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100m 달리기 대한민국 기록 추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자 100m 달리기 대한민국 기록은 김장율이 1926년 11초 8을 기록한 이후 여러 선수들에 의해 경신되었다. 김운서가 1933년 11초 0으로 11초 벽을 깼고, 김유택은 1936년 10초 7, 1939년 10초 5를 기록했다. 정기선은 1963년 10초 5, 1966년 10초 3을 기록했고, 서말구도 1979년 10초 3으로 타이를 이뤘다. 전자 계시가 도입된 후, 서말구가 1979년 10초 34를 기록하며 최초의 전자 계시 기록을 세웠다. 김국영은 2010년 10초 31, 10초 23을 기록한 데 이어 2017년 10초 07로 대한민국 기록을 경신했다.
대한민국 남자 100m 달리기 기록은 측정 방식과 선수들의 기량 발전에 따라 꾸준히 변화해 왔다.
2. 대한민국 남자 100m 기록 변천사
192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는 수동 계시 방식으로 기록이 측정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김장율이 1926년에 11초 8을 기록한 것을 시작으로, 이경민, 김운서, 김유택 등이 10초대 기록을 세웠다. 해방 이후에는 정기선이 1960년대에 10초 3까지 기록을 단축했고, 1979년에는 서말구가 정기선과 같은 10초 3을 기록했다.[4]
1970년대 후반부터 전자 계시 시스템이 도입되어 더욱 정밀한 측정이 가능해졌다. 서말구는 1979년에 10초 34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최초의 전자 계시 한국 신기록을 세웠다.[5] 2010년대에는 김국영이 등장하여 여러 차례 자신의 기록을 경신하며 대한민국 남자 100m 기록을 10초 07까지 단축했다.
2. 1. 수동 계시
192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대한민국 남자 100m 기록은 기계식 스톱워치를 사용해 수동으로 측정되었다. 이 시기 대한민국 남자 100m 기록 변천사는 다음과 같다.
기록 | 선수 | 소속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경기장 | |
---|---|---|---|---|---|---|---|
11초 8 | 김장율 | 양정고보 | 1926. 6. 13 | 조만 대항 대회 | |||
11초 6 | 이경민 | 경성 | 1927. 7. 26 | 동경 유학생 고국 방문 대회 | |||
11초 6 | 정용길 | 조축 | 1928. 6. 23 | 조선신궁대회 | |||
11초 5 | 김복명 | 평북 | 1929. 10. 5 | 조선오륜 (예선) | |||
11초 0 | 김운서 | 경성 | 1933. 06. 24 | 제9회 전 조선 육상 대회 | 경성 | 경성 운동장 | |
10초 7 | 김유택 | 배재고보 | 1936. 09. 20 | 일본선수권 (예선) | |||
10초 5 | 김유택 | 경성고상 | 1939. 8. 10 | 조선일관서학생대항전 | |||
10초 5 | 정기선 | 석공 | 1963. 06. 15 | 제17회 전국 남녀 육상 경기 선수권 대회 | 서울 | 효창운동장 | [1] |
10초 5 | 정기선 | 석공 | 1964. 05. 09 | 전국 육상 선수권 대회 겸 동경 올림픽 파견 육상 선수 제3차 선발 대회 | 서울 | 효창운동장 | [2] |
10초 3 | 정기선 | 석공 | 1966. 09. 24 |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파견 최종 선발전 | 서울 | 효창운동장 | [3] |
10초 3 | 서말구 | 육군 원호단 | 1979. 04. 14 | 아세아 선수권 최종선발 | 서울 | 서울운동장 | [4] |
2. 1. 1. 초기 기록 (1920년대 ~ 1930년대)
일제강점기에는 김장율이 1926년에 11초 8을 기록한 것을 시작으로, 이경민, 김운서, 김유택 등의 선수들이 활약하며 11초대의 기록을 10초대로 단축시켰다. 특히 김유택은 1936년에 10초 7을 기록하며 당시 아시아 최고 수준의 기록을 보유했다.기록 | 선수 | 소속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경기장 |
---|---|---|---|---|---|---|
11초 8 | 김장율 | 양정고보 | 1926. 6. 13 | 조만 대항 대회 | - | - |
11초 6 | 이경민 | 경성 | 1927. 7. 26 | 동경 유학생 고국 방문 대회 | - | - |
11초 6 | 정용길 | 조축 | 1928. 6. 23 | 조선신궁대회 | - | - |
11초 5 | 김복명 | 평북 | 1929. 10. 5 | 조선오륜 (예선) | - | - |
11초 0 | 김운서 | 경성 | 1933. 06. 24 | 제9회 전 조선 육상 대회 | 경성 | 경성 운동장 |
10초 7 | 김유택 | 배재고보 | 1936. 09. 20 | 일본선수권 (예선) | - | - |
10초 5 | 김유택 | 경성고상 | 1939. 8. 10 | 조선일관서학생대항전 | - | - |
2. 1. 2. 해방 이후 기록 (1960년대 ~ 1970년대)
정기선은 1960년대에 3차례나 대한민국 신기록을 경신하며 10초 3까지 기록을 단축했다.[1][2][3] 1979년에는 서말구가 10초 3을 기록하며 정기선의 기록과 타이를 이루었다.[4]기록 | 차이 | 선수 | 소속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경기장 | 주석 및 기타 |
---|---|---|---|---|---|---|---|---|
10초 5 | 정기선 | 석공 | 1963. 06. 15 | 제17회 전국 남녀 육상 경기 선수권 대회 | 서울 | 효창운동장 | [1] | |
10초 5 | 정기선 | 석공 | 1964. 05. 09 | 전국 육상 선수권 대회 겸 동경 올림픽 파견 육상 선수 제3차 선발 대회 | 서울 | 효창운동장 | [2] | |
10초 3 | - 0.2초 | 정기선 | 석공 | 1966. 09. 24 |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파견 최종 선발전 | 서울 | 효창운동장 | [3] |
10초 3 | = | 서말구 | 육군 원호단 | 1979. 04. 14 | 아세아 선수권 최종선발 | 서울 | 서울운동장 | [4] |
2. 2. 전자 계시
전자 계시 시스템 도입으로 100m 달리기의 기록 측정은 더욱 정밀해졌다. 대한민국 남자 100m 기록은 197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까지 꾸준히 발전했다.서말구가 1979년에 세운 첫 전자 계시 한국 신기록은 2010년 김국영에 의해 깨졌다. 이후 김국영은 자신의 기록을 여러 차례 경신하며 대한민국 남자 100m 기록을 10초 07까지 단축했다.
