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우구스투스 포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구스투스 포룸은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가 자신의 업적을 기념하고,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계획을 계승하기 위해 건설한 포룸이다. 기원전 42년 필리피 전투 승리 후 맹세, 토지 문제 등으로 건설이 지연되어 기원전 2년에 완공되었으며, 마르스 울토르 신전을 포함하여 종교, 정치, 법적 기능을 수행했다. 포룸에는 아우구스투스 자신을 포함한 로마의 위인들의 조각상들이 배치되어 아우구스투스의 권위를 강화하고 공화정을 회복시켰다는 주장을 뒷받침했다. 다양한 색상의 돌로 장식되어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더했으며, 로마 제국의 다양성을 상징했다.

```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세기 완공된 건축물 - 폼페이우스 극장
    기원전 55년경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가 마르스 광장에 건설한 폼페이우스 극장은 로마 최초의 석조 극장으로, 신전, 정원, 회랑 등 다양한 부대시설을 갖춘 복합 시설이며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 장소로도 알려져 현재는 유적이 캄포 데 피오리와 라르고 디 토레 아르젠티나 사이에 묻혀 있다.
  • 기원전 1세기 완공된 건축물 - 덴데라 신전
    덴데라 신전은 이집트 덴데라에 위치한 신전 단지로 하토르 신전을 중심으로 다양한 신전과 부속 건물, 네크로폴리스로 구성되어 고왕국 시대부터 로마 시대까지 건설 및 개조가 이루어졌으며, 특히 하토르 신전은 예술적, 종교적으로 중요한 유물들을 포함하고 최근까지 복원 및 발굴 작업이 진행 중이다.
  • 로마의 고대 건축물 - 트라야누스 포룸
    트라야누스 포룸은 트라야누스 황제가 다키아 정복을 기념하기 위해 건설한 고대 로마의 광장으로, 바실리카 울피아, 트라야누스 원주, 도서관, 신전 등을 포함한 복합 건축물이었으나 현재는 일부만 남아있다.
  • 로마의 고대 건축물 - 판테온 (로마)
    판테온은 고대 로마 건축물로, 돔과 주랑 현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18년부터 128년 사이에 하드리아누스 황제에 의해 재건되었고, 로마의 모든 신들을 위한 신전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가톨릭 성당으로 사용된다.
아우구스투스 포룸
개요
아우구스투스 포룸과 마르스 울토르 신전의 잔해
아우구스투스 포룸과 마르스 울토르 신전의 잔해. 옆 건물은 카이사르 포룸.
위치황제들의 포룸
착공기원전 2년
건설 주체아우구스투스 황제
종류포룸
공식 명칭
라틴어Forum Augustum
이탈리아어Foro di Augusto
통치 기간
해당 통치자기원전 27년 - 서기 14년

2. 역사

아우구스투스 포룸의 건설은 옥타비아누스가 기원전 42년 필리피 전투 중 마르스 신에게 신전 건립을 맹세하면서 시작되었다.[13][1] 양아버지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복수를 완수하고 로마 제국 초대 프린켑스가 된 그는 기원전 20년경 자신의 이름을 딴 포룸 건설에 착수했다.[1][12]

건설 과정에서 토지 문제 등으로 인해 계획이 일부 변경되고 공사가 지연되어, 포룸은 맹세 후 40년 만인 기원전 2년에 완공되었다.[14][2][13][15][1][3] 완공 이후 서기 19년에는 티베리우스 황제가 드루수스 율리우스 카이사르게르마니쿠스의 게르마니아 전승을 기념하는 개선문을 신전 양옆에 추가하였다.

