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안군은 전라남도 서남해안에 위치한 섬으로 이루어진 군이다. 백제 시대부터 신라, 고려를 거쳐 조선 시대에 지도군으로 개편되었다가 1969년 무안군에서 분리되어 신안군으로 승격되었다. 1896년 지도군 설치 이후 1969년 신안군으로 분군되기까지 지도군, 무안군 일부로 존재했다. 1975년 신안 앞바다에서 발견된 신안선이 유명하다. 2015년 기준 인구는 4만 3천여 명이며, 2읍 12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섬으로는 압해도, 암태도, 자은도, 흑산도 등이 있으며, 흑산도와 홍도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한다. 김대중, 이세돌, 김환기 등 유명 인물들을 배출했으며, 흑산도 기후를 기준으로 연평균 기온 13.5℃, 연 강수량 1127.3mm의 기후를 보인다. 주요 교통 수단은 페리이며, 목포시와 연결되는 압해대교, 천사대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안군의 행정 구역 - 압해읍
압해읍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신안군에 속하며, 낙지, 굴, 포도, 단감 등의 특산물과 낚시 관광지로 알려져 있고, 13개의 법정리와 도로를 통해 교통이 이루어지며 공공기관이 위치해 있다. - 신안군의 행정 구역 - 지도읍
지도읍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신안군에 속하며, 11개의 법정리와 35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고, 지도, 사옥도, 선도 등 유인도와 다수의 무인도를 포함하며 육지와 연결된 다리가 건설되어 교통이 편리하다. - 1969년 설치 - 서울강북경찰서
서울강북경찰서는 서울특별시 강북구를 관할하는 경찰서로, 1969년 개서 이후 명칭 변경과 관할 구역 조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지구대와 파출소를 산하에 두고 2016년에는 경찰관 순직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 1969년 설치 - 속초해양경찰서
속초해양경찰서는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안의 해상 치안을 담당하는 동해해양경찰서 소속 기관으로, 속초시, 춘천시, 고성군 등 넓은 지역을 관할하며 해상 경비, 구조, 안전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함정을 보유하고 있으나 과거 경비정 침몰 사고를 겪기도 했다. - 대한민국 기후 정보 - 서귀포시
서귀포시는 제주도 남부에 위치하며, 천혜의 자연경관과 다양한 관광 명소를 자랑하고, 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연고지이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대한민국 기후 정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는 대한민국 최남단에 위치한 특별자치도로, 광범위한 자치권을 행사하며 국제자유도시를 지향하고,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독특한 문화를 지닌 관광 산업이 주요 경제 기반인 곳이다.
신안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신안군 |
한글 표기 | 신안군 |
한자 표기 | 安 |
로마자 표기 | Sinan-gun |
맥큔-라이샤워 표기 | Sinan-gun |
위치 | 대한민국 전라남도 |
방언 | 전라 |
면적 | 663.59 km² |
인구 | 38,133명 (2024년 9월) |
인구 밀도 | 81명/km² |
행정 구역 | 2읍 12면 |
지역 번호 | +82-61-2xx |
![]() | |
![]() | |
![]() | |
![]() |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 2 읍 12 면 |
통계 | |
총 인구 | 38,217 명 (2021년) |
총 가구 수 | 21,843 (2021년) |
남자 인구 | 20,514 명 (2023년) |
여자 인구 | 17,523 명 (2023년) |
인구 밀도 | 57.32명/km² (2023년) |
정치 | |
군수 | 박우량 (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 서삼석 (더불어민주당, 영암군·무안군·신안군) |
상징 | |
군목 | 나한송 |
군화 | 신안새우난초 |
군조 | 흰꼬리수리 |
상징 동물 | 참조기 |
기타 | |
공식 홈페이지 | 신안군청 |
2. 역사
백제 시대에는 아차산군(阿次山郡)·거지산현(居之山県)·고녹지현(古緑只県) 등에 속했다. 신라 시대에는 압해군(壓海郡) 소속의 갈도현(碣島県)·안파현(安波県)·염해현(鹽海県)이 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나주목(羅州牧) 소속의 장산현(長山県)·육창현(六昌県)·임치현(臨淄県)·압해현(壓海県)이 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나주목(羅州牧)·광주목(光州牧)·진도군(珍島郡)·영광군(靈光郡)·해남현(海南県)에 분속되었다.
