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주 정씨 (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주 정씨(羅州 丁氏)는 고려 시대 검교대장군 정윤종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49명을 배출하였으며, 교리공파, 월헌공파, 기옹공파 등으로 분파되었다. 본관은 압해였으나, 압해현이 폐현된 후 영조 때부터 나주를 사용한다. 주요 인물로는 정약용, 정옥형, 정응두 등이 있다. 2015년 대한민국 인구조사에서 나주 정씨, 금성 정씨, 압해 정씨를 합하여 총 138,351명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주 정씨 (丁) - 정래혁
    정래혁은 대한민국 육군 장교 출신 정치인으로,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여 군사혁명위원과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을 지냈고, 상공부 장관과 국방부 장관, 국회의원, 민주정의당 대표위원을 역임하는 등 군과 정계에서 활동했으나 부정축재 혐의와 실미도 사건 책임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 나주 정씨 (丁) - 정해창
    정해창은 서울대학교 법학과 수석 졸업 후 검사로 임용되어 법무부 장관을 두 차례 역임한 법조인 및 정치인으로, 변호사 활동과 사회 활동을 통해 법조계에 기여했으며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
나주 정씨 (丁)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씨나주 정씨 (羅州丁氏)
이칭압해 정씨(押海丁氏)
관향전라남도 나주시,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
시조정윤종(丁允宗)
집성촌전라남도 무안군, 전라북도 완주군, 충청남도 서천군, 충청북도 영동군
년도2015
인구138,351명
인물정윤희
정범조
정약전
정약종
정약용
정하상
정창업
정태진
정광수
정래혁
정시채

2. 역사

나주 정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49명을 배출하였다. 시조 '''정윤종'''(丁允宗)은 고려 중기 전라도 압해현(壓海縣) 출신의 무신(武臣)으로 검교대장군(檢校大將軍)을 지냈다. 2세 정혁재(丁奕材), 3세 정양(丁良), 4세 정신(丁信), 5세 정준(丁俊), 6세 정공일(丁公逸), 7세 정원보(丁元甫), 8세 정세(丁世), 9세 정안경(丁安景), 10세 정연(丁衍), 11세 정자급(丁子伋)으로 이어졌다.

2. 1. 시조 및 초기 역사

나주 정씨(羅州 丁氏)의 시조 '''정윤종'''(丁允宗)은 고려 중기 전라도 압해현(壓海縣) 출신의 무신(武臣)으로 검교대장군(檢校大將軍)을 지냈다. 2세는 정혁재(丁奕材), 3세는 정양(丁良), 4세는 정신(丁信), 5세는 정준(丁俊), 6세는 정공일(丁公逸), 7세는 정원보(丁元甫), 8세는 정세(丁世), 9세는 정안경(丁安景), 10세는 정연(丁衍), 11세는 정자급(丁子伋)으로 이어졌다.

2. 2. 분파

나주 정씨는 조선 시대에 여러 분파로 나뉘었다.

  • 교리공파(校理公派): 12세 정수곤(丁壽崑, 1452년 ~ 1486년)을 파조로 한다. 정수곤은 1472년(성종 3) 춘장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성균관 박사를 거쳐 감찰, 승문원 교리 등을 역임하였다.[1] 교리공파는 다시 사직공파(司直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충순위공파(忠順衛公派), 부사공파(府使公派)로 나뉜다.
  • 월헌공파(月軒公派): 12세 정수강(丁壽崗, 1454년 ~ 1527년)을 파조로 한다. 정수강은 1477년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대사성, 대사헌을 거쳐 병조참판, 동지중추부사, 전의제조, 빙고제조를 역임하였다.[2] 저서로 《월헌집(月軒帖)》이 있다. 월헌공파는 다시 문화공파(文化公派), 공안공파(恭安公派), 첨정공파(僉正公派)로 나뉜다.
  • 기옹공파(奇翁公派): 12세 정신(丁愼)을 파조로 한다. 기옹공파는 다시 의암공파(毅菴公派), 성암공파(誠菴公派)로 나뉜다.


이 외에도 연안부사파(延安府使派), 어사공파(御使公派), 전적공파(典籍公派), 덕천파(德川派), 사간공파(司鍊公派) 등이 있다.

