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바오로 5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바오로 5세는 1550년 이탈리아 시에나에서 태어나 법학을 공부한 후, 1605년부터 1621년까지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으로 재위했다. 그는 추기경 시절 교황 클레멘스 8세에 의해 추기경으로 서임되었으며, 교황으로 선출된 후에는 베네치아 공화국과의 사법권 갈등, 잉글랜드와의 관계, 갈릴레오 갈릴레이와의 만남 등 다양한 사건에 연루되었다. 또한 성 베드로 대성당 건설을 지원하고, 족벌주의를 통해 친족을 등용하는 등 업적을 남겼으며, 1621년 뇌졸중으로 사망했다.

2. 생애 초기

카밀로 보르게세는 1550년 9월 17일 시에나의 귀족 가문인 보르게세 가문 출신이다. 당시 그의 가문은 로마로 이주해 왔기 때문에 그의 명판 대부분에 ‘로마 사람’(ROMANUS)이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15] 그는 페루자파도바에서 법학을 공부하여 뛰어난 교회법 학자가 되었다.

2. 1. 추기경 시절

1596년 교황 클레멘스 8세에 의해 산테우세비오 성당의 사제급 추기경에 서임됨과 동시에 로마 교구 총대리에 임명되었다. 니콜로 알라만니를 비서로 고용했으며, 산 크리소고노 성당산티 조반니 에 파올로 성당 등 다른 명의본당들도 사목했다.[4]

클레멘스 8세는 1597년 그를 예시 교구장에 임명한 후 주교로 서품했다. 그의 서품식은 콘스탄티노폴리스 라틴 총대주교를 지낸 실비오 사벨리 추기경과 트레비소 교구장을 지낸 프란체스코 코르나로 추기경이 공동으로 주관했다.[5] 보르게세 주교는 1599년까지 예시 교구장직을 지냈다. 그는 모든 당파와 파벌에서 벗어나 모든 여가 시간을 법률 서적에 헌신했다.

3. 교황 선출 (1605년)

교황 레오 11세가 1605년에 선종하자, 체사레 바로니오, 로베르토 벨라르미노 등 유력 후보들을 제치고 보르게세 추기경이 교황으로 선출되었다.[15] 그는 당파 싸움의 시대에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기 때문에 이상적인 타협 후보였다.[6]

그는 성격이 매우 엄격하고 굽힐 줄 몰랐으며, 외교관보다는 변호사 같은 인물로 교회의 특권을 최대한 옹호했다. 그의 첫 번째 행동은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모든 주교가 자신의 관구에 거주할 것을 요구했기 때문에, 로마에 머물고 있던 주교들을 그들의 관구로 돌려보내는 것이었다.[4]

4. 주요 업적 및 사건

바오로 5세는 1596년 7월 클레멘스 8세에 의해 추기경으로 선출되었으며, 1605년 5월 교황 선거에서 카에사르 바로니우스, 로베르토 벨라르미노 등의 유력 후보들을 제치고 교황으로 선출되었다.[1] 이는 그가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했기 때문에 여러 세력으로부터 타협점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1] 그는 외교관이라기보다는 교회의 권익을 옹호하는 법학자 유형의 인물이었다.[1]


  • 베네치아와의 갈등: 바오로 5세는 교회 사법권 문제를 두고 베네치아 공화국과 갈등을 겪었다.[17] 베네치아가 성직자의 부동산 양도 금지, 교회 신축 시 정부 허가 의무화 등 두 가지 법률을 제정하자, 교황은 1606년 4월 베네치아를 파문하고 성무금지령을 내렸다.[17] 예수회 등을 제외한 베네치아 성직자들은 베네치아 정부를 지지했으며, 베네치아는 성무금지령을 무시하고 미사를 계속 드렸다.[17] 1607년 3월, 프랑스 왕국스페인의 중재로 갈등이 완화되었으나, 예수회는 베네치아에서 추방되었다.[17]
  • 잉글랜드와의 관계: 바오로 5세의 강경한 가톨릭 정책은 잉글랜드 내 온건파 가톨릭교도들의 입지를 약화시켰다.[1] 제임스 1세에게 즉위 축하 서한을 보냈지만 3년이나 늦었고, 화약 음모 사건에 대한 언급은 교황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1] 제임스 1세의 충성 서약은 잉글랜드 가톨릭 신자들을 분열시켰다.[1]
  • 일본과의 관계: 1615년 11월, 바오로 5세는 하세쿠라 쓰네나가가 이끄는 일본 사절단을 로마에서 맞이했다.[19] 다테 마사무네의 친서를 전달받고 일본누에바에스파냐 간의 통상 조약 체결 및 선교사 파견을 요청받았다.[13] 교황은 선교사 파견에 동의했으나, 무역 문제는 스페인 국왕에게 위임했다.[13]

1615년 하세쿠라 쓰네나가가 이끈 일본 사절단을 맞이하는 바오로 5세.
17세기 일본 회화.