1896년 2월 3일 무안군, 나주군, 영광군, 부안군, 만경군의 각 섬 지역을 관할로 전주부 지도군이 설치되었고, 같은 해 8월 4일 23부제가 폐지되면서 전라남도 지도군이 되었다. 1897년 완도군 비금면, 도초면을 편입하였고, 1903년 도초면, 안창면, 기사면을 진도군으로 이관하였다.[15] 1914년 4월 1일 구군산면을 전라북도 옥구군으로, 위도면(蝟島면)과 낙월면(落月面)을 영광군으로 각각 이관하고, 나머지는 무안군에 편입되어 지도군이 폐지되었다.
1969년 1월 1일 무안군에서 분리되어 신안군이 설치되었다.[16] 1980년 12월 1일 지도면(智島面)이 지도읍(智島邑)으로 승격되었고,[17] 1983년 2월 15일 지도읍 일부를 증도면(曽島面)으로, 하의면(荷衣面) 상하대도출장소를 신의면(新衣面)으로, 안좌면 일부를 팔금면(八禽面)으로 분리하였다. 2011년 4월 25일 신안군청이 목포시에서 신안군 압해읍으로 이전하였고, 2012년 1월 1일 압해면이 압해읍으로 승격되었다.
1975년 신안에서 신안선이 발견되었다.
2. 1. 고대
본래 백제의 아차산현(阿次山縣), 거지산현(居知山縣), 고록지현(古祿只縣), 아로현(阿老縣) 지역이었다.[4] 660년 백제가 멸망하고 당나라의 웅진도독부가 설치되었으나, 신라가 이를 몰아내고 발라주를 설치하여 이에 속했다.[4] 685년 발라주가 무진주로 변경되어 여기에 속했다. 아차산현이 군으로 승격하여 다른 3개 현을 관할하였다.[4] 757년 아차산군을 압해군(壓海郡 또는 押海郡)으로, 거지산현을 안파현(安波縣)으로, 고록지현을 염해현(鹽海縣)으로, 아로현을 갈도현(碣島縣)으로 각각 개칭하였다.[4] 고려 시대에 압해군은 압해현으로, 안파현은 장산현(長山縣)으로 개칭되어 나주목의 속현이 되고, 염해현은 임치현(臨淄縣)으로, 갈도현은 육창현(陸昌縣)으로 개칭되어 무령군(영광군)의 속현이 되었다. 이후 압해현이 영광군에 편입되었다가 얼마 후 다시 나주목에 편입되었다.[4] 고려 말기 왜구의 잦은 침입으로 공도책(空島策)이 시행되어 주민들을 육지로 이주시키고, 도서 지역 고을들이 모두 폐지되어 인접한 육지의 고을에 편입되었다.[4]
1975년, 중국과 일본 사이를 항해하던 14세기 선박의 난파선이 신안에서 발견되어 신안선으로 알려지게 되었다.[4] 다도해(多島海)라 불리는 이 근처 바다는 동아시아 지역 해상 교역의 무대가 되었다. 14세기 중국(원(元) 왕조)의 닝보(寧波)에서 일본의 하카타(博多)로 향하던 중 도쿠시마현(현・소섬면 소속) 앞바다에서 난파된 대형 교역선이 1976년에 발굴되었다. 신안선(新安沈船)이라 불리는 이 배에서 발굴된 유물은 선박사(船舶史)·중세 교역사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4]
2. 2. 지도군
- 백제 시대에는 아차산현(阿次山縣), 거지산현(居知山縣), 고록지현(古祿只縣), 아로현(阿老縣)이었다.
- 660년 백제가 멸망하고 신라가 발라주를 설치하면서 이에 속했다.
- 685년 발라주가 무진주로 변경되면서 이에 속했고, 아차산현이 군으로 승격하여 다른 3개 현을 관할하였다.
- 757년 아차산군은 압해군(壓海郡 또는 押海郡)으로, 거지산현은 안파현(安波縣)으로, 고록지현은 염해현(鹽海縣)으로, 아로현은 갈도현(碣島縣)으로 각각 이름이 변경되었다.
- 고려 시대에 압해군은 압해현으로, 안파현은 장산현(長山縣)으로 개칭되어 나주목의 속현이 되고, 염해현은 임치현(臨淄縣)으로, 갈도현은 육창현(陸昌縣)으로 개칭되어 무령군(영광군)의 속현이 되었다. 이후 압해현이 영광군에 편입되었다가 얼마 후 다시 나주목에 편입되었다.
- 고려 말기 왜구의 잦은 침입으로 공도책(空島策)이 시행되어 주민들을 육지로 이주시키고, 도서 지역 고을들이 모두 폐지되어 인접한 육지의 고을에 편입되었다.
