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르바 포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르바 포룸은 로마 황제들이 건설한 포룸 중 네 번째로 작은 규모이며, 도미티아누스 황제 시기에 건설이 시작되어 네르바 황제 시기에 완공되었다. 네르바 포룸은 좁고 긴 설계로, 미네르바 신전과 콜로나체로 장식되었으며, 로마 포룸으로 연결되는 통로 역할을 했다. 서로마 제국 멸망 후 습지로 변했고, 이후 건축 자재로 사용되면서 훼손되었으나, 현재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일부 유적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네르바 포룸 | |
---|---|
개요 | |
위치 | 제8 지구 포룸 로마눔 |
유형 | 황제들의 포룸 |
로마자 표기 | Forum Nervae |
이탈리아어 표기 | Foro di Nerva |
![]() | |
역사 | |
건설 | 85–97년 |
건설 주체 | 도미티아누스 황제 |
추가 정보 | |
건축 | 97년 |
건설자 | 도미티아누스, 네르바 |
2. 역사
네르바 포룸은 85년에 로마 제국 제11대 황제 도미티아누스가 건설을 시작하여, 후계자인 제12대 황제 네르바 시대인 97년에 완공되었다.
아우구스투스 포룸과 베스파시아누스 포룸 사이에 위치해 있었고, 포룸 부지를 가로질러 로마 포룸과 북쪽 주거 지역 수부라 지구를 잇는 Argiletoit가 통과했기 때문에, "통로"를 의미하는 [7] 포룸 트란시토리움(Forum Transitoriumla)이라고도 불렸다. Via Argiletum은 이 포룸이 건설되기 전부터 서점과 신발 장수의 노점이 들어서는 시장이었기 때문에, 네르바 포룸은 노점 시장으로서, 그리고 로마 포룸의 사실상 입구로 기능했다.
포룸의 건물은 길쭉했으며, 긴 변의 양쪽에 늘어선 열주는 단순한 장식이었으며, 아케이드 형태는 아니었다. 북동쪽 끝에는 미네르바 신전이 세워졌다.
로마 제국 붕괴 후에는 황무지로 변했고, 9세기에는 폐허가 된 건물의 자재를 재활용하여 주택이 들어섰다. 미네르바 신전만은 간신히 남아 있었지만, 1606년에 로마 교황 바오로 5세가 파올라 수도교의 분수와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의 보르게세 예배당을 건축하기 위해 신전을 헐고 건자재로 재활용했다.
2. 1. 도미티아누스 시기

트란시토리움 포룸은 원래 로마 포룸과 수부라 지구를 연결하던 고대 도로인 '아르길레툼'을 도미티아누스 황제가 재정비하고 기념비적인 건축물로 만드는 것이 목적이었다.[10][11][12] '포룸 트란시토리움'(Forum Transitorium)이라는 명칭은 이 고대 도로의 일부를 포함하는 담 때문에 붙게 되었다. 이 도로는 로마시 곳곳을 상당히 가로질렀고, 테베레강에서 에스퀼리누스 언덕을 연결하였다. 네르바 포룸의 설계는 도미티아누스의 도무스 아우구스타나를 설계한 건축가 라비리우스가 맡았을 가능성이 있다.[12] 포룸은 길쭉하면서 좁았고 (대략 160m x 46m) 앞에 위치한 포룸의 기본 배치와 일치하며, 한쪽 끝에는 신전이 자리잡았고 쉼터와 복도 역할을 하던 콜로네이드가 있는 마당을 주변으로 높은 벽이 둘러싸여 있었다.[10]

네르바 포룸 건설은 로마 제국의 황제 도미티아누스에 의해 시작되었지만, 도미티아누스가 암살당한 서기 96년까지 개관되지 않았고 거의 완성에 다다른 것 같다.[12] 서기 97년에 전임자가 죽은 뒤에 네르바가 개관하였고 네르바 포룸(Forum Nervae)이라 명칭이 다시 붙여졌다.[12] 실제로, 포룸 트란시토리움은 도미티아누스가 건설한 유일한 거대 건축물이며 네르바의 짧은 15달간의 재위 때 완공되었다.[13]
2. 2. 네르바 시기
네르바 포룸은 황제들의 포룸 중 네 번째이자 가장 작은 포룸이다. 도미티아누스의 지시로 서기 85년 전에 건설이 시작되었으나, 서기 97년 그의 후임자 네르바 시기에 공식적으로 완료되고 개장되어 네르바의 이름이 붙었다.[7] 네르바 포룸의 거리는 오랜 기간 시장 지역 역할을 했으며, 특히 서적상들과 신발 수선공들이 즐비했다. 이 포룸은 규모가 더 큰 포룸으로 향하는 통로이자 입구로서 역할을 계속했다.
