낸시 초더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낸시 초더로는 미국의 사회학자이자 정신분석학 이론가로, 특히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정신분석학을 연구하며 성 역할, 모성, 여성의 심리에 대한 독창적인 이론을 제시했다. 1978년 저서 『모성의 재생산』에서 여성의 성격 형성과 남성 지배 구조의 기원을 분석하며, 프로이트의 이론을 바탕으로 어머니와의 관계가 성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했다. 주요 저서로는 『페미니즘과 정신분석 이론』, 『감정의 힘』 등이 있으며, 사회학적, 정신분석학적 관점을 융합하여 문화와 개인의 관계, 무의식적 환상 등을 탐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신분석학자 - 슬라보예 지젝
슬라보예 지젝은 슬로베니아 출신의 철학자이자 문화 비평가로, 라캉 정신분석학, 헤겔 철학, 마르크스주의를 결합하여 현대 사회와 문화를 분석하며, 다양한 주제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하고 공산주의와 정치의 정치화를 옹호한다. - 정신분석학자 - 헤르만 로르샤흐
스위스의 정신과 의사이자 심리학자인 헤르만 로르샤흐는 잉크 얼룩을 이용한 투사적 심리 검사인 로르샤흐 검사를 개발하여 심리학 및 관련 분야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동시에 신뢰성과 타당성에 대한 논쟁 또한 지속되고 있다. - 래드클리프 대학 동문 - 베나지르 부토
베나지르 부토는 파키스탄 최초의 여성 총리이자 최연소 총리로, 파키스탄 인민당을 이끌며 두 차례 총리에 취임했으나 부정부패 혐의로 해임되었고, 귀국 후 암살당해 파키스탄 민주주의와 여성 정치 참여에 대한 논쟁을 야기했다. - 래드클리프 대학 동문 - 레다 코스미데스
레다 코스미데스는 미국의 인지 심리학자이자 진화 심리학 연구자로서 사회적 교환, 속임수 탐지, 위험 감수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 교수로 재직하며 존 투비와 함께 진화 심리학 센터를 공동 설립했다.
| 낸시 초더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낸시 초더로 |
| 본명 | 낸시 줄리아 초더로 |
| 출생일 | 1944년 1월 20일 |
| 출생지 | 뉴욕 주 뉴욕 시 |
| 국적 | 미국 |
| 분야 | 정신분석학 사회학 여성학 |
| 직장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하버드 의과대학 정신의학과 웰즐리 대학교 |
| 모교 | 래드클리프 대학교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브랜다이스 대학교 |
| 박사 지도 교수 | 에곤 비트너 |
| 학문 지도 교수 | 필립 슬레이터 |
| 주요 업적 | 정신분석 페미니즘 |
| 연구 분야 | |
| 연구 분야 | 정신분석 이론 및 임상 방법 정신분석학 성과 성적 지향 정신분석 사회학 및 인류학 페미니스트 이론 및 방법론 |
| 저서 | |
| 저서 | 어머니됨의 재생산 |
2. 생애
낸시 초더로는 뉴욕시 출신의 유대계이다.[37] 1966년 래드클리프 대학교(1999년 하버드 대학교에 통합됨)를 졸업하고, 브랜다이스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다.[38]
2. 1. 개인사
