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시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낭시 전투는 1477년 1월 5일, 부르고뉴 공작 샤를 1세와 로렌 공작 르네 2세의 연합군 간에 벌어진 전투이다. 샤를 1세는 낭시를 포위했으나, 르네 2세가 이끄는 스위스 용병과 로렌 군의 연합군에 의해 패배하고 전사했다. 이 전투는 부르고뉴 공국의 멸망과 합스부르크 가문의 부상을 초래했으며, 프랑스와 합스부르크 간의 영토 분쟁의 시발점이 되었다. 르네 2세는 전투 승리를 기념하여 낭시 노트르담드봉세쿠르 성당 등을 건립했으며, 낭시 전투는 문학 작품과 미술 작품의 소재로도 활용되었다.
1476년, 샤를 1세는 로렌 공작 르네 2세의 군대로부터 로렌 공국의 수도 낭시를 탈환하기 위해 이곳을 포위했다. 샤를 1세는 혹독한 겨울 날씨에도 불구하고, 날씨가 좋아지면 르네 2세가 구원군을 이끌고 올 것임을 알고 있었기에 어떻게든 공성전을 완료하려고 하였다.
2. 배경
12월 하순, 르네 2세는 로렌과 라인 저지 동맹에서 10,000~12,000명, 스위스 연방에서 용병 10,000명을 집결시켜 1477년 1월 초순 낭시를 향해 진군을 시작했다. 1월 5일 이른 아침, 눈이 쌓인 상황에서도 낭시에 도착했다. 샤를 1세는 르네 2세의 군대가 가까이 왔음을 알고, 낭시 남쪽에 있는 강력한 방어 거점에 군대 대부분을 배치했다. 그곳은 배후에 계곡물이 흐르는 골짜기로써 제일 좁은 곳에는 급경사에 나무가 우거져 있었다. 샤를 1세는 스위스 군대가 이 급경사를 내려와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샤를 1세가 동원할 수 있었던 정확한 병력 수는 파악하기 어려우나, 현대 학자들은 4,000명~8,000명 사이로 추정한다.[2] 당시 부르고뉴 군은 근위병을 제외하면 대부분 훈련병이었고, 이론상 최대치의 50% 정도의 실력밖에 발휘하지 못했다. 샤를 1세는 보병 중대와 근위기병에게 30문의 야포를 언덕 정상 정면에 배치하고, 말에 오른 기사와 쿠티유를 양익에 배치하는 전략을 펼쳤다.
6개월 전 무르텐 전투에서 정찰 부족으로 큰 피해를 보았던 샤를 1세와 달리, 연합군은 정찰을 통해 부르고뉴 군 진지에 대한 정면 공격이 큰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파악했다.
2. 1. 부르고뉴 군
1476년 샤를 1세는 로렌 공작 르네 2세의 군대로부터 로렌 공국의 수도 낭시를 탈환하기 위해 군대를 이끌고 낭시를 포위했다. 혹독한 겨울 날씨에도 불구하고 샤를 1세는 날씨가 좋아지면 르네 2세가 구원군을 이끌고 올 것을 알고 있었기에 포위 공격을 서둘렀다.[1]
12월 말, 르네 2세는 로렌과 라인강 하류 동맹에서 10,000~12,000명의 병력을, 스위스 연방에서 8,000~10,000명의 용병을 모아[3] 1477년 1월 초 낭시로 진격했다. 1월 5일 이른 아침, 르네 2세의 군대는 낭시에 도착했다. 샤를 1세는 르네 2세의 군대가 가까이 왔음을 알고 낭시 남쪽의 방어 거점에 군대 대부분을 배치했다. 그곳은 배후에 계곡물이 흐르는 골짜기로, 가장 좁은 곳에는 급경사에 나무가 우거져 있었다. 샤를 1세는 스위스 군대가 이 급경사를 내려와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당시 부르고뉴 군의 정확한 병력 규모는 파악하기 어려우나, 현대 학자들은 4,000명~8,000명 사이로 추정한다.[2] 이 전투에서 근위병을 제외한 대부분의 병력은 훈련병이었고, 이론상 최대치의 50% 정도의 실력밖에 발휘하지 못했다.
샤를 1세는 르네 2세의 군대가 가까이 오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보병 중대와 근위기병에게 30문의 야포를 언덕 정상 정면에 배치하고, 말에 오른 기사와 쿠티유를 양익에 배치하여 방어 진형을 갖추었다.
