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향성 칼륨 통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향성 칼륨 통로는 세포 안으로 칼륨 이온의 이동을 촉진하는 막 단백질 채널로, 세포의 안정 막 전위를 조절하고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한다. 이 채널은 세포 밖으로의 칼륨 이동보다 세포 안으로의 이동을 더 쉽게 허용하는 "내향성 정류" 특성을 가지며, 폴리아민과 마그네슘 이온에 의해 차단된다. Kir 채널은 PIP2에 의해 활성화되며, 심근 세포의 심장 활동 전위 유지, 내피 세포의 산화 질소 합성 효소 조절, 신장의 칼륨 재흡수 및 배출, 뉴런과 심장 세포의 신경 전달 물질 조절, 췌장 베타 세포의 인슐린 분비 조절 등 다양한 세포 유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Kir 채널은 Kir1부터 Kir7까지 7개의 하위 패밀리로 분류되며, 유전자 돌연변이는 영아 지속성 과인슐린성 저혈당증, 바터 증후군, 안데르센 증후군 등 다양한 질병과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륨 통로 - 전압 개폐 칼륨 통로
전압 개폐 칼륨 통로는 세포막을 가로질러 칼륨 이온의 이동을 조절하며, 세포 흥분성과 신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막 단백질이다. - 칼륨 통로 - 칼슘 활성화 칼륨 통로
칼슘 활성화 칼륨 통로(KCa)는 세포 내 칼슘 이온 농도에 의해 활성화되는 칼륨 이온 통로로, 알파(α)와 베타(β) 서브유닛으로 구성된 사량체 구조를 가지며 혈관 조절, 청각 조율, 신경 전달 등 다양한 생리 과정에 관여한다. - 전기생리학 - 바이오피드백
바이오피드백은 정밀 기기로 생리적 활동을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 사고, 감정, 행동 변화를 유도하여 생리적 변화를 지원하며, 치료 및 성적 향상에 활용되는 과정이다. - 전기생리학 - 근전도 검사
근전도 검사는 근육과 신경의 기능 이상을 진단하기 위해 근육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는 검사로, 신경근 질환 진단, 운동 연구, 보툴리눔 독소 주입 보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인터페이스 제어 기술로도 연구된다. - 막관통 단백질 - T세포 수용체
T세포 수용체(TCR)는 T 세포 표면의 이량체 단백질 복합체로, MHC 분자에 결합된 펩타이드를 인식하며, CD3 분자와 복합체를 이루어 신호 전달을 매개하고, V(D)J 재조합을 통해 다양한 항원 특이성을 갖는 T 세포 생성에 기여하여, CAR-T 치료 등 면역 요법 발전에 기여했다. - 막관통 단백질 - 인테그린
인테그린은 세포와 세포 외 기질 사이의 부착과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α와 β 단백질 소단위체로 구성된 이종이량체 막 단백질로서,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하며 일부는 암세포 전이에 기여하고 혈전 관련 질환 치료의 표적이 된다.