112년 트라야누스 포룸이 개장하면서 아우구스투스 포룸의 기능 일부가 이전되었으나,[4] 하드리아누스 황제 시기에 일부 보수가 이루어졌다.[4] 로마 제국 후기까지 포룸의 엑세드라 등 일부 공간은 교육 및 문화 활동 장소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395년 이후 기록이 끊겼으며,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6세기경 지진이나 전쟁 등으로 인해 체계적으로 해체, 붕괴된 것으로 보인다. 이곳은 로마의 주요 공공건축물 중 비교적 일찍 사라진 편이어서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도 빠르게 잊혔다. 9세기에는 폐허가 된 신전 터 위에 바실리우스 수도원이 세워졌고, 10세기경에는 잡초가 무성해져 'Hortus mirabilis|호르투스 미라빌리스la'(놀라운 정원)라고 불리게 되었다.[5][17]

2. 1. 건설 배경

삼두정치관이었던 옥타비아누스는 기원전 42년 필리피 전투 중에 로마의 전쟁신 마르스에게 바치는 신전을 짓겠다고 맹세했다.[13][1] 그는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레피두스의 도움을 받아 전투에서 승리함으로써, 양아버지 율리우스 카이사르를 암살한 브루투스카시우스 등에게 복수를 완수했다.[13][1]

이후 옥타비아누스는 정적인 안토니우스폼페이우스마저 제거하고, 기원전 27년에 프린켑스(원로원의 제일인자)의 지위에 올라 사실상 로마 제국의 초대 황제가 되었다. 그는 '아우구스투스'라는 칭호를 얻고, 자신의 이름을 딴 새로운 포룸 건설을 계획했다. 아우구스투스는 이 포룸 건설이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생전에 구상했던 "현존하는 어떤 것보다 거대한" 마르스 신전 건립 계획을 잇는 것이라고 내세웠다. 그러나 이는 신격화된 양아버지 카이사르의 권위를 후계자인 자신에게 연결시켜, 로마 시민들의 지지를 확보하고 자신의 권력을 공고히 하려는 정치적 의도가 담긴 행보였다.[1][13]

기원전 20년경 포룸 건설이 시작되었으나[12], 초기 계획은 아우구스투스가 소유한 토지보다 더 넓은 면적을 필요로 했다. 추가 토지를 확보하기 위해 주변 민가를 강제로 수용할 수도 있었지만,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아우구스투스는 이를 원치 않아 설계를 일부 변경하는 방식을 택했다.[14][2] 이로 인해 포룸 구조에 일부 비대칭적인 부분이 생겨났으며, 특히 동쪽 모서리에서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진다. 토지 문제와 더불어 여러 건축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공사 기간은 예상보다 길어졌다.[13][2] 결국 포룸과 마르스 울토르 신전은 아우구스투스가 처음 신전 건립을 맹세한 지 40년이 지난 기원전 2년에야 완공되어 봉헌되었다.[13][15][1][3]

2. 2. 건설 과정

삼두정치관이었던 옥타비아누스는 기원전 42년 필리피 전투 중에 로마의 전쟁신 마르스에게 신전을 바치겠다고 맹세했다.[13][1] 전투에서 승리하고 양아버지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암살에 대한 복수를 마친 후,[13][1] 그는 기원전 27년 프린켑스가 되어 '아우구스투스'라는 이름을 얻고, 자신의 이름을 딴 새로운 포룸에 신전을 짓기로 계획했다. 이는 "현존하는 어떤 것보다 거대한" 신전을 지으려 했던 카이사르의 계획을 잇는다는 명분도 있었다.[13]

포룸 건설 부지의 대부분은 아우구스투스가 이미 소유한 땅이었으나, 초기 설계는 그가 가진 땅보다 더 넓은 면적을 요구하여 추가 토지를 구매하거나 수용해야 하는 상황이었다.[2][12] 역사가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아우구스투스는 주변 토지 소유주들의 집을 강제로 빼앗기를 원치 않았다고 한다.[14][2] 이에 따라 아우구스투스는 강제 수용 대신 설계를 일부 변경하는 방식을 택했고, 이로 인해 포룸 일부, 특히 동쪽 모서리 부분에서 비대칭적인 모습이 나타나게 되었다.[2]

이러한 토지 문제와 더불어 여러 건축 과정에서의 차질들로 인해 건설 기간은 길어졌다.[14][2] 결국 포룸과 신전은 옥타비아누스가 처음 맹세한 지 40년 만인 기원전 2년에야 봉헌될 수 있었다.[13][15][1][3]

2. 3. 완공과 이후의 역사

미완성 상태로 있던 포룸과 그 신전은 최초 맹세 후 40년이 지난 기원전 2년에 봉헌되었다.[1][3] 서기 19년 티베리우스게르마니아에서의 승리를 기념하여 드루수스 율리우스 카이사르게르마니쿠스를 기리는 개선문을 신전 양쪽에 세웠다.

