1] 이 데이터는 또한 더 넓은 말벌과가 말벌상과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확인하는 데 중요했으며, 말벌상과가 단일계통군임을 확인해 주었다.[27]
3. 신체 특징
장수말벌은 성별에 관계없이 밝은 주황색 머리, 갈색 더듬이, 암갈색 또는 검은색 겹눈과 홑눈을 가진다. 뚜렷한 두순(이마방패)과 큰 뺨을 가지고 있으며, 검은색 이빨이 돋은 주황색 큰턱으로 다른 말벌과 구별된다. 흉부는 암갈색이고 날개는 갈색이다. 몸길이는 3.5-4.5cm, 날개 편 길이는 7.5cm이다. 앞다리는 중간다리 및 뒷다리보다 밝은 색이며, 기부 부분이 더 어둡다.[26] 복부는 7개 분절로, 암갈색-검은색 띠와 황금색-주황색 띠가 번갈아 나타나며, 7번째 분절은 황금색-주황색이다.[134]
여왕벌은 일벌보다 상당히 커서 체장이 50mm 이상 자랄 수 있다. 일벌은 보통 35-40mm 사이이며, 수벌은 암벌과 비슷하지만 독침이 없다. 이는 벌목 곤충의 공통적인 특징이다.[134]
4. 분포
장수말벌의 아종은 다음과 같다.4. 1. 자연적 분포
러시아 연방(연해주, 하바롭스키 남부, 유대인 자치주), 한반도 전역, 중국, 일본, 타이완, 인도차이나 반도(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버마, 베트남), 네팔, 인도, 스리랑카 등지에서 발견된다.[26]
아시아장수말벌은 다음 지역에서 발견된다.
국가/지역 | 상세 분포 |
---|---|
러시아 | 프리모르스키 지방, 하바롭스크 지방(남부 지역만), 유대인 자치주 지역 |
대한민국 | 전국 (장수말벌이라고 부르며, "장군 말벌"이라는 뜻) |
중국 | |
타이완 | 大虎頭蜂|큰 호랑이 머리 벌중국어 |
라오스 | |
태국 | |
캄보디아 | |
미얀마 | |
베트남 | |
아프가니스탄 | |
파키스탄 | |
몽골 | |
방글라데시 | |
네팔 | |
인도 | |
스리랑카 | |
말레이시아 | |
인도네시아 | |
일본 | 일본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둥지를 틀 수 있는 나무를 찾을 수 있는 시골 지역을 선호하며, オオスズメバチ|큰 참새벌, 장수말벌일본어로 알려져 있다.[77] |
일본 전역과 인도에서 동남아시아, 동아시아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103]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에서 규슈까지 분포하며, 남쪽으로는 야쿠시마와 다네가섬 근처까지 분포한다.
- '''장수말벌''' (*Vespa mandarinia* Smith, 1852)[109] - 기준종. 중국 동부, 한국, 러시아, 일본에 분포[110]. 일본산은 아종 '''일본장수말벌''' (*Vespa mandarinia japonica* Radoszkowski, 1857)로 취급되는 경우가 있다[111].
- '''Vespa mandarinia magnifica''' Smith, 1852 - 중국 서부, 인도, 네팔, 미얀마, 라오스, 말레이시아 반도[110]
- '''Vespa mandarinia nobilis''' Sonan, 1929 - 타이완[110]
4. 2. 유입 분포

장수말벌은 원래 북미에 서식하지 않던 종이지만 캐나다와 미국에 외래종으로 유입되었다.[135]
2019년 9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농무부는 장수말벌이 밴쿠버섬에서 발견되었음을 확인했다.[136] 같은 해 9월 말, 워싱턴주 블레인에서 일벌 한 개체가 보고되었고, 10월과 12월 블레인에서 또 다른 일벌이 발견되었다.
2020년 5월에는 2개의 표본이 채집되었는데, 하나는 블레인에서 북쪽으로 약 13km 떨어진 브리티시 컬럼비아주 랭글리에서, 다른 하나는 블레인에서 남동쪽으로 14km 떨어진 워싱턴주 커스터에서 수집되었다. 같은 해 6월, 커스터에서 남쪽으로 24km 떨어진 워싱턴주 벨링햄에서 여왕벌 한 마리가 목격되었고, 7월에는 짝짓기하지 않은 여왕벌이 커스터에서 서쪽으로 10km 떨어진 워싱턴주 버치 베이 근처에서 잡혔다. 같은 달 워싱턴 주 커스터에서 수컷 말벌이 포획되었다. 8월에는 버치 베이에서 계급을 알 수 없는 말벌 한 마리가 보고되었고, 다음날 같은 지역에 또 한 마리가 잡혔다. 9월 21일과 25일에 블레인 남동쪽에서 말벌 세 마리가 발견되었고(두 마리는 죽었다) 9월 29일과 30일에 같은 지역에서 세 마리가 더 발견되어 관계자들은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려는 시도가 진행 중이라고 보고했다. 그 지역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둥지는 파괴되었다.
2020년 10월, 워싱턴주 농무부는 블레인에 있는 나무 구멍에서 땅 위 2.5m에서 수십 마리의 말벌이 들어오고 나가는 둥지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둥지는 다음날 즉시 발견되어 약 100마리의 말벌을 제거하는 등 박멸되었다. 추가 분석 결과, 둥지에는 약 200마리의 여왕벌을 포함해 약 500마리의 살아있는 표본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2020년 11월,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애보츠퍼드와 앨더그로브에서 각각 한 개체와 여왕벌이 발견되었다.
2021년 8월, 2020년에 근절된 둥지에서 불과 3.2km 떨어진 블레인 근처 워싱턴주 왓컴 카운티에서 둥지가 발견되었다. 이 둥지는 2주 후인 8월 25일에 파괴되었는데, 이는 새로운 여왕벌이 태어나기 전이었다. 9월에는 블레인 근처에서 두 개의 둥지가 더 발견되었으며, 블레인에서 동쪽으로 약 25마일 떨어진 에버슨 근처에서 "잠재적인 목격"이 보고되었다.
브리티시컬럼비아와 워싱턴 유입 개체군의 조상인 모계 개체군을 결정하기 위해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이 수행되었다. 2019년에 수집된 표본이 브리티시컬럼비아의 일본 개체군과 워싱턴의 한국 개체군, 두 개의 다른 모계 개체군임을 시사한다. 이는 장수말벌 두 개의 개체군이 별도로 몇 달 안에 북미에서 서로 약 80km 이내에 유입되어 발생했음을 시사한다.