낸시 초더로우는 1944년 1월 20일 뉴욕주 뉴욕에서 유대계 가정에서 태어났다.[7] 그녀의 부모는 응용물리학 교수였던 마빈 초더로우(Marvin Chodorow)와 스탠퍼드 빌리지 유치원 설립에 기여하고 초대 학부모회 회장을 역임한 지역 사회 운동가 리아 초더로우(결혼 전 성씨 투리츠, Leah Chodorow (née Turitz))였다.[8][9] 1966년, 래드클리프 대학교(1999년 하버드 대학교에 통합됨)를 졸업했다. 브랜다이스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다.[38] 1977년 초더로우는 경제학자 마이클 라이히(Michael Reich)와 결혼하여 레이철(Rachel)과 가브리엘(Gabriel) 두 자녀를 두었다. 그들은 1996년에 별거했다.[10][11]2. 2. 학력 및 교육
낸시 초더로는 1966년에 래드클리프 대학교를 졸업하고, 비아트리스 와이팅과 W.M. 와이팅에게서 배웠다. 아동 발달을 전공한 미국의 인류학자 비아트리스 와이팅의 영향을 받았다.[12] 초더로의 학부 연구는 성격과 문화 인류학에 초점을 맞추었다. 1975년에 브랜다이스 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PhD)를 받았다.[13] 필립 슬레이터는 그녀의 연구에 영향을 주었으며, 정신 분석의 무의식적 현상에 대한 초더로의 관심을 이끌었다. 초더로는 훗날 슬레이터의 저서 ''헤라의 영광'' (1968)을 여성에 대한 남성의 공포와 그것이 문화에 나타나는 현상에 대한 자신의 생각에 영향을 준 책으로 언급했다. 박사 학위 취득 후, 초더로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심리학과(1984-86)와 샌프란시스코 정신분석 연구소(1985-1993)에서 임상 훈련을 받았다.[14]3. 주요 이론 및 영향
낸시 초더로는 성별 차이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통해 형성된다고 보았다. 그녀는 프로이트 이론을 바탕으로, 사람은 양성적인 존재로 태어나며 어머니가 최초의 성적 대상이라고 주장했다. 초더로는 카렌 호르나이와 멜라니 클라인의 이론을 인용하며, 아이가 지배적인 어머니의 모습에 대한 반발로 자아를 형성한다고 설명했다.
남자아이는 아버지라는 존재, 그리고 아버지의 자유와 자아를 동일시하며 비교적 쉽게 자립심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어머니나 아내로서의 존재 안에 갇혀 있는 관심에 대항할 수 있다. 하지만 여자아이에게는 이 과정이 쉽지 않다. 왜냐하면 어머니는 자신의 딸과 더욱 강하게 동일시하려 하기 때문이다. 딸은 아버지를 애정의 대상으로 삼으려 하지만, 어머니와의 강한 유대로 인해 자아 형성에 어려움을 겪는다.
남자아이는 보통 애정을 이항적인 관계로 경험하지만, 여자아이는 리비도적인 삼항 관계에 빠진다. 여자아이의 자아는 아버지에 대한 애정, 어머니의 애정, 그리고 아버지와 어머니의 관계에 대한 걱정과 불안으로 인해 혼란스러워진다. 초더로는 이러한 이항적이고 삼항적인 최초의 애정 경험이 성 역할의 사회적 구성, 문화 전반에 걸친 여성의 가치 경시와 남성 행동의 횡문화적 양식, 그리고 제2차 여성주의 이후 서구 사회의 결혼 문제에서의 갈등을 설명한다고 주장한다. 결혼 생활에서 여성은 성적인 관계보다 아이에게 더 많은 관심을 쏟고, 여성의 성행위에 대한 양면적인 감정은 남성의 생활 방식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 여성은 성적으로 성숙해지자마자 아이에게 자신의 에너지를 쏟는다.