서기 112년에 트라야누스 포룸이 헌납되면서 아우구스투스 포룸에서 발견되는 비문의 수가 감소했는데, 이는 포룸의 기능 다수가 새로운 시설로 이전되었음을 시사한다.[4] 그럼에도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일부 수리를 진행했다.[4] 후기 고대 시대에는 포룸의 엑세드라가 교육적, 문화적 용도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아우구스투스 포룸에 대한 마지막 언급은 서기 395년에 기록되었다. 고고학적 자료에 따르면 6세기 전반에 구조물이 체계적으로 해체되었는데, 이는 지진이나 전쟁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기 때문일 수 있다. 아우구스투스 포룸은 로마의 위대한 공공 건물 중 비교적 초기에 사라진 편이었으며, 이 때문에 원래 이름에 대한 기억도 빠르게 잊혔다. 9세기에는 파괴된 신전의 연단 위에 바실리우스 수도원이 세워졌다. 10세기 무렵에는 포룸 부지가 폐허와 초목으로 뒤덮여 현지인들은 이곳을 Hortus mirabilis|호르투스 미라빌리스la(놀라운 정원)라고 불렀다.[5]

3. 사용 용도

아우구스투스 포룸은 로마의 전쟁신 마르스를 위한 신전을 봉헌하고[13], 당시 매우 혼잡했던 포로 로마노의 기능을 보완하며 법적 절차[1][6] 등을 위한 추가적인 공공 공간을 제공할 목적으로 건설되었다.[13][18] 포룸, 특히 중앙의 마르스 울토르 신전은 로마의 중요한 종교, 정치, 군사 활동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전쟁 전 의식 거행[7], 원로원의 전쟁 관련 회의[7], 승전 장군의 전리품 봉헌 및 보관[7], 성인식과 같은 국가 의례[7], 그리고 파르티아나 게르만족에게서 되찾은 군단기(아퀼라) 보관[7] 등 다양한 기능이 이곳에서 이루어졌다.

3. 1. 종교적 기능

아우구스투스 포룸은 마르스 신전을 봉헌하고, 당시 매우 혼잡했던 포로 로마노를 대신하여 법적 절차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건설되었다.[1][6] 특히 포룸 중앙에 위치한 마르스 울토르 신전은 중요한 종교적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전쟁에 나서기 전, 로마의 장군들은 마르스 신전에서 출정 의식을 치르고 전장으로 향했다.[7] 젊은 남성들이 성인이 되었음을 상징하는 토가 비릴리스를 처음 입는 의식도 이곳에서 거행되었다.[7] 원로원은 전쟁과 관련된 중요한 논의를 할 때 마르스 신전에서 회의를 열었으며, 전쟁에서 승리하고 돌아온 장군들은 개선식에서 얻은 전리품 중 일부를 신전 제단에 바치며 마르스 신에게 감사를 표했다.[7] 전쟁에서 노획한 무기나 각종 보물들도 포룸 내부에 보관되곤 했다.[7]

프리마 포르타의 아우구스투스 조각상의 중앙 흉갑 부조에는 파르티아에게 빼앗긴 아퀼라(로마 군단기)의 반환이 묘사되어 있다.


아퀼라(로마 군단기)가 복수의 마르스 신전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로마 동전.


마르스 울토르 신전은 로마 군단의 명예와 관련된 상징적인 물건들을 보관하는 중요한 장소이기도 했다. 아우구스투스크라수스가 기원전 53년 카레 전투에서 파르티아에게 패배하며 빼앗겼던 군단기(아퀼라)를 기원전 20년, 외교적 노력을 통해 되찾아와 이 신전에 보관했다.[7] 이는 로마의 자존심을 회복한 중요한 사건으로, 프리마 포르타의 아우구스투스 상의 흉갑에도 그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또한 서기 9년,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에서 바루스가 이끌던 제17군단, 제18군단, 제19군단이 전멸하며 잃어버렸던 3개의 아퀼라 역시 후대에 되찾아와 마르스 울토르 신전에 안치되었다.[7] 첫 번째 아퀼라는 서기 14년 게르마니쿠스가 마르시족에게서, 두 번째는 서기 15년 역시 게르마니쿠스가 브룩테리족에게서 되찾았으며, 마지막 세 번째는 서기 41년 클라우디우스 황제 때 카우키족에게서 회수되었다.[7] 이렇게 회수된 군단기들은 로마 군의 명예 회복을 상징하며 신성시하며 보관했다.