- 1896년 2월 3일 : 무안군·나주군·영광군·부안군·만경군의 섬들을 관할로 전주부 지도군(智島郡)이 설치되었다. 같은 해 8월 4일에 이십삼부가 폐지되면서 전라남도 지도군이 되었다.
1896년 당시 지도군에 속한 면 |
---|
군내면(郡內面), 선도면(蟬島面), 사옥면(沙玉面), 압해면(押海面), 임자면(荏子面), 자은면(慈恩面), 흑산면(黑山面), 하의면(荷衣面), 장산면(長山面), 안창면(安昌面), 기좌면(箕佐面), 자라면(者羅面), 암태면(岩泰面), 낙월면(落月面), 위도면(蝟島面), 고군산면(古群山面) |
- 1897년 : 완도군 비금면, 도초면이 지도군에 편입되었다.
- 1903년 : 도초면, 안창면, 기좌면을 진도군으로 이관하였다.[25]
- 1914년 4월 1일 : 고군산면을 전라북도 옥구군에, 위도면과 낙월면을 영광군에 각각 이관하고, 지도군은 무안군에 흡수·폐지되었다. 이와 함께 진도군 도초면, 안창면, 기좌면과 완도군 팔금면이 무안군에 편입되었다.
2. 3. 무안군 일부 (일제강점기)
1923년 9월부터 1924년 9월까지 암태도 소작쟁의가 있었다.[26]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농민운동으로 꼽히는 이 사건은 지주 문재철이 소작료를 7~8할로 수탈을 지속하자 일제 경찰에 항거하고 재판소 앞에서 단식투쟁을 이어간 사건이다. 그 결과 소작료를 4할로 낮추는 성과를 이루었다.[26]2. 4. 신안군
新安郡중국어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서부에 있는 군이다. 1969년 1월 1일 무안군에서 분리, 설치되었다.[29] 군의 이름인 신안(新安)은 '새로운('''新''') 무안(務'''安''')'이란 뜻에서 지어졌다.1975년, 중국과 일본 사이를 항해하던 14세기 선박의 난파선이 신안에서 발견되어 신안선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다도해(多島海)라 불리는 이 근처 바다는 동아시아 지역 해상 교역의 무대가 되었다. 14세기 중국(원(元) 왕조)의 닝보(寧波)에서 일본의 하카타(博多)로 향하던 중 도쿠시마현(현・소섬면 소속) 앞바다에서 난파된 대형 교역선이 1976년에 발굴되었다. 신안선(新安沈船)이라 불리는 이 배에서 발굴된 유물은 선박사(船舶史)·중세 교역사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 본래 백제의 아차산현(阿次山縣), 거지산현(居知山縣), 고록지현(古祿只縣), 아로현(阿老縣) 지역이었다.
- 660년 백제가 멸망하고 당나라의 웅진도독부가 설치되었으나, 신라가 이를 몰아내고 발라주를 설치하여 이에 속했다.
- 685년 발라주가 무진주로 변경되어 여기에 속했다. 아차산현이 군으로 승격하여 다른 3개현을 관할하였다.
- 757년 아차산군을 압해군(壓海郡 또는 押海郡)으로, 거지산현을 안파현(安波縣)으로, 고록지현을 염해현(鹽海縣)으로, 아로현을 갈도현(碣島縣)으로 각각 개칭되었다.
- 고려시대에 압해군은 압해현으로, 안파현은 장산현(長山縣)으로 개칭되어 나주목의 속현이 되고, 염해현은 임치현(臨淄縣)으로, 갈도현은 육창현(陸昌縣)으로 개칭되어 무령군(영광군)의 속현이 되었다. 이후 압해현이 영광군에 편입되었다가 얼마 후 다시 나주목에 편입되었다.
- 고려 말기 왜구의 잦은 침입으로 공도책(空島策)이 시행되어 주민들을 육지로 이주시키고, 도서지역 고을들이 모두 폐지되어 인접한 육지의 고을에 편입되었다.