3. 1. 지그문트 프로이트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은 낸시 초더로의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초더로는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프로이트 분석을 비판하며 모자 관계를 이해하고자 한다.[20] 그녀는 여성 발달에 대한 프로이트 모델을 이용하여 여자아이의 성별 발달과 어머니와의 친밀함 사이의 연관성을 제시한다. 초도로우는 여자아이들이 어머니에게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적 만족의 대상으로서 가치를 부여받는 남자아이들이 이미 달성한 특권을 추구한다고 이론화한다.[15] 그러나 남자아이들은 어머니로부터 분리될 필요와 능력을 모두 가지고 있다. 초도로우는 여성이 남성 특권에 대한 질투심을 이성애적 욕망으로 전환함으로써 내적 갈등을 해결한다고 제시한다.[15]프로이트 이론에 기반하여 초도로우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상징적으로 남자아이들을 어머니로부터 분리시키는 반면, 여자아이들은 계속해서 어머니와 동일시하고 애착을 유지한다고 주장한다.[3] 초도로우는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갈등과 혁명 이론은 아버지가 적절한 시기에 존재하는 데 의존한다고 설명한다.[16] 그녀의 분석은 여성의 남성에 대한 욕망이 어머니에 대한 강한 욕망의 결과라고 가정한다.[16] 또한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이론을 사용하여 남성과 여성의 차이가 주로 자본주의와 아버지의 부재 때문이라고 주장한다.[17]
초도로우는 프로이트 이론이 여성을 억압한다고 주장하며, 프로이트의 '자연이 문화가 되는 개념', 즉 "제2의 자연"을 만들어내는 개념을 이용하여 성(gender)이 사회 제도와 의식(consciousness)과 정신의 변화를 통해 형성되고 조직된다고 주장한다.[15] 그녀는 프로이트의 내적 정신 구조(이드(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 개념을 사용하여, 남성과 여성의 내적 작용이 본질적인 차이가 아니라 사회화 때문에 구조적으로 다르다고 주장한다.[17]
초도로우는 성별의 차이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타협 형성으로 생각한다. 그녀는 개인은 양성적인 존재로 태어나며, 어머니가 최초의 성적 대상이라는 프로이트의 주장에서 출발한다. 초도로우는 카렌 호르나이와 멜라니 클라인의 저술을 인용하면서, 아이는 지배적인 어머니상에 대한 반발 속에서 자아를 형성한다고 말한다. 남자아이는 비교적 쉽게 자립심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남자아이가 아버지라는 행위 주체나 그 자유와 자아를 동일시하고, 어머니나 아내로서 존재 안에 갇혀 있는 관심과 대항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은 여자아이에게는 쉽지 않다. 어머니가 자신의 딸과 더욱 강하게 동일시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딸은 아버지를 자신의 애정의 대상으로 삼으려 하지만, 어머니와의 강한 유대에 의한 자아 형성으로 궁지에 몰린다. 남자아이가 전형적으로 애정을 이항적인 관계로 경험하는 데 반해, 여자아이는 리비도적인 삼항 관계에 휘말려 있으며, 거기서 자아는 아버지에 대한 애정, 어머니의 애정과 아버지의 어머니에 대한 관계에 대한 염려와 불안에 찢기려 한다.
3. 2. 모성의 재생산 (The Reproduction of Mothering, 1978)
낸시 초더로의 저서 『모성의 재생산: 정신분석과 성의 사회학』(The Reproduction of Mothering: Psychoanalysis and the Sociology of Gender, 1978)은 여성의 성격 특성, 남성 지배 패턴과 그 변화 가능성, 대부분의 여성이 이성애자로 정체성을 갖는 이유, 여성의 모성 욕구 이유 등 네 가지 주요 개념을 다룬다. 초더로우는 모성을 아동기 경험과 혈연관계의 사회적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이중 구조로 보며, 모성이 순전히 생물학적이거나 본능적인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19] [20] 그녀는 "모성"이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이며 여성이 여성에게서 모성을 경험하기 때문에 여성 인격의 일부라고 주장한다.