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정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정현은 대한민국의 소설가로, 1933년 충청남도 서산에서 태어나 2020년에 별세했다. 1958년 단편소설 〈경고구역〉으로 등단하여, 1961년 동인문학상을 수상했다. 정치성이 강한 작품 〈분지〉 발표로 반공법 위반으로 구속되었으며, 민주수호국민협의회 결성 및 민청학련 사건으로 구속되는 등 사회 참여적 활동을 펼쳤다. 작품 세계는 과장법, 반어법, 풍자 등을 통해 억압적인 정치 체제와 사회 부조리를 비판하는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고초등학교 동문 - 최양락
    최양락은 1981년 데뷔하여 1980년대 대표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활약하며 큰 인기를 얻은 대한민국의 코미디언이자 방송인, 라디오 DJ이며, 2002년부터 2016년까지 라디오 DJ로도 인정받았고 드라마, 영화, CF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배우자는 희극인 팽현숙이다.
  • 동인문학상 수상자 - 김훈 (소설가)
    김훈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언론인으로, 1994년 등단 후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을 발표하며 문명을 얻었고, 간결하고 힘 있는 문체와 인물 내면 묘사가 특징이며,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고, 언론인으로 활동하다가 전업 작가가 되었다.
  • 동인문학상 수상자 - 성석제
    성석제는 해학과 풍자를 통해 인간과 사회의 부조리를 그려내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유머와 비애를 조화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으며 다양한 문학상을 수상했다.
남정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남정현
출생일1933년 12월 13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조선 충청남도 서산
사망일2020년 12월 21일 (향년 87세)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묘지마석모란공원
국적대한민국
직업소설가
언어한국어
활동 기간1958년 ~ 2020년
학력
학교서산농림중학교 졸업
학교대전사범학교 중퇴
경력
직업홍익대학교 겸임교수
정당민주당 당무위원
가족
배우자손남
자녀1남 1녀
작품 활동
장르소설
데뷔 작품경고구역
주요 작품분지
한국어 이름 정보
한글남정현
한자南廷賢
로마자 표기Nam Jeong-hyeon
기타 정보

2. 생애

남정현은 1958년 자유문학에 〈경고구역〉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당시 자유문학을 주도하던 소설가는 안수길, 주요섭, 이무영 등이었다.[14]

1966년 대표작 〈분지〉가 반공법 위반으로 문제가 되어 구속되었다가 집행유예로 풀려났다.[11] 1971년 〈민주수호국민협의회〉 결성에 참여했고, 1974년에는 민청학련사건으로 6개월간 구속되었다가 긴급조치 해제로 석방되었다. 이후 자유실천문인협의회에 참여하여 〈허허선생〉 연작을 통해 사회악에 대항하면서도 풍자적인 소설세계를 보여주었다.[12]

1987년 문학작품에 대한 해금조치로 작품집 《분지》가 다시 주목받았으며, 2002년 제12회 민족예술상(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제정)을 받았다.[12] 2012년에는 안수길 전집 간행위원회 대표를 맡았다.[15]

2. 1. 유년 시절과 학창 시절

南廷賢|남정현중국어은 1933년 12월 13일 충청남도 서산에서 태어났다. 부친은 일제 강점기 교장 선생님으로 "전기와 전화기가 없는 집에서 살아보지 않았다"고 말할 정도로 부유한 집안이었다.[13]

그러나, 키 163센티미터에 몸무게 40킬로그램에 머물고 있을 만큼 체구가 작았다. 두 살 때 높은 데서 떨어져 반년 이상 젖 한 모금 빨지 못하다 간신히 살아났고, 네 살 때 누나가 요람을 태워주다 잘못해 벽에 부딪히는 사고로 여러 달 고열에 시달리기도 했다. 1938년 부친이 충청남도 아산 온양국민학교 교장에 부임하면서 아산으로 거처를 옮겼다. 1940년 충남 아산 도고국민학교에 입학했고, 1942년 국민학교 3학년 때는 아산에서 어른들이 칡뿌리 캐는 것을 구경하다가 뒤통수를 곡괭이에 찍혀 의식이 나흘이나 돌아오지 않아 집안에서 장례를 준비하던 도중 눈을 뜬 일이 있기도 하는 등 생명의 고비를 여러 차례 넘었고, 잔병치레가 많았다.[14]

