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 단백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 단백질은 세포 내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단백질로, 1980년 알프레드 G. 길먼과 마틴 로드벨에 의해 아드레날린 연구 중 발견되었다. G 단백질은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에 의해 활성화되며, 다양한 질병과 연관되어 연구되어 왔으며, 관련 연구로 여러 차례 노벨 생리학·의학상과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G 단백질은 헤테로트리머 G 단백질과 소형 GTPase로 분류되며, G 단백질 연결 수용체의 활성화, G 단백질의 활성화 및 신호 종결 과정을 거쳐 세포 내 신호 전달에 관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C 3.6 - 산 무수물 가수분해효소
- 신호 전달 - 수용체 길항제
수용체 길항제는 수용체에 결합하여 작용제의 효과를 억제하는 물질로, 결합 부위 및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질병 치료 및 중독 해독 등에 활용된다. - 신호 전달 - 호르몬
호르몬은 특정 기관의 기능을 조절하는 정보 전달 물질로, 다양한 화학적 구조와 신호 전달 방식을 가지며, 척추동물의 성장, 발달, 생식, 신진대사 등 생리 과정에 관여하고, 의약품으로도 사용되지만 부작용의 위험이 있다. - 세포 신호 - 수용체
수용체는 세포 내외의 신호 분자를 인식하여 세포 반응을 유발하는 단백질로, 이온 채널형, G 단백질 연결형, 효소 연결형, 핵 수용체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리간드 결합 친화도와 효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질병과 관련되어 구조와 기능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세포 신호 - 호르몬
호르몬은 특정 기관의 기능을 조절하는 정보 전달 물질로, 다양한 화학적 구조와 신호 전달 방식을 가지며, 척추동물의 성장, 발달, 생식, 신진대사 등 생리 과정에 관여하고, 의약품으로도 사용되지만 부작용의 위험이 있다.
| G 단백질 | |
|---|---|
| G 단백질 | |
![]() | |
| 다른 이름 | 구아닌 뉴클레오티드 결합 단백질 |
| 식별 | |
| 외부 데이터베이스 | 위키데이터: Q418448 유전자 온톨로지: 0005085 |
| 기능 | |
| 기능 | 세포 신호 전달에서 중요한 역할 |
| 역할 | GPCR 신호 전달 세포 내 신호 전달 조절 |
| 구조 | |
| 아단위 | α (알파) β (베타) γ (감마) |
| 복합체 형태 | 이종삼량체 (Heterotrimeric) |
| 작용 메커니즘 | |
| 활성화 | 리간드 결합에 의해 GPCR 활성화 GDP가 GTP로 교환 |
| 신호 전달 | α 아단위와 βγ 복합체가 분리되어 하위 표적에 신호 전달 |
| 비활성화 | α 아단위의 GTPase 활성에 의해 GTP가 GDP로 가수분해 α 아단위와 βγ 복합체가 재결합 |
| 관련 경로 | |
| 관련 경로 | 아데닐산 고리화효소 경로 포스포리파아제 C 경로 MAPK 경로 |
| 추가 정보 | |
| 추가 정보 | 다양한 생리적 과정에 관여 (예: 시각, 미각, 신경 전달) 여러 질병과 관련 (예: 암, 심혈관 질환) |
2. 역사
G 단백질은 1980년 알프레드 G. 길먼과 마틴 로드벨이 아드레날린에 의한 세포 자극을 연구하면서 발견되었다. 이들은 아드레날린이 수용체에 결합할 때, 수용체가 효소를 직접 자극하지 않고, 대신 G 단백질을 자극하여 G 단백질이 효소를 자극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 예로는 2차 전달자인 환상 AMP를 생성하는 아데닐산 시클라제가 있다.[8] 이 발견으로 그들은 199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9]
G 단백질과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에 의한 신호 전달의 여러 측면에 대해 노벨상이 수여되었다. 여기에는 수용체 길항제, 신경 전달 물질, 신경 전달 물질의 재흡수,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G 단백질, 2차 전달자, 환상 AMP에 반응하여 단백질 인산화를 유발하는 효소, 그리고 그에 따른 글리코겐 분해와 같은 대사 과정이 포함된다.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다 (수상 연도순):