- 1923년 9월 - 1924년 9월 : 암태도 소작쟁의.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농민운동으로 꼽힌다. 지주 문재철이 소작료를 7~8할로 수탈을 지속하자 일제경찰에 항거하면서 재판소 앞에서 단식투쟁을 이어갔다. 그 결과 소작료를 4할로 낮추는 성과를 이루었다.[26]
- 1963년 1월 1일 : 흑산면 우이도리를 도초면으로 편입하고, 진도군 조도면 마진도리를 장산면으로 편입하였다.[27]
- 1964년 8월 2일 : 흑산면 가거도출장소, 도초면 우이도출장소, 안좌면 팔금출장소, 지도면 증도출장소가 설치되었다.[28]
- 1969년 1월 1일 : 무안군 지도면, 압해면, 임자면, 자은면, 비금면, 도초면, 흑산면, 하의면, 장산면, 안좌면, 암태면이 신안군으로 분군하였다.[29]
- 1971년 6월 1일 : 압해면 매화도출장소가 설치되었다.[30]
- 1974년 10월 18일 : 하의면 상하태도출장소가 설치되었다.[31]
- 1980년 4월 1일 : 지도면 선도출장소, 흑산면 태도출장소, 안좌면 자라도출장소가 설치되었다.[32]
- 1980년 12월 1일 : 지도면이 지도읍으로 승격하였다.[33] (1읍 10면)
- 1983년 2월 4일 : 흑산면 홍도출장소가 설치되었다.[34]
- 1983년 2월 15일 : 지도읍 증도출장소, 하의면 상하태도출장소가 각각 증도면·신의면으로 분리 승격되었고, 안좌면 팔금출장소가 팔금면으로 승격 분리되어 다시 설치되었다. 또, 진도군 조도면 만재도리가 흑산면에, 조도면 고평사도리(신설)가 신의면에 각각 편입되었다. (1읍 13면)
- 1988년 3월 5일 : 증도면 병풍도출장소가 설치되었다.[35]
- 1989년 1월 1일 : 흑산면 대둔도출장소, 압해면 고이도출장소가 설치되었다.[36]
- 1990년 8월 1일 : 신안군 장산면 마진도리 일부(저도, 소지도, 송도, 작도, 골도, 희어도)가 진도군 진도읍 산월리에 편입되었다.[37]
- 1991년 4월 1일 : 흑산면 홍도출장소가 홍도관리사무소로 승격되었고, 홍도출장소가 폐지되었다.[38][39]
- 2011년 4월 25일 : 신안군청사가 목포시 목원동에서 신안군 압해면으로 이전하였다.
- 2012년 1월 1일 : 압해면이 압해읍으로 승격하였다. (2읍 12면)
- 2014년 1월 28일: 신의면에서 장애인 인부 2명이 경찰에 구출되는 등 일련의 염전 노동착취 사건이 발생하여, 3월 11일 목포경찰서는 관할 13개 도서파출소 경찰 87명 중 74명의 인원을 교체하였다.
- 2023년 10월 10일: 신안 염전 노예 사건을 소재 (일부 의견으로는 염전 노예 사건을 다루는게 아니라 염전 노예 사건을 다루는 척하면서 지역 혐오 폄하 선동 목적이라는 의견도 있음)로 인터넷 실시간 동영상 프로그램을 진행하던 유튜버가 명예 훼손으로 고발 당하고 체포되어 경찰서 유치장으로 압송된 후 영장이 기각 되었음
3. 지리
신안군은 전라남도 서남해안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무안군, 목포시, 영암군, 해남군과 접하고, 남쪽으로는 진도군이 있다. 서쪽으로는 황해가 펼쳐져 있고, 북쪽으로는 영광군 낙월군도가 있다. 황해 해상의 대흑산도와 가거도(소흑산도) 등의 도서 지역도 신안군에 속한다.
신안군청(2011년 4월 이전)과 신안군보건소(2012년 6월 이전)는 과거 목포시 북교동 178-1번지에 있었으나, 현재 압해도로 이전하였다. 목포연안여객선터미널에는 지역 관광안내도 등이 설치되어 있다. 대부분 섬으로 이루어져 주로 해상 교통을 이용하지만, 지도읍, 증도면과 압해읍 등은 육로와 압해대교 등을 통해 육상교통으로도 접근할 수 있다.
경찰행정은 행정구역 분리 이전부터 목포경찰서에서 담당해왔으나, 2023년 7월에 암태면에 신안경찰서가 설치되어 경찰행정이 신안군으로 이관될 예정이다.