6개월 전 무르텐 전투에서 정찰 부족으로 큰 손실을 입었던 샤를 1세와 달리, 연합군은 정찰을 통해 부르고뉴 군 진지에 대한 정면 공격이 큰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파악했다. 이에 따라 스위스군은 7,000명의 보병과 2,000명의 기병으로 구성된 전위부대(Vorhut)를 우익에서 공격하게 하고, 8,000명의 보병과 1,300명의 기병으로 구성된 주력부대(Gewalthut)는 부르고뉴 군의 좌측 옆구리를 공격하기 위해 어려운 길을 우회하여 행군해 나무가 우거지고 눈이 두텁게 쌓인 경사면 위에 진지를 구축했다. 부르고뉴 군은 이들을 볼 수 없었다. 800명의 소총병(handgunners)으로 이루어진 소규모 후위부대(Nachhut)는 예비대로 남겨졌다.
2. 2. 로렌-스위스 연합군
1476년 12월 말, 로렌 공작 르네 2세는 로렌과 라인 저지 동맹에서 10,000~12,000명의 병력을, 스위스 연방에서 용병 8,000~10,000명을 모았다.[3] 르네는 1477년 1월 초 낭시로 진격을 시작하여 1월 5일 이른 아침 낭시에 도착했다.
로렌-스위스 연합군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3. 전투
1477년 1월 5일, 샤를이 이끄는 부르고뉴 군대와 로렌 공작 르네 2세가 이끄는 스위스-로렌 연합군 사이에 낭시 전투가 벌어졌다. 샤를은 낭시를 포위 공격하고 있었으나, 르네 2세는 스위스 용병의 지원을 받아 낭시를 구원하러 왔다.
전투는 약 2시간 동안 진행되었다. 스위스군은 쐐기 대형을 이루어 부르고뉴군 진영으로 돌격했다. 부르고뉴군 포병은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고, 부르고뉴군 우익 기병은 스위스군에게 격퇴되었다. 스위스군은 부르고뉴군 좌익과 포병대를 공격했고, 샤를은 군대를 재정비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샤를은 스위스군에게 포위되어 장창병이 휘두른 할버드에 머리를 맞아 전사했다.
샤를의 죽음으로 발루아-부르고뉴 가문의 부르고뉴 공국은 사실상 멸망했다.[10]
3. 1. 스위스 군의 측면 공격
약 2시간 동안 행군한 후, 스위스군 주력 부대는 부르고뉴군 진영 바로 뒤편 경사면의 덤불 속에서 쐐기 모양의 대형을 갖추고 나타났다.[11] 스위스군의 뿔피리가 세 번 울리자, 스위스군은 부르고뉴 진영을 향해 언덕을 내려가며 돌격했다.[12] 부르고뉴군의 대포는 스위스 주력 부대를 향해 조준되었으나, 실전에서 충분한 위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한 번의 사격에서 단 두 명만이 사망했다. 부르고뉴군 우익의 기병대는 스위스 보병대를 격퇴했지만, 수적으로 우세한 스위스 보병과 열세인 부르고뉴 보병 대형 간의 전투는 일방적으로 진행되었다.
스위스군 선봉대는 부르고뉴군 좌익과 포병대를 공격하여 후퇴시켰다. 스위스 주력 부대는 샤를 1세의 좌측 측면을 압박하며 공격했고, 샤를은 무너지는 군대를 재정비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샤를과 그의 소대는 스위스군에게 포위되었고, 장창병이 휘두른 장창에 머리를 맞아 헬멧에 치명적인 일격을 입었다.[13] 샤를이 쓰러지는 모습은 목격되었으나, 전투의 혼란 속에서 그의 죽음은 즉시 알려지지 않았다.