| 연도 | 수상자 | 업적 |
|---|---|---|
| 1947년 | 칼 코리, 거티 코리, 베르나르도 후세이 | 글리코겐이 신체 내에서 포도당으로 분해되고 재합성되어 에너지 저장고이자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방식을 발견. 글리코겐 분해는 아드레날린을 포함한 수많은 호르몬과 신경 전달 물질에 의해 자극됨. |
| 1970년 | 줄리어스 액설로드, 버나드 카츠, 울프 폰 오일러 | 신경 전달 물질의 방출과 재흡수에 대한 연구. |
| 1971년 | 얼 서덜랜드 | 2차 전달자 환상 AMP를 생성하는 아데닐산 시클라제의 핵심 역할을 발견.[8] |
| 1988년 | 조지 H. 히칭스, 제임스 블랙 경, 거트루드 엘리언 | GPCR을 표적으로 하는 "약물 치료의 중요한 원리를 발견한 공로". |
| 1992년 | 에드윈 G. 크렙스, 에드먼드 H. 피셔 | 가역적인 인산화가 단백질을 활성화하고 글리코겐 분해를 포함한 다양한 세포 과정을 조절하는 스위치로 작용하는 방식을 설명.[10] |
| 1994년 | 알프레드 G. 길먼, 마틴 로드벨 | "G 단백질과 세포 내 신호 전달에서 이 단백질의 역할"을 발견.[11] |
| 2000년 | 에릭 캔들, 아르비드 칼슨, 폴 그린가드 | GPCR을 통해 작용하는 도파민과 같은 신경 전달 물질에 대한 연구. |
| 2004년 | 리처드 액슬, 린다 B. 벅 | G 단백질 연결 후각 수용체에 대한 연구.[12] |
| 2012년 | 브라이언 코빌카, 로버트 레프코위츠 | GPCR 기능에 대한 연구.[13] |
G 단백질은 세포 내에서 중요한 신호 전달 분자이다.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 신호 전달 경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당뇨병, 실명, 알레르기, 우울증, 심혈관 결함, 특정 형태의 암 등 많은 질병과 관련이 있다.[14] 현대 의약품의 세포 표적 약 30%가 GPCR인 것으로 추정된다.[14] 인간 게놈은 대략 800개[15]의 G 단백질 연결 수용체를 암호화하며, 이는 빛의 광자, 호르몬, 성장 인자, 약물 및 기타 내인성 리간드를 감지한다.
모든 진핵생물은 신호 전달에 G 단백질을 사용하며, 다양한 G 단백질로 진화해 왔다. 예를 들어, 인간은 18개의 서로 다른 Gα 단백질, 5개의 Gβ 단백질, 그리고 12개의 Gγ 단백질을 암호화한다.[16]
G 단백질은 헤테로삼량체 G 단백질(때때로 "대형" G 단백질이라고 불림)과 Ras 슈퍼패밀리에 속하는 소형 GTPase ("소형" G 단백질)의 두 가지 주요 부류로 나뉜다. 헤테로삼량체 G 단백질은 G 단백질 연결 수용체에 의해 활성화되며, 알파(α), 베타(β), 감마(γ) 단백질 소단위체로 구성된다. 소형 GTPase (20-25kDa)는 헤테로삼량체 G 단백질의 α 소단위체와 서열 상동성을 보이지만, 단량체 단백질이다. 두 종류의 G 단백질 모두 GTP와 GDP에 결합하며 신호 전달에 관여한다.
3. 기능
G 단백질은 G 단백질 연결 수용체에 의해 활성화되는 반면, RGS 단백질에 의해 비활성화된다. 수용체는 GTP 결합을 자극하여 G 단백질을 켜고, RGS 단백질은 GTP 가수분해를 자극하여 GDP를 생성함으로써 G 단백질을 끈다.
막 수용체 관련 헤테로 삼량체 G 단백질("큰" G 단백질)은 G 단백질 결합 수용체(GPCR)에 의해 활성화되며, 구아닌 뉴클레오티드를 결합하고 GTP 아제 활성을 갖는 α서브 유닛과 β, γ서브 유닛으로 구성된다.
수용체 활성화 G 단백질은 세포막의 내면에 결합하고 Gα 및 견고하게 결합된 Gβγ 서브 유닛으로 구성된다. 리간드가 G 단백질 결합 수용체를 활성화하면 G 단백질은 수용체와 결합하여 보유하고 있는 GDP를 Gα 서브 유닛에서 분리하고, GTP의 새로운 분자와 결합한다. 이 교환에 의해 Gα 서브 유닛, Gβγ 이량체, 수용체가 각각 분리된다. Gα-GTP와 Gβγ 각각 별개의 '신호 전달 캐스케이드'(즉, 제2 전달자 경로)와 이펙터 단백질을 활성화하는 한편, 수용체는 다음 G 단백질과 반응할 수 있다. Gα 서브 유닛은 최종적으로 고유의 효소 활성에 의해 결합된 GTP를 GDP로 가수 분해함으로써 Gβγ와 결합하여 새로운 주기를 시작한다.
