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압해 정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압해 정씨는 당나라 문종 때 대승상을 지낸 정덕성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정덕성은 853년 압해도에 유배되어 정착했다고 전해지며, 나주 정씨, 영광 정씨, 의성 정씨, 창원 정씨 등으로 분파되었다.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은 시조 정덕성의 실존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압해 정씨는 나주 정씨, 영광 정씨, 창원 정씨, 의성 정씨 등으로 분파되었으며, 각 파는 고유의 항렬자를 사용한다. 주요 인물로는 나주 정씨의 정약용과 영광 정씨의 정극인 등이 있으며, 집성촌은 전라남도와 전라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강원특별자치도, 황해남도 등에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압해 정씨 - 정세균
    정세균은 대한민국의 6선 국회의원, 산업자원부 장관, 민주당 대표, 국회의장, 그리고 국무총리를 역임한 정치인으로, '세균맨'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 압해 정씨 - 정규상 (1910년)
    정규상(1910년)은 영월공립보통학교와 평양기성의학강습소를 졸업하고 광산을 경영했으며, 대한농민회 부회장과 국회 상공위원장을 역임하고 자유당과 민주당 소속으로 국회의원을 지냈다.
압해 정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가문 이름압해 정씨
한자 표기押海 丁氏
국가한국
지역전라남도 신안군
본관신안군 압해읍
창시자정윤종丁允宗
시조정덕성
저명한 인물정세현
정세균
정해인
정일우
정은비
정휘인
웹사이트압해정씨대종회
기타 정보
1985년 인구 조사165,381명
비고정세현, 정세균, 정옥근

2. 역사

압해 정씨(押海 丁氏)의 도시조인 '''정덕성'''(丁德盛)은 (唐) 문종(文宗)때 대승상(大丞相)을 지냈고, 무종(武宗) 때 대양군(大陽君)에 봉해졌으며, 853년 군국사(軍國事)로 직간을 하다가 전라남도 신안군압해도(押海島)에 유배되어 정착하였다고 한다. 압해 정씨는 '''나주 정씨'''(羅州丁氏)·영광 정씨(靈光丁氏)·의성 정씨(義城丁氏)·창원 정씨(昌原丁氏)로 동원분파(同源分派)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丁若鏞)은 도시조 정덕성에 대해 '사실 관계에 대한 고증이 어렵다'며 실존 여부에 대해 회의적으로 보았다.[4] 정약용은 증조부로부터 자신에까지 문헌 연구와 현지 답사 등을 벌인 결과, 정덕성이 정사(正史)에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 당의 풍습, 관직명의 차이 등을 들어 정씨동조동근설(凡丁氏同祖同根說)은 날조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후대에 모화사상의 영향으로 당(唐)에서 재상을 지내다가 압해도로 유배되어 왔다는 정덕성(丁德盛)이라는 가상인물을 도시조(都始祖)로 날조하여 나주(羅州)·영광(靈光)·창원(昌原)·의성(義城) 등 본관이 서로 다른 여러 정(丁)씨들을 근거도 없이 합쳤다는 것이다. 약 1520년(조선 중종 12년) 전후에 발간된 나주 정씨 최초의 가첩(家牒)인 월헌첩(月軒帖)에는 고려 중기의 무신 정윤종(丁允宗)이 시조로 기록되어 있다.[5]

2. 1. 시조 논란과 정약용의 비판

압해 정씨(押海 丁氏)의 도시조인 '''정덕성'''(丁德盛)은 (唐) 문종(文宗)때 대승상(大丞相)을 지냈고, 853년 군국사(軍國事)로 직간을 하다가 전라남도 신안군압해도(押海島)에 유배되어 정착하였다고 한다. 압해 정씨는 '''나주 정씨'''(羅州丁氏)·영광 정씨(靈光丁氏)·의성 정씨(義城丁氏)·창원 정씨(昌原丁氏)로 동원분파(同源分派)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丁若鏞)은 도시조 정덕성에 대해 '사실 관계에 대한 고증이 어렵다'며 실존 여부에 대해 회의적으로 보았다. 정약용은 정덕성이 정사(正史)에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 당의 풍습, 관직명의 차이 등을 들어 정씨동조동근설(凡丁氏同祖同根說)은 날조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후대에 모화사상의 영향으로 당(唐)에서 재상을 지내다가 압해도로 유배되어 왔다는 정덕성(丁德盛)이라는 가상인물을 도시조(都始祖)로 날조하여 여러 정(丁)씨들을 근거도 없이 합쳤다는 것이다. 약 1520년(조선 중종 12년) 전후에 발간된 나주 정씨 최초의 가첩(家牒)인 월헌첩(月軒帖)에는 고려 중기의 무신 정윤종(丁允宗)이 시조로 기록되어 있다.