[21]이 책에서 초더로우는 성차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형성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한다. 남녀 아동 모두 어머니와의 친밀감을 경험하지만, 여성 아동은 남성 아동과는 달리 이러한 유대감에서 만족을 추구한다.[21] 그녀는 여성의 모성이 성적 노동 분업의 일반적인 요소이며, 여성을 가정 영역에, 남성은 공적 영역에 위치시킨다고 주장한다.[21] 이러한 주장에 대한 비판으로는 여성이 공적 영역에 정서적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시사할 수 있다는 점이 있다.[21]
초더로우는 출생 시 양성애와 어머니가 아동의 첫 번째 성적 대상이라는 프로이트의 주장을 바탕으로 한다. 카렌 호르니와 멜라니 클라인의 이론을 활용하여, 아동의 자아가 어머니에 대한 반응으로 형성된다고 제안한다. 남성 아동은 아버지와 동일시하고 어머니/아내에 대한 그의 관심을 모방함으로써 쉽게 독립적인 주체성을 달성한다. 이 과정은 여성 아동에게는 더 복잡하여, 어머니와 강하게 동일시하고 아버지를 새로운 사랑의 대상으로 삼으려고 시도함으로써 자아 형성을 방해한다.[6]
모자 간의 유대는 아동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아버지를 별개의 존재로 인식하게 한다. 단, 아버지가 유사한 주요 양육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는 제외한다.[22] 이러한 분리는 아버지에 대한 양가감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22] 결과적으로, 자녀는 아버지의 권위 때문이 아니라 초기 부자 관계의 성격 때문에 아버지에게 더 순종적이다.[6][15]
『모성의 재생산』은 초판 발행 40년 후인 2021년에 다시 주목받았다.[23] 이 책에서 초도로우는 "어머니는 모든 아이들의 초기 양육자이자 주된 정체성 형성의 원천이다… 딸은 어머니와 계속해서 동일시한다."라고 썼다.[6] 이는 어머니와의 강한 유대감이 딸의 정체성 형성을 저해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어머니와의 초기 유대는 남녀 모두에게 적용되지만, 아들은 아버지와 동일시하기 위해 더 일찍 벗어나므로 어머니-딸의 동일시가 지속된다.
초더로우는 성별의 차이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타협 형성으로 생각한다. 그녀는 개인은 양성적인 존재로 태어나며, 어머니가 최초의 성적 대상이라는 프로이트의 주장에서 출발한다. 카렌 호르나이와 멜라니 클라인의 저술을 인용하면서, 아이는 지배적인 어머니상에 대한 반발 속에서 자아를 형성한다고 말한다. 남자아이는 비교적 쉽게 자립심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남자아이가 아버지라는 행위 주체나 그 자유와 자아를 동일시하고, 어머니나 아내로서 존재 안에 갇혀 있는 관심과 대항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은 여자아이에게는 쉽지 않다. 어머니가 자신의 딸과 더욱 강하게 동일시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딸은 아버지를 자신의 애정의 대상으로 삼으려 하지만, 어머니와의 강한 유대에 의한 자아 형성으로 궁지에 몰린다.
남자아이가 전형적으로 애정을 이항적인 관계로 경험하는 데 반해, 여자아이는 리비도적인 삼항 관계에 휘말려 있으며, 거기서 자아는 아버지에 대한 애정, 어머니의 애정과 아버지의 어머니에 대한 관계에 대한 염려와 불안에 찢기려 한다. 초도로우에 따르면, 이항적이고 삼항적인 최초의 애정 경험이 성역할의 사회적 구성, 문화 전반에서 여성의 가치 경시와 남성 행동의 횡문화적 양식, 그리고 제2차 페미니즘 이후 서구 국가의 결혼 문제에서의 긴장 관계 등을 설명한다고 한다. 결혼 생활에서는 여성이 성적 관계보다 아이에게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여성의 성행위에 대한 양면적인 감정은 아마도 남성의 생활 방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여성은 성적 성숙에 도달하자마자 아이에게 자신의 에너지를 쏟는다.