2. 3. 본관의 변천

나주 정씨의 본관은 원래 압해(押海)였다. 압해는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 일대이다. 본래 백제의 아차산현(阿次山縣)이었는데, 신라에서 압해군(押海郡)으로 고쳤고, 고려 초에 나주의 속현(屬縣)으로 내속(來屬)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전라도 나주목 압해(押海)의 성으로 박(朴)·주(朱)·정(丁)·강(江)·남(南) 5성이 기록되어 있다.[1] 본관은 압해(押海)와 나주(羅州)로 겸용해 오다가 압해현(壓海縣)이 폐현되자 영조 때부터 나주를 본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2. 4. 기원에 대한 논란

압해 정씨의 도시조인 정덕성(丁德盛)은 문종 때 대승상(大丞相)을 지냈고, 무종(武宗) 때 대양군(大陽君)에 봉해졌으며, 853년 군국사(軍國事)로 직간을 하다가 전라남도 신안군압해도에 유배되어 정착하였다고 한다. 압해 정씨나주 정씨, 영광 정씨, 의성 정씨, 창원 정씨로 동원분파(同源分派)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은 도시조 정덕성에 대해 '사실 관계에 대한 고증이 어렵다'며 실존 여부에 대해 회의적으로 보았다.[1] 정약용은 증조부로부터 자신에까지 문헌 연구와 현지 답사 등을 벌인 결과, 정덕성이 정사(正史)에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 당의 풍습, 관직명의 차이 등을 들어 정씨동조동근설(凡丁氏同祖同根說)은 날조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후대에 모화사상의 영향으로 당(唐)에서 재상을 지내다가 압해도로 유배되어 왔다는 정덕성(丁德盛)이라는 가상인물을 도시조(都始祖)로 날조하여 나주(羅州)·영광(靈光)·창원(昌原)·의성(義城) 등 본관이 서로 다른 여러 정(丁)씨들을 근거도 없이 합쳤다는 것이다.

약 1520년(조선 중종 12년) 전후에 발간된 나주 정씨 최초의 가첩(家牒)인 『월헌첩(月軒帖)』에는 고려 중기의 정윤종(丁允宗)이 시조로 기록되어 있다.[2]

3. 주요 인물


  • 정옥형(1486년 ~ 1549년) : 정수강의 아들. 1513년(중종 8)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예조판서·좌참찬·지돈녕부사를 거쳐 1544년 병조판서가 되었다. 명종이 즉위하자 형조판서로서 소윤에 가담, 대윤을 제거하는 데 협력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 3등에 책록되고 금천군(錦川君)에 봉해졌다. 시호는 공안(恭安)이다.[1]
  • 정응두(1508년 ~ 1572년) : 정옥형의 아들. 1534년 식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고, 병조판서·좌찬성·평안도관찰사 등을 거쳐 1566년 판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시호는 충정(忠靖)이다.[1]
  • 정윤희(1531년 ~ 1589년) : 정응두의 아들. 1556년 알성문과와 1566년 문과중시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예조·호조 참의를 거쳐 1588년 강원도관찰사에 이르렀다. 저서로 『고암집』이 있다.[1]
  • 정약용 : 아버지는 정재원, 어머니는 해남 윤씨이다. 28세에 급제한 후 조선 정조 때 형조참의를 지냈다. 하지만 신유박해·황사영 백서사건으로 강진에 유배되어 18년간 귀양살이를 하였다. 귀양살이하는 동안 500여권의 저술을 남겼다.[1]

4. 항렬자

20세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
口신(愼)
口중(重)
지(志)
口석(錫)
재(載)
口조(祖)
口위(渭)
약(若)
의(義)
口교(敎)
학(學)
상(祥)
대(大)口섭(燮)규(奎)口진(鎭)해(海)
순(淳)
口영(榮)
口식(植)
인(寅)
우(愚)
희(憙)
口환(煥)
口배(培)
口균(均)
현(鉉)
호(鎬)
口구(求)
口수(洙)
상(相)
동(東)
口걸(杰)
口렬(烈)
재(在)
기(基)
口종(鍾)
口탁(鐸)
영(永)
태(泰)
口근(根)
口표(杓)


5. 인구

중국어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138,351명으로 조사되었다. 나주 丁중국어씨는 금성 丁중국어, 압해 丁중국어 등을 포함한다.

참조

[1] 뉴스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44> 압해정씨·나주정씨 등 http://www.segye.com[...] 2013-03-05
[2] 뉴스 내고장명문가 나주정씨(羅州丁氏) http://www.bonghwane[...] 봉화일보 2013-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