내향성 칼륨 통로 | |
---|---|
개요 | |
![]() | |
약칭 | IRK |
다른 이름 | 내향 정류 K+ 채널 Kir 채널 anomalous rectifier |
식별자 | |
Pfam | PF01007 |
Pfam 클랜 | CL0030 |
InterPro | IPR013521 |
SMART | 해당 없음 |
PROSITE | 해당 없음 |
MEROPS | 해당 없음 |
SCOP | 1n9p |
TCDB | 1.A.2 |
OPM 패밀리 | 8 |
OPM 단백질 | 3SPG |
CAZy | 해당 없음 |
CDD | 해당 없음 |
기능 | |
기능 | 칼륨 이온의 수동 수송 |
상세 정보 | |
설명 | 내향성 정류 칼륨 통로 (IRK)는 칼륨 이온을 수동적으로 수송하는 막횡단 단백질 그룹이다. |
특징 | 전압 의존성 세포 내 ATP, 마그네슘, 폴리아민에 의해 차단됨 PIP2에 의해 활성화됨 |
발견 | 심장 근육에서 비정상적인 정류로 처음 발견됨 Noble, 1965 |
추가 연구 | 골격근에서 칼륨 투과성의 느린 변화로 추가 연구됨 Adrian et al, 1970 |
2. 내향성 정류의 개요
"내향성 정류" 채널은 양전하의 흐름, 즉 전류를 세포 밖으로 내보내는 것보다 세포 안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더 쉽게 하는 채널이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내향성 정류 채널은 세포의 안정 막 전위를 안정시켜 신경 활동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Kir 채널의 내향성 정류 현상은 세포 내 폴리아민의 일종인 스페르민과 마그네슘 이온에 의한 차단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들은 양의 전위에서 채널 구멍을 막아 바깥쪽으로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폴리아민에 의한 전압 의존적 차단은 안쪽 방향으로만 전류가 효율적으로 흐르도록 조절한다. 폴리아민 차단의 기본적인 원리는 알려져 있지만, 구체적인 작동 메커니즘은 아직 논쟁 중이다.[11]
모든 Kir 통로는 활성화를 위해 포스파티딜이노시톨 4,5-이중인산염(PIP2)을 필요로 한다.[12] PIP2는 Kir 2.2에 결합하여 직접 활성화시키며, 이는 작용제와 유사한 특성을 보인다.[13] 이러한 점에서 Kir 통로는 PIP2 리간드-개폐 이온 통로이다.
전압 고정 실험에서, 내향 전류(양전하가 세포 안으로 이동)는 아래쪽으로 처짐으로 표시되고, 외향 전류(양전하가 세포 밖으로 이동)는 위쪽으로 처짐으로 표시되는 것이 관례이다. 칼륨의 반전 전위보다 막 전위가 음의 값을 가지면, 내향성 정류 K+ 채널은 양전하를 띤 K+ 이온을 세포 안으로 흐르게 하여 막 전위를 안정 전위로 되돌린다. (그림 1. 참조) 예를 들어 막 전위가 채널의 안정 전위보다 음으로 고정되면(-60 mV) 내향 전류가 흐른다. 반면, 막 전위가 채널의 안정 전위보다 양으로 설정되면(+60 mV) 이 채널은 매우 적은 전류만 통과시킨다. 즉, 이 채널은 작동 전압 범위에서 외향 전류보다 내향 전류를 훨씬 더 많이 통과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채널은 완벽한 정류기는 아니며, 안정 전위보다 약 30 mV까지의 전압 범위에서는 약간의 외향 전류도 통과시킬 수 있다.
내향성 정류 채널은 활동 전위 이후 세포를 재분극시키는 역할을 하는 지연 정류기 및 A형 칼륨 채널과는 다르다. 이들 "전형적인" 칼륨 채널은 탈분극된 막 전위에서 내향 전류가 아닌 외향 칼륨 전류를 우선적으로 전달하며, "외향성 정류"라고 불린다. 내향성 정류는 처음 발견되었을 때, 외향 칼륨 전류와 구별하기 위해 "이상 정류"라고 불렸다.[8]
내향성 정류기는 "누설" K+ 전류를 담당하는 탠덤 기공 도메인 칼륨 채널과도 다르다.[9] "약한 내향성 정류기"는 K+ 반전 전위보다 양의 전압에서 측정 가능한 외향 K+ 전류를 전달하며(그림 1에서 0 nA 선 위의 작은 전류), "누설" 채널과 함께 세포의 안정 막 전위를 설정한다. 반면 "강한 내향성 정류기"는 외향 전류를 거의 전달하지 않으며, K+ 반전 전위보다 음의 전압에서 주로 활성화되어 내향 전류를 전달한다(그림 1에서 0 nA 선 아래의 훨씬 더 큰 전류).[10]
3. 내향성 정류의 메커니즘
4. PIP2에 의한 활성화
5. 역할
내향성 정류 칼륨 채널(Kir)은 세포 안팎으로 칼륨 이온(K+)을 통과시키는데, 세포 안으로 들어오는 내향 전류를 세포 밖으로 나가는 외향 전류보다 더 쉽게 통과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Kir 채널은 세포의 안정 막 전위를 유지하고 신경 활동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압 고정 실험에서 내향 전류(양전하가 세포 안으로 이동)는 아래쪽으로 처진 형태로, 외향 전류(양전하가 세포 밖으로 이동)는 위쪽으로 처진 형태로 나타난다. K+의 반전 전위보다 막 전위가 낮을 때, Kir 채널은 K+ 이온을 세포 안으로 들여보내 막 전위를 안정 전위로 되돌린다. (그림 1 참조) 막 전위가 Kir 채널의 안정 전위보다 낮게 고정되면 내향 전류가 흐르지만, 안정 전위보다 높게 설정되면 Kir 채널은 전류를 거의 통과시키지 않는다.