2024년 12월, 미국 농무부는 북미에서 장수말벌이 근절되었다고 발표했다.[11]
5. 둥지
장수말벌은 낮은 야산 기슭이나 저지대 삼림에 둥지를 튼다. 다른 말벌 종들과 달리 장수말벌은 거의 무조건 지하에 둥지를 만든다. 31개 둥지를 조사한 결과 그중 25개가 썩은 소나무 뿌리 속에서 발견되었다.[137] 또한 설치류나 뱀 같은 소혈거동물이 만들어 놓은 땅굴을 재활용하기도 한다. 둥지의 깊이는 대개 6cm에서 60cm 사이이고, 땅바닥에서 지하의 둥지까지의 통로 길이는 2cm에서 60cm 정도다. 그 통로는 수평일 수도 있고 수직일 수도 있고 경사졌을 수도 있다. 처음 둥지를 세우는 여왕벌은 좁은 공간을 선호한다.[137]
둥지 중심에는 큰 기둥이 있고, 그 밖에 작은 기둥들이 있어서 층층이 만들어진 벌집들을 서로 연결, 지탱한다. 한 둥지는 대개 네 개에서 일곱 개의 벌집으로 이루어져 있다. 꼭대기층의 벌집은 여름이 지나면 버려져서 사용되지 않아 썩게 된다. 가장 큰 벌집은 둥지 가운데에서 바닥 사이에 있다.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큰 말벌속의 벌집은 크기 49.5cm × 45.5cm에 벌방 1,192개 (장애물 없음, 원형) 또는 크기 61cm × 48cm (나무뿌리 주변에 형성, 타원형)였다.[137]
6. 생활사
장수말벌의 생활사는 다른 사회성 곤충들과 거의 같다. 장수말벌의 생활사는 둥지 짓기 전 시기, 단독 시기, 협동 시기, 중합 시기, 해산 시기, 동면 시기의 6단계로 구성된다.[137]
; 둥지짓기 전 시기 (prenesting period)
: 4월 초에서 4월 중순 사이부터 동면하던 여왕벌들이 나타나기 시작해 참나무속 나무들의 수액을 먹고 살기 시작한다. 여왕벌들 사이에는 순위제가 형성된다. 최상위 여왕벌이 가운데에서 수액을 먹으면 다른 여왕벌들은 그 주변에 원을 치고 기다린다. 최상위 여왕벌이 먹기를 마치면 2선급 여왕벌들이 수액을 먹는다. 이 과정은 최하위 여왕벌까지 식사를 마칠 때까지 반복된다.[137]
; 단독시기 (solitary period), 협동시기(cooperative period), 중합시기(polyethic period)
: 작년에 수정된 여왕벌들은 4월 말이 되면 둥지를 틀 자리를 찾기 시작한다. 수정되지 않은 여왕벌들은 난소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했기 때문에 자기 둥지를 만들러 떠나지 않고 계속 수액을 먹으며 연명하다가 7월 초가 되면 사라진다.
: 수정된 여왕벌은 상대적으로 작은 벌방들을 만들고 40여 마리의 일벌을 길러낸다. 7월 전까지는 일벌들은 둥지 밖으로 나가지 않는다. 여왕벌은 7월 중순까지 둥지 안팎을 드나들면서 활동한다. 그 뒤 둥지 안에 눌러앉게 되면 그때부터 일벌들에게 바깥일을 시켜 내보낸다. 8월 초가 되면 둥지가 완전히 발달하여 벌집 3개, 벌방 500개, 일벌 100마리 정도를 갖추게 된다. 9월 중순 이후 어미 여왕벌은 알을 더 이상 낳지 않으며, 군락은 애벌레 양육에 집중한다. 10월 말이 되면 어미 여왕벌이 수명을 다하고 죽는다.[137]
; 해산시기 (dissolution period), 동면시기 (hibernating period)
: 9월 중순에는 수펄들이, 10월 중순에는 딸 여왕벌들이 후세대 생산을 위한 소임을 행하기 시작한다. 이때 유성 개체들은 색이 짙어지고, 특히 여왕벌은 체중이 20% 늘어난다. 수펄들은 둥지 입구에 앉아 여왕벌들이 나오기를 기다린다. 여왕벌이 나오면 수펄들이 공중에서 여왕벌에게 들러붙어 공격한다. 여왕벌을 땅바닥에 떨어뜨린 수펄들은 8~45초 동안 교미하고 둥지 입구로 돌아가 다음 여왕벌을 기다린다. 한편 방금 전 교미로 수정된 여왕벌은 멀리 떠나간다. 적지 않은 딸 여왕벌들은 수펄들을 물리치고 수정되지 않은 채 떠난다. 이렇게 교미 비행을 마친 뒤 수펄들과 딸 여왕벌들은 옛 둥지로 돌아가지 않는다.
: 유성 개체들이 발생하여 교미하고 떠나가는 동안, 무성 일벌들은 먹이를 단백질에서 탄수화물로 교체하여 연명한다. 죽어가는 둥지에서 마지막으로 태어난 유성 개체들은 굶어 죽게 된다.