2. 2. 분파

압해 정씨(押海丁氏)는 영광 정씨(靈光丁氏), 창원 정씨(昌原丁氏), 의성 정씨(義城丁氏), 나주 정씨(羅州丁氏)로 분관되었다고 한다. 인구는 나주 정씨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뒤이어 영광 정씨, 창원 정씨, 의성 정씨 순이다. 영광 정씨는 옛 지명을 사용하여 영성 정씨(靈城丁氏)라고도 한다. 창원 정씨(昌原丁氏)는 선창원(先昌原)과 후창원(後昌原)으로 나뉘기도 한다.

3. 본관별 주요 인물

나주 정씨(羅州丁氏)는 정자급(丁子伋)을 비롯하여, 정수강(丁壽崗), 정옥형(丁玉亨), 정응두(丁應斗), 정윤복(丁胤福), 정호선(丁好善), 정언벽(丁彦璧), 정시윤(丁時潤), 정도복(丁道復)까지 9명이 조선시대에 연속으로 9대 문과 급제 기록(9대옥당)을 세웠다. 정약용(丁若鏞, 호는 다산(茶山))은 실학(實學)의 거두로 알려져 있다.

영광 정씨(靈光丁氏)는 정극인(丁克仁, 호(號)는 불우헌(不憂軒), 다헌(茶軒), 다각(茶角), 국문학사상 최초의 가사(歌辭) 작가), 정걸, 정경달(丁景達), 정유영(丁流泳)을 배출하였으며, 예당파에 속한다.

의성 정씨(義城丁氏)로는 정자위(丁子威), 정맹위(丁孟威), 정숙위(丁淑威), 정현(丁炫), 정사종(丁嗣宗), 정재영(丁載榮) 등이 있다.

창원 정씨(昌原丁氏)로는 정환(丁煥), 정황(丁璜), 정창협(丁昌夾), 정춘(丁春) 등이 있다.

3. 1. 나주 정씨

나주 정씨(羅州丁氏)는 정자급(丁子伋)을 비롯하여, 정수강(丁壽崗), 정옥형(丁玉亨), 정응두(丁應斗), 정윤복(丁胤福), 정호선(丁好善), 정언벽(丁彦璧), 정시윤(丁時潤), 정도복(丁道復)까지 9명이 조선시대에 연속으로 9대 문과 급제 기록(9대옥당)을 세웠다. 정약용(丁若鏞, 호는 다산(茶山))은 실학(實學)의 거두로 알려져 있다.

3. 2. 영광 정씨

영광 정씨(靈光丁氏)는 정극인(丁克仁, 호(號)는 불우헌(不憂軒), 다헌(茶軒), 다각(茶角), 국문학사상 최초의 가사(歌辭) 작가), 정걸, 정경달(丁景達), 정유영(丁流泳)을 배출하였으며, 예당파에 속한다.

3. 3. 의성 정씨

의성 정씨(義城丁氏)로는 정자위(丁子威), 정맹위(丁孟威), 정숙위(丁淑威), 정현(丁炫), 정사종(丁嗣宗), 정재영(丁載榮) 등이 있다.

3. 4. 창원 정씨

정환(丁煥), 정황(丁璜), 정창협(丁昌夾), 정춘(丁春) 등이 있다.

4. 집성촌

전라남도 고흥군 대서면 남정리와 포두면 상대리, 무안군 청계면 구로리, 무안읍 용월리, 일로면 산정리, 영광군 백수읍 대전리, 순천시 별량면 우산리, 여수시 웅천동에 집성촌이 있다.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산서면 사계리, 고창군 대산면 해용리, 전주시 덕진구 만성동, 진안군 안천면 신괴리에도 집성촌이 있다.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남전리, 화양면 대하리, 충청북도 영동군 매곡면 노천리, 황간면 신흥리, 경상남도 의령군 가례면 갑을리,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효정리,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삼옥리, 황해남도 장연군 대구면 선원리에도 집성촌이 분포한다.