해방 이듬해(1946년) 도고국민학교를 졸업하고 서산농림중학교에 진학했으나 폐결핵에 걸렸다. 남정현은 "결핵에 걸려 힘이 빠지고 누워만 있다보니 책만 읽었다"고 회고하며, 이때 "해방 후 우리말로 번역된 사회과학서적이 없을 때 일본 와세다 대학 철학과를 다니던 친구의 형 집에 있던 사회과학·철학 번역서 300권을 다 읽었다"고 한다.[13]

폐결핵이 장과 임파선 등으로 전이돼 여러 번 수술했는데, 남정현은 "임파결핵에 걸리면 다 죽었는데 목만 13번을 수술해 안 죽고 지금까지 산 것도 기적"이라고 말했다. 1949년에 겨우 농림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해(1949년) 대전사범학교에 진학했지만,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결국 1년 후 1951년 대전사범학교를 중퇴하고 학업을 중단했다. 전시에 홍익대학교가 대전으로 이전했을 때 무작정 들어가 강의를 들으며 '문학을 생각하게 됐다'고 한다.[13]

2. 2. 등단과 작품 활동

1959년 자유문학에 단편 〈경고구역〉과 〈굴뚝 밑의 유산〉이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다. 그 뒤 〈모의시체〉(자유문학, 1959. 7), 〈누락인종〉(자유문학, 1960. 3), 〈너는 뭐냐〉(자유문학, 1961. 3), 〈혁명이후〉(한양, 1963. 10), 〈분지〉(현대문학, 1965. 3), 〈허허(許虛) 선생〉(문학사상, 1973. 2) 등을 발표했다.[11]

1961년에는 「너는 뭐냐」로 동인문학상을 수상했다.

1965년 현대문학에 발표한 「분지」는 한국에 주둔하는 미군이 강간 및 폭행하는 모습을 그린 정치성이 강한 작품이다. 이 「분지」가 북한의 통일전선 및 재일 조선인 잡지 통일평론에 소개된 것으로 인해 반공법에 의해 기소되어 재판을 받았다. 이른바 「분지 필화 사건」이다.

소설집으로 〈너는 뭐냐〉(1965), 〈굴뚝 밑의 유산〉(1967), 〈서울을 사는 고독과 희열〉(1969), 〈사랑하는 소리〉(1978), 〈분지〉(1987) 등이 있다.[11]

그는 현실의 부조리와 병폐를 풍자적으로 다루었으며,[11] 1960년대 중반부터 한반도에 대하여 반핵과 평화의 메시지를 자신의 문학 작품에 실어 왔다.[13]

2. 3. 말년

南廷賢|남정현중국어은 2020년 12월 21일에 숙환으로 별세하였다.[4] 향년 87세였다.[6]

3. 작품 세계

남정현은 과장법, 반어법, 풍유, 풍자 등의 문학적 기법을 사용하여 현대인과 그가 살아가는 사회의 전도된 가치를 묘사하면서, 억압적인 정치 체제와 부패한 사회에 대한 강력한 비난을 쏟아냈다.[5] 예를 들어, 분지(1965)는 전후 대한민국을 한편으로는 교활함, 아첨, 권력 남용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미국의 제국주의에 의해 유린당한 오염된 땅에 비유했다.[5] 1960년대 대한민국의 상황에 대한 신랄한 비판인 이 작품은 후에 북한의 잡지 〈통일전선〉에 게재되었다.[5] 이 사실은 남정현이 반공법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그를 투옥시킨 대한민국 당국에 의해 이용되었다.[5] 그는 1967년에 석방되었지만, 악명 높은 대통령 긴급조치 1호 위반 혐의로 1974년에 두 번째로 투옥되었다.[5] 남정현이 소설에서 비난하는 것은 바로 그가 희생자였던 권력 남용과 그로 인한 불의이다.[5] 비판의 목소리는 〈부전자상서〉에서 절정에 달한다.[5] 그러나 남정현의 만연한 불의에 대한 비판은 아무리 신랄하다 해도 독자들에게 다소 허무한 느낌을 남길 수 있다.[5] 그의 작품은 표면적인 현상을 다루는 데 그치며, 그 아래에 숨어 있을지도 모르는 것을 성찰하는 데 실패한다.[5]