3. 1. 섬
전라남도 황해와 다도해에 접해 있으며 간척사업으로 육지와 연결된 지도읍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안군은 1004개의 섬(유인도 72개, 무인도 932개)으로 이루어져 있다.[7] 주요 섬은 다음과 같다.섬 이름 | 면적 (km2) |
---|---|
안좌도 | 45.2km2 |
압해도 | 44.3km2 |
비금도 | 43.1km2 |
임자도 | 43.2km2 |
도초도 | 40.3km2 |
암태도 | 38.7km2 |
증도 | 37.2km2 |
장산도 | 24.3km2 |
흑산도 | 19.7km2 |
하의도 | 16.1km2 |
우이도 | 10.7km2[7] |
가거도 | 9.2km2 |
홍도 | 6.47km2 |
이 외에도 흑산군도, 가거도, 홍도, 우이도 등이 신안군에 속한다. 증도는 한국 최대 규모의 염전과 광대한 갯벌로 유명하며, 뛰어난 생태계가 보존되어 있다.
신안군의 다도해는 2009년 유네스코의 생물권보전지역으로 등재되었으며[12], 장도의 고층습지와 증도의 갯벌 2곳은 람사르협약 등록지이다.[13][14]
3. 2. 생태
신안군의 다도해는 2009년 유네스코의 생물권보전지역으로 등재되었으며[12], 장도의 고층습지와 증도의 갯벌 2곳은 람사르협약 등록지이다[13][14]. 군내 식생은 다양하며, 온대 상록활엽수림, 상록침엽수림, 해안 사구, 갯벌 식생 등이 존재한다. 상록활엽수림의 우점종은 참가시나무, 목련속과 동백나무속 종류이며, 상록침엽수림의 우점종은 곰솔이다. 초본식물도 풍부하며, 상록활엽수림에는 자금우, 담쟁이덩굴, 가시칠엽수, 사구에는 갯메꽃, 억새, 갯방풍, 갯장미, 모래지치, 갯쇠보리, 갈대, 갯벌에는 갈대와 염생식물이 각각 서식하고 있다[12]. 동물상 또한 다양하여, 침엽수림과 해안 사구에는 호랑나비, 제비나비 등의 곤충, 규조류와 플랑크톤이 풍부한 갯벌에는 많은 패류와 무척추동물[12], 갯벌과 습지에는 짱뚱어, 말뚝망둥이 등의 어류, 황로, 흰뺨검둥오리, 청다리도요, 흑두루미, 흰멧새, 매 등의 조류, 수달 등의 포유류가 서식하고 있다[13][14].4. 기후
신안군의 기후는 흑산도의 기상 관측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다. 흑산도 기상관측소는 신안군 흑산면 예리에 위치해 있다. 1997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균 기온, 강수량, 극값 자료는 다음과 같다.
- 평균 기온: 연평균 기온은 13.5°C이며, 8월 평균 기온(24.7°C)이 가장 높고, 1월 평균 기온(3.4°C)이 가장 낮다.
- 최고/최저 기온: 역대 최고 기온은 2018년 8월 6일에 기록된 34.9°C이며, 역대 최저 기온은 1999년 1월 25일에 기록된 -8.7°C이다.
- 강수량: 연평균 강수량은 1127.3mm이며, 여름철에 강수가 집중된다. 7월과 8월의 평균 강수량은 각각 208.1mm, 211.2mm이다.
- 강수일수: 연간 강수일수는 109.9일이며, 12월(10.7일)에 가장 많고 10월(6.6일)에 가장 적다.
- 습도: 연평균 습도는 78.6%로, 여름철(7월 92.9%)에 높고 겨울철(12월 68.9%)에 낮다.
- 일조시간: 연간 일조시간은 1959.0시간이며, 4월(205.2시간)에 가장 길고 7월(118.3시간)에 가장 짧다.
자세한 데이터는 기상청 자료를 참고할 수 있다.[40][41]
5. 행정구역
신안군의 행정 구역은 2읍 12면, 143개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42] 면적은 655.68 km2이며,[42] 인구는 2015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43,294명, 22,270 가구이다.[43]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섬을 관할하는 지자체이다.