2. 3.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서로마 제국 붕괴 후, 네르바 포룸이 있던 지역은 습지로 바뀌었다. 9세기에 이 지역에 많은 주택들이 지어졌는데, 여기에 쓰인 자재들은 포룸의 잔해에서 활용된 것들이었다.[7] 미네르바 신전은 교황 바오로 5세가 1606년에 야니쿨룸에 있는 아콰 파올라 분수와 산타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의 보르게세 채플 건축 자재를 공급하기 위해 철거하기 전까지 비교적 온전한 상태로 남아 있었다.[7]3. 구조
네르바 포룸은 기존 건축물 사이에 있는 길고 좁은 공간에 맞춰 설계되었다. 폭이 좁고 긴 형태(131m x 45m)를 띠며, 외벽은 화산암의 일종인 페페리노 벽돌로 만들어진 후 대리석 판으로 덮였다. 짝을 이루어 돌출된 기둥들로 장식되었으며, 엔타블러처의 프리즈에는 아라크네 신화가, 다른 부조들에는 로마 속주들을 의인화한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포룸의 출입구는 양쪽에 있었다. 로마 포룸 쪽에는 세 곳의 출입구가, 반대편에는 편자 모양의 엑세드라 포르티카타가 있는 기념물 입구(포르티쿠스 압시다타)가 있었다.
포룸의 북쪽과 남쪽 끝은 초승달 모양이었다. 서쪽 끝에는 도미티아누스의 수호신이었던 미네르바 신전이 있었는데, 포르티쿠스 압시다타 방향과 가까운 북쪽 초승달 부분에 위치했다. (미네르바 신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항목 참고) 반대 방향 근처에는 야누스에게 바쳐진 신전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포룸 지하에는 클로아카 막시마가 지나갔다.
3. 1. 미네르바 신전
미네르바는 포룸 건설을 지시했던 도미티아누스의 수호신이었다. 미네르바 숭배는 플라비우스 왕조 선조들의 근거지로 여겨지는 사비니 지역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인다.[10] 미네르바 신전은 대리석으로 외장을 한 이탈리아식 정면 신전으로, 네르바 포룸의 빈터를 이루고 있는 앞마당에 세워진 높은 제단 위에 지어졌다.[12]신전의 파사드는 헥사스타일 형식(정면에 기둥 여섯 개)으로, 각 측면에 둘 혹은 세 개의 기둥과 안타(고대 시대 목조 신전의 지붕을 떠받치던 목제 지지대)가 있는 프로나오스(정문쪽의 문간방)가 자리 잡았다. 이 기둥들은 코린토스 양식이었고 프리지아 대리석으로 만들어졌다.[12] 신전의 뒷면은 벽으로 포룸에서 가려져 있었다.