Kir 채널은 활동 전위 이후 세포를 다시 안정 상태로 만드는(재분극) 지연 정류기나 A형 칼륨 채널과는 다르다. 이들은 탈분극된 막 전위에서 주로 외향 칼륨 전류를 전달하여 "외향성 정류" 채널이라고 불린다. 처음 발견 당시, 내향성 정류는 이러한 외향 칼륨 전류와 구분하기 위해 "이상 정류"라고 불렸다.[8]
Kir 채널은 "누설" K+ 전류를 담당하는 탠덤 기공 도메인 칼륨 채널과도 다르다.[9] 일부 Kir 채널은 "약한 내향성 정류기"로 불리며, K+ 반전 전위보다 높은 전압에서 어느 정도 외향 K+ 전류를 전달하여 세포의 안정 막 전위를 조절한다. 반면 "강한 내향성 정류기"는 외향 전류를 거의 전달하지 않고, K+ 반전 전위보다 낮은 전압에서 활성화되어 내향 전류를 전달한다.[10]
5. 1. 위치별 기능
Kir 채널은 대식세포, 심장 및 신장 세포, 백혈구, 뉴런 및 내피 세포를 포함한 여러 세포 유형에서 발견된다. 음전위에서 작은 탈분극 K+ 전류를 매개함으로써, 안정 막 전위를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Kir3 그룹의 경우 억제성 신경 전달 물질 반응을 매개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세포 생리학에서의 역할은 세포 유형에 따라 다르다.
위치 | 기능 |
---|---|
심근 세포 | Kir 채널은 탈분극 시 닫히고 막 재분극을 늦추어 더 연장된 심장 활동 전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유형의 내향성 정류 채널은 활동 전위 후 신경 및 근육 세포의 재분극을 돕는 지연 정류 K+ 채널과 안정 전위의 상당 부분을 제공하는 칼륨 누출 채널과는 구별된다. |
내피 세포 | Kir 채널은 산화 질소 합성 효소의 조절에 관여한다. |
신장 | Kir 채널은 과잉 칼륨을 수집 세관으로 배출하여 소변으로 배출하거나, 또는 칼륨을 다시 몸 안으로 재흡수하는 데 관여할 수 있다. |
뉴런 및 심장 세포 | G 단백질 활성화 IRK (Kir3)는 신경 전달 물질에 의해 조절되는 중요한 조절자이다. GIRK2 채널의 돌연변이는 위버 마우스 돌연변이를 유발한다. "위버" 돌연변이 마우스는 운동 실조증을 보이며 도파민성 뉴런의 신경 염증 매개 퇴행을 나타낸다.[14] 운동 실조증이 없는 대조군에 비해, 위버 돌연변이는 운동 협응력의 결함과 국소 뇌 대사의 변화를 보인다.[15] 위버 마우스는 신경 발달 및 질병에 관심 있는 연구실에서 30년 이상 연구되어 왔다. |
췌장 베타 세포 | KATP 채널(Kir6.2 및 SUR1 소단위체로 구성)은 인슐린 분비를 조절한다. |
6. 조절
내향성 칼륨 통로의 전압 의존성은 외부 K+, 내부 Mg2+, 내부 ATP 및/또는 G 단백질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16] IRK 채널의 P 도메인은 VIC 계열의 P 도메인과 제한적인 서열 상동성을 보인다. 내향성 정류 채널은 세포막 전위를 설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탈분극 시 이러한 채널이 닫히면 평탄상(plateau phase)을 갖는 장기간 활동 전위의 발생이 가능하다.[16]
내향성 정류 채널은 많은 VIC 계열 채널에서 발견되는 고유의 전압 감지 나선을 갖고 있지 않다. Kir1.1a, Kir6.1 및 Kir6.2와 같은 일부 경우에는 ABC 슈퍼패밀리 구성원과의 직접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ATP 감수성을 포함하여 이종 이량체 복합체에 고유한 기능적 및 조절적 특성을 부여한다고 제안되었다.[16] 이러한 ATP 감수성 채널은 많은 신체 조직에서 발견되며, 세포질 ATP/ADP 비율에 반응하여 채널 활성을 조절한다(ATP/ADP 증가 시 채널이 닫힘).[16] 인간 SUR1 및 SUR2 설포닐우레아 수용체(각각 spQ09428 및 Q15527)는 ATP에 반응하여 Kir6.1 및 Kir6.2 채널을 조절하는 ABC 단백질이며, CFTR([http://www.tcdb.org/search/result.php?tc=3.A.1.208.4 TC #3.A.1.208.4])은 Kir1.1a를 조절할 수 있다.[16]