: 둥지를 떠나간 새 세대의 여왕벌들은 축축한 지하 공간에서 발견된다. 여왕벌들은 수정되었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한 해 생활사가 끝나면 11월~2월까지 동면에 들어간다.[137]
7. 독침
장수말벌의 독침은 길이가 6mm나 된다.[129] 이 독침으로 주입되는 독액에는 세포용해 펩티드(특히 마스토파란)가 함유되어 있어, 인지질분해효소의 작용을 촉진시키고 세포조직에 해를 끼친다.[137] 장수말벌에게 쏘이면 “뜨겁게 달군 못이 다리에 박혀 들어오는” 것 같은 느낌을 받게 된다.[129]
장수말벌 봉독에는 만다라톡신이라는 신경독도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분자량 약 20킬로돌턴의 단일사슬형 폴리펩티드다.[137] 한 번 쏘인다고 죽지는 않지만, 여러 마리에게 동시에 쏘이거나 한 마리에게 여러 번 쏘이는 등 충분한 양의 독액이 주입되면 위험하며,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더욱 위험하다. 일본에서는 매년 30~40명이 장수말벌 독침에 쏘여 사망한다.[137][138]
중국에서는 10방 이상 쏘이면 병원 치료를, 30방 이상 쏘이면 응급처치를 받아야 한다고 권고한다. 장수말벌의 독침은 신부전을 일으킬 수 있으며,[139] 2013년 중국 섬서성에서는 장수말벌 독침으로 41명이 사망하고 1,600명이 부상을 당했다.[140]
장수말벌 독액 주입의 치사율은 주로 알레르기로 인한 과민증이나 심정지와 관련이 있다. 드물게 많은 횟수를 쏘인 사람이 다발성 장기부전을 일으켜 사망하기도 하는데, 이들은 피부출혈과 괴사를 보이기도 했다. 피부출혈과 괴사의 원인은 신체가 독액을 중화시키지 못했거나, 비정상적으로 많은 독액이 주입되었기 때문으로 보이며, 이는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쏘인 횟수와 심각성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데, 사망자는 평균 59회(표준편차 12회), 생존자는 평균 28회(표준편차 4회)를 쏘였다.[141]
국립수목원과 경북대학교(최문보 교수)의 공동연구에 따르면, 장수말벌 독은 꿀벌 독보다 약 1.3배 강할 뿐, 흔히 알려진 것처럼 수백 배 강하지는 않다. 그러나 말벌은 꿀벌과 달리 침이 일회성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쏠 수 있고, 한 번에 주입되는 독의 양이 많으며 집단공격을 하므로 더욱 위험하다.[142]
8. 사회성
장수말벌은 항해할 때 시각과 화학 신호를 모두 사용한다. 먹이가 있는 곳에 냄새 표시를 남겨 다른 말벌들을 유도한다. 더듬이가 손상되어도 길을 찾을 수 있지만, 시각 장애가 생기면 목적지를 찾지 못한다. 이는 화학적 신호 전달도 중요하지만, 개체 단위에서는 시각 신호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134][143]
일벌들은 여왕벌을 핥고 깨물어 여왕벌의 페로몬을 섭취한다. 이 페로몬은 여왕벌과 일벌들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또는 섭취된 페로몬을 통해 간접적으로 소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만, 간접 소통의 경우 직접적인 증거가 없어 아직 추측에 머무르고 있다.[134][143]
장수말벌은 음향으로도 의사소통한다. 애벌레는 배가 고프면 턱으로 벌방 벽을 긁고, 성충은 자신의 영역에 들어온 다른 생물에게 경고하기 위해 턱을 딱딱 소리 내어 부딪친다.[134][143]
장수말벌은 사회성 벌들 중 먹이가 있는 곳에 냄새 신호를 남기는 유일한 종으로 알려져 있다. 제6흉판의 판 데르 페흐트 분비선에서 화학 물질을 분비한다. 이 행동은 가을철에 주로 먹이로 삼는 꿀벌 군락을 무리 지어 공격할 때 자주 관찰된다. 장수말벌은 아무리 강해도 개체 혼자서는 꿀벌 군락을 털어먹을 수 없다. 동양의 재래꿀벌은 효과적인 방어 수단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장수말벌은 무리를 지어 꿀벌 군락을 공격하며, 조직적인 공격은 수만 마리의 꿀벌이 서식하는 군락을 완전히 초토화시킬 수 있다.[144]
9. 종간 상호작용
일본에서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 장수말벌은 말벌속의 다른 종들보다 우세한 종이다. 연구진들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여러 가지 변수를 도입했다. 첫 번째는 상호작용 매개적 이탈인데, 이는 한 종이 있는 자리에 더 우월한 종이 도착했을 때 열위의 종이 도망가는지 여부이다. 이 현상이 나타나는 비율은 장수말벌에게서 가장 낮았다. 두 번째는 서식지 진입 시도였다. 관찰된 시간 동안, 이종간 상호작용보다 동종간 상호작용에서 서식지 침입이 거부되는 경우가 더 많았다.[85]
수액 섭취 시, 장수말벌과 애호랑나비(Pseudotorynorrhina japonica), 산호랑나비(Neope goschkevitschii), 네발나비속 sicelis 사이의 싸움이 관찰되었는데, 장수말벌이 가장 우점적인 종이었다. 총 57회의 싸움에서 장수말벌은 산호랑나비(Neope goschkevitschii)에게 단 한 번 지면서 98.3%의 승률을 기록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장수말벌이 생태적, 행동적 상호작용에서 가장 우세적인 종임을 확인할 수 있다.[85]
9. 1. 말벌속의 우점종
일본에서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 장수말벌은 말벌속의 다른 종들보다 우세한 종이다. 연구진들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여러 가지 변수를 도입했다. 첫 번째는 상호작용 매개적 이탈인데, 이는 한 종이 있는 자리에 더 우월한 종이 도착했을 때 열위의 종이 도망가는지 여부이다. 이 현상이 나타나는 비율은 장수말벌에게서 가장 낮았다. 두 번째는 서식지 진입 미수였다. 관찰된 시간 동안, 이종간 상호작용보다 동종간 상호작용에서 서식지 침입이 거부되는 경우가 더 많았다. 마지막 변수는 풍이나 왕알락그늘나비, 시칠리아그늘나비와 같은 수액을 먹는 다른 곤충들과의 싸움에서 누가 이기는지였다. 총 57회의 싸움에서 장수말벌은 왕알락그늘나비에게 단 한 번 지면서 98.3%의 승률을 기록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장수말벌이 생태적, 행동적 상호작용에서 가장 우세적인 종임을 확인할 수 있다.[145][85]장수말벌은 다른 말벌 종보다 더 넓은 먹이활동 범위를 가진다. 이들은 둥지에서 2km 이내의 먹이를 공격하는 경향이 있지만, 먹이를 찾아 8km까지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수말벌은 봄철 자원을 두고 경쟁할 때 매우 적극적이다. 예를 들어, 나무 위 수액이 나오는 곳 주변에 모여들어 다른 말벌 종들이 먹이를 먹는 것을 막는다.[146]
9. 2. 포식성
장수말벌은 매우 다양한 곤충을 포식한다. 둥지에서 자라는 유충에게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인 곤충 먹이는 주로 큰 딱정벌레 종류이며, 박각시 유충, 사마귀, 꿀벌과 다른 말벌들도 잡아먹는다.[147][148][149]