3. 3. 성격의 성별화 (Gender personality)
초더로는 대조적인 이중 및 삼중의 첫사랑 경험을 성역할의 사회적 구성과 연결짓고, 문화 속 여성의 보편적인 격하, 남성 행동의 문화 간 패턴, 그리고 제2차 여성주의 이후 서구 사회의 결혼 생활 갈등을 언급한다.[6] 그녀는 결혼에서 여성이 성보다 자녀를 우선시하기 때문에 남성들이 멀어진다고 주장한다. 여성은 성적으로 성숙해지면 에너지를 자녀에게 쏟는다.[6]초더로는 서로 다른 유년기 경험으로 인해 남성과 여성의 심리가 다르다고 제안한다.[17] 그녀는 여성의 덜 고정된 자아 경계가 더 큰 공감 능력을 설명한다고 주장하며, 만약 사회가 여성을 주로 어머니로 인식한다면 여성 해방이 외상적인 경험으로 여겨질 것이라고 가정한다.[16]
초더로는 아버지의 부재 속에서 남성성이 의식적으로 학습되는 반면, 여성성은 어머니와의 지속적인 관계 속에 내재되어 있다고 주장한다.[16] 그녀는 “남성성은 긍정적으로만큼 부정적으로도 정의됩니다”라고 말하며,[6][16] 여성적 정체성은 합리적인 과정이지만 남성적 정체성은 거부에 의해 정의된다고 주장한다.[16]
초더로는 성별의 차이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타협 형성으로 생각한다. 그녀는 개인은 양성적인 존재로 태어나며, 어머니가 최초의 성적 대상이라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주장에서 출발한다. 초도로는 카렌 호르나이와 멜라니 클라인의 저술을 인용하면서, 아이는 지배적인 어머니상에 대한 반발 속에서 자아를 형성한다고 말한다. 남자아이는 비교적 쉽게 자립심을 형성할 수 있다. 왜냐하면 남자아이는 아버지라는 행위 주체나 그 자유와 자아를 동일시하고, 어머니나 아내로서 존재 안에 갇혀 있는 관심과 대항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은 여자아이에게는 쉽지 않다. 어머니가 자신의 딸과 더욱 강하게 동일시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딸은 아버지를 자신의 애정의 대상으로 삼으려 하지만, 어머니와의 강한 유대에 의한 자아 형성으로 궁지에 몰린다. 남자아이가 전형적으로 애정을 이항적인 관계로 경험하는 데 반해, 여자아이는 리비도적인 삼항 관계에 휘말려 있으며, 거기서 자아는 아버지에 대한 애정, 어머니의 애정과 아버지의 어머니에 대한 관계에 대한 염려와 불안에 찢기려 한다. 초도로에 따르면, 이항적이고 삼항적인 최초의 애정 경험이 성역할의 사회적 구성, 문화 전반에서 여성의 가치 경시와 남성 행동의 횡문화적 양식, 그리고 제2차 페미니즘 이후 서구 국가의 결혼 문제에서의 긴장 관계 등을 설명한다고 한다. 결혼 생활에서는 여성이 성적 관계보다 아이에게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여성의 성행위에 대한 양면적인 감정은 아마도 남성의 생활 방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여성은 성적 성숙에 도달하자마자 아이에게 자신의 에너지를 쏟는다.