3. 2. 샤를 1세의 죽음
약 2시간 동안 행군한 후, 스위스군 주력 부대는 부르고뉴군 진영 바로 뒤편 경사면 덤불 속에서 쐐기형 대형을 짜서 나타났다.[11] 스위스군의 뿔피리가 세 번 울리자, 스위스군은 부르고뉴군 진영을 향해 언덕을 내려가며 돌격했다.[12] 부르고뉴군 대포는 주력 부대를 향해 재훈련을 받았지만, 실전에서 충분한 위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일제 사격 한 번에 죽은 자는 두 명뿐이었다. 부르고뉴군 우익 기병은 스위스 보병 집단을 격퇴했지만, 수적으로 우세한 스위스 보병과의 불리한 싸움에서 부르고뉴 보병의 대형은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
선봉대는 부르고뉴군 좌익을 격퇴하고, 포병을 퇴각시켰다. 샤를 1세와 지휘관들은 끝까지 무너진 군세를 정비하려고 노력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그의 소대는 퇴각했지만, 마지막에는 스위스군 일단에 포위되었다. 할버드병이 재빠른 일격을 샤를의 머리에 가하여, 투구에 치명적인 일격을 가했다.[13] 샤를이 쓰러지는 모습은 보였지만, 그 주변은 전투로 혼란스러웠다.
그의 훼손된 시신이 발견되어, 학살당한 시체 더미에서 그가 본인임을 확인하는 데 3일이나 걸렸다. 이렇게 발루아-부르고뉴 가문의 사실상 마지막 부르고뉴 공작은 전사했다.[10]
4. 전투의 결과
샤를 1세가 낭시 전투에서 사망하면서, 부르고뉴 공국은 상속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샤를 1세에게는 아들이 없었고, 유일한 상속자는 딸 마리였다. 프랑스의 루이 11세는 부르고뉴를 프랑스 왕실에 귀속시키려 했으나, 마리는 막시밀리안 1세와 결혼하여 상속지를 지키려 했다. 이로 인해 막시밀리안 1세와 루이 11세 사이에 무력 충돌이 발생했고, 1479년 긴가트 전투에서 막시밀리안 1세가 승리하며 부르고뉴 공국의 대부분이 합스부르크 가문으로 넘어가게 되었다.[15]
4. 1. 부르고뉴 공국의 분할
샤를 1세는 적법한 상속을 위한 아들이 없었고 그의 유일한 딸 마리만 남게 되었다. 샤를 1세의 영지인 부르고뉴는 왕자령으로 상속자가 단절되었을 때 프랑스 왕실로 귀속되는 전통이 있었다.[14] 따라서 프랑스의 루이 11세는 군대를 동원하여 부르고뉴를 왕실에 귀속시키려 했다. 또한 자신의 아들 도팽 샤를(훗날 샤를 8세)과 마리(샤를 1세의 딸)를 혼인시키려 했다. 그러나 마리는 막시밀리안 1세에게 도움을 요청한 후 1477년 8월에 그와 혼인하여 그녀의 상속지를 지키려했다.막시밀리안 1세와 루이 11세간에 무력충돌이 벌어졌는데, 1479년 8월에 벌어진 긴가트 전투에서 프랑스를 패배시키며 대부분의 부르고뉴 공국은 합스부르크 가문으로 넘어가게 되었다.[15] 1482년 마리가 낙마사고로 사망하자 다시 영토분쟁이 불거졌다. 막시밀리안 1세는 루이 11세와 1482년 12월 23일에 아라스 조약을 맺고 영토분쟁을 마무리 짖고 자신의 2살된 딸 마르게리타와 루이 11세의 장남 도팽 샤를과 약혼시켰다.
훗날 프랑스 왕에 즉위한 샤를 8세는 마르게리타와 파혼한 후 브리타뉴의 상속녀 안과 결혼한다. 샤를 8세는 1493년에 막시밀리안 1세와 상리스 조약을 맺고 마르게리타가 지참금으로 가져온 일부 브르고뉴 영지를 돌려주었다.[14]
4. 2. 합스부르크 가문의 부상
샤를 1세는 적법한 상속을 위한 아들이 없었고 그의 유일한 딸 마리만 남게 되었다. 샤를 1세의 영지인 부르고뉴는 왕자령으로 상속자가 단절되었을 때 프랑스 왕실로 귀속되는 전통이 있었다.[14] 따라서 프랑스의 루이 11세는 군대를 동원하여 부르고뉴를 왕실에 귀속시키려했다. 또한 자신의 아들 도팽 샤를(훗날 샤를 8세)과 마리(샤를 1세의 딸)를 혼인시키려 했다. 그러나 마리는 막시밀리안 1세에게 도움을 요청한 후 1477년 8월에 그와 혼인하여 그녀의 상속지를 지키려했다.막시밀리안 1세와 루이 11세간에 무력충돌이 벌어졌는데, 1479년 8월에 벌어진 긴가트 전투에서 프랑스를 패배시키며 대부분의 부르고뉴 공국은 합스부르크 가문으로 넘어가게 되었다.[15] 1482년 마리가 낙마사고로 사망하자 다시 영토분쟁이 불거졌다. 막시밀리안 1세는 루이 11세와 1482년 12월 23일에 아라스 조약을 맺고 영토분쟁을 마무리 짖고 자신의 2살된 딸 마르게리타와 루이 11세의 장남 도팽 샤를과 약혼시켰다.