장수말벌이 가장 선호하는 먹이는 꿀벌과 말벌의 유충이다. 다른 벌 종의 군락에 쳐들어가 성충, 번데기, 유충을 모조리 털어와 자기네 유충의 먹이로 삼는다. 꿀벌 같은 꽃벌류 뿐 아니라 털보말벌 같은 다른 말벌까지도 먹이로 삼는다. 때로는 다른 장수말벌의 군락에 쳐들어가 전쟁을 벌이기도 한다. 우선 일벌 한두세 마리가 척후로서 표적이 될 군락에 조심스레 접근하고, 페로몬 표시를 남기면 동료 일벌들이 떼로 몰려온다. 장수말벌은 꿀벌 군락을 완전히 초토화시키는데, 특히 서양산 양봉꿀벌이면 속수무책으로 털려나간다. 장수말벌 한 마리가 1분에 꿀벌 40마리를 죽일 수 있는데, 주무기는 큼직한 턱으로, 꿀벌을 붙잡아 목을 잘라 죽인다. 꿀벌은 독침으로 반격하지만 장수말벌이 크기가 다섯 배가 넘을 뿐더러 외골격이 견고하기 때문에 아무 소용이 없다. 50마리 정도의 장수말벌이 몇 시간 만에 수천 마리의 꿀벌을 전멸시킬 수 있다. 장수말벌의 항속거리는 하루에 100km 정도이고, 비행속력은 최대 40km/h 정도이다.[150]

장수말벌 유충은 고깃덩어리를 소화할 수 있지만 성충은 소화할 수 없다. 성충은 잡아 죽인 먹이의 체액을 빨아먹을 뿐이며, 큰턱으로 먹이를 다져 고기경단으로 만드는 것은 유충을 먹이기 위한 것이다. 말벌속에 속하는 벌들 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사회성을 가진 사냥벌들의 유충은 고기를 먹고 소화한 아미노산을 투명한 액체 형태로 분비한다. 이 아미노산 분비액의 성분은 종마다 다른데, 성충은 필요에 따라 유충에게서 아미노산 분비액을 섭취하여 먹이로 삼는다.[151]
한국을 포함한 동양의 양봉가들은 서양의 양봉꿀벌이 꿀 생산량이 높음을 보고 도입해 왔다. 하지만 이들 서양산 꿀벌은 말벌들의 공격에 방어수단이 없기 때문에 군락이 말벌들의 공격에 쉽게 붕괴한다.[152] 조금밖에 안 되는 장수말벌이 양봉꿀벌의 군락을 순식간에 전멸시킬 수 있지만, 오랜 세월 말벌들과 함께 살아온 동양의 재래꿀벌은 효과적인 전략을 마련해냈다. 척후 말벌이 재래꿀벌 군락을 발견하고 페로몬을 발하면, 그것을 감지한 재래꿀벌 수백 마리가 군락 입구를 열고 입구 주변에 숨는다. 척후 말벌이 입구에 들어서면 대기하고 있던 꿀벌들이 말벌을 덮쳐 공 모양으로 완전히 둘러싼다. 이것을 봉구(蜂球)라고 한다. 봉구의 꿀벌들은 죽을 힘을 다해 날개근육을 진동시킨다. 이것은 벌집이 너무 추워지면 온도를 높이기 위해 취하는 행동과 같은 것인데, 그 결과 봉구 안의 온도는 46°C까지 올라간다. 또한 꿀벌들이 큰 에너지를 소모하면서 봉구 안의 이산화탄소 농도도 높아진다. 이산화탄소가 고이면 봉구 중심의 온도는 50°C까지 올라간다. 그러면 말벌은 고온 고압을 못 견디고 죽는다.[153][154] 이 과정에서 꿀벌 몇 마리도 죽지만, 척후 말벌을 조기에 처치함으로써 군락 전체가 전멸하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155]
상세한 연구 결과, 모든 경우에 이런 행동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서로간에 무익한 분쟁을 피하기 위한 전략을 양자 모두 개발하고 있음이 시사된다. 척후 말벌을 발견한 꿀벌들은 봉구를 만드는 대신 “내가 너를 보았다”는 협박성 신호를 먼저 보내서 공격을 단념하게 한다. 다만 이것은 등검은말벌에 대해 이루어진 연구이다.[156] 그 외에 재래꿀벌이 말벌이 침입했을 때 하는 행동으로는 군락으로 복귀할 때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비행하는 것이 있다. 공중전에서 우세한 말벌의 공격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9. 3. 꿀벌과의 관계
서양꿀벌(양봉꿀벌)은 장수말벌에 대한 본능적인 방어력이 없어, 장수말벌이 쉽게 벌집을 파괴할 수 있다.[3] 소수의 장수말벌이라도 서양꿀벌의 무질서한 방어를 쉽게 압도할 수 있다. 하지만 일본꿀벌(재래꿀벌)은 효과적인 방어 전략을 가지고 있다. 말벌 정찰병이 일본꿀벌 벌집을 찾아 접근하여 특정 페로몬 신호를 방출하면, 일본꿀벌은 이 페로몬을 감지하고 100마리 정도가 벌집 입구 근처에 모여 함정을 설치하고 입구를 열어둔다.[91]말벌이 벌집 안으로 들어오면 수백 마리의 꿀벌이 공처럼 둘러싸서 완전히 덮어 효과적으로 반응하지 못하게 한다. 꿀벌들은 비행 근육을 강하게 진동시켜 공 안의 온도를 46°C의 치명적인 온도로 높인다.[91] 또한 꿀벌들의 활동은 공 안의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높인다.[91] 꿀벌은 그러한 이산화탄소 농도에서도 50°C까지 견딜 수 있지만, 말벌은 고온과 고농도 이산화탄소의 조합을 견딜 수 없다.[91] 일부 꿀벌은 침입자와 함께 죽지만, 말벌 정찰병을 죽임으로써 전체 벌집을 멸망시킬 증원군을 부르는 것을 막는다.[92]
꿀벌과 일부 말벌 종의 행동에 대한 이러한 설명은 불완전하며, 꿀벌과 포식자는 비용이 많이 들고 상호적으로 불리한 갈등을 피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꿀벌이 정찰하는 말벌을 감지하면 일반적으로 포식자를 경고하는 "당신을 봤다" 신호를 전달한다.[93] 동양꿀벌(재래꿀벌)이 사용하는 또 다른 방어는 공중 공격을 피하기 위해 벌집으로 돌아올 때 속도를 급격히 높이는 것이다.
장수말벌이 토종꿀벌을 포함한 동양꿀벌의 벌집을 공격할 경우, 장수말벌의 집단 공격이 시작되기 전에 단독으로 온 장수말벌이 제압되지 않으면 장수말벌이 꿀벌 벌집을 점령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벌집으로 찜질하여 죽이는 것을 열살벌집이라고 한다. 벌집 내부는 장수말벌의 치사 온도(46°C~50°C)에 가까운 50°C가 되고, 벌집 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3~4% 정도까지 상승하며,[118] 상대 습도가 90% 이상으로 향상됨으로써 장수말벌의 치사 온도를 낮추는 것이 알려져 있다.[118]
서양꿀벌은 대군으로 상대의 배 주위를 압박하여 호흡을 방해하고, 약 1시간에 걸쳐 질식사시키는 질식 스크럼이라는 대항 수단을 가지고 있다.[119][120] 그러나 이것은 말벌속 이하의 적만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장수말벌에 대항하는 방법이 되지 않고, 양봉가의 보호가 없다면 높은 확률로 전멸을 면치 못한다(수십 마리의 장수말벌이 4만 마리의 서양꿀벌을 2시간 정도로 전멸시킬 수 있다는).[121][122]
9. 4. 천적
인간 외에 천적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오소리, 곰, 직박구리, 때까치 등이 천적이 될 수 있다. 나뭇가지에 장수말벌이 꽂혀져 있으면 때까치가 장수말벌을 사냥한 것이다. 곤충 중에서는 사마귀와 파리매가 말벌의 포식자로 알려져 있으나, 이 두 곤충이 장수말벌을 포식하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말벌부채벌레( ''Xenos moutoni'')라는 부채벌레는 말벌속에 매우 흔하게 기생한다. 한 연구에서는 장수말벌 암컷의 4.3%가 이 기생충에 감염되어 있었다. 수컷은 전혀 기생되지 않는다. 기생하는 부채벌레의 머리 크기와 숙주의 머리 크기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부채벌레에게 기생당하면 다음 해 세대의 생식을 할 수 없게 된다. 즉 부채벌레에게 기생당한 여왕벌들은 교미하지 않은 여왕벌들과 마찬가지로 군락을 만들지 못하고 나무 수액을 먹고 살다가 가을에 죽는 운명을 맞게 되는 것이다. 다른 말벌들의 경우 수컷 역시 기생당할 수 있으며, 결과는 마찬가지로 불임이 된다.[157]
장수말벌집대모꽃등에 유충은 장수말벌의 벌집에 기생한다.
