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위 60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위 60도는 본초 자오선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 대서양, 인도양, 태평양의 남극해 부분을 통과하는 위선이다. 이 위선은 대서양과 남극해, 인도양과 남극해, 태평양과 남극해의 경계를 이루며, 드레이크 해협과 스코샤 해를 지난다. 또한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인근을 통과하며, 아르헨티나가 이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선 - 남회귀선
남회귀선은 태양 남중고도가 90°가 되는 남위 23° 26′ 11.7″의 위도로, 동짓날 태양이 머리 위에 나타나는 지점이며, 대서양, 아프리카, 인도양, 오스트랄라시아, 태평양, 남아메리카를 통과하고 남아프리카는 안정적인 계절 강우, 오스트레일리아는 변동성이 큰 강우량, 남아메리카의 아타카마 사막은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 중 하나이다. - 위선 - 위도
위도는 지구 표면의 남북 위치를 각도로 나타내며, 지구를 회전 타원체로 가정했을 때 법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으로 측정하여 적도를 0°로 북극과 남극까지 나타내고, 기후와 지리적 특징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 남위 60도 | |
|---|---|
| 개요 | |
| 종류 | 위선 |
| 위치 | 남극권의 남쪽 |
| 좌표 | 남위 60도 |
| 관련 특성 | 남극 조약 체결 지역의 북쪽 경계 남극해의 북쪽 경계로 자주 사용됨 |
| 지리 | |
| 통과 지역 | 남극해 남극 대륙 |
| 기타 | |
| 해양 | 스코샤 해 웨들 해 |
2. 지리
남위 60도는 육지를 지나지 않고 바다만 통과한다. 특히 남극해를 통과하며, 대서양, 인도양, 태평양의 경계가 되기도 한다.
| 지리 좌표 | 국토·영토·영해 | 비고 |
|---|---|---|
| style="background:#b0e0e6;" | | 대서양과 남극해의 경계 | |
| style="background:#b0e0e6;" | | 인도양과 남극해의 경계 | |
| style="background:#b0e0e6;" | | 태평양과 남극해의 경계 | |
| style="background:#b0e0e6;" | | 대서양과 남극해의 경계 | 남아메리카 대륙과 남극 대륙 사이의 드레이크 해협 통과, 스코샤 해 남쪽 끝 근처 통과 |
경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통과 해역" 문단을 참고하라.
2. 1. 통과 해역
남위 60도는 본초 자오선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여러 해역을 통과한다.| 좌표 | 해역 | 비고 |
|---|---|---|
| 본초 자오선 | ||
| 대서양과 인도양의 경계 | ||
| 인도양과 태평양의 경계 | 드레이크 해협에서 남아메리카와 남극 반도 사이의 태평양 통과 | |
| 태평양과 대서양의 경계 | 스코샤 해와 사우스오크니 제도 남쪽 경계 근처 통과, South Georgia and the South Sandwich Islands영어 (Argentinaes에서 영유권 주장) 통과 |
본초 자오선에서 동경 20°까지는 대서양과 남극해의 경계, 동경 20°에서 동경 147°까지는 인도양과 남극해의 경계이다. 동경 147°에서 서경 67° 16′까지는 태평양과 남극해의 경계이며, 이 구간은 드레이크 해협을 통과한다. 서경 67° 16′에서 다시 본초 자오선까지는 대서양과 남극해의 경계이다.
2. 1. 1. 대서양-남극해 경계
본초 자오선에서 동경 20도까지는 대서양과 남극해의 경계이다.2. 1. 2. 인도양-남극해 경계
동경 20°에서 동경 147°까지는 인도양과 남극해의 경계이다.2. 1. 3. 태평양-남극해 경계
에서 까지는 태평양과 남극해의 경계이다. 이 구간은 남아메리카 대륙과 남극 대륙 사이의 드레이크 해협을 통과하며, 스코샤 해의 남쪽 끝 근처를 지난다.2. 1. 4. 대서양-남극해 경계 (재진입)
에서 까지는 대서양과 남극해의 경계이다. 남아메리카 대륙과 남극 대륙 사이의 드레이크 해협을 통과하며, 스코샤 해의 남쪽 끝 근처를 지난다.2. 2. 관련 영유권 주장
남위 60도는 스코샤 해와 사우스오크니 제도 남쪽을 지나며,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영국령, 아르헨티나가 영유권을 주장)를 지난다.참조
[1]
지도
Google Earth
2021-01-05
[2]
웹사이트
The Furious 50s and Screaming 60s
http://mydaywithbark[...]
mydaywithbarkly
2009-07-11
[3]
웹사이트
国立天文台暦計算室こよみの計算
https://eco.mtk.nao.[...]
2012-05-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