훗날 프랑스 왕에 즉위한 샤를 8세는 마르게리타와 파혼한 후 브리타뉴의 상속녀 안과 결혼한다. 샤를 8세는 1493년에 막시밀리안 1세와 상리스 조약을 맺고 마르게리타가 지참금으로 가져온 일부 브리고뉴 영지를 돌려주었다.[14]
5. 낭시 전투의 의의
낭시 전투는 샤를 1세가 사망하면서 부르고뉴 공국의 운명과 유럽의 정치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온 사건이다.
5. 1. 정치적 측면
샤를 1세는 상속을 위한 적법한 아들이 없어, 유일한 딸 마리만 남게 되었다. 샤를 1세의 영지인 부르고뉴는 왕자령으로 상속자가 단절되었을 때 프랑스 왕실로 귀속되는 전통이 있었다.[14] 따라서 프랑스의 루이 11세는 군대를 동원하여 부르고뉴를 왕실에 귀속시키려 했다. 또한 자신의 아들 도팽 샤를(훗날 샤를 8세)과 마리(샤를 1세의 딸)를 혼인시키려 했다. 그러나 마리는 막시밀리안 1세에게 도움을 요청한 후 1477년 8월에 그와 혼인하여 그녀의 상속지를 지키려했다.막시밀리안 1세와 루이 11세 간에 무력충돌이 벌어졌는데, 1479년 8월에 벌어진 긴가트 전투에서 프랑스를 패배시키며 대부분의 부르고뉴 공국은 합스부르크 가문으로 넘어가게 되었다.[15] 1482년 마리가 낙마사고로 사망하자 다시 영토분쟁이 불거졌다. 막시밀리안 1세는 루이 11세와 1482년 12월 23일에 아라스 조약을 맺고 영토분쟁을 마무리 짖고 자신의 2살된 딸 마르게리타와 루이 11세의 장남 도팽 샤를과 약혼시켰다.
훗날 프랑스 왕에 즉위한 샤를 8세는 마르게리타와 파혼한 후 브리타뉴의 상속녀 안과 결혼한다. 샤를 8세는 1493년에 막시밀리안 1세와 상리스 조약을 맺고 마르게리타가 지참금으로 가져온 일부 브르고뉴 영지를 돌려주었다.[14]
6. 기념
르네 2세는 전투가 벌어진 자리에 노트르담드봉세쿠르 성당을 건립하고, 낭시에는 생프랑수아데코르들리에르 성당을 건립했다. 또한 이 전투에서 성 니콜라스의 도움을 기념하기 위해 생니콜라드포르 바실리카를 건설했다. 낭시는 용담공 샤를의 패배를 기념하기 위해 "감히 건드릴 수 없다"(Non inultus premor)라는 좌우명과 엉겅퀴 문장을 채택했다.
르네 2세는 샤를의 시신이 발견된 자리에 십자가를 세웠다. 근처의 생장 연못은 19세기에 매립되어 현재 낭시의 크루아드부르고뉴 광장이 되었다. 원래의 십자가는 로렌 박물관으로 옮겨졌고, 현재의 기념물은 빅토르 프루베(1928년)가 디자인했다.
생디에(생디에데보주)의 사제인 피에르 드 블라뤼는 부르고뉴와 로렌 간의 전쟁, 특히 낭시 전투를 다룬 5,044행의 라틴어 시 "낭세이드(la Nancéide)"라는 방대한 서사시를 지었다(1518년 초판).
월터 스콧 경은 낭시 전투에서 절정에 이르는 소설 아이리스 폰 가이어슈타인을 썼다(1829년 출판).
외젠 들라크루아는 1831년에 "낭시 전투"를 그렸다.
말그랑주(자르빌)에는 1877년 르네 2세의 공격을 기념하는 탑이 세워졌다.