10. 이용
일본 산간 마을에서는 말벌집을 파내 유충을 튀겨 먹는 것을 별미로 여긴다.[3] 중부지방에서는 말벌을 간식이나 음료 재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애벌레는 병에 담가 보관하거나 밥과 함께 팬에 튀기거나 쪄서 へぼ飯|헤보고한일본어이라는 요리를 만들기도 한다. 성충은 침이 달린 채 꼬치에 꿰어 바삭해질 때까지 튀겨 먹는다.[101]
11. 인간과의 관계
1957년 반 데어 페흐트(van der Vecht)는 원산지 사람들이 장수말벌을 끊임없이 두려워하며 살았다고 생각했고, 이와타(Iwata)는 1976년 연구와 제거 작업이 장수말벌의 공격으로 방해받았다고 보고했다.[75]
11. 1. 해충
극히 강력한 독과 높은 공격성으로 매년, 특히 공격적으로 되는 가을철에, 같은 종에 의한 사상 사건이 발생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해충이다.[75]11. 2. 이로운 곤충
장수말벌은 농업 해충을 포식하여 개체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이로운 곤충으로 여겨지기도 한다.[2]11. 3. 양봉 산업에 미치는 영향
장수말벌은 꿀벌, 특히 서양꿀벌의 벌집을 공격하여 양봉 산업에 큰 피해를 입힌다.[121][122] 수십 마리의 장수말벌이 4만 마리의 서양꿀벌을 2시간 만에 전멸시킬 수 있을 정도로 위협적이다.[121][122]동양꿀벌(''Apis cerana'')은 장수말벌에 대항하는 방어 전략을 가지고 있다. 열살봉구(熱殺蜂球)는 꿀벌들이 집단으로 장수말벌을 둘러싸 찜질하여 죽이는 방법이다. 벌집 내부는 온도가 50℃ 가까이 되고, 이산화탄소 농도가 3~4% 정도까지 상승하며, 상대 습도가 90% 이상으로 높아져 장수말벌의 치사 온도를 낮춘다.[118]
반면, 서양꿀벌은 질식 스크럼이라는 대항 수단을 가지고 있으나,[119][120] 장수말벌에게는 효과가 없어 양봉가의 보호 없이는 전멸할 가능성이 높다.[121][122] 이러한 이유로 서양꿀벌은 일본에서 세력을 확장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장수말벌이 서식하지 않는 오가사와라 제도에서는 서양꿀벌의 야생화 무리가 증가하여 재래 꽃벌류를 압박하고, 고유 식물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만약 장수말벌이 북아메리카의 모든 적합한 서식지에 정착한다면, 미국 내 방제 비용은 연간 1.137억달러를 초과할 것이다. 꿀벌 제품 생산량은 연간 1198만달러 감소하고, 꿀벌이 수분하는 작물 생산량은 연간 1.18억달러 감소할 것이다. 가장 큰 피해를 입을 지역은 뉴욕, 매사추세츠주, 펜실베이니아주, 코네티컷주, 노스캐롤라이나주, 뉴저지주, 버지니아주이며, 지역별로는 뉴잉글랜드가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이다.
11. 4. 식용
경상남도 거창군 등 일부 지역에서는 장수말벌 애벌레와 번데기, 성충을 별미로 먹는다.[124] 성충은 독침을 제거하고 꿀이나 소주에 담그기도 한다. 장수말벌 애벌레가 어미에게 주는 영양액(VAAM) 성분을 참고하여 만든 영양 음료와 건강기능식품이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와 유럽에서 판매되고 있다.[124]참조
[1]
웹사이트
Giant hornet gets new name
https://agr.wa.gov/a[...]
2022-07-25
[2]
논문
The diversity of hornets in the genus ''Vespa'' (Hymenoptera: Vespidae; Vespinae), their importance and interceptions in the United States
2020-05
[3]
서적
Extraordinary Animals: An Encyclopedia of Curious and Unusual Animals
https://archive.org/[...]
Bloomsbury Academic
[4]
뉴스
Asian Giant Hornet nest eradicated in Nanaimo
https://news.gov.bc.[...]
BC Gov News
[5]
간행물
Asian giant hornet
https://cms.agr.wa.g[...]
USDA New Pest Response Guidelines
[6]
웹사이트
Hornets
https://agr.wa.gov/d[...]
[7]
웹사이트
WSDA News Releases
https://agr.wa.gov/a[...]
[8]
뉴스
Washington state has first live 'murder hornet' sighting of 2021
https://www.nbcnews.[...]
NBC News
2021-08-13
[9]
뉴스
3rd murder hornet nest of 2021 found in northwest Washington
https://komonews.com[...]
2021-09-11
[10]
논문
Assessing the ecological niche and invasion potential of the Asian giant hornet.
2020
[11]
뉴스
‘Murder Hornet’ has been eradicated From the U.S., officials say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24-12-18
[12]
웹사이트
''Vespa mandarinia''
http://eol.org/data_[...]
2014-11-11
[13]
뉴스
"Hornets From Hell" Offer Real-Life Fright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News
2002-10-25
[14]
논문
A phylogenetic study of the species of the genus ''Vespa'' (Hymenoptera: Vespinae)
1993
[15]
논문
Notes on oriental Vespinae, including some species from China and Japan (Hymenoptera, Vespidae)
https://www.reposito[...]
Naturalis
1959-05-21
[16]
웹사이트
''Vespa mandarinia'' Smith 1852 (Asian giant hornet)
https://paleobiodb.o[...]