5. 인구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 압해 정씨(押海丁氏)는 대한민국에 38,721가구, 165,381명으로 조사되었다.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는 나주 정씨(羅州丁氏) 82,863명, 영광 정씨(靈光丁氏) 21,774명, 의성 정씨(義城丁氏) 2,951명, 창원 정씨(昌原丁氏) 16,141명으로 조사되었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는 나주 정씨(羅州丁氏) 138,000명, 영광 정씨(靈光丁氏) 65,129명, 의성 정씨(義城丁氏) 3,498명, 창원 정씨(昌原丁氏) 31,687명으로 조사되었다.

6. 행렬자

압해 정씨는 여러 파에서 29세 이후, 창원(衍邦)파, 의성(千幹)파, 나주(千幹)파, 나주(千鶴)파는 28세 이후, 나주(允宗)파는 34세 이후에 동일한 대동(大同) 행렬을 사용한다.[3]

○세손495051525354555657585960
행렬자[3]희(喜)·요(堯)탁(鐸)·옥(鈺)낙(洛)·태(泰)근(根)·주(柱)준(焌)·경(炅)달(達)·기(基)용(鎔)·금(錦)구(求)·순(淳)본(本)·휴(烋)희(熙)·환(煥)균(均)·기(圻)전(銓)·수(銖)



영광(靈光)(晉)파, 창원(昌原)(晉)파, 창원(昌原)(衍邦)파, 의성(義城)(千幹)파, 나주(羅州)(千幹)파, 나주(羅州)(千鶴)파, 나주(羅州)(允宗)파는 각각 다른 행렬자를 사용한다.[3]

각 파의 행렬은 다음과 같다.

18세손19세손20세손21세손22세손23세손24세손25세손26세손27세손28세손29세손30세손31세손32세손33세손
영광(靈光)(晉)파[3]규(奎)·규(圭)·창(昌)현(鉉)·석(錫)·병(炳)영(永)·하(河)·수(壽)수(秀)·식(植)·종(鍾)병(炳)·형(炯)·태(泰)·해(海)성(聲)·준(埈)·상(相)종(鍾)·석(錫)·환(煥)철(澈)·호(浩)·기(基)상(相)·동(東)·석(錫)훈(勳)·환(煥)
창원(昌原)(晉)파[3]표(杓)·영(榮)남(南)시(時)섭(燮)규(奎)진(鎭)·호(鎬)영(永)·해(海)·순(淳)식(植)·근(根)희(熙)훈(勳)
창원(昌原)(衍邦)파[3]대(大)규(圭)종(鍾)·현(鉉)·진(鎭)홍(洪)·수(洙)·순(淳)병(秉)·상(相)·동(東)훈(勳)·섭(燮)·현(炫)채(埰)·재(在)·기(起)호(鎬)·석(錫)·옥(鈺)승(承)·제(濟)·영(永)훈(勳)
의성(義城)(千幹)파[3]재(載)용(鎔)·덕(德)·양(養)한(漢)·교(敎)상(相)·대(大)병(炳)·섭(燮)균(均)·규(奎)석(錫)·진(鎭)우(雨)·해(海)계(桂)·영(榮)훈(勳)
나주(羅州)(千幹)파[3]약(若)의(義)교(敎)·규(奎)대(大)·상(相)섭(燮)·병(炳)규(奎)·균(均)진(鎭)·석(錫)수(洙)식(植)·십(十)훈(勳)
나주(羅州)(千鶴)파[3]주(周)·호(昊)조(祖)·학(學)재(在)·두(斗)하(夏)·욱(旭)기(基)·달(達)호(鎬)·준(浚)낙(洛)·태(泰)식(植)·표(杓)병(炳)·찬(燦)규(圭)·훈(勳)
나주(羅州)(允宗)파[3]교(敎)대(大)섭(燮)규(奎)진(鎭)해(海)인(寅)·영(榮)·식(植)우(愚)·희(喜)·환(煥)균(均)·배(培)훈(勳)


6. 1. 대동(大同) 행렬

압해 정씨는 여러 파에서 29세 이후, 창원(衍邦)파, 의성(千幹)파, 나주(千幹)파, 나주(千鶴)파는 28세 이후, 나주(允宗)파는 34세 이후에 동일한 대동(大同) 행렬을 사용한다.[3]