7. 구조
버크홀데리아 슈도말레이(Burkholderia pseudomallei)에서 유래된 KirBac1.1은 333개의 아미노 아실 잔기(aas)로 구성되어 있으며, N-말단에 위치한 두 개의 TMS가 P-루프(잔기 1-150)를 감싸고 있고, 단백질의 C-말단 절반은 친수성이다. KirBac1.1은 K ≈ Rb ≈ Cs ≫ Li ≈ Na ≈ NMGM (protonated|양성자화된영어 ''N''-메틸-D-글루카민)의 선택성을 가지고 일가 양이온을 수송하며, Ba2+, Ca2+, 낮은 pH에 의해 활성이 억제된다.[18] IRK-C 계열 세균 구성원의 결정 구조[17]와 기능[18]이 밝혀졌다.
8. 분류
내향성 칼륨 통로(Kir)에는 Kir1 ~ Kir7로 표시되는 7개의 하위 패밀리가 있다.[1] 각 하위 패밀리에는 포유류 종에서 거의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 여러 구성원(예: Kir2.1, Kir2.2, Kir2.3 등)이 있다.
Kir 채널은 4개의 동일한 단백질 서브 유닛으로 구성된 동형사량체 막 단백질이다. 각 서브 유닛은 두 개의 막 관통 알파 나선(M1 및 M2)을 가진다. 이종 사량체는 채널이 과발현될 때 동일한 하위 패밀리(예: Kir2.1 및 Kir2.3)의 구성원 간에 형성될 수 있다.
8. 1. 다양성
유전자 | 단백질 | 별칭 | 관련된 소단위체 |
---|---|---|---|
KCNJ1 | Kir1.1 | ROMK1 | NHERF2 |
KCNJ2 | Kir2.1 | IRK1 | Kir2.2, Kir4.1, PSD-95, SAP97, AKAP79 |
KCNJ12 | Kir2.2 | IRK2 | Kir2.1 및 Kir2.3은 이종 이량체 채널 형성, 보조 소단위체: SAP97, Veli-1, Veli-3, PSD-95 |
KCNJ4 | Kir2.3 | IRK3 | Kir2.1 및 Kir2.3은 이종 이량체 채널 형성, PSD-95, Chapsyn-110/PSD-93 |
KCNJ14 | Kir2.4 | IRK4 | Kir2.1은 이종 이량체 채널 형성 |
KCNJ3 | Kir3.1 | GIRK1, KGA | Kir3.2, Kir3.4, Kir3.5, Kir3.1은 단독으로는 기능하지 않음 |
KCNJ6 | Kir3.2 | GIRK2 | Kir3.1, Kir3.3, Kir3.4는 이종 이량체 채널 형성 |
KCNJ9 | Kir3.3 | GIRK3 | Kir3.1, Kir3.2는 이종 이량체 채널 형성 |
KCNJ5 | Kir3.4 | GIRK4 | Kir3.1, Kir3.2, Kir3.3 |
KCNJ10 | Kir4.1 | Kir1.2 | Kir4.2, Kir5.1, 및 Kir2.1은 이종 이량체 채널 형성 |
KCNJ15 | Kir4.2 | Kir1.3 | |
KCNJ16 | Kir5.1 | BIR 9 | |
KCNJ8 | Kir6.1 | KATP | SUR2B |
KCNJ11 | Kir6.2 | KATP | SUR1, SUR2A, 및 SUR2B |
KCNJ13 | Kir7.1 | Kir1.4 |
9. Kir 채널 관련 질병
- '''영아 지속성 과인슐린성 저혈당증'''은 Kir6.2의 상염색체 열성 돌연변이와 관련이 있다. 이 유전자의 특정 돌연변이는 채널의 인슐린 분비 조절 능력을 감소시켜 저혈당증을 유발한다.