4. 1. 신학

로베르토 벨라르미노 추기경이 교황의 명령에 따라 갈릴레오 갈릴레이에게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옹호하거나 가르치지 말라고 경고한 후, 바오로 5세는 1616년에 갈릴레오를 만났다.[7] 지동설을 가르치는 것 자체를 금지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벨라르미노가 갈릴레오에게 보낸 서한에는 지동설을 옹호하거나 주장하지 말라는 금지 명령만 명시되어 있었으며, 이는 벨라르미노와의 만남에서 있었던 일과 관련된 소문으로부터 갈릴레오를 변호하기 위해 특별히 작성되었다.[7]

1618년, 페루 리마에서 ''Decreto de Nuestro Sanctissimo Padre el Papa Paulo V. en favor dela Immaculada Concepción dela Sanctissima Virgen Madre de Dios y Señora Nuestra'' (우리 지극히 거룩하신 아버지 교황 바오로 5세의, 하나님의 지극히 거룩하신 어머니이자 우리의 주님이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무염시태를 지지하는 칙령)가 발표되었다.[8]

4. 2. 시성 및 시복

바오로 5세는 가롤로 보로메오(1610년 11월 1일), 로마의 프란치스카(1608년 5월 29일), 뢰번의 알베르토(1621년 8월 9일)를 시성했다.[1]

또한 이냐시오 데 로욜라(1609년 7월 27일), 필립보 네리(1615년 5월 11일), 아빌라의 데레사(1614년 4월 24일), 알로이시오 곤자가(1605년 10월 10일), 프란치스코 하비에르(1619년 10월 25일)를 시복했다.[1]

4. 3. 추기경 서임

교황은 재위 기간 동안 열 번의 추기경 회의를 통해 60명의 추기경을 서임했다. 그는 자신의 조카 시피오네 보르게세를 추기경으로 임명했으며(족벌주의), 그의 직계 후임자가 될 교황 그레고리오 15세가 될 알레산드로 루도비시도 추기경으로 임명했다.

4. 4. 베네치아와의 갈등

교황 바오로 5세는 교회의 사법권 행사를 주장했는데, 이는 교회와 여러 세속 국가들 간의 다툼으로 이어졌다. 특히 베네치아 공화국에서는 바르바로 가문의 에르몰라오 바르바로(1548-1622)가 성직자들의 세속 정부 사법권 면책 특권을 옹호했다. 베네치아 정부는 성직자에게 부동산 양도를 금지하고, 성당 신축 시 정부의 심사를 의무화하는 두 가지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는 사실상 교회와 국가 분리를 추구하는 베네치아의 입장을 나타낸 것이었다. 학대, 독살, 살인, 음란 등의 혐의로 기소된 사제 두 명이 베네치아 정부에 체포되어 재판에 회부되었고, 유죄 판결을 받아 감옥에 갔다.

바오로 5세는 이들을 교회에 인도하라고 요구하며, 범죄를 저지른 성직자를 교회법이 아닌 세속법에 따라 처벌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베네치아 정부가 이를 거부하자, 교황은 1605년 크리스마스에 베네치아 의회에 성무금지령을 내리겠다고 위협했다. 베네치아의 입장은 교회법학자인 파올로 사르피 신부가 변호했다. 그는 이 사건을 세속과 교회의 영역 분리를 정의하는 원칙으로 확대했다. 1606년 4월, 교황은 베네치아 정부를 파문하고 베네치아 도시 전체에 성무금지령을 내렸다. 사르피 신부는 교황의 성무금지령을 거부하고 베네치아 정부 편에 서서 힘에는 힘으로 맞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베네치아 정부는 사르피 신부의 주장을 받아들여, 교황이 세속 문제에 간섭하는 것은 불법이며 베네치아 공화국은 하느님 외에는 그 누구의 권한도 인정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예수회 등을 제외한 베네치아의 나머지 가톨릭 성직자들도 베네치아 정부를 지지했다. 베네치아 정부는 정부 방침을 따르지 않은 가톨릭 성직자들을 모두 베네치아 영토 밖으로 추방했다. 베네치아에서는 교황의 뜻을 거스르고 계속 미사가 드려졌으며,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에는 공공장소에서 화려하고 장엄하게 기념했다. 1년 만인 1607년 3월, 프랑스 왕국스페인의 중재로 양측의 의견 차이가 조율되었다. 베네치아 공화국은 법률 철회를 거부하되 가톨릭 신앙은 계속 지켜나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예수회는 베네치아에서 불온분자 내지는 교황의 첩보원으로 간주되어 계속 입국이 금지됐다. 더 이상 베네치아와 싸워봤자 이득이 없다고 판단한 바오로 5세는 자신이 내린 단죄를 철회했다.[17][18]

4. 5. 잉글랜드와의 관계

교황 바오로 5세의 강경한 가톨릭 외교 정책은 잉글랜드 내 온건파 가톨릭교도들의 입지를 약화시켰다. 1606년 7월 9일, 제임스 1세에게 즉위 축하 서한을 보냈으나, 이는 3년이나 늦은 것이었고 이후 벌어질 갈등의 전조로 여겨졌다.[1]