[17]
서적
Vespine wasps of the world: behaviour, ecology and taxonomy of the Vespinae
Siri Scientific
2012
[18]
논문
Checklist of the species in the subfamily Vespinae (Insecta: Hymenoptera: Vespidae)
http://research.amnh[...]
[19]
뉴스
'Murder Hornets' in the U.S.: The Rush to Stop the Asian Giant Hornet
https://www.nytimes.[...]
2020-05-02
[20]
웹사이트
Murder hornet
https://www.collinsd[...]
[21]
웹사이트
About Those Asian Giant Hornets...
http://cesanmateo.uc[...]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2020-05-04
[22]
웹사이트
'Northern Giant Hornet' Adopted as Common Name for ''Vespa mandarinia''
https://entsoc.org/n[...]
2022-07-25
[22]
웹사이트
Northern Giant Hornet Common Name Toolkit
https://entsoc.org/p[...]
[23]
뉴스
'Murder hornets' get a new name; now called northern giant hornets
https://www.fox29.co[...]
2022-07-25
[24]
뉴스
Murder hornets get a new name, but desire to wipe them out in Washington state remains the same
https://www.geekwire[...]
2022-07-25
[25]
뉴스
'Murder Hornet' Rebranding Makes A Clean Break From Crime
https://news.yahoo.c[...]
2022-07-27
[26]
웹사이트
''Vespa mandarinia''
https://animaldivers[...]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27]
논문
Emerging patterns in social wasp invasions
Elsevier
[27]
논문
The mitochondrial genome of the ''Vespa mandarinia'' Smith (Hymenoptera: Vespidae: Vespinae) and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Vespoidea
Informa Healthcare
[28]
논문
Murder Hornet Mayhem: The Impact of the 2020 Giant Hornet Panic and COVID-19 Pandemic on Arthropod Identification Laboratories
2022
[29]
웹사이트
AGH and look-alikes; WSDA
https://agr.wa.gov/d[...]
[30]
웹사이트
Why Asian hornets are bad news for British bees
https://www.nhm.ac.u[...]
2020-03-12
[31]
방송
broadcast listing
https://kakaku.com/t[...]
2008-09-28
[32]
간행물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Agriculture Pest Alert: Asian Giant Hornet
https://www2.gov.bc.[...]
2019-09
[33]
논문
Giant Alien Insect Invasion Averted – Canadian Beekeepers Thwart Apicultural Disaster
http://beesforbabar.[...]
2020-02
[34]
웹사이트
Confirmed Asian giant hornet detections
http://agr.wa.gov/de[...]
[35]
뉴스
First male 'murder hornet' trapped in Wash. state
https://komonews.com[...]
2020-08-17
[36]
뉴스
Three more Asian giant hornets found in Whatcom. Why the warm weather could mean more
https://www.bellingh[...]
2020-09-30
[37]
웹사이트
Detection and Eradication Data
https://agr.wa.gov/d[...]
[38]
웹사이트
Washington State Officials Hunt for Colony of 'Murder Hornets'
http://www.nytimes.c[...]
2020-10-03
[39]
뉴스
Washington state discovers first 'murder hornet' nest in US
https://apnews.com/a[...]
2020-10-23
[40]
뉴스
Washington state crews destroy first US murder hornet nest
https://www.theguard[...]
2020-10-24
[41]
뉴스
Scientists remove 98 'murder hornets' in Washington state
https://apnews.com/a[...]
2020-10-26
[42]
웹사이트
Stirring up a hornet nest – safely
http://wastatedeptag[...]
2020-10-30
[43]
간행물
The untold, dramatic story behind the discovery of America's first murder hornet nest
https://www.national[...]
National Geographic Society
[44]
웹사이트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Agriculture Press Conference
https://www.tvw.org/[...]
2020-11-10
[45]
웹사이트
'Murder hornet' nest with nearly 200 queens destroyed 'in the nick of time'
https://www.cbsnews.[...]
2020-11-11
[46]
웹사이트
Family Members Follow Original Asian Giant Hornet to Smithsonian
http://www.smithsoni[...]
Smithsonian Institution
2020-11-17
[47]
웹사이트
Frozen 'murder hornets' shipped across the country for further study
http://katu.com/news[...]
2020-11-17
[48]
웹사이트
'Murder hornets': More nests likely to be found in US
http://www.bbc.com/n[...]
2020-11-11
[49]
웹사이트
B.C. beekeepers and residents asked to keep lookout after discovery of another Asian giant hornet
http://www.cbc.ca/ne[...]
2020-11-03
[50]
웹사이트
Residents alerted after 'murder hornet' found in Abbotsford
http://vancouversun.[...]
2020-11-03
[51]
웹사이트
'Murder hornet' spotted in Abbotsford, B.C.
http://globalnews.ca[...]
2020-11-03
[52]
웹사이트
"Murder hornet" discovered in Abbotsford neighbourhood
http://dailyhive.com[...]
2020-11-03
[53]
웹사이트
Asian giant hornet found in Abbotsford
http://archive.news.[...]
2020-11-03
[54]
웹사이트
Murder hornets discovered 100 miles from Seattle as invasion of North America continues
http://www.newsweek.[...]
2020-11-09
[55]
웹사이트
Another 'murder hornet' spotted in B.C. – BC
http://globalnews.ca[...]
2020-11-10
[56]
웹사이트
Residents find queen 'murder hornet' in B.C.'s Fraser Valley as ministry traps sit empty
http://bc.ctvnews.ca[...]
2020-11-12
[57]
웹사이트
2 'murder hornets' found about 5 kilometres apart within 5 days in B.C.
http://bc.ctvnews.ca[...]
2020-11-10
[58]
웹사이트
Another 'murder hornet' discovered in B.C.'s Fraser Valley
http://bc.ctvnews.ca[...]
2020-11-03
[59]
웹사이트
Asian giant "murder hornets" found in Brookswood
http://www.aldergrov[...]
2020-05-28
[60]
웹사이트
Two more 'murder hornets' turn up on B.C. mainland
http://www.agcanada.[...]
2023-08-19
[61]
웹사이트
STATE ENTOMOLOGISTS CONFIRM THE FIRST LIVE ASIAN GIANT HORNET SIGHTING OF 2021
http://agr.wa.gov/ab[...]
2020-09-08
[62]
웹사이트
State eradicates first Asian giant hornet nest of 2021, asks public to continue reporting
https://agr.wa.gov/a[...]
[63]
웹사이트
3rd Asian giant hornet nest of 2021 found, 2nd nest eradicated in Whatcom County
https://www.king5.co[...]
2021-09-10
[64]
웹사이트
Suspected Asian giant hornet spotted farther east than other sightings
https://komonews.com[...]