기록 | 바람 | 차이 | 선수 | 소속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경기장 | 주석 및 기타 | 동영상 |
---|---|---|---|---|---|---|---|---|---|---|
10초 34 | 서말구 | 동아대학교 | 1979. 09. 09 | 제10회 하계 유니버시아드 | 멕시코 시 | [5] | ||||
10초 31 | -0.03초 | 김국영 | 안양시청 | 2010. 06. 07 | 제64회 전국육상경기선수권대회 (예선) | 대구 | 대구 스타디움 | [6] | [https://web.archive.org/web/20160309222928/http://tvpot.daum.net/clip/ClipView.do?clipid=24494353] | |
10초 23 | -0.08초 | 김국영 | 안양시청 | 2010. 06. 07 | 제64회 전국육상경기선수권대회 (준결선) | 대구 | 대구 스타디움 | [7] | [http://video.nate.com/213392766] | |
10초 16 | 1.8m | -0.07초 | 김국영 | 안양시청 | 2015. 07. 09 | 제28회 하계 유니버시아드 (예선) | 광주 | 광주월드컵경기장 | ||
10초 13 | 1.8m | -0.03초 | 김국영 | 광주광역시청 | 2017. 06. 25 | 제45회 KBS배 전국육상경기대회 (준결선) | 정선 | 정선 종합운동장 | ||
10초 07 | -0.06초 | 김국영 | 광주광역시청 | 2017. 06. 27 | 제45회 KBS배 전국육상경기대회 (결선) | 정선 | 정선 종합운동장 |
2. 2. 1. 1970년대 ~ 2000년대
서말구는 1979년 9월 9일 멕시코 멕시코 시에서 열린 제10회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 10초 34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최초로 전자 계시 한국 신기록을 수립했다.[5] 이 기록은 2000년대까지 깨지지 않았다.기록 | 선수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
10초 34 | 서말구 | 1979. 09. 09 | 제10회 하계 유니버시아드 | 멕시코 시 |
2. 2. 2. 김국영의 시대 (2010년대 ~ 현재)
김국영은 2010년 6월 7일 대구 대구 스타디움에서 열린 제64회 전국육상경기선수권대회에서 10초 23을 기록하며, 서말구가 1979년 제10회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 세운 10초 34의 대한민국 기록을 31년 만에 경신했다.[5][7]이후 김국영은 꾸준히 기록을 단축하여, 2015년 7월 9일 광주 광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제28회 하계 유니버시아드 예선에서 10초 16을 기록했다. 2017년 6월 25일에는 정선 정선 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제45회 KBS배 전국육상경기대회 준결선에서 10초 13을 기록했고, 이틀 뒤 같은 장소에서 열린 결선에서는 10초 07까지 기록을 단축하며 대한민국 육상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기록 | 바람 | 선수 | 소속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경기장 | 비고 |
---|---|---|---|---|---|---|---|---|
10초 31 | 김국영 | 안양시청 | 2010. 06. 07 | 제64회 전국육상경기선수권대회 (예선) | 대구 | 대구 스타디움 | [6] | |
10초 23 | 김국영 | 안양시청 | 2010. 06. 07 | 제64회 전국육상경기선수권대회 (준결선) | 대구 | 대구 스타디움 | [7] | |
10초 16 | 1.8m | 김국영 | 안양시청 | 2015. 07. 09 | 제28회 하계 유니버시아드 (예선) | 광주 | 광주월드컵경기장 | |
10초 13 | 1.8m | 김국영 | 광주광역시청 | 2017. 06. 25 | 제45회 KBS배 전국육상경기대회 (준결선) | 정선 | 정선 종합운동장 | |
10초 07 | 김국영 | 광주광역시청 | 2017. 06. 27 | 제45회 KBS배 전국육상경기대회 (결선) | 정선 | 정선 종합운동장 |
참조
[1]
뉴스
저조 극복한 육상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63-06-17
[2]
뉴스
한국 신기록 6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4-05-11
[3]
뉴스
정기선 100M에 10초3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66-09-26
[4]
뉴스
육상 한국신 5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9-04-16
[5]
뉴스
테니스 개인복식 동메달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79-09-10
[6]
뉴스
육상 기대주 김국영, 31년만에 남자 100m 한국 新…10초 23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10-06-07
[7]
뉴스
‘깨어난 한국육상’ 준결서 신기록 3명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