○세손495051525354555657585960
행렬자[3]희(喜)·요(堯)탁(鐸)·옥(鈺)낙(洛)·태(泰)근(根)·주(柱)준(焌)·경(炅)달(達)·기(基)용(鎔)·금(錦)구(求)·순(淳)본(本)·휴(烋)희(熙)·환(煥)균(均)·기(圻)전(銓)·수(銖)



영광(靈光)(晉)파, 창원(昌原)(晉)파, 창원(昌原)(衍邦)파, 의성(義城)(千幹)파, 나주(羅州)(千幹)파, 나주(羅州)(千鶴)파, 나주(羅州)(允宗)파는 각각 다른 행렬자를 사용한다.[3]

각 파의 행렬은 다음과 같다.

18세손19세손20세손21세손22세손23세손24세손25세손26세손27세손28세손29세손30세손31세손32세손33세손
영광(靈光)(晉)파[3]규(奎)·규(圭)·창(昌)현(鉉)·석(錫)·병(炳)영(永)·하(河)·수(壽)수(秀)·식(植)·종(鍾)병(炳)·형(炯)·태(泰)·해(海)성(聲)·준(埈)·상(相)종(鍾)·석(錫)·환(煥)철(澈)·호(浩)·기(基)상(相)·동(東)·석(錫)훈(勳)·환(煥)
창원(昌原)(晉)파[3]표(杓)·영(榮)남(南)시(時)섭(燮)규(奎)진(鎭)·호(鎬)영(永)·해(海)·순(淳)식(植)·근(根)희(熙)훈(勳)
창원(昌原)(衍邦)파[3]대(大)규(圭)종(鍾)·현(鉉)·진(鎭)홍(洪)·수(洙)·순(淳)병(秉)·상(相)·동(東)훈(勳)·섭(燮)·현(炫)채(埰)·재(在)·기(起)호(鎬)·석(錫)·옥(鈺)승(承)·제(濟)·영(永)훈(勳)
의성(義城)(千幹)파[3]재(載)용(鎔)·덕(德)·양(養)한(漢)·교(敎)상(相)·대(大)병(炳)·섭(燮)균(均)·규(奎)석(錫)·진(鎭)우(雨)·해(海)계(桂)·영(榮)훈(勳)
나주(羅州)(千幹)파[3]약(若)의(義)교(敎)·규(奎)대(大)·상(相)섭(燮)·병(炳)규(奎)·균(均)진(鎭)·석(錫)수(洙)식(植)·십(十)훈(勳)
나주(羅州)(千鶴)파[3]주(周)·호(昊)조(祖)·학(學)재(在)·두(斗)하(夏)·욱(旭)기(基)·달(達)호(鎬)·준(浚)낙(洛)·태(泰)식(植)·표(杓)병(炳)·찬(燦)규(圭)·훈(勳)
나주(羅州)(允宗)파[3]교(敎)대(大)섭(燮)규(奎)진(鎭)해(海)인(寅)·영(榮)·식(植)우(愚)·희(喜)·환(煥)균(均)·배(培)훈(勳)


6. 2. 영광(靈光)(晉)파

영광(靈光)(晉)파의 항렬자는 다음과 같다.[3]

○세손19202122232425262728
행렬자규(奎)
규(圭)
창(昌)
현(鉉)
석(錫)
병(炳)
영(永)
하(河)
수(壽)
수(秀)
식(植)
종(鍾)
병(炳)
형(炯)
태(泰)
해(海)
성(聲)
준(埈)
상(相)
종(鍾)
석(錫)
환(煥)
철(澈)
호(浩)
기(基)
상(相)
동(東)
석(錫)
훈(勳)
환(煥)


6. 3. 창원(昌原)(晉)파

창원(昌原)(晉)파는 압해 정씨의 한 분파이다. 창원(昌原)(晉)파는 다음과 같은 항렬자를 사용한다.[3]

○세손19202122232425262728
행렬자표(杓)
영(榮)
남(南)시(時)섭(燮)규(奎)진(鎭)
호(鎬)
영(永)
해(海)
순(淳)
식(植)
근(根)
희(熙)훈(勳)