3. 2. 정치적 기능

아우구스투스 포룸은 마르스 신전을 봉헌하고, 당시 매우 혼잡했던 포로 로마노의 부담을 덜어주며 법적 절차를 위한 추가 공간을 제공할 목적으로 건설되었다.[1][6]

포룸 내 마르스 신전은 다양한 정치적, 군사적 기능을 수행했다. 전쟁을 시작하기 전, 로마의 장군들은 마르스 신전에서 출발하는 의식을 치렀다. 또한, 원로원은 전쟁 관련 논의가 필요할 때 이 신전에서 회의를 열었다.[7] 승리하고 돌아온 장군들은 개선에서 얻은 전리품을 신전의 제단에 바치며 마르스에게 감사를 표했다. 전쟁에서 노획한 무기나 각종 보물들도 포룸 내에 보관되곤 했다.[7]

신전은 중요한 상징물 보관소 역할도 했다. 대표적으로 기원전 53년 카르해 전투에서 크라수스파르티아에게 빼앗겼던 로마 군단기를 기원전 20년 아우구스투스의 외교적 노력으로 되찾아와 이곳에 보관했다. 이 사건은 프리마 포르타의 아우구스투스 상의 흉갑에도 묘사되어 있다. 또한 서기 9년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에서 게르만족에게 빼앗겼던 제17군단, 제18군단, 제19군단의 아퀼라(군단 독수리 상징) 세 개도 되찾은 후 모두 마르스 울토르 신전에 안치되었다. 이 아퀼라들은 각각 서기 14년에 마르시족, 서기 15년에 브룩테리족, 서기 41년에 카우키족으로부터 회수되었다.[7] 이 외에도 젊은 남성들이 성인이 되었음을 상징하는 토가 비릴리스를 처음 입는 의식 등 여러 중요한 의례가 신전에서 거행되었다.[7]

3. 3. 법적 기능

아우구스투스 포룸은 기존의 로마 포룸이 매우 혼잡했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고 법적 절차를 위한 추가적인 공간을 제공할 목적으로 건설되었다.[1][6]

4. 조각상

아우구스투스 포룸은 로마 제국의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권위와 업적을 기리고, 로마 공화정의 영광을 계승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조각상들로 가득 채워졌다. 포룸 중앙에는 완전 무장한 아우구스투스 자신의 조각상이 세워졌고, 마르스 울토르 신전 내부에는 마르스베누스 여신의 상이 안치되어 포룸의 핵심적인 상징성을 드러냈다.[20][8]

포룸에는 총 108개에 달하는 인물 조각상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각 조각상에는 해당 인물의 공적을 기록한 비문, 이른바 '엘로기아'(elogia)가 함께 설치되었다. 이 엘로기아는 아우구스투스가 로마 역사 속에서 자신의 위상과 역할을 어떻게 설정하고 대중에게 알리고자 했는지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20][8][21][9]

조각상의 배치는 치밀한 계획 아래 이루어졌다. 포룸의 좌측 공간과 엑세드라(반원형 공간)에는 로마 공화정 시기 개선식을 거행했던 영웅적인 장군들의 조각상이 배치되었다. 반면, 우측 공간과 엑세드라에는 로마 건국의 시조인 아이네아스와 로물루스로부터 시작하여 알바 롱가의 왕들을 거쳐 아우구스투스 자신에게 이어지는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가문의 인물 조각상들이 세워졌다.[22][10] 이러한 배치를 통해 아우구스투스는 자신의 혈통이 로마의 유구한 역사 및 건국 신화와 직접적으로 연결됨을 강조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통치 정당성과 권위를 공고히 하려 했다. 또한, 공화정의 위대한 인물들을 기리는 동시에 자신을 그 계승자이자 완성자로 위치시키면서, 로마 공화정을 부활시켰다는 정치적 명분을 강화하는 효과를 노렸다.

이 외에도 그리스 테게아에서 가져온 상아 재질의 아테나 알레아 조각상이나 아우구스투스 황제 개인의 수호신 격인 '게니우스'를 형상화한 거대 조각상 등 다양한 조각 작품들이 포룸을 장식했다.

