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꼬리세움새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꼬리세움새류는 작거나 중간 크기의 새들로, 주로 중남미에 서식하며, 꼬리를 위로 젖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짧은 날개와 강한 다리를 가지고 육상 생활에 적응했으며, 곤충이나 씨앗 등을 먹는다. 꼬리세움새류는 은신하는 습성이 있어 관찰이 어려우며, 소리를 통해 식별하는 경우가 많다. 전통적으로 Rhinocryptidae과로 분류되었으나, 최근 연구에 따라 개미새과에 포함될 수 있다. 현재 12속 56종이 국제 조류 학회에 의해 인정되고 있으며, 일부 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꼬리세움새류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하강신악하강
상목신조상목
참새목
아목산적딱새아목
꼬리세움새과
학명
학명Rhinocryptidae
명명자Wetmore, 1930
이명Pteroptochidae
일반 정보
영어 이름Tapaculo
일본어 이름오타테도리 (尾立鳥)
하위 분류
아과탄비오타테도리 아과
칸무리오타테도리 아과
아크롭테르니스
엘레오스키탈로푸스
에우그랄라
리오스켈레스
메룰락시스
미오르니스
실로람푸스
프테롭토코스
리노크립타
스켈로르킬루스
스키탈로푸스
텔레드로마스

2. 특징

꼬리세움새류는 땅 위 생활에 적응한 작거나 중간 크기의 새로, 짧은 날개 대신 강한 다리를 가지고 초원이나 의 덤불 속에서 살아간다. 특징적으로 꼬리를 위로 세워 머리 쪽으로 향하는데, 'tapaculo'라는 이름은 스페인어로 허리 부분을 의미하는 단어나 칠레의 특정 종 이름, 혹은 의성어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부분 눈에 잘 띄지 않는 색을 가졌으며, 일부 화려한 종들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빽빽한 초목 속에 숨어 지내는 습성이 강해 모습을 보기 어렵다. 이 때문에 소리를 통해 존재를 확인하거나 종을 식별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Scytalopus 속 새들이 그렇다. 먹이는 주로 곤충이나 씨앗 등이며, 처럼 땅을 파헤쳐 먹이를 찾기도 한다. 번식 시에는 굴이나 나무 구멍 같은 숨겨진 곳에 알을 낳는다.

2. 1. 형태

꼬리세움새류는 작거나 중간 크기의 새로, 전체 길이는 11cm에서 25.5cm 사이이다.[8] 몸은 둥근 편이며[8], 길고 튼튼한 다리를 가지고 있어[8] 땅 위 생활에 적합하다. 짧은 날개를 가지고 있어 제대로 날지 못하는 육상 조류이다. 꼬리는 특징적으로 위로 젖혀 머리 쪽을 향한다. 깃털 색은 대부분 검은색이나 갈색 계열로 수수한 편이지만[8], 일부 종은 더 크고 화려한 색을 띠기도 한다. 뾰족한 부리를 가지고 있다.

2. 2. 생태

꼬리세움새류는 작거나 중간 크기의 새로, 전체 길이는 10cm~24cm이다. 대부분 작고 검은색 또는 갈색이지만, 더 크고 화려한 종도 있다. 육상 생활을 하며, 초원이나 의 덤불과 같은 서식지에 적합하다. 짧은 날개 때문에 잘 날지 못하지만, 강한 다리를 가지고 있다. 자주 날지 않고 주로 땅 위에서 생활한다.[8]

굴뚝새처럼 꼬리를 위로 젖혀 머리 쪽을 향하는 습성이 있다.[8] 'tapaculo'라는 이름은 허리 덮개를 뜻하는 스페인어에서 유래했거나, 칠레에서 흰목꼬리세움새를 부르는 이름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또는 흔히 들을 수 있는 울음소리를 나타내는 의성어라는 설명도 있다.

은신하는 습성이 강해, 크고 화려한 종조차도 빽빽한 초목 속에 숨어 있어 관찰하기 어렵다. 따라서 소리를 통해 존재를 파악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특히 Scytalopus 속의 종들은 소리로 식별할 수 있다.

뾰족한 부리를 이용해 곤충, 거미, 씨앗, 기타 부드러운 식물 재료를 먹는다.[8] 처럼 땅을 긁어 먹이를 찾기도 한다.