또한, 전년도 11월에 발생한 화약 음모 사건에 대해 언급했는데, 이는 잉글랜드인들이 교황청 대리인들이 이 사건에 연루되었다고 의심했기 때문에 교황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1] (교황 바오로 5세의 초상은 매년 루이스 봉파이어 축제에서 불태워진다).[1] 그러나 교황은 서한에서 제임스 1세에게 소수의 범죄자들 때문에 무고한 가톨릭 신자들이 고통받지 않도록 요청하고, 잉글랜드의 모든 가톨릭 신자들에게 하느님의 영광에 어긋나지 않는 한 국왕에게 순종하고 충성할 것을 권고하겠다고 약속했다.[1]

하지만 제임스 1세가 신하들에게 요구한 충성 서약에는 17세기 가톨릭 신자들이 양심상 동의할 수 없는 조항들이 포함되어 있었다.[1] 이 충성 서약은 몇 주 후(1606년 9월 22일, 1607년 8월 23일 연장)에 발표된 교황 교서에서 엄중히 비난받았다.[1] 이러한 비난은 결국 잉글랜드 가톨릭 신자들을 분열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1]

조지 블랙웰 잉글랜드 대사제에게 보낸 추기경 로베르토 벨라르미노의 편지는 교황청에 또 다른 불만을 야기했다.[1] 벨라르미노는 블랙웰이 교황에 대한 의무를 무시하고 충성 서약을 했다는 이유로 그를 비난했다.[1] 이 편지는 제임스 1세의 신학 에세이(1608)에서 언급될 정도로 널리 알려졌고, 벨라르미노는 곧 잉글랜드 국왕과 소책자를 주고받으며 논쟁을 벌였다.[1]

4. 6. 일본과의 관계

1615년 11월, 교황 바오로 5세는 로마에서 하세쿠라 쓰네나가가 이끄는 일본 사절단을 맞이했다.[19] 하세쿠라는 자신의 주군 다테 마사무네의 친서를 교황에게 전달하고 일본누에바에스파냐 간의 통상 조약 체결을 요청했다. 친서에는 또한 일본에 그리스도교 선교사들을 보내줄 것을 요청하는 내용도 있었다. 교황은 선교사 파견에는 동의했으나, 무역 문제는 스페인 국왕에게 위임했다.[13]

4. 7. 건설 공사

바오로 5세는 성 베드로 대성전 완공을 위해 재정을 지원하고, 바티칸 도서관을 개선하여 바티칸 사도 문서 보관소를 분리했다.[1] 그는 고대 로마의 수도교인 트라야나 수도교를 복원하여 아쿠아 파올라로 이름을 바꾸고, 네르바 광장의 폐허에서 가져온 자재를 사용하여 테베레강 오른쪽 둑에 있는 트라스테베레와 보르고 지역까지 물을 공급했다.[1]

5. 사망

1621년 1월 28일 퀴리날레 궁전에서 뇌졸중으로 쓰러져 선종했다. 그의 뒤를 이어 교황 그레고리오 15세가 즉위했다. 그는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에 안장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Pope Alexander VII (1655–1667) http://www.gcatholic[...] GCatholic 2014-05-10
[2] 서적 Galileo Galilei: First Physicis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999-04-15
[3] 서적 Galileo, Bellarmine, and the Bibl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tre Dame Pess 1991-01-31
[4]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Pope Paul V http://www.newadvent[...]
[5] 블로그 The Episcopal Lineage of Pope Clement X & Pope Paul V http://apostolicsucc[...] 2018-09-14
[6] 서적 Behind Locked Doors Palgrave Macmillan 2003
[7] 간행물 Galileo's Non-Trial (1616), Pre-Trial (1632–1633), and Trial (May 10, 1633): A Review of Procedure, Featuring Routine Violations of the Forum of Conscience 2016-12
[8] 문서 Decree of Our Most Holy Father Pope Paul V in Favor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of the Blessed Virgin Mary, Mother of God https://www.loc.gov/[...] LOC
[9] 문서 St. Charles Borromeo Robert Appleton Company 1908-01-15
[10] 서적 The History of Fra Paolo Sarpi La Croce 1911
[11] 서적 A Short History of Italian Literatur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80
[12] 서적 Fra Paolo Sarpi: the Greatest of the Venetians Sampson, Low, Marston & Co. 1893
[13]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4] 웹사이트 Bishop Pope Paul V – Camillo Borghese http://www.catholic-[...] 2017-06-29
[15] 웹인용 CATHOLIC ENCYCLOPEDIA: Pope Paul V http://www.newadvent[...]
[16] 블로그 The Episcopal Lineage of Pope Clement X & Pope Paul V http://apostolicsucc[...] 2018-09-14
[17] 서적 Fra Paolo Sarpi: the Greatest of the Venetians Sampson, Low, Marston & Co. 1893
[18] 서적 The History of Fra Paolo Sarpi La Croce 1911
[19] 서적 Hasekura Tsunenaga https://books.google[...]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