4. 1. 주요 조각상

아우구스투스 포룸은 풍부하고 다양한 조각상들로 채워졌다. 가장 유명한 것은 포룸 가운데에 완전 무장 상태로 서 있던 아우구스투스 상과 신전 내부에 있던 마르스베누스 상이었다. 포룸에는 총 108개의 초상 조각상이 있었으며, 각 조각상에는 해당 인물의 업적을 기록한 비문이 함께 설치되었다. 이 비문들은 오늘날 학자들에게 '엘로기아'(elogia)라고 불리며, 이를 통해 아우구스투스가 로마 역사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고 보여주고자 했는지 엿볼 수 있다.[20][21]

조각상들은 포룸 양쪽에 전략적으로 배치되었다. 청동이나 대리석으로 제작된 로마 공화정 시기 모든 개선 장군들의 조각상은 포룸의 왼쪽 면과 좌측 엑세드라(반원형 공간)를 따라 배치되었다. 반면, 포룸 오른쪽 면과 우측 엑세드라에는 아이네아스와 로물루스로부터 시작하여 알바 롱가의 왕들을 거쳐 이어지는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가문의 인물 조각상들이 세워졌다. 이는 아우구스투스 자신의 혈통이 로마 건국 신화와 직접적으로 연결됨을 강조하고, 로마의 유서 깊은 혈통과 자신의 명망 높은 가문을 동일시하려는 의도였다.[22] 이러한 배치를 통해 아우구스투스는 자신의 권력과 권위를 강화하고, 스스로를 로마의 위대한 영웅들과 같은 반열에 올려놓고자 했다. 모든 엘로기아가 과거 영웅들의 업적을 기리는 동안, 아우구스투스 자신의 업적은 아우구스투스 업적록을 통해 기록되어 이들과 대비를 이루었다.

포룸의 조각상들은 아우구스투스가 로마 공화정을 회복시켰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근거로 활용되었다. 과거 로마의 위인들을 기리는 동시에, 아우구스투스는 혈통과 업적을 통해 자신을 이들과 연결시킴으로써 옛 공화정 시대와의 연속성을 강조하려 했다.

엘로기아 비문이 일부 남아있는 공화정 시대 주요 인물들의 조각상은 다음과 같다.[23]

인물주요 경력 및 업적
아울루스 포스투미우스 알부스 레길렌시스기원전 496년 집정관, 레길루스호 전투 승리
마니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기원전 494년 독재관, 최초의 프린켑스 세나투스로 추정
아울루스 코르넬리우스 코수스기원전 428년 집정관, 피데나이 전투에서 에트루리아 왕 라르스 톨룸니우스를 죽여 스폴리아 오피마 획득
마르쿠스 푸리우스 카밀루스5차례 독재관(기원전 396년~367년), 기원전 390년 갈리아족의 약탈에서 로마 구원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코르부스6차례 집정관(기원전 346년~299년), 개선식 3회 거행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쿠르소르5차례 집정관(기원전 326년~313년), 제2차 삼니움 전쟁 영웅, 리비우스가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비견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쿠스기원전 312년 감찰관, 최초의 로마의 수도교(아쿠아 아피아) 및 로마의 도로(아피아 가도) 건설
가이우스 파브리키우스 루스키누스기원전 282년, 278년 집정관, 피로스 전쟁 중 청렴함으로 유명
가이우스 두일리우스기원전 260년 집정관, 밀라이 해전에서 카르타고 상대로 첫 해전 승리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베루코수스 (쿤크타토르)5차례 집정관(기원전 233년~209년), 제2차 포에니 전쟁한니발 상대 지연 전술 구사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마르켈루스5차례 집정관(기원전 222년~208년), 기원전 222년 스폴리아 오피마 획득, 시라쿠사 함락(기원전 212년)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기원전 205년, 194년 집정관, 자마 전투(기원전 202년)에서 한니발 격파
가이우스 코르넬리우스 케테구스기원전 197년 집정관, 케노마니족 상대 승리
마르쿠스 포르키우스 카토 (감찰관 카토)기원전 195년 집정관, 보수적 도덕률 강조, 라틴어 최초의 로마 역사서 저술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아시아티쿠스기원전 190년 집정관, 마그네시아 전투에서 안티오코스 3세 격파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기원전 187년, 175년 집정관, 프린켑스 세나투스 6회, 폰티펙스 막시무스 역임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 마케도니쿠스기원전 182년, 168년 집정관, 피드나 전투(기원전 168년)에서 마케도니아페르세우스 격파