2021-09-17
[65]
문서
Complete mitochondrial DNA was sequenced with Illumina’s MiSeq platform (ILLUMINA, United States).
[66]
문서
These genetic differences corresponded to the values found between native ''V. mandarinia'' from Japan, South Korea, and China.
[67]
문서
A high pairwise distance of 0.0071 was also confirmed between the 13 PCGs of mitochondrial DNA sequences of ''V. mandarinia'' specimens from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suggesting that the hornets differ in maternal origin (Table 1). ... The ML tree also revealed that ''V. mandarinia'' from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were not monophyletic (Fig. 2).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mitochondrial genomes revealed that ''V. mandarinia'' from the United States was genetically distant from that of Canada. ... The observed genetic differences between the Canada and U.S. mitochondrial genomes suggest that the two ''V. mandarinia'' specimens introduced to western N. America during or prior to 2019 are derived from different maternal lineages.
[68]
문서
The mitochondrial genome of ... the Canadian ''V. mandarinia'' was most genetically similar to the Japanese ''V. mandarinia'' used in this study.
[69]
문서
The mitochondrial genome of the specimen collected from Blaine, WA shared 99.5% sequence homology to the specimen characterized from South Korea,
[70]
뉴스
'Murder hornets' in Washington state threaten bees and whip up media swarm; Asian giant hornet, which became more active in the state in April, is the world's largest and can kill humans with multiple stings
https://www.theguard[...]
2020-05-02
[71]
웹사이트
ARS Takes On the Asian Giant Hornet
http://tellus.ars.us[...]
2020-11-18
[72]
웹사이트
State and Federal Entomologists Confirm New Asian Giant Hornet Detection in Snohomish County
http://agr.wa.gov/ab[...]
2021-06-16
[73]
뉴스
No northern giant hornets found in Washington in 2022
https://komonews.com[...]
2022-12-06
[74]
웹사이트
Annual invasive pest hunt concludes - Second year without northern giant hornet detections
https://agr.wa.gov/a[...]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3-12-04
[75]
논문
Biology and Pest Status of Venomous Wasps
Annual Reviews
[76]
논문
A Bionomic Sketch of the Giant Hornet, ''Vespa mandarinia'', a Serious Pest for Japanese Apiculture (With 12 Text-figures and 5 Tables)
北海道大學
1973
[77]
웹사이트
Asian Giant Hornets
http://extension.psu[...]
2020-05-06
[78]
논문
Antimicrobial and cytolytic peptides of venomous arthropods
https://boris.unibe.[...]
Birkhäuser Verlag
2003
[79]
논문
Ocular injury caused by the sprayed venom of the Asian Giant Hornet (''Vespa mandarinia'')
2020-05-08
[80]
논문
Hornet venoms: Lethalities and lethal capacities
http://www.ckstarr.n[...]
Elsevier
[81]
웹사이트
Vespid allergy and Asian giant hornet
http://www.aaaai.org[...]
[82]
논문
Levels of Parasitism by ''Xenos moutoni'' du Buysson (Strepsiptera, Stylopidae) and their Seasonal Changes in Hornets (Hymenoptera: Vespidae, ''Vespa'') Caught with Bait Traps
http://dl.ndl.go.jp/[...]
1998-12-25
[83]
웹사이트
Vespa mandarinia
http://bioweb.uwlax.[...]
[84]
논문
Recruitment in swarm-founding wasps: ''Polybia occidentalis'' does not actively scent-mark carbohydrate food sources
2011
[85]
논문
Factors Affecting Behavioral Interactions Among Sap-Attracted Insects
2009-03-01
[86]
논문
Social Wasp (Hymenoptera: Vespidae) Foraging Behavior
Annual Reviews
[87]
웹사이트
Adw: : Information
https://animaldivers[...]
[88]
웹사이트
Vespa mandarinia (Asian Giant Hornet) page
http://www.vespa-cra[...]
2013-01-27
[89]
논문
Similarity of amino acids in nectar and larval saliva: the nutritional basis for trophallaxis in social wasps
1982-11
[90]
논문
Viral niche construction alters hosts and ecosystems at multiple scales
Cell Press
[91]
논문
Heat and carbon dioxide generated by honeybees jointly act to kill hornets
Julius Springer Verlag
2009-09
[92]
웹사이트
Defensive Adaptations: Heat Tolerance As A Weapon
http://www.bio.david[...]
2001
[93]
논문
An 'I see you' prey–predator signal between the Asian honeybee, ''Apis cerana'', and the hornet, ''Vespa velutina''
[94]
웹사이트
Hungry hornet babies – what's on their menu in the PNW?
http://wastatedeptag[...]
2021-08-03
[95]
웹사이트
ADW: : INFORMATION
https://animaldivers[...]
[96]
웹사이트
スズメバチを食べるカマキリ - ニホンミツバチの四季
https://blog.goo.ne.[...]
[97]
논문
Social wasps, crickets and cockroaches contribute to pollination of the holoparasitic plant ''Mitrastemon yamamotoi'' (Mitrastemonaceae) in southern Japan
Wiley
2018-09-06
[98]
논문
Homoplasy, Pollination, and Emerging Complexity During the Evolution of Floral Development in the Tropical Gingers (Zingiberales)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99]
잡지
Inside the Sprint to Map the Murder Hornet Genome
http://www.wired.com[...]
2020-08-24
[100]
웹사이트
Giant hornet
https://www.japan-na[...]
[101]
뉴스
In Japan, the 'Murder Hornet' Is Both a Lethal Threat and a Tasty Treat
https://www.nytimes.[...]
2020-05-05
[102]
웹사이트
昆虫学会、オオスズメバチの英名を変更 「アジアン」改め「ノーザン」に
https://www.cnn.co.j[...]
CNN.jp
2022-07-27
[103]
웹사이트
オオスズメバチ 上野高敏 -Takatoshi UENO-
http://www.agr.kyush[...]
2017-12-05
[104]
웹사이트
'Murder hornets' have arrived in the U.S.-here's what you should know
https://www.national[...]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20-05-04
[105]
웹사이트
「殺人バチ」オオスズメバチの巣、米国内で初めて発見
https://www.afpbb.co[...]
AFPBBNews
2020-10-24
[106]
웹사이트
Annual invasive pest hunt concludes - Second year without northern giant hornet detections
https://agr.wa.gov/a[...]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3-12-04
[107]
웹사이트
‘Murder Hornet’ Has Been Eradicated From the U.S., Officials Say
https://www.nytimes.[...]
2024-12-18
[108]
웹사이트
アメリカ農務省がオオスズメバチを根絶したことを発表 - GIGAZINE
https://gigazine.net[...]