6. 4. 창원(昌原)(衍邦)파

창원(昌原)(衍邦)파는 압해 정씨의 한 분파이다. 창원(昌原)(衍邦)파의 항렬자는 다음과 같다.[3]

○세손18192021222324252627
행렬자[3]대(大)규(圭)종(鍾)
현(鉉)
진(鎭)
홍(洪)
수(洙)
순(淳)
병(秉)
상(相)
동(東)
훈(勳)
섭(燮)
현(炫)
채(埰)
재(在)
기(起)
호(鎬)
석(錫)
옥(鈺)
승(承)
제(濟)
영(永)
훈(勳)


6. 5. 의성(義城)(千幹)파

의성(義城)(千幹)파의 항렬자는 다음과 같다.[3]

○세손18192021222324252627
행렬자재(載)용(鎔)
덕(德)
양(養)
한(漢)
교(敎)
상(相)
대(大)
병(炳)
섭(燮)
균(均)
규(奎)
석(錫)
진(鎭)
우(雨)
해(海)
계(桂)
영(榮)
훈(勳)



대동(大同) 행렬은 49세손 희(喜)·요(堯), 50세손 탁(鐸)·옥(鈺) 항렬자부터 시작한다.[3]

6. 6. 나주(羅州)(千幹)파

나주(羅州)(千幹)파의 항렬자는 다음과 같다.[3]

○세손18192021222324252627
행렬자[3]약(若)의(義)교(敎)
규(奎)
대(大)
상(相)
섭(燮)
병(炳)
규(奎)
균(均)
진(鎭)
석(錫)
수(洙)식(植)
십(十)
훈(勳)



28세 이후는 대동(大同) 행렬을 따르며, 49세 희(喜)·요(堯), 50세 탁(鐸)·옥(鈺), 51세 낙(洛)·태(泰) 항렬자를 쓴다.[3]

6. 7. 나주(羅州)(千鶴)파

나주(羅州)(千鶴)파는 압해 정씨 분파 중 하나이다. 18세손 주(周)·호(昊), 19세손 조(祖)·학(學), 20세손 재(在)·두(斗), 21세손 하(夏)·욱(旭), 22세손 기(基)·달(達), 23세손 호(鎬)·준(浚), 24세손 낙(洛)·태(泰), 25세손 식(植)·표(杓), 26세손 병(炳)·찬(燦), 27세손 규(圭)·훈(勳) 등의 행렬자를 쓴다.[3]

○세손18192021222324252627
행렬자[3]주(周)
호(昊)
조(祖)
학(學)
재(在)
두(斗)
하(夏)
욱(旭)
기(基)
달(達)
호(鎬)
준(浚)
낙(洛)
태(泰)
식(植)
표(杓)
병(炳)
찬(燦)
규(圭)
훈(勳)


6. 8. 나주(羅州)(允宗)파

나주(羅州)(允宗)파는 24세 교(敎), 25세 대(大), 26세 섭(燮), 27세 규(奎), 28세 진(鎭), 29세 해(海), 30세 인(寅)·영(榮)·식(植), 31세 우(愚)·희(喜)·환(煥), 32세 균(均)·배(培), 33세 훈(勳) 자를 쓴다.[3]

○세손24252627282930313233
행렬자[3]교(敎)대(大)섭(燮)규(奎)진(鎭)해(海)인(寅)
영(榮)
식(植)
우(愚)
희(喜)
환(煥)
균(均)
배(培)
훈(勳)



34세 이후에는 대동(大同) 행렬을 따른다.[3]

○세손495051525354555657585960
행렬자[3]희(喜)
요(堯)
탁(鐸)
옥(鈺)
낙(洛)
태(泰)
근(根)
주(柱)
준(焌)
경(炅)
달(達)
기(基)
용(鎔)
금(錦)
구(求)
순(淳)
본(本)
휴(烋)
희(熙)
환(煥)
균(均)
기(圻)
전(銓)
수(銖)


참조

[1]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5
[2] 웹사이트 정씨(丁氏) 본관(本貫) 압해(押海)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8-15
[3] 웹사이트 항렬도 http://aphaejeong.or[...] 2024-03-12
[4] 뉴스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44> 압해정씨·나주정씨 등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3-03-05
[5] 뉴스 내고장명문가 나주정씨(羅州丁氏) http://www.bonghwane[...] 봉화일보 2013-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