6. 1. 기념물
르네 2세는 전투가 벌어진 자리에 노트르담드봉세쿠르 성당을 건립하고, 낭시 자체에는 생프랑수아데코르들리에르 성당을 건립했다. 또한 이 전투에서 성 니콜라스의 도움을 기념하기 위해 생니콜라드포르 바실리카를 건설했다. 낭시는 용담공 샤를의 패배를 기념하기 위해 "감히 건드릴 수 없다"(Non inultus premor)라는 모토와 엉겅퀴 문장을 채택했다.
르네 2세는 샤를의 시신이 발견된 자리에 십자가를 세웠다. 19세기에 근처의 생장 연못을 매립하여 현재 낭시의 크루아드부르고뉴 광장이 된 지역을 확보했다. 원래의 십자가는 로렌 박물관으로 옮겨졌고, 현재의 기념물은 빅토르 프루베(1928년)의 디자인이다.
생디에(생디에데보주)의 사제인 피에르 드 블라뤼는 부르고뉴와 로렌 간의 전쟁, 특히 낭시 전투를 다룬 5,044행의 라틴시 "낭세이드(la Nancéide)"라는 방대한 서사시를 지었다(1518년 초판).
월터 스콧 경은 낭시 전투에서 절정에 이르는 소설 아이리스 폰 가이어슈타인을 썼다(1829년 출판).
외젠 들라크루아는 1831년에 "낭시 전투"를 그렸다.
1877년 말그랑주(자르빌)에는 르네 2세의 공격을 기념하는 탑이 세워졌다.
6. 2. 문학 및 예술
르네 2세는 전투가 벌어진 자리에 노트르담드봉세쿠르 성당을 건립하고, 낭시에는 생프랑수아데코르들리에르 성당을 건립했다. 또한 이 전투에서 성 니콜라스의 도움을 기념하기 위해 생니콜라드포르 바실리카를 건설했다. 낭시는 샤를 용담공의 패배를 기념하기 위해 "감히 건드릴 수 없다"(Non inultus premor)라는 좌우명과 엉겅퀴 문장을 채택했다.
르네 2세는 샤를의 시신이 발견된 자리에 십자가를 세웠다. 근처의 생장 연못은 19세기에 매립되어 현재 낭시의 크루아드부르고뉴 광장이 되었다. 원래의 십자가는 로렌 박물관으로 옮겨졌고, 현재의 기념물은 빅토르 프루베(1928년)가 디자인했다.
생디에(생디에데보주)의 사제인 피에르 드 블라뤼는 부르고뉴와 로렌 간의 전쟁, 특히 낭시 전투를 다룬 5,044행의 라틴어 시 "낭세이드(la Nancéide)"라는 방대한 서사시를 지었다(1518년 초판).
월터 스콧 경은 낭시 전투에서 절정에 이르는 소설 아이리스 폰 가이어슈타인을 썼다(1829년 출판).
외젠 들라크루아는 1831년에 "낭시 전투"를 그렸다.
말그랑주(자르빌)에는 1877년 르네 2세의 공격을 기념하는 탑이 세워졌다.
참조
[1]
HDS
008885
[2]
서적
Charles the Bold : the last Valois Duke of Burgundy
https://books.google[...]
The Boydell Press
2002
[3]
HDS
8885
[4]
서적
History of Charles the Bold, Duke of Burgundy
https://archive.org/[...]
J.B. Lippincott & Co.
[5]
서적
History of Charles the Bold, Duke of Burgundy
https://books.google[...]
J.B. Lippincott & Co.
[6]
서적
On the Genealogy of Morality
[7]
서적
History of Charles the Bold, Duke of Burgundy
https://archive.org/[...]
J.B. Lippincott & Co.
[8]
웹사이트
Charles the Bold
https://warfarehisto[...]
[9]
서적
The artillery of the Dukes of Burgundy, 1363–1477
https://books.google[...]
Boydell Press
2005
[10]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11]
서적인용
History of Charles the Bold, Duke of Burgundy
https://archive.org/[...]
J.B. Lippincott & Co.
[12]
서적인용
History of Charles the Bold, Duke of Burgundy
https://archive.org/[...]
J.B. Lippincott & Co.
[13]
서적인용
History of Charles the Bold, Duke of Burgundy
https://archive.org/[...]
J.B. Lippincott & Co.
[14]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15]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