대부분의 종은 굴, 나무 구멍, 또는 돔형 둥지와 같은 덮인 장소에 한 번에 2~4개의 흰색 알을 낳는다.[8] 암수가 함께 알을 품고 새끼를 기른다.[8]

숲에 사는 종류는 단독 생활을 하는 경향이 있고, 관목림이나 초원에 사는 종류는 번식기가 아닐 때 무리를 이루기도 한다.[8] 크고 단조로운 소리로 운다.[8]

2. 3. 분포

중남미에 서식한다.

3. 보존 상태

일부 종은 매우 제한적인 분포를 보이며, 비행 능력이 떨어져 작은 개체군에서 쉽게 고립된다.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BirdLife International)은 2007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보존 상태종 목록
취약종 (VU)Scytalopus panamensis (1종)
멸종 위기종 (EN)S. iraiensis, S. rodriguezi, S. robbinsi (3종)
심각한 멸종 위기종 (CR)Eleoscytalopus psychopompus, Merulaxis stresemanni (2종)



특히 심각한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된 두 종은 브라질 동부의 대서양림에 제한적으로 서식하며, 수년간 기록되지 않다가 최근에 다시 발견되었다.

4. 분류

꼬리세움새류는 참새목 산적딱새아목에 속하는 조류의 한 로, 주로 아메리카 대륙에 분포한다. 처음 기재된 속은 ''검은꼬리세움새속'' (Kittlitz, 1830)이지만, ''관세움새속'' (Gray, 1840)에 기초한 과명 '''Rhinocryptidae'''가 사용되고 있다. 과거에는 ''Pteroptochos'' 속명을 따른 Pteroptochidae라는 대체 과명이 사용되기도 했다.

전통적으로 꼬리세움새류는 독립된 과로 분류되었으나, 최근 mtDNA 및 nDNA 염기 서열 분석 연구[3][4][5] 결과, 개미새과 내의 한 (Tribe)인 Rhinocryptini로 재분류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과거 꼬리세움새과에 포함되었던 ''붉은가슴세움새속''은 유전학 연구[9]를 통해 별개의 과인 붉은가슴세움새과(Melanopareiidae)로 분리되었다. 반면, 분류학적 위치가 불확실했던 ''점박이세움새''는 꼬리세움새과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0]

국제 조류 학회(IOC)의 2023년 목록 기준[11]으로 꼬리세움새과에는 12속 56종이 속해 있다.

자세한 하위 속 목록 및 계통 분류에 대해서는 아래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 하위 속
  • 계통 분류
  • 꼬리세움새류 목록

4. 1. 하위 속

꼬리세움새류는 전통적으로 별개의 인 '''Rhinocryptidae'''로 분류되었으나, 최근 mtDNA 및 nDNA 염기 서열 분석 결과[3][4][5], 개미새과 내의 '''Rhinocryptini'''로 통합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과거에는 Pteroptochidae라는 대체 과명이 사용되기도 했다.

2020년 Michael Harvey와 동료들의 대규모 하위노래하는새류 유전자 연구[6]에 기반한 계통 분석 결과는 꼬리세움새류 내의 관계를 보여준다. 이 연구에 따르면, ''Pteroptochos'' 속(후엣후엣과 턱수염투르카, 3종)과 ''Scelorchilus'' 속(꼬리세움새류, 2종)이 가장 먼저 분기한 그룹이다. 다음으로 ''Liosceles'' 속(녹슨허리꼬리세움새)과 ''Psilorhamphus'' 속(점박이대나무솔새)이 하나의 분기군을 이루고, ''Acropternis'' 속(얼룩꼬리세움새)은 ''Rhinocrypta'' 속(볏갈리토) 및 ''Teledromas'' 속(모래갈리토)과 자매 그룹을 형성한다. 다른 주요 분기군에서는 ''Eleoscytalopus'' 속(꼬리세움새류, 2종)과 ''Merulaxis'' 속(수염앞털새류, 2종)이 하나의 그룹을 이루고, ''Myornis'' 속(재색꼬리세움새)은 ''Eugralla'' 속(황갈색옆구리꼬리세움새) 및 ''Scytalopus'' 속(꼬리세움새류, 49종)으로 구성된 그룹과 자매 관계이다. 종의 수는 국제 조류학 연합(IOC) 목록을 기준으로 한다.[7]

''Scytalopus'' 속 내의 종 경계는 역사적으로 구분하기 어려웠다. 이 새들은 위장이 뛰어나 시각적 특징만으로는 종 식별이 거의 불가능하며, 다양한 개체군의 분류학적 지위를 명확히 하기 위해 울음소리 및 생화학적 데이터 분석이 필요하다. 최근 몇 년 동안 페루에서 ''S. whitneyi'' 및 ''S. frankeae''와 같은 새로운 종이 기술되었다. 브라질의 분류군 역시 최근 기술된 여러 종과 ''Scytalopus speluncae''라는 학명 사용과 관련된 혼란으로 인해 분류가 복잡하다.