3. 4. 페미니즘과 정신분석 이론 (Feminism and Psychoanalytic Theory, 1991)
초도로우는 《페미니즘과 정신분석 이론》에서 남성이 사랑에 대한 욕구를 억압하여 다른 사람들이 그 욕구를 표현하는 것을 견디지 못하게 된다고 주장한다.[25] 여성은 이러한 욕구를 억압하지 않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사랑과 보살핌을 받는 대가로 감정적 무반응을 견딘다.[26] 남성은 억압을 통해 이러한 욕망을 잠재울 수 없으므로 이성애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여성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한다.[25] 초도로우는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아버지상이 이러한 감정적 모호성을 바로잡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25]초도로우는 어머니와의 친밀함이 여성의 남성에 대한 성적 욕구를 감소시키는 반면, 남성의 억압된 욕구는 더 강한 성적 욕구와 더욱 낭만적인 사랑으로 이어진다고 주장한다.[25] 그녀는 이것이 여성에 대한 남성의 공격성의 근거가 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25] 또한 사회가 여성을 "존재"로, 남성을 "행동"으로 평가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여성의 관계 중심적 성향과 연결한다.[25] 그녀는 남성이 어머니로부터의 분리와 여성적 자아의 억압에 대한 대가를 치른다는 주장을 통해 이것을 프로이트 이론과 연결한다.[25]
초도로우는 성별의 차이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타협 형성으로 생각한다. 그녀는 프로이트의 주장을 바탕으로, 개인은 양성적인 존재로 태어나며 어머니가 최초의 성적 대상이라고 본다. 초도로우는 카렌 호르나이와 멜라니 클라인의 저술을 인용하면서, 아이는 지배적인 어머니상에 대한 반발 속에서 자아를 형성한다고 말한다. 남자아이는 비교적 쉽게 자립심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아버지라는 행위 주체나 그의 자유와 자아를 동일시하고, 어머니나 아내로서 존재 안에 갇혀 있는 관심과 대항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과정은 여자아이에게는 쉽지 않다. 어머니가 자신의 딸과 더욱 강하게 동일시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딸은 아버지를 자신의 애정의 대상으로 삼으려 하지만, 어머니와의 강한 유대에 의한 자아 형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다. 남자아이가 전형적으로 애정을 이항적인 관계로 경험하는 반면, 여자아이는 리비도적인 삼항 관계에 휘말려 자아가 아버지에 대한 애정, 어머니의 애정, 그리고 아버지의 어머니에 대한 관계에 대한 염려와 불안에 휩싸이게 된다. 초도로우에 따르면, 이러한 이항적이고 삼항적인 최초의 애정 경험은 성역할의 사회적 구성, 문화 전반에서 여성의 가치 경시와 남성 행동의 횡문화적 양식, 그리고 제2차 페미니즘 이후 서구 국가의 결혼 문제에서의 긴장 관계 등을 설명한다. 결혼 생활에서 여성은 성적 관계보다 아이에게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며, 여성의 성행위에 대한 양면적인 감정은 남성의 생활 방식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 여성은 성적 성숙에 도달하자마자 아이에게 자신의 에너지를 쏟는다.
3. 5. 감정의 힘 (The Power of Feelings, 1999)
'''감정의 힘'''에서 초더로는 문화와 개인 정체성의 관계, 무의식적 환상의 역할, 정신분석 이론의 인식론을 다룬다.[27] 그녀는 정신분석과 페미니즘 이론에 초점을 맞춰 이론적 접근 방식을 결합하면서 성 심리학에 대한 그러한 이론들의 결함을 인정한다. 그녀는 성 정체성이 개인적 의미와 문화적 의미의 결합을 통해 발달한다고 주장한다.[28]초더로는 성별의 차이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타협 형성으로 생각한다. 그녀는 개인은 양성적인 존재로 태어나며, 어머니가 최초의 성적 대상이라는 프로이트의 주장에서 출발한다. 초더로는 카렌 호르나이와 멜라니 클라인의 저술을 인용하면서, 아이는 지배적인 어머니상에 대한 반발 속에서 자아를 형성한다고 말한다. 남자아이는 비교적 쉽게 자립심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남자아이가 아버지라는 행위 주체나 그 자유와 자아를 동일시하고, 어머니나 아내로서 존재 안에 갇혀 있는 관심과 대항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은 여자아이에게는 쉽지 않다. 어머니가 자신의 딸과 더욱 강하게 동일시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딸은 아버지를 자신의 애정의 대상으로 삼으려 하지만, 어머니와의 강한 유대에 의한 자아 형성으로 궁지에 몰린다. 남자아이가 전형적으로 애정을 이항적인 관계로 경험하는 데 반해, 여자아이는 리비도적인 삼항 관계에 휘말려 있으며, 거기서 자아는 아버지에 대한 애정, 어머니의 애정과 아버지의 어머니에 대한 관계에 대한 염려와 불안에 찢기려 한다. 초더로에 따르면, 이항적이고 삼항적인 최초의 애정 경험이 성역할의 사회적 구성, 문화 전반에서 여성의 가치 경시와 남성 행동의 횡문화적 양식, 그리고 제2차 페미니즘 이후 서구 국가의 결혼 문제에서의 긴장 관계 등을 설명한다고 한다. 결혼 생활에서는 여성이 성적 관계보다 아이에게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여성의 성행위에 대한 양면적인 감정은 아마도 남성의 생활 방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여성은 성적 성숙에 도달하자마자 아이에게 자신의 에너지를 쏟는다.