G 단백질이 방아쇠가 되는 신호 전달 캐스케이드의 잘 특징지어진 예로 cAMP 경로가 있다. G 단백질의 활성형 서브 유닛인 Gαs-GTP에 의해 아데닐산 시클라아제라는 효소가 활성화되어, 제2 전달자로서 기능하는 고리형 아데노신 일인산 (cAMP)을 ATP로부터 합성한다. 제2 전달자는 그 후 다른 하위 단백질과 반응하여 세포의 상태를 변화시킨다.
G 단백질은 중요한 신호 전달 분자 중 하나이며, 당뇨병, 알코올 의존증, 특정 뇌하수체암 등의 질병은 G 단백질의 기능 부전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4. 다양성

5. 신호 전달
당뇨병, 알코올 의존증, 특정 뇌하수체암 등은 G 단백질의 기능 부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7]
G 단백질이 관여하는 신호 전달의 예시로 cAMP 경로가 있다. 활성화된 G 단백질 소단위체인 Gαs-GTP는 아데닐산 시클라아제를 활성화시켜 ATP로부터 고리형 아데노신 일인산(cAMP)을 합성한다. cAMP는 제2전령으로 작용하여 다른 단백질과 반응하고 세포 상태를 변화시킨다.[19]
5. 1. 헤테로삼량체 G 단백질
헤테로삼량체 G 단백질은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에 의해 활성화되며, α, β, γ의 세 가지 소단위체로 구성된다. 이들은 G 단백질 연결 수용체의 입체 구조 변화에 반응하여 활성화되고, GDP를 GTP로 교환하며, 해리되어 특정 신호 전달 경로에서 다른 단백질을 활성화한다.[17]
G 단백질은 중요한 신호 전달 분자 중 하나이며, 당뇨병, 알코올 의존증, 특정 뇌하수체암 등의 질병은 G 단백질의 기능 부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수용체에 의해 활성화된 G 단백질은 세포막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Gα와 긴밀하게 연결된 Gβγ 소단위체로 구성된다. Gα 소단위체에는 Gαs(G 자극), Gαi(G 억제), Gαq/11 및 Gα12/13의 네 가지 주요 계열이 있다.[19][20] 리간드가 G 단백질 결합 수용체를 활성화하면, G 단백질은 수용체와 결합하여 GDP를 Gα 소단위체에서 분리하고 GTP와 결합한다. 이 교환으로 Gα 소단위체, Gβγ 이량체, 수용체가 각각 분리된다. Gα-GTP와 Gβγ는 각각 별개의 신호 전달 경로와 이펙터 단백질을 활성화하는 한편, 수용체는 다음 G 단백질과 반응할 수 있다. Gα 소단위체는 결국 GTP를 GDP로 가수 분해하여 Gβγ와 결합하고 새로운 주기를 시작한다.
G 단백질의 활성형 서브 유닛인 Gαs-GTP에 의해 아데닐산 시클라제라는 효소가 활성화되면, ATP으로부터 고리형 아데노신 일인산(cAMP)이 합성된다.
5. 1. 1. 활성화 메커니즘
리간드가 G 단백질 연결 수용체에 결합하면 수용체의 입체 구조가 변한다. 이 변화로 수용체는 구아닌 뉴클레오타이드 교환 인자(GEF)처럼 기능하게 된다. 구아닌 뉴클레오타이드 교환 인자는 Gα 소단위체에 결합된 GDP를 GTP로 교환한다.[21][22][23] GTP가 결합된 Gα 소단위체는 Gβγ 이량체 및 수용체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Gα-GTP와 Gβγ는 각각 다른 신호 전달 연쇄 반응(또는 세컨드 메신저 경로)과 이펙터 단백질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24] 한편, 수용체는 다른 G 단백질을 활성화할 수 있다.
5. 1. 2. 신호 종결
Gα 소단위체는 자체적인 가수분해 효소 활성을 통해 결합된 GTP를 GDP로 가수분해한다. 이렇게 되면 Gα는 다시 Gβγ와 결합하여 새로운 사이클을 시작한다. G 단백질 신호전달 조절자(RGS) 단백질은 GTPase 활성화 단백질(GAP)로 작용하여 Gα 소단위체에 특이적으로 작용한다. 이들은 GTP의 가수분해를 가속화하여 전달된 신호를 빠르게 종결시킨다. 어떤 경우에는 인산화효소 C-베타처럼 이펙터 자체가 내재적인 GAP 활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C-말단 영역 내에서 GAP 활성을 갖는 형태로 경로를 비활성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Gα GAP는 Gα 단백질을 활성화하기 위한 촉매 잔기를 가지고 있지 않다. 대신 반응이 일어나기 위한 필요한 활성화 에너지를 낮춤으로써 작용한다.