또한, 아직 기술되지 않은 종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며, 현재 정의된 일부 종(예: 큰발꼬리세움새의 남부 개체군)은 실제로는 여러 종을 포함할 수도 있다. 1970년에는 이 속에 10종만 인정되었으나, 현재는 그 수가 4배 이상(49종)[7]으로 늘어난 사실이 이러한 분류학적 혼란을 잘 보여준다.

다음은 꼬리세움새류에 속하는 하위 속과 일부 종의 목록이다.

  • ''Acropternis''
  • ''Acropternis orthonyx'', 얼룩꼬리세움새 (Ocellated Tapaculo)
  • ''Rhinocrypta''
  • ''Rhinocrypta lanceolata'', 관머리꼬리세움새 (Crested Gallito)
  • ''Teledromas''
  • ''Teledromas fuscus'', 모래꼬리세움새 (Sandy Gallito)
  • ''Liosceles''
  • ''Liosceles thoracicus'', 가슴붉은꼬리세움새 (Rusty-belted Tapaculo)
  • ''Psilorhamphus''
  • ''Psilorhamphus guttatus'', 점박이대나무새 (Spotted Bamboowren)
  • 검은등꼬리세움새속 (''Pteroptochos'') - 3종
  • ''Pteroptochos castaneus'' (Chestnut-throated Huet-huet)
  • ''Pteroptochos tarnii'', 검은등꼬리세움새 (Huet-huet)
  • ''Pteroptochos megapodius'', 수염꼬리세움새 (Moustached Turca)
  • 가슴꼬리세움새속 (''Scelorchilus'') - 2종
  • ''Scelorchilus albicollis'', 흰목꼬리세움새 (White-throated Tapaculo)
  • ''Scelorchilus rubecula'', 가슴꼬리세움새 (Chucao Tapaculo)
  • 털꼬리세움새속 (''Merulaxis'') - 2종
  • ''Merulaxis ater'', 검은털꼬리세움새 (Slaty Bristlefront)
  • ''Merulaxis stresemanni'', 큰털꼬리세움새 (Stresemann’s Bristlefront)
  • ''Eugralla''
  • ''Eugralla paradoxa'', 황갈색옆구리꼬리세움새 (Ochre-flanked Tapaculo)
  • ''Myornis''
  • ''Myornis senilis'', 잿빛세움새 (Ash-colored Tapaculo)
  • ''Eleoscytalopus'' - 2종 (''Scytalopus''에서 분리됨)
  • ''Eleoscytalopus psychopompus'', 밤색옆구리세움새 (Chestnut-sided Tapaculo)
  • ''Eleoscytalopus indigoticus'', 흰가슴세움새 (White-breasted Tapaculo)
  • 세움새속 (''Scytalopus'') - 49종[7]
  • ''Scytalopus iraiensis'' (Marsh Tapaculo)
  • ''Scytalopus speluncae'', 생쥐색세움새 (Mouse-colored Tapaculo)
  • ''Scytalopus petrophilus'' (Rock Tapaculo) (''Scytalopus notorius'' 포함)
  • ''Scytalopus pachecoi'' (Planalto Tapaculo) (2005년 신종)
  • ''Scytalopus novacapitalis'', 브라질세움새 (Brasilia Tapaculo)
  • ''Scytalopus bolivianus'' (Bolivian White-crowned Tapaculo)
  • ''Scytalopus atratus'' (Northern White-crowned Tapaculo)
  • ''Scytalopus sanctaemartae'' (Santa Marta Tapaculo)
  • ''Scytalopus femoralis'', 붉은배세움새 (Rufous-vented Tapaculo)
  • ''Scytalopus micropterus'' (Long-tailed Tapaculo)
  • ''Scytalopus vicinior'', 나리뇨세움새 (Narino Tapaculo)
  • ''Scytalopus robbinsi'' (El Oro Tapaculo)
  • ''Scytalopus chocoensis'' (Choco Tapaculo)
  • ''Scytalopus rodriguezi'' (Upper Magdalena Tapaculo) (2005년 신종)
  • ''Scytalopus stilesi'' (Stiles's Tapaculo) (2005년 신종)
  • ''Scytalopus panamensis'', 타카르쿠나세움새 (Tacarcuna Tapaculo)
  • ''Scytalopus argentifrons'', 은색이마세움새 (Silvery-fronted Tapaculo)
  • ''Scytalopus caracae'' (Caracas Tapaculo)
  • ''Scytalopus meridanus'' (Merida Tapaculo)
  • ''Scytalopus latebricola'', 갈색엉덩이세움새 (Brown-rumped Tapaculo)
  • ''Scytalopus spillmanni'' (Spillmann's Tapaculo)
  • ''Scytalopus parkeri'' (Chusquea Tapaculo)
  • ''Scytalopus parvirostris'' (Trilling Tapaculo)
  • ''Scytalopus acutirostris'' (Tschudi's Tapaculo)
  • ''Scytalopus unicolor'', 검은세움새 (Unicolored Tapaculo)
  • ''Scytalopus griseicollis'' (Pale-bellied Tapaculo)
  • ''Scytalopus canus'' (Paramillo Tapaculo)
  • ''Scytalopus opacus'' (Paramo Tapaculo) (''S. canus''에서 분리)
  • ''Scytalopus affinis'' (Ancash Tapaculo)
  • ''Scytalopus altirostris'' (Neblina Tapaculo)
  • ''Scytalopus urubambae'' (Vilcabamba Tapaculo)
  • ''Scytalopus schulenbergi'' (Diademed Tapaculo)
  • ''Scytalopus simonsi'' (Puna Tapaculo)
  • ''Scytalopus zimmeri'' (Zimmer's Tapaculo)
  • ''Scytalopus superciliaris'', 흰눈썹세움새 (White-browed Tapaculo)
  • ''Scytalopus magellanicus'', 세움새 (Magellanic Tapaculo)
  • ''Scytalopus fuscus'' (Dusky Tapaculo)
  • ''Scytalopus latrans'' (Blackish Tapaculo)
  • ''Scytalopus macropus'', 큰발세움새 (Large-footed Tapaculo)
  • ''Scytalopus diamantinensis'' (Diamantina Tapaculo) (2007년 신종)