3. 6. 정신분석적 귀와 사회학적 눈 (The Psychoanalytic Ear and the Sociological Eye, 2019)
초도로우는 『정신분석적 귀와 사회학적 눈』(The Psychoanalytic Ear and the Sociological Eye)에서 사회적 관계와 개인성(Individuality)의 관계를 탐구하며, 사회학과 정신분석학이 상호 연관성을 탐구하지 못한 데서 비롯된 문제점을 논한다. 그녀는 자신의 문화적, 정신분석적 여정을 반추하며 에릭 에릭슨과 한스 로발트에 초점을 맞춘다.[29]4. 저서
- 낸시 초더로우 (2020). 《낸시 초더로우와 40년 후의 모성 재생산》. 페트라 부에스켄스 편집. 팔그레이브 맥밀란.
- 《정신분석적 귀와 사회학적 눈: 미국 독립 전통을 향하여》.[30]
- 낸시 초더로우 (2019). 《정신분석적 귀와 사회학적 눈: 미국 독립 전통을 향하여》. 뉴욕: 라우틀리지.
- 낸시 초더로우 (2012). 《성별과 성 정체성 개별화: 이론과 실제》. 뉴욕: 라우틀리지.
- 낸시 초더로우 (1999). 《감정의 힘: 정신분석, 성별 및 문화에서의 개인적 의미》. 뉴헤이븐, 코네티컷: 예일대학교 출판부.
- 낸시 초더로우 (1994). 《여성성, 남성성, 성적 성향: 프로이트와 그 너머》. 켄터키: 켄터키 대학교 출판부.
- 낸시 초더로우 (1991). 《페미니즘과 정신분석 이론》. 뉴헤이븐, 코네티컷: 예일대학교 출판부.
- 낸시 초더로우 (1978). 《모성의 재생산: 정신분석과 성의 사회학》. 캘리포니아: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 낸시 초더로우 (1978). 《모성의 재생산》 (母親業の再生産―性差別の心理・社会的基盤|어머니업의 재생산 - 성차별의 심리・사회적 기반일본어). 신요샤 1981년.
- 낸시 초더로우 (1989). 《페미니즘과 정신분석 이론》. 예일대학교 출판부.
- 낸시 초더로우 (1994). 《여성성, 남성성, 성적 성향: 프로이트 이후》. 켄터키대학교 출판부.
- 낸시 초더로우 (1999). 《감정의 힘: 정신분석, 성, 그리고 문화 속 개인적 의미》. 예일대학교 출판부.
참조
[1]
PhD
Family Structure and Feminine Personality: The Reproduction of Mothering
Brandeis University
1975
[2]
서적
Feminist foremothers in women's studies, psychology, and mental health
https://archive.org/[...]
Haworth Press
[3]
서적
Encyclopedia of Social Theory
[4]
웹사이트
Chodorow, Nancy (Julia) 1944-
https://www.encyclop[...]
[5]
웹사이트
CMPS Annual Conference (December 1, 2012)
http://www.cmps.edu/[...]
Center for Modern Psychoanalytic Studies, New York, NY
2017-07-07
[6]
웹사이트
The Reproduction of Mothering by Nancy J. Chodorow - Paper
https://www.ucpress.[...]