5. 1. 3. 주요 Gα 소단위체
G 서브유닛은 GTPase 도메인과 α 나선 구조 도메인의 두 가지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최소 20종류의 α 서브유닛이 존재하며, 다음과 같은 패밀리로 분류된다.5. 2. Gβγ 복합체
β와 γ는 서로 단단히 결합되어 있으며, 이를 Gβγ 복합체라고 한다. Gβγ 복합체는 Gα 소단위체로부터 GDP-GTP 교환 후에 방출된다. 자유롭게 된 Gβγ 복합체는 다른 세컨드 메신저를 활성화하거나, 직접 이온 채널을 열고 닫음으로써 그 자체로 신호 분자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βγ 복합체는 히스타민 수용체와 결합하면 포스포리파제 A2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Gβγ 복합체는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결합하고, 한편으로는 직접 내향성 정류 칼륨 (GIRK) 채널을 연다.
5. 3. 저분자량 GTPase
저분자량 GTPase는 소형 G 단백질이라고도 하며, GTP 및 GDP와 결합하여 신호 전달에 관여한다. 이 단백질은 헤테로삼량체 G 단백질의 알파(α) 소단위체와 유사하지만 단량체로 존재하며, 크기가 작고(20-kDa ~ 25-kDa) GTP에 결합하는 단백질이다. 이 단백질 계열은 Ras GTPase와 유사하며 Ras 슈퍼패밀리 GTPase라고도 한다.
6. 지질화(Lipidation)
G 단백질과 작은 GTPase는 세포막의 안쪽 층에 결합하기 위해 지질화(리피드화)되는데, 이는 지질 확장으로 공유 결합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은 미리스토일화, 팔미토일화 또는 프레닐화될 수 있다.
참조
[1]
논문
Genomic characterization of the human heterotrimeric G protein alpha, beta, and gamma subunit genes
2000-04
[2]
논문
G protein beta gamma subunits
[3]
웹사이트
Seven Transmembrane Receptors: Robert Lefkowitz
http://www.ibiology.[...]
2012-09-09
[4]
논문
Mode of coupling between the beta-adrenergic receptor and adenylate cyclase in turkey erythrocytes
1978
[5]
논문
The Impact of Membrane Protein Diffusion on GPCR Signaling
2022
[6]
서적
Biology
https://archive.org/[...]
Benjamin Cummings
[7]
논문
G protein pathways
2002-05
[8]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1994
http://nobelprize.or[...]
[9]
뉴스
Press Release: The Nobel Assembly at the Karolinska Institute decided to award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for 1994 jointly to Alfred G. Gilman and Martin Rodbell for their discovery of "G-proteins and the role of these proteins in signal transduction in cells". 10 October 1994
http://nobelprize.or[...]
[10]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1992 Press Release
https://www.nobelpri[...]
Nobel Assembly at Karolinska Institutet
2013-08-21
[11]
뉴스
Press Release
http://nobelprize.or[...]
[12]
웹사이트
Press Release: The 2004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https://www.nobelpri[...]
Nobelprize.org
2012-11-08
[13]
뉴스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2012 Robert J. Lefkowitz, Brian K. Kobilka
https://www.nobelpri[...]
2012-10-10
[14]
논문
G protein signaling in the parasite Entamoeba histolytica
2013-03
[15]
논문
Interactions of the α-subunits of heterotrimeric G-proteins with GPCRs, effectors and RGS proteins: a critical review and analysis of interacting surfaces, conformational shifts, structural diversity and electrostatic potentials
2013-06
[16]
논문
Regulation, Signaling, and Physiological Functions of G-Proteins
2016-09
[17]
서적
Cell signaling : principles and mechanisms
https://www.worldcat[...]
2015
[18]
서적
Progress in Molecular Biology and Translational Science
Elsevier
[19]
논문
Regulation, Signaling, and Physiological Functions of G-Proteins
2016-09-25
[20]
웹사이트
InterPro
https://www.ebi.ac.u[...]
2023-05-25
[21]
논문
Inactive-state preassembly of G(q)-coupled receptors and G(q) heterotrimers
2011-08
[22]
논문
Some G protein heterotrimers physically dissociate in living cells
2006-11
[23]
논문
G protein inactive and active forms investigated by simulation methods
2009-06
[24]
논문
Activation of STAT3 by specific Galpha subunits and multiple Gbetagamma dimers
2010-06
[25]
서적
Structural basis of effector regulation and signal termination in heterotrimeric Galpha proteins
[26]
논문
Biological functions of hCG and hCG-related molecules
2010-08
[27]
논문
Genomic characterization of the human heterotrimeric G protein alpha, beta, and gamma subunit genes
[28]
서적
Biology
Benjamin Cummings
[29]
논문
G protein pathways
200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