읍·면 | 한자 | 면적 | 인구 | 세대 |
---|---|---|---|---|
지도읍 | 智島邑 | 79.85 | 4,928 | 2,590 |
압해읍 | 押海邑 | 67.55 | 6,668 | 3,077 |
증도면 | 曾島面 | 33.68 | 2,045 | 1,078 |
임자면 | 荏子面 | 47.25 | 3,551 | 1,766 |
자은면 | 慈恩面 | 52.79 | 2,407 | 1,305 |
비금면 | 飛禽面 | 51.72 | 3,954 | 1,954 |
도초면 | 都草面 | 55.45 | 3,024 | 1,582 |
흑산면 | 黑山面 | 48.66 | 4,365 | 2,417 |
하의면 | 荷衣面 | 34.64 | 1,955 | 1,082 |
신의면 | 新衣面 | 33.26 | 1,813 | 891 |
장산면 | 長山面 | 29.19 | 1,746 | 982 |
안좌면 | 安佐面 | 59.97 | 3,442 | 1,795 |
팔금면 | 八禽面 | 18.44 | 1,159 | 641 |
암태면 | 岩泰面 | 43.23 | 2,237 | 1,110 |
읍·면 | 한자 | 면적 (km2) | 인구 (2021)[6] |
---|---|---|---|
지도읍 | 智島邑 | 79.85 | 4,226 |
압해읍 | 押海邑 | 67.55 | 5,795 |
증도면 | 曾島面 | 33.68 | 1,463 |
임자면 | 荏子面 | 47.25 | 3,182 |
자은면 | 慈恩面 | 52.79 | 2,265 |
비금면 | 飛禽面 | 51.72 | 3,555 |
도초면 | 都草面 | 55.45 | 2,513 |
흑산면 | 黑山面 | 48.66 | 2,300 |
하의면 | 荷衣面 | 34.64 | 1,764 |
신의면 | 新衣面 | 33.26 | 1,551 |
장산면 | 長山面 | 29.19 | 1,561 |
안좌면 | 安佐面 | 59.97 | 2,700 |
팔금면 | 八禽面 | 18.44 | 974 |
암태면 | 岩泰面 | 43.23 | 2,043 |
읍·면 | 법정리 |
---|---|
지도읍 | 감정리, 광이리, 내양리, 당촌리, 봉리, 섬리, 어의리, 읍내리, 자동리, 탄동리, 대천리 |
압해읍 | 가란리, 갈룡리, 고을리, 대천리, 동서리, 매화리, 복룡리, 분매리, 송공리, 신룡리, 신장리, 장감리, 학파리 |
증도면 | 대추리, 방축리, 병풍리, 했다리, 증동리 |
임자면 | 광산리, 대기리, 도찬리, 삼두리, 수도리, 이흑암리, 재원리, 진리 |
자은면 | 고장리, 구영리, 대율리, 면천리, 백산리, 송산리, 유각리, 유천리, 한운리 |
암태면 | 기동리, 단고리, 당사리, 도창리, 송곡리, 수곡리, 신석리, 오상리, 와촌리 |
장산면 | 공수리, 다수리, 대리, 도창리, 마진도리, 오음리, 팽진리 |
하의면 | 능산리, 대리, 어은리, 오림리, 옥도리, 웅곡리, 후광리 |
신의면 | 고평사도리, 상대동리, 상대서리, 하대동리, 하대서리 |
비금면 | 가산리, 고서리, 광대리, 구림리, 내월리, 덕산리, 도고리, 수대리, 수치리, 신원리, 용주리, 죽림리, 지당리 |
흑산면 | 비리, 사리, 심리, 예리, 진리, 가거도리, 다물도리, 만재도리, 수리, 영산리, 오리, 태도리, 홍도리 |
안좌면 | 구전리, 금산리, 남강리, 내호리, 대리, 대모리, 대척리, 마명리, 마진리, 박지리, 반월리, 방월리, 복호리, 산두리, 소곡리, 시서리, 신촌리, 여의리, 읍동리, 저라리, 존포리, 창마리, 탄동리, 한운리, 향목리 |
팔금면 | 당고리, 대심리, 원산리, 읍리, 이목리, 장촌리, 진고리 |
도초면 | 고란리, 만년리, 발매리, 수다리, 수항리, 오류리, 외남리, 우이도리, 이곡리, 죽렬리, 지남리 |
6. 인구
2015년 12월 말 기준으로 신안군의 인구는 43,294명, 22,270 가구이다. 성비는 1.12로 남자가 많은데, 전라남도 내에서 성비가 가장 높은 지역이지만 인구는 점점 감소 추세이다.[43] 신안군(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는 다음과 같다.[44]
연도 | 총인구 |
---|---|
1960년 | 157,720명 |
1966년 | 174,996명 |
1970년 | 163,883명 |
1975년 | 157,502명 |
1980년 | 130,979명 |
1985년 | 115,025명 |
1990년 | 102,409명 |
1995년 | 62,472명 |
2000년 | 46,315명 |
2005년 | 38,463명 |
2010년 | 33,222명 |
7. 교육
전라남도 신안군에는 과거 초등학교 125개교(분교 45개교, 분실 20개실 포함), 중학교 15개교(분교 1개교 포함), 고등학교 7개교가 있었다.[45][46] 현재는 초등학교 27개교(분교 8개교 포함), 중학교 13개교(분교 1개교 포함), 고등학교 6개교만이 남아 있다.[45][46]