1959년 〈자유문학〉에 단편 〈경고구역〉과 〈굴뚝 밑의 유산〉이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다.[11] 그 뒤 〈모의 시체〉(자유문학, 1959. 7), 〈누락 인종〉(자유문학, 1960. 3), 〈너는 뭐냐〉(자유문학, 1961. 3), 〈혁명이후〉(한양, 1963. 10), 〈분지〉(현대문학, 1965. 3), 〈허허 선생〉(문학사상, 1973. 2) 등을 발표했다.[11]

소설집으로 〈너는 뭐냐〉(1965), 〈굴뚝 밑의 유산〉(1967), 〈서울을 사는 고독과 희열〉(1969), 〈사랑하는 소리〉(1978), 〈분지〉(1987) 등이 있다.[11]

4. 정치 활동


  • 홍익대학교 겸임교수
  • 민주당 당무위원 (1996년 8월 ~ 1997년 8월)


1965년 현대문학에 발표한 「분지」는 한국에 주둔하는 미군이 강간 및 폭행하는 모습을 그린 정치성이 강한 작품이다. 이 「분지」가 북한의 『통일전선』 및 재일 조선인 잡지 『통일평론』에 소개된 것으로 인해 남정현은 반공법에 의해 기소되어 재판을 받았다. 이른바 「분지 필화 사건」이다. 그 외에도 1971년에 민주수호국민협의회 결성에 참여했고, 1974년 3월 민청학련 사건으로 인한 대통령 긴급조치 위반으로 체포되어 8월까지 투옥되었다.[11][13]

5. 가족 관계

남정현의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
아들남돈희1960년
며느리나명주1967년
남진희1969년
사위우승훈1966년


6. 수상 경력

남정현은 1961년에 제6회 동인문학상을 수상하였고, 2002년에 제12회 민족예술상을 수상하였다.[1]

7. 대표 작품 목록

남정현은 단편 소설과 장편 소설을 모두 창작했다. 그의 소설집으로는 〈너는 뭐냐〉(1965), 〈굴뚝 밑의 유산〉(1967), 〈서울을 사는 고독과 희열〉(1969), 〈사랑하는 소리〉(1978), 〈분지〉(1987) 등이 있다.[11]

7. 1. 단편 소설

1959년 《자유문학》에 단편 〈경고구역〉과 〈굴뚝 밑의 유산〉이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다. 그 뒤 〈모의시체〉(《자유문학》, 1959. 7), 〈누락인종〉(《자유문학》, 1960. 3), 〈너는 뭐냐〉(《자유문학》, 1961. 3), 〈혁명이후〉(《한양》, 1963. 10), 〈분지〉(《현대문학》, 1965. 3), 〈허허(許虛) 선생〉(《문학사상》, 1973. 2) 등을 발표했다.[11]