2024-12-24
[109]
논문
VIII. Descriptions of some new and apparently undescribed species of hymenopterous insects from North China, collected by Robert Fortune, Esq.
https://doi.org/10.1[...]
[110]
서적
Vespine wasps of the world: behaviour, ecology and taxonomy of the Vespinae
Siri Scientific
2012
[111]
웹사이트
森林生物データベース 00025 オオスズメバチ
https://www.ffpri.af[...]
森林研究・整備機構
[112]
논문
都市における社会性ハチ類の生態と防除(5)スズメバチの都市における生活史と適応
https://agriknowledg[...]
[113]
논문
Hornet venoms: Lethalities and lethal capacities
https://doi.org/10.1[...]
[114]
논문
日本産スズメバチ属の警報フェロモンに関する研究
https://www.jstage.j[...]
日本応用動物昆虫学会
2003
[115]
웹사이트
Insect signalling: Components of giant hornet alarm pheromone(オオスズメバチの警報フェロモン)
https://www.nature.c[...]
2003
[116]
뉴스
Hornets From Hell Offer Real-Life Fright
https://www.hornetju[...]
National Geographic News
2002-10-25
[117]
문서
본종은 완전한 주행성이 아니고, 야간에도 많이 활동한다.
[118]
논문
捕食者スズメバチに対するニホンミツバチの防衛行動-蜂球内でのスズメバチの死の原因解明-
日本比較生理生化学会
[119]
논문
Smothered to death: Hornets asphyxiated by honeybees
https://www.cell.com[...]
2007
[120]
뉴스
ミツバチ、必殺技「窒息スクラム」で天敵スズメバチを撃退
https://www.afpbb.co[...]
2007-09-18
[121]
논문
A Bionomic Sketch of the Giant Hornet, Vespa mandarinia, a Serious Pest for Japanese Apiculture (With 12 Text-figures and 5 Tables)
https://hdl.handle.n[...]
[122]
웹사이트
オオスズメバチの「警報フェロモン」の成分を突き止めた
https://web.archive.[...]
[123]
웹사이트
ススメバチの子(すずめばちのこ)球磨村
https://kumamoto-mus[...]
[124]
간행물
スズメバチに学んだスポーツ飲料VAAM
https://www.riken.jp[...]
2005-11-07
[125]
논문
VIII. Descriptions of some new and apparently undescribed species of hymenopterous insects from North China, collected by Robert Fortune, Esq.
https://www.biodiver[...]
[126]
논문
Taxonomy, distribution and nesting biology of the Vespa mandarinia group (Hym., Vespinae)
[127]
논문
Morphological and taxonomic studies on vespine larvae, with reference to the phylogeny of the subfamily Vespinae (Hymenoptera: Vespidae)
1976-07
[128]
웹인용
''Vespa mandarinia''
http://eol.org/data_[...]
2014-11-11
[129]
웹인용
"Hornets From Hell" Offer Real-Life Fright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News
2002-10-25
[130]
논문
A phylogenetic study of the species of the genus ''Vespa'' (Hymenoptera: Vespinae)
https://www.academia[...]
1993
[131]
논문
Notes on oriental Vespinae, including some species from China and Japan (Hymenoptera, Vespidae)
https://www.reposito[...]
Naturalis
1959-05-21
[132]
서적
Vespine wasps of the world: behaviour, ecology and taxonomy of the Vespinae
Siri Scientific
2012
[133]
논문
Checklist of the species in the subfamily Vespinae (Insecta: Hymenoptera: Vespidae)
http://research.amnh[...]
[134]
웹인용
Vespa mandarinia
https://animaldivers[...]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135]
뉴스
미국, 올해 최초로 발견된 장수말벌에 긴장
https://www.mbn.co.k[...]
2021-06-17
[13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vancouri[...]
2019-10-13
[137]
논문
A Bionomic Sketch of the Giant Hornet, ''Vespa mandarinia'', a Serious Pest for Japanese Apiculture
https://eprints.lib.[...]
1973-10
[138]
웹사이트
わが国における蜂刺症 The Topic of This Month Vol.18 No.8(No.210) 国立感染症研究所
http://idsc.nih.go.j[...]
[139]
뉴스
Hornet attacks kill dozens in China
https://www.theguard[...]
2013-09-26
[140]
뉴스
China hornets kill 41 in north since July
https://www.bbc.co.u[...]
2013-10-03
[141]
저널
Cutaneous hemorrhage or necrosis findings after Vespa mandarinia (wasp) stings may predict the occurrence of multiple organ injury: A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Informa Healthcare USA
1980-10-10
[142]
뉴스
장수말벌 침 독성 연구, 꿀벌보다 약 1.3배 더 강해
https://www.ytn.co.k[...]
2023-09-18
[143]
웹인용
Vespa mandarinia
http://bioweb.uwlax.[...]
2014-09-25
[144]
저널
Recruitment in swarm-founding wasps: Polybia occidentalis does not actively scent-mark carbohydrate food sources
2011-02-28
[145]
저널
Factors Affecting Behavioral Interactions Among Sap-Attracted Insects
[146]
저널
Comparative study of the composition of hornet larval salvia, its effect on behavior and role of trophallaxis
1991
[147]
서적
Biology of the Vespine Wasps
Springer-Verlag
1990
[148]
웹사이트
https://entnemdept.u[...]
[149]
웹사이트
https://animaldivers[...]
[150]
웹인용
Vespa mandarinia (Asian Giant Hornet) page
http://www.vespa-cra[...]
2013-03-18
[151]
저널
Similarity of amino acids in nectar and larval saliva: the nutritional basis for trophallaxis in social wasps
1982-11
[152]
서적
Extraordinary Animals: An Encyclopedia of Curious and Unusual Animals
https://archive.org/[...]
[153]
저널
Heat and carbon dioxide generated by honeybees jointly act to kill hornets
2009-09
[154]
뉴스
Honeybee mobs overpower hornets
http://news.bbc.co.u[...]
2009-07-03
[155]
웹인용
Defensive Adaptations: Heat Tolerance As A Weapon
https://web.archive.[...]
2001
[156]
저널
An 'I see you' prey–predator signal between the Asian honeybee, Apis cerana, and the hornet, Vespa velutina
[157]
저널
Levels of Parasitism by Xenos moutoni du Buysson (Strepsiptera, Stylopidae) and their Seasonal Changes in Hornets (Hymenoptera: Vespidae, Vespa) Caught with Bait Traps
http://dl.ndl.go.jp/[...]
1998-12-25
[158]
웹사이트
한의학대사전
https://terms.naver.[...]
[159]
뉴스
‘말벌꿀 유통하면 처벌’ 제조·판매업자 5명 검찰에 송치돼
http://www.vop.c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