7. 1. 학교 목록
학교명 | 주소 | 학급수 | 학생수 | 비고 |
---|---|---|---|---|
안좌고등학교 | 안좌면 중부로 790-7 | 7학급 | 85명 | 1975년 3월 10일 개교 |
도초고등학교 | 도초면 서남문로 1493 | 10학급 | 159명 | 1978년 3월 17일 개교, 舊 도초중학교 병설 |
지명고등학교 | 지도읍 해제지도로 1362 | 4학급 | 39명 | 1982년 3월 12일 개교 |
신안해양과학고등학교 | 압해읍 구항길 41 | 7학급 | 111명 | 1983년 4월 9일 개교 |
임자고등학교 | 임자면 임자로 230-9 | 3학급 | 32명 | 1986년 3월 10일 개교, 임자중학교 병설 |
하의고등학교 | 하의면 곰실길 11-8 | 3학급 | 19명 | 1986년 3월 12일 개교, 하의중학교 병설 |
비금면 유옥우길 65 | - | - | 2014년 3월 1일 폐교, 비금중학교 병설 |
학교명 | 주소 | 학급수 | 학생수 | 비고 |
---|---|---|---|---|
장산중학교 | 장산면 장산대리길 64 | 3학급 | 17명 | 1949년 3월 31일 개교 |
안좌중학교 | 안좌면 중부로 743 | 3학급 | 27명 | 1952년 3월 31일 개교 |
지명중학교 | 지도읍 원광정길 18 | 4학급 | 48명 | 1959년 4월 30일 개교 |
하의중학교 | 하의면 곰실길 11-8 | 3학급 | 19명 | 1965년 3월 12일 개교, 하의고등학교 병설 |
비금중학교 | 비금면 유옥우길 65 | 7학급 | 88명 | 1965년 5월 9일 개교, 舊 비금고등학교 병설 |
자은중학교 | 자은면 구영2길 82 | 3학급 | 23명 | 1966년 8월 20일 개교 |
임자중학교 | 임자면 임자로 230-9 | 4학급 | 56명 | 1968년 3월 15일 개교, 임자고등학교 병설 |
암태중학교 | 암태면 장단고길 10 | 3학급 | 21명 | 1968년 3월 25일 개교 |
압해중학교 | 압해읍 구항길 31-5 | 4학급 | 73명 | 1970년 3월 12일 개교 |
신안증도중학교 | 증도면 증동길 53 | 3학급 | 14명 | 1971년 3월 12일 개교 |
신안흑산중학교 | 흑산면 흑산일주로 124 | 3학급 | 17명 | 1973년 3월 1일 개교 |
신안신의중학교 | 신의면 상서길 94 | 3학급 | 21명 | 1979년 3월 19일 개교 |
신안흑산중학교 가거도분교 | 흑산면 가거도리 266 | 1학급 | 1명 | 1982년 3월 20일 개교, 가거도초등학교 병설 |
도초면 수항리 1468 | - | - | 2017년 2월 28일 폐교, 도초고등학교 병설 | |
팔금면 장촌리 294 | - | - | 2021년 2월 28일 폐교 |
8. 교통
신안군은 목포시 등에서 배편을 이용해 갈 수 있으며, 일부 섬은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7]
8. 1. 도로
신안군에는 국도 제2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77호선이 지나간다. 신안군은 군내 주요 섬들이 교량으로 육지와 연결되는 것을 목표로 다리를 건설하고 있다. 지도읍, 증도면은 무안군과, 압해읍은 압해대교를 통해 목포시와 연결되어 있다. 암태도, 자은도, 팔금도, 안좌도는 천사대교를 통해 육지와 연결되었다. 그 외 지역은 배편을 이용해야 한다.[7]8. 1. 1. 교량
신안군에는 국도 제2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77호선이 지나간다. 국도 제2호선의 기점은 장산면이지만, 현재 교량들이 완공되지 않았거나 착공 중이어서 2020년 기준으로 실질적인 기점은 암태면 추포도이다. 국도 제24호선의 기점은 지도읍이며, 국도 제77호선은 현재 무안군과 압해읍을 잇는 김대중대교와 신안군 압해도 구간이 개통되었지만, 남쪽으로 목포시와 다리 연결이 되어 있지 않아 목포시로 우회해야 한다.신안군은 군내 주요 섬들을 교량으로 육지와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다리를 건설하고 있다. 현재 지도읍, 증도면은 교량으로 육지 지역인 무안군과 연결되어 있으며, 압해읍은 압해대교로 목포시와 연결되어 있다. 그 외의 나머지 지역은 교량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 페리 등에 의존한다. 암태도, 자은도, 팔금도, 안좌도는 천사대교의 개통으로 육지와 이어졌다.