H. 바우어가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트래버틴과 페페리노 기초 부분들은 건설에 있어서 두 가지 다른 단계를 나타낸다고 하였다.[9] 초기 신전은 훨씬 협소했는데, 그럼에도 이후의 신전보다는 포룸의 공터 쪽으로 좀 더 뻗어 있었다.[9] 초기 신전은 기둥 사이가 동등했음을 보여주며, 반면에 후기의 신전은 위치한 곳에 따라 기둥 사이 거리가 바뀌었다.[9] 미네르바 신전의 포치가 포룸의 공터로 돌출되어 있는 반면에, 셀라는 아우구스투스 포룸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반원형 공간을 담기 위해서 북서쪽 끝에서 좁아졌다.[11]
3. 2. 콜로나스 (Le Colonnacce)
콜로나체(Le Colonnacce)는 네르바 포룸(포룸 트란시토리움)의 일부로, 미네르바 신전 측면에 위치한 'en ressaut' 양식 기둥 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부분이다.[12] 벽면은 페페리노 벽돌로 만들어졌으며, 원래는 대리석으로 덮여 있었다. 코린토스식 원주들은 콜로나체에서 1.75m 떨어져 있었다.[12] 이 기둥들은 화려하게 장식된 엔타블러처를 지지했는데, 원래 160m 길이의 엔타블러처 중 21m만이 남아있다. 여기에는 신화 속 장면들이 묘사되어 있으며, 그중 아라크네 신화가 가장 유명하다.[9]
코니스 위쪽에는 교훈적인 조각이 새겨진 아틱이 반복적으로 이어져 있었고, 이 중 미네르바를 묘사한 조각 하나가 남아있다.[9] 앤더슨(Anderson, 1984)에 따르면, 이러한 건축 장식 유형은 도미티아누스 시대의 혁신으로, 수사의 아우구스투스 개선문과 베네벤토의 트라야누스 개선문에서 볼 수 있듯이 개선문에서 유래했다.[12] 그러나 이러한 기둥 사용 방식은 헬레니즘 양식에서 기원했으며, 프라이네스테와 페루자의 포르타 마르지아 파사드를 통해 이탈리아에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12]
3. 2. 1. 아라크네
아라크네 신화는 베 짜는 솜씨가 뛰어난 젊은 여인 아라크네가 미네르바 여신에게 도전했다가 거미로 변하게 된 이야기를 담고 있다.[10] 늙은 여성으로 변장한 미네르바는 아라크네에게 경고했지만, 아라크네는 이를 무시했다. 경연 후 미네르바는 아라크네가 짠 직물의 훌륭한 품질과 신들의 성적 행위를 담은 디자인에 분노하여 그것을 파괴했다. 미네르바는 아라크네가 자결하려는 것을 막은 후, 그녀를 어두운 곳에서 거미줄을 치는 운명을 가진 거미로 만들었다.[10]
콜로나체의 프리즈는 이 신화를 묘사한 유일한 고대 로마 국가 후원 예술 작품이다.[10] 프리즈의 남은 부분에는 미네르바의 지도 하에 옷감을 짜고 실을 잣는 여인들과, 반대쪽에서 반항하는 아라크네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10] 블랑켄하겐은 이 프리즈가 미네르바의 축일인 퀸콰트루스를 기념하는 장인들을 묘사한 것이라고 보았다.[10]
4. 고고학
포룸 트란시토리움의 동쪽 구역은 현재 비아 데이포리 임페랄리라고 불리는 도로 건설 중 파시스트 정권의 대규모 발굴 작업을 통해 발견되었다.[9] 로돌포 란차니는 1883년에 포룸 트란시토리움에 대한 사료를 처음으로 모았다. 1913년, 1926년–28년, 1932년-1941년 등에 행해진 초기 발굴들은 현존하는 기둥들의 길이를 재고 미네르바 신전의 기초와 외벽을 발굴하는 데 기여했다.[10] 1990년대 말에도 추가적인 발굴이 이루어졌다.
포룸의 고고학적 증거는 포르마 우르비스 로마 (대리석 지도)와 포룸을 주제로 한 르네상스 그림 등을 통해 상당히 정확한 재현을 가능하게 한다.[12] 주요 유물로는 미네르바 신전의 제단 코어, 신전의 포장 지역과 오르토스타트 일부, '포르티쿠스 압시다타'의 기초 부분, '콜로나체' 등이 있다.[12][10]
참조
[1]
서적
Understanding Architecture: Its Elements, History and Meaning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2]
논문
Report From Rome: The Imperial Fora, a Retrospective
[3]
서적
Private Lives, Imperial Virtues: The Frieze of the Forum Transitorium in Rom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
논문
The Imperial Fora of Rome: Some Design Considerations
[5]
서적
The Historical Topography of the Imperial Fora
Latomus
[6]
서적
Nerva and the Roman Succession Crisis of AD 96-99
Routledge
[7]
웹사이트
LacusCurtius Forum of Nerva
https://penelope.uch[...]
[8]
서적
Understanding Architecture: Its Elements, History and Meaning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9]
논문
Report From Rome: The Imperial Fora, a Retrospective
[10]
서적
Private Lives, Imperial Virtues: The Frieze of the Forum Transitorium in Rom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
논문
The Imperial Fora of Rome: Some Design Considerations
[12]
서적
The Historical Topography of the Imperial Fora
Latomus
[13]
서적
Nerva and the Roman Succession Crisis of AD 96-99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