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경 147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경 147도는 러시아 극동 지역, 미크로네시아 연방, 파푸아뉴기니, 오스트레일리아 등을 지나가는 경선이다. 이 경선은 오호츠크해, 쿠릴 열도, 태평양, 솔로몬해, 산호해, 배스 해협, 남극해를 통과하며, 러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등 여러 국가의 영토와 해역에 걸쳐 있다. 특히 오스트레일리아는 동경 147도가 지나는 남극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선 - 파리 자오선
    파리 자오선은 파리 천문대를 기준으로 하는 자오선으로, 프랑스에서 지도의 기준으로 사용되었고 지구 크기 측정과 미터법 정의에 기여했으나, 그리니치 자오선이 국제 표준으로 채택된 후 중요성이 감소했지만 일부 지도나 예술 작품에 활용된다.
  • 경선 - 경도 180도
    경도 180도는 북극점에서 남극점까지 이어지는 지리 좌표의 한 종류이며, 러시아, 피지, 남극 대륙 등을 통과하고, 열대 저기압 명칭 구분 기준이 되며, 지리 데이터 처리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동경 147도
위치 정보
종류경선
경도동경 147도
지나는 지역
국가 및 지역러시아
오스트레일리아
파푸아뉴기니
미크로네시아 연방
솔로몬 제도
지리적 특징북극해
태평양
오호츠크해
타스만해
산호해

2. 지나가는 지역

마가단주 — 북위 64° 8′ 동경 147° 0′ / 북위 64.133° 동경 147.000°  / 64.133; 147.000부터북위 59° 22′ 동경 147° 0′ / 북위 59.367° 동경 147.000°  / 59.367; 147.000오호츠크해북위 44° 35′ 동경 147° 0′ / 북위 44.583° 동경 147.000°  / 44.583; 147.000쿠릴 열도이투루프섬 - 러시아 (사할린주)가 실효 지배하고 있으나 일본 (홋카이도)이 영유권을 주장함.북위 44° 27′ 동경 147° 0′ / 북위 44.450° 동경 147.000°  / 44.450; 147.000태평양쿠릴 열도 시코탄섬(북위 43° 50′ 동경 146° 55′ / 북위 43.833° 동경 146.917°  / 43.833; 146.917) 바로 동쪽을 지나감
미크로네시아 연방 사타왈섬(북위 7° 21′ 동경 147° 2′ / 북위 7.350° 동경 147.033°  / 7.350; 147.033) 바로 서쪽을 지나감남위 1° 58′ 동경 147° 0′ / 남위 1.967° 동경 147.000°  / -1.967; 147.000파푸아뉴기니마누스섬남위 2° 12′ 동경 147° 0′ / 남위 2.200° 동경 147.000°  / -2.200; 147.000태평양비스마르크해남위 5° 15′ 동경 147° 0′ / 남위 5.250° 동경 147.000°  / -5.250; 147.000파푸아뉴기니롱섬남위 5° 22′ 동경 147° 0′ / 남위 5.367° 동경 147.000°  / -5.367; 147.000태평양비스마르크해남위 5° 56′ 동경 147° 0′ / 남위 5.933° 동경 147.000°  / -5.933; 147.000파푸아뉴기니남위 6° 44′ 동경 147° 0′ / 남위 6.733° 동경 147.000°  / -6.733; 147.000솔로몬해휴온만남위 7° 0′ 동경 147° 0′ / 남위 7.000° 동경 147.000°  / -7.000; 147.000파푸아뉴기니남위 9° 18′ 동경 147° 0′ / 남위 9.300° 동경 147.000°  / -9.300; 147.000산호해남위 19° 15′ 동경 147° 0′ / 남위 19.250° 동경 147.000°  / -19.250; 147.000오스트레일리아퀸즐랜드주
뉴사우스웨일스주 — 남위 29° 0′ 동경 147° 0′ / 남위 29.000° 동경 147.000°  / -29.000; 147.000부터
빅토리아주 — 남위 36° 5′ 동경 147° 0′ / 남위 36.083° 동경 147.000°  / -36.083; 147.000부터남위 38° 32′ 동경 147° 0′ / 남위 38.533° 동경 147.000°  / -38.533; 147.000배스 해협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주 호건섬(남위 39° 13′ 동경 146° 59′ / 남위 39.217° 동경 146.983°  / -39.217; 146.983) 바로 동쪽을 지나감남위 40° 59′ 동경 147° 0′ / 남위 40.983° 동경 147.000°  / -40.983; 147.000오스트레일리아태즈메이니아주남위 43° 26′ 동경 147° 0′ / 남위 43.433° 동경 147.000°  / -43.433; 147.000태평양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이 해역도 남극해로 취급한다.[5][6][1][2][3][4]남위 60° 0′ 동경 147° 0′ / 남위 60.000° 동경 147.000°  / -60.000; 147.000남극해남위 67° 54′ 동경 147° 0′ / 남위 67.900° 동경 147.000°  / -67.900; 147.000남극오스트레일리아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 지역


2. 1. 북극해

동경 147도선은 북극점에서 시작하여 남쪽으로 이동할 때 가장 먼저 북극해를 지난다.