2024-11-25
[7]
웹사이트
Chodorow, Nancy (Julia) 1944-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2-03-01
[8]
뉴스
Marvin Chodorow, 92, Expert in the Use of Microwave Tubes, Dies
https://www.nytimes.[...]
2024-11-25
[9]
웹사이트
Psychology in the United States
https://jwa.org/ency[...]
Jewish Women's Archive
2017-03-26
[10]
웹사이트
Chodorow, Nancy (Julia) 1944-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2-02-23
[11]
웹사이트
Haber's Art Reviews: Nancy Chodorow's Biological Clock
https://www.haberart[...]
[12]
웹사이트
Beatrice Whiting, 89, an Expert On Culture's Role in Personality
https://www.nytimes.[...]
[13]
웹사이트
News and Ideas
https://www.radcliff[...]
[14]
웹사이트
Nancy J. Chodorow
https://sociology.be[...]
[15]
학술지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s in Young Adult Fiction
1995-12-01
[16]
웹사이트
The Reproduction of Mothering; Feminism and Psycohoanalytic Theory; Femininities, Masculinities and Sexualities; The Power of Feelings (Book Reviews)
https://www.apadivi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9-02-25
[17]
서적
Explorations in Classical Sociological Theory: Seeing the Social World
https://archive.org/[...]
Pine Forge Press
[18]
학술지
Nancy Chodorow
1996
[19]
서적
Contemporary Social and Sociological Theory: Visualizing Social Worlds
SAGE Publications
[20]
서적
Social Theory: The Multicultural, Global, and Classic Readings
Routledge
[21]
학술지
The Reproduction of Mothering: Psychoanalysis and the Sociology of Gender
1979-10-01
[22]
백과사전
Nancy Chodorow
2017-03-01
[23]
서적
Nancy Chodorow and the Reproduction of Mothering
[24]
웹사이트
Nancy Chodorow
http://faculty.webst[...]
2024-02-29
[25]
웹사이트
The Reproduction of Mothering; Feminism and Psychoanalytic Theory; Femininities, Masculinities and Sexualities; The Power of Feelings (Book Reviews)
https://www.apadivi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3-01-01
[26]
서적
Feminism and Psychoanalytic Theory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89
[27]
학술지
The Power of Feelings: Personal Meaning in Psychoanalysis. By Nancy J. Chodorow. New Haven, Conn.: Yale University Press, 1999. Pp. xiv+328. $27.50.
https://www.journals[...]
2000-11-01
[28]
학술지
The Power of Feelings (Book)
https://www.journals[...]
2001-09-01
[29]
웹사이트
The Psychoanalytic Ear and the Sociological Eye: Toward an American Independent Tradition
https://www.routledg[...]
2021-03-01
[30]
학술지
The Psychoanalytic Ear and the Sociological Eye: Toward an American Independent Tradition.: By Nancy J. Chodorow. New York: Routledge, 2020. 290 pp.
https://www.tandfonl[...]
2020-07-02
[31]
서적
Feminist foremothers in women's studies, psychology, and mental health
Haworth Press
[32]
웹사이트
http://www.cmps.edu/[...]
[33]
웹사이트
book information at UC Press website
http://www.ucpress.e[...]
[34]
웹사이트
"The Reproduction of Mothering; Feminism and Psycohoanalytic Theory; Femininities, Masculinities and Sexualities; The Power of Feelings (Book Reviews)", アメリカ心理学会の公式サイト
http://www.apadivisi[...]
[35]
웹사이트
"2011 Visiting Professor Nancy Chodorow, Ph.D.", Michigan Psychoanalytic Institute and Society website
http://www.mpi-mps.o[...]
[36]
서적
http://www.ucpress.e[...]
[37]
웹사이트
Psychology in the United States
https://jwa.org/ency[...]
2018-06-28
[38]
웹사이트
Chodorow biography at Radcliffe College Magazine website
http://www.radcliff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