티베리우스 셈프로니우스 그라쿠스기원전 177년, 163년 집정관, 켈티베리아인, 사르데냐인 상대 승리
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풀케르기원전 177년 집정관, 히스트리족, 리구레스족 상대 승리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기원전 147년, 134년 집정관, 카르타고와 누만티아 파괴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마케도니쿠스기원전 143년 집정관, 안드리스쿠스 격파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누미디쿠스기원전 109년 집정관, 유구르타 격파
가이우스 마리우스7차례 집정관(기원전 107년~86년), 킴브리족, 튜턴족 격파
술라기원전 88년, 80년 집정관, 유구르타 생포, 미트리다테스 격파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루쿨루스기원전 74년 집정관, 미트리다테스 6세와 티그라네스 대왕 격파



이 외에도 포룸에는 다른 중요한 조각상들이 있었다. 아우구스투스가 그리스 테게아의 신전에서 가져온, 조각가 엔도이오스가 상아로 만든 아테나 알레아 상이 대표적이다. 또한, 북쪽 포르티코(주랑 현관)에는 '아우구스투스의 게니우스'(Genius Augusti)라 불리는 거대한 조각상이 있었는데, 현재 이 공간은 콜로수스 홀(Colossus Hall)이라 불리며 조각상이 서 있던 받침대로 추정되는 구조물이 남아있다. 이 거대 조각상의 파편 일부는 인근 황제들의 포룸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4. 2. 조각상 배치와 의미

아우구스투스 포룸은 풍부하고 다양한 조각상들로 채워졌다. 가장 유명한 것은 포룸 가운데에 놓인 완전 무장 상태의 아우구스투스 상과 마르스 울토르 신전에 있는 마르스베누스 상이다. 총 108개의 조각상에는 각 인물의 업적을 새긴 비문, 즉 '엘로기아'(''elogia'')가 함께 있어, 아우구스투스가 로마 역사에서 자신의 역할을 어떻게 보았는지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20][8][21][9]

청동이나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로마 공화국의 모든 개선 장군들의 조각상은 포룸의 왼쪽 면과 좌측 엑세드라에 배치되었다. 반면, 오른쪽 면과 우측 엑세드라에는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가문의 인물 조각상들이 자리했다. 이 배치는 아우구스투스의 혈통이 알바 롱가의 14명 왕들을 거쳐 로마 건국의 아버지인 아이네아스와 로물루스까지 이어진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함이었다.[22][10] 이를 통해 로마의 유서 깊은 혈통과 아우구스투스 자신의 명망 높은 혈통을 동시에 부각하며 지도자로서의 권력과 권위를 강화했다. 또한, 자신을 로마의 위대한 영웅들과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스스로를 그들과 동등한 '위대한 인물'로 묘사하고 자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모든 엘로기아가 과거 위인들의 업적을 기록하는 것처럼, 아우구스투스의 《신성한 아우구스투스의 업적》 역시 이러한 기록들과 직접적인 유사성을 보인다.

포룸의 조각상들은 아우구스투스가 공화정을 복원했다고 주장하는 데 훌륭한 근거를 제공했다. 과거 로마의 위인들을 조각상을 통해 기리는 동시에, 아우구스투스는 혈통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이들과 자신을 연결하려 했다. 이는 아우구스투스가 자신의 통치와, 그가 지속적으로 이상화했던 옛 공화정 시대를 연결하는 또 다른 고리가 되었다.

비문이 남아있는 공화정 시기 주요 인물들의 조각상은 다음과 같다:[23][11]

인물주요 업적 / 설명
아울루스 포스투미우스 알부스 레길렌시스기원전 496년 집정관, 레길루스 호수 전투 승리
마니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기원전 494년 독재관, 최초의 프린켑스 세나투스로 추정
아울루스 코르넬리우스 코수스기원전 428년 집정관, 기원전 437년 피데나이 전투에서 에트루리아 왕 라르스 톨룸니우스를 전사시키고 스폴리아 오피마 수여
마르쿠스 푸리우스 카밀루스기원전 396년-367년 사이 다섯 차례 독재관, 기원전 390년 갈리아인의 로마 약탈 이후 로마 구원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코르부스기원전 346년-299년 사이 여섯 차례 집정관, 개선식 세 번 거행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쿠르소르기원전 326년-313년