- '''바터 증후군'''은 Kir 채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 질환은 신장이 칼륨을 재활용하지 못하여 체내 낮은 칼륨 수치를 특징으로 한다.
- '''안데르센 증후군'''은 Kir2.1의 다중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드문 질환이다. 돌연변이에 따라 우성 또는 열성일 수 있으며, 주기성 마비, 심장 부정맥 및 기형적인 특징을 보인다. (KCNJ2 참고)
- '''바륨 중독'''은 Kir 채널을 차단하는 능력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 '''죽상동맥경화증 (심장 질환)'''은 Kir 채널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내피 세포에서 Kir 전류의 손실은 죽상 발생(심장 질환의 시작)의 첫 번째 알려진 지표 중 하나이다.
- '''갑상선 중독성 저칼륨혈증 주기성 마비'''는 변형된 Kir2.6 기능과 관련이 있다.[19]
- '''EAST/SeSAME 증후군'''은 KCNJ10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20]
참조
[1]
논문
International Union of Pharmacology. LIV. Nomenclature and Molecular Relationships of Inwardly Rectifying Potassium Channels
2005-12
[2]
논문
Inward rectifier potassium channels in plants differ from their animal counterparts in response to voltage and channel modulators
[3]
웹사이트
1.A.2 Inward Rectifier K Channel (IRK-C) Family
http://www.tcdb.org/[...]
2016-04-09
[4]
논문
Lipid agonism: The PIP2 paradigm of ligand-gated ion channels
2015-05
[5]
논문
Channelopathies of inwardly rectifying potassium channels
1999-11
[6]
논문
Electrical properties of cardiac muscle attributable to inward going (anomalous) rectification
https://onlinelibrar[...]
1965-12
[7]
논문
Slow changes in potassium permeability in skeletal muscle
1970-07
[8]
서적
Ion Channels of Excitable Membranes
Sinauer
[9]
문서
Hille, p. 155.
[10]
문서
Hille, p. 153.
[11]
논문
The mechanism of inward rectification of potassium channels: "long-pore plugging" by cytoplasmic polyamines
1995-11
[12]
논문
How highly charged anionic lipids bind and regulate ion channels
2008-05
[13]
논문
Structural basis of PIP2 activation of the classical inward rectifier K+ channel Kir2.2
2011-08
[14]
논문
Nigrostriatal dopaminergic neurodegeneration in the weaver mouse is mediated via neuroinflammation and alleviated by minocycline administration
2006-11
[15]
논문
Regional brain variations of cytochrome oxidase activity and motor coordination in Girk2(Wv) (Weaver) mutant mice
2006-10
[16]
간행물
Isolated human transporter proteins, nucleic acid molecules encoding human transporter proteins, and uses thereof
[17]
논문
Crystal structure of the potassium channel KirBac1.1 in the closed state
2003-06
[18]
논문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a prokaryotic Kir channel
2004-11
[19]
논문
Mutations in potassium channel Kir2.6 cause susceptibility to thyrotoxic hypokalemic periodic paralysis
2010-01
[20]
논문
Epilepsy, ataxia, sensorineural deafness, tubulopathy, and KCNJ10 mutations
200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