4. 2. 계통 분류

꼬리세움새류는 전통적으로 조류의 한 인 '''꼬리세움새과'''(Rhinocryptidae)로 분류되었다. 처음 기재된 속은 ''Pteroptochos'' (Kittlitz, 1830)이지만, ''Rhinocrypta'' (Gray, 1840) 속에 기초한 과명이 사용되고 있다. 과거에는 ''Pteroptochos'' 속을 기준으로 한 Pteroptochidae라는 대체 과명이 사용되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mtDNA 및 nDNA 염기서열 데이터를 분석한 연구[3][4][5]에 따르면, 꼬리세움새류는 개미지빠귀과(Formicariidae)나 땅개미새과(Grallariidae)보다 서로 더 가깝기 때문에, 이들을 하나의 과로 통합하고 꼬리세움새류를 그 안의 (Tribe)인 Rhinocryptini로 분류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따른 산적딱새아목 내 계통 분류에서 꼬리세움새과는 신대륙 명금류 사촌 그룹인 산적딱새하목에 속한다. 이 하목 내에서는 화덕딱새소목에 포함되며, 땅개미새과(Grallariidae)와 가장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 이 둘이 이루는 분기군은 개미지빠귀과(Formicariidae)와 화덕딱새과(Furnariidae)의 분기군과 자매군 관계를 형성한다.[12]

2020년 마이클 하비(Michael Harvey)와 동료들의 대규모 하위노래하는새류 유전자 연구에 기반한 꼬리세움새과 내의 상세한 계통 관계는 다음과 같다.[6] 종의 수는 국제 조류학 연합(IOC)에서 관리하는 목록을 따른다.[7]