과장법, 반어법, 풍유, 풍자 등의 문학적 기법을 사용하여 현대인과 그가 살아가는 사회의 전도된 가치를 묘사하면서, 남정현은 억압적인 정치 체제와 부패한 사회에 대한 강력한 비난을 쏟아냈다. 예를 들어, 〈분지〉(1965)는 전후 대한민국을 한편으로는 교활함, 아첨, 권력 남용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미국의 제국주의에 의해 유린당한 오염된 땅에 비유했다. 1960년대 대한민국의 상황에 대한 신랄한 비판인 이 작품은 후에 북한의 잡지 《통일전선》에 게재되었다. 이 사실은 남정현이 반공법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그를 투옥시킨 대한민국 당국에 의해 이용되었다. 그는 1967년에 석방되었지만, 악명 높은 대통령 긴급조치 1호 위반 혐의로 1974년에 두 번째로 투옥되었다. 남정현이 소설에서 비난하는 것은 바로 그가 희생자였던 권력 남용과 그로 인한 불의이다. 비판의 목소리는 〈부전자상서〉에서 절정에 달한다. 그러나 남정현의 만연한 불의에 대한 비판은 아무리 신랄하다 해도 독자들에게 다소 허무한 느낌을 남길 수 있다. 그의 작품은 표면적인 현상을 다루는 데 그치며, 그 아래에 숨어 있을지도 모르는 것을 성찰하는 데 실패한다.[5]

  • 〈아버지에게 보내는 편지〉 (부주전상서)
  • 〈경고구역〉
  • 〈모의 시체〉
  • 〈너는 뭐냐〉
  • 〈혁명 후기〉
  • 〈허허 선생〉
  • 〈분지〉(1965)

7. 2. 장편 소설


  • 경고구역
  • 굴뚝 밑의 유산
  • 모의 시체
  • 인간 플래카드
  • 누락 인종
  • 기상도
  • 너는 뭐냐
  • 자수민
  • 광태
  • 현장
  • 부주전상서
  • 사회봉
  • 탈의기
  • 분지
  • 허허 선생
  • 천지현황
  • 방귀 소리
  • 성지
  • 세상의 그 끝에서

8. 번역 작품

남정현 번역 작품 목록
작품명번역자출판사출판 연도비고
분지임계(이승옥)신흥서방1967년《세월 - 현대 남조선 소설선》 수록
분지오구라 히사시창토사1973년《현대 조선 문학선 1》 수록
사회봉오구라 히사시창토사1973년《현대 조선 문학선 1》 수록
허허 선생·Ⅱ이승옥동성사1978년《현대 한국 소설선 1 - 제국 유령·황구의 비명》 수록
분지오무라 마스오이와나미 서점1988년《한국 단편 소설선》 수록, ISBN 4000003232 / ISBN 978-4000003230


참조

[1] 웹사이트 Nam Jung-hyun http://klti.or.kr/ke[...] 2013-09-21
[2] 웹사이트 남정현 http://people.search[...] Naver 2013-11-08
[3] 서적 Land of Excrement Asia Publishers
[4] 뉴스 소설가 남정현 별세…대표작 '분지'로 옥고 https://www.yna.co.k[...] YNA 2020-12-21
[5] 웹사이트 Nam Jung-hyun http://klti.or.kr/ke[...] 2013-09-21
[6] 웹사이트 ‘분지’의 작가 남정현 별세 https://www.hani.co.[...] 2023-07-14
[7] 웹사이트 (53)의령 남씨(宜寧南氏)-150,394명 http://www.seoulecon[...] 2022-08-16
[8] 웹사이트 남정현 (ナム・ジョンヒョン) http://srchuci.chosu[...] 2011-09-23
[9] 웹사이트 인물정보(人物情報) http://people.search[...] 2011-09-23
[10] 웹사이트 資料検索(標準) http://catalog.libra[...] 2011-09-23
[11] 웹인용 남정현 http://100.daum.net/[...] 2018-08-24
[12] 웹인용 남정현 https://munjang.or.k[...]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8-08-24
[13] 뉴스인용 [원희복의 인물탐구]‘편지한통’ 낸 소설가 남정현···시간을 뛰어넘어, 한반도를 사랑한 해학가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8-08-24
[14] 저널인용 외세에 짓밟힌 오물의 땅, 분지 남정현 2018-08-24
[15] 뉴스인용 안수길 전집 간행위원회 대표 맡은 원로작가 남정현 “선생님의 죽음은 문학을 위한 순절이었지요”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8-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