2. 2. 동시베리아해

동경 147도선은 북극해를 지나 북위 76도 37분에서 동시베리아해로 들어선다. 이후 북위 75도 19분에서 러시아 사하 공화국노바야시비리섬을 통과한 뒤, 북위 75도 3분부터 다시 동시베리아해를 지나 북위 72도 14분에서 러시아 본토(사하 공화국)로 들어선다.

2. 3. 러시아

동경 147도선은 러시아 영토를 여러 차례 통과한다. 북극해동시베리아해를 지나 처음으로 러시아 영토인 사하 공화국노바야시비리섬(노보시비르스크 제도)을 지난다. 다시 동시베리아해를 거쳐 러시아 본토에 진입하며, 사하 공화국마가단주를 차례로 통과한다.

이후 오호츠크해를 지나 쿠릴 열도이투루프섬을 통과한다. 이투루프섬은 현재 러시아 사할린주가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으나, 일본홋카이도의 일부로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는 지역이다.

2. 4. 오호츠크해

동경 147도선은 러시아 마가단주 남쪽, 북위 59도 22분에서 오호츠크해로 들어선다. 이후 남쪽으로 계속 이어져 북위 44도 35분에서 쿠릴 열도이투루프섬에 도달하기 전까지 오호츠크해를 통과한다.

2. 5. 쿠릴 열도

동경 147도선은 쿠릴 열도이투루프섬을 통과한다. 이 섬은 현재 러시아 사할린주가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으나, 일본 홋카이도에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는 지역으로, 쿠릴 열도 분쟁의 대상이다.

2. 6. 태평양

동경 147도선은 태평양에서 쿠릴 열도시코탄섬 바로 동쪽 해역과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사타왈섬 바로 서쪽 해역을 통과한다. 이후 파푸아뉴기니마누스섬 남쪽과 롱섬 북쪽 사이의 비스마르크해를 지나고, 롱섬 남쪽과 파푸아뉴기니 본토 북쪽 사이의 비스마르크해를 다시 통과한다. 남쪽으로 더 내려가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주 남쪽의 태평양 해역을 지나는데,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이 해역을 남극해의 일부로 간주한다.[5][6]

2. 7. 파푸아뉴기니

동경 147도선은 파푸아뉴기니마누스섬을 통과한 뒤, 태평양비스마르크해로 들어선다. 이후 롱섬을 지나 다시 비스마르크해를 거쳐 파푸아뉴기니 본토에 상륙한다. 본토를 남쪽으로 가로지르며 솔로몬해의 휴온만을 잠시 통과한 뒤, 다시 파푸아뉴기니 본토를 지나 산호해로 이어진다.

2. 8. 솔로몬해

동경 147도선은 남위 6도 44분에서 솔로몬해를 지나며, 이 해역은 후온만에 해당한다.

2. 9. 산호해

동경 147도선은 남위 9도 18분에서 산호해를 통과한다.

2. 10. 오스트레일리아

동경 147도선은 오스트레일리아 본토의 퀸즐랜드주를 시작으로 남하하여 뉴사우스웨일스주빅토리아주를 차례로 통과한다. 이후 배스 해협으로 진입하며,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주에 속하는 호건섬의 동쪽 해역을 지난다. 계속 남하하여 태즈메이니아주 본섬을 통과한 후 태평양 해역으로 나아간다.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태즈메이니아 남쪽의 이 태평양 해역을 남극해의 일부로 간주하고 있다.[3][4] 더 남쪽으로 남극해를 거쳐 남극 대륙에 도달하는데, 이 지역은 오스트레일리아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 지역에 해당한다.

2. 11. 배스 해협

동경 147도선은 오스트레일리아배스 해협을 통과한다. 이 경선은 태즈메이니아주에 속하는 호건섬Hogan Islandeng의 바로 동쪽을 지나간다.

2. 12. 남극해

남위 43도 26분부터 태평양을 지나는데,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이 해역을 남극해의 일부로 간주한다.[5][6][1][2][3][4] 남위 60도부터 남극해 해역이다. 동경 147도선은 남위 67도 54분부터 남극 대륙을 지나며, 이 지역은 오스트레일리아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 지역에 속한다.

2. 13. 남극

동경 147도선은 남극해를 지나 남극 대륙을 통과한다. 이 경선이 지나는 남극 지역은 오스트레일리아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 지역에 해당한다.

참조

[1] 뉴스 Canberra all at sea over position of Southern Ocean http://www.theage.co[...] The Age 2013-01-13
[2] 웹사이트 Indian Ocean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3-01-13
[3] 뉴스 Canberra all at sea over position of Southern Ocean http://www.theage.co[...] The Age 2013-01-13
[4] 웹사이트 Indian Ocean http://www.britannic[...] Encyclopaedia Britannica 2013-01-13
[5] 뉴스 Canberra all at sea over position of Southern Ocean http://www.theage.co[...] The Age 2013-01-13
[6] 웹인용 Indian Ocean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3-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