  • 첫 번째 주요 분기군:
  • 후엣후엣과 턱수염투르카 속 (''Pteroptochos'', 3종)과 꼬리세움새 속 (''Scelorchilus'', 2종)이 자매군을 이룬다.
  • 이 그룹은 다음의 더 큰 분기군과 자매 관계이다:
  • 녹슨허리꼬리세움새 속 (''Liosceles'', 1종)과 점박이대나무솔새 속 (''Psilorhamphus'', 1종)이 자매군을 이룬다.
  • 이 그룹은 다시 다음 분기군과 자매 관계이다:
  • 얼룩꼬리세움새 속 (''Acropternis'', 1종)
  • 볏갈리토 속 (''Rhinocrypta'', 1종)과 모래갈리토 속 (''Teledromas'', 1종)이 자매군을 이룬다.
  • 두 번째 주요 분기군:
  • 꼬리세움새 속 (''Eleoscytalopus'', 2종)과 수염앞털새 속 (''Merulaxis'', 2종)이 자매군을 이룬다.
  • 이 그룹은 다음의 더 큰 분기군과 자매 관계이다:
  • 재색꼬리세움새 속 (''Myornis'', 1종)
  • 황갈색옆구리꼬리세움새 속 (''Eugralla'', 1종)과 꼬리세움새 속 (''Scytalopus'', 49종)이 자매군을 이룬다.


특히 ''Scytalopus'' 속 내의 종 경계는 역사적으로 결정하기 어려웠다. 이 새들은 매우 위장을 잘하며, 외형적 특징만으로는 종을 식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다양한 개체군의 분류학적 지위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울음소리 분석이나 생화학적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가 일반적이다. 최근 몇 년 동안에도 ''Scytalopus whitneyi''나 ''Scytalopus frankeae''와 같이 페루에서 새로운 종들이 기술되었다. 브라질의 분류군 역시 최근 여러 종이 새로 기술되었고, 특히 ''Scytalopus speluncae''라는 학명의 사용을 둘러싸고 상당한 혼란이 있었다. 아직 기술되지 않은 종이 더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며, 현재 정의된 일부 종(예: 큰발꼬리세움새) 내에서도 남부 개체군처럼 실제로는 여러 종을 포함할 수 있다. 1970년에는 이 속에 10종만이 인정되었으나 현재는 그 수가 4배 이상으로 늘어났다는 사실이 이러한 복잡한 상황을 잘 보여준다.[7]

과거 꼬리세움새과로 분류되었던 ''Melanopareia'' 속은 유전학 연구[9]에 따라 소목 수준에서 별개의 계통으로 밝혀져 독립된 붉은가슴세움새과(Melanopareiidae)로 분리되었다. 반면, 과거 분류에서 위치가 불확실했던 ''Psilorhamphus'' 속(점박이세움새)은 꼬리세움새과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0]

일부 연구[9]에서는 꼬리세움새과를 개미새과(Grallariidae)와 자매군 관계로 보며, 이 둘을 합쳐 개미새상과(Grallarioidea)를 형성한다고 제안한다. 이 상위 분류군은 개미지빠귀과(Formicariidae)와 화덕딱새과(Furnariidae)로 구성된 오븐새상과(Furnarioidea)와 함께 오븐새소목을 이룬다. 이 관점에서는 꼬리세움새과를 땅꼬리세움새아과(Scytalopodinae)와 관세움새아과(Rhinocryptinae)의 두 아과로 나누기도 한다.

꼬리세움새류 목록 문서 참고.

참조

[1] 서적 The Chambers Dictionary Chambers
[2] 웹사이트 tapacolo 2022-03-25
[3] 논문 Systematic relationships and biogeography of the tracheophone suboscines (Aves: Passeriformes) 2002
[4]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antpitta genera (Passeriformes: Formicariidae) 2005
[5] 논문 Further evidence for paraphyly of the Formicariidae (Passeriformes) 2005
[6] 논문 The evolution of a tropical biodiversity hotspot 2020
[7] 웹사이트 Antthrushes, antpittas, gnateaters, tapaculos, crescentchest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3-01
[8] 간행물 日本大百科全書 http://100.yahoo.co.[...] 小学館
[9] 간행물 Phylogeny and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antbirds, ovenbirds, woodcreepers, and allies (Aves: Passeriformes: infraorder Furnariides)
[10] 간행물 Circumscription of a monophyletic family for the tapaculos (Aves: Rhinocryptidae): Psiloramphus[[ママ (引用)|[sic]]] in and Melanopareia out
[11] 웹사이트 IOC World Bird Names http://www.worldbird[...]
[12]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