8. 2. 버스
신안군에는 목포시의 시내버스와 신안군의 농어촌버스가 운행 중이다. 2008년 이전에는 각 섬들 안에서 신안군의 농어촌버스만 다니다가 압해대교 개통 후 목포시 시내버스도 운행하게 되었다. 과거에는 지도읍에만 시외버스 정류장이 있었으나, 천사대교 개통 후 암태도의 암태남강환승정류장에서도 시외버스가 운행된다.8. 3. 항구
신안군은 지도읍을 제외하고는 전부 섬으로 이루어져 있어, 섬들 간 교통은 주로 페리로 이루어진다. 페리는 목포연안여객선터미널이나 송공항에서 출발하여 순환하며 복귀한다.[7]8. 4. 공항
군내에는 흑산도에 소형 공항인 흑산공항이 계획 중에 있다. 인근 무안군 망운면에 무안국제공항이 있다.[7]9. 관광
10. 출신 인물
11.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신안군 (Sinan-gun 新安郡)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8-05-11
[3]
뉴스
끝까지 반성 안하는 '섬마을여교사' 성폭행범에 징역 더 때린 '사이다' 판사
https://www.insight.[...]
2018-01-30
[4]
뉴스
Female teachers to get emergency alert smart watches
https://m.koreatimes[...]
2016-06-22
[5]
뉴스
Top court orders retrial of school teacher rape case
https://www.koreaher[...]
2017-10-26
[6]
웹사이트
주민등록
https://jumin.mois.g[...]
2023-06-27
[7]
웹사이트
우이도 (牛耳島)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8-13
[8]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9]
웹사이트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10]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11]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2]
웹사이트
Shinan Dadohae Biosphere Reserve, Republic of Korea
https://en.unesco.or[...]
2023-02-06
[13]
웹사이트
Jangdo Wetland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2-06
[14]
웹사이트
Jeungdo Tidal Flat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2-06
[15]
간행물
진도군지 상권 229쪽
http://albummaniac.c[...]
진도군지편찬위원회
2016-06-06
[16]
법률
신안군 설치에 관한 법률
1968-12-31
[17]
법률
경기도 시흥군 의왕읍 등 35개 읍 설치에 관한 규정
1980-10-21
[18]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9]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0]
기타
[21]
뉴스
고달픈 섬 근무는 싫어"…신안군 공무원 타지 전출 러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6-05-29
[22]
뉴스
'섬들의 고향' 전남 신안군…880개 보물섬, 바다를 수놓다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6-05-11
[23]
블로그
'1004의 섬 신안'아름다운 천사의 섬
http://blog.shinan.g[...]
신안군 공식 블로그
[24]
뉴스
"Angel Islands," the regional tourist board calls the 1,004 islands clustered in the sun-sparkling waters off South Korea's southwestern tip, because the Korean word for "1,004" sounds like the word for "angel."
http://www.cbsnews.c[...]
CBS NEWS
2015-01-02
[25]
간행물
진도군지 상권 229쪽
http://albummaniac.c[...]
진도군지편찬위원회
2016-06-06
[26]
간행물
함께 보는 한국근현대사
역사학 연구소
[27]
법률
법률 제1175호
[28]
조례
무안군 조례 제86호
[29]
법률
신안군설치에관한법률
1968-12-31
[30]
조례
신안군 조례 제35호
[31]
조례
신안군 조례 제189호
[32]
조례
신안군 조례 제413호
[33]
법률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0-21
[34]
조례
신안군 조례 제596호
[35]
조례
신안군 조례 제824호
[36]
조례
신안군 조례 제870호
[37]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3046호
[38]
조례
신안군 조례 제1029호, 신안군조례 제1030호
[39]
기타
[40]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흑산도(169)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41]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흑산도(169)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42]
웹사이트
일반현황 - 토지
http://www.shinan.go[...]
2016-06-06
[43]
기타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2016-03-27
[44]
통계자료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45]
기타
[46]
기타
[47]
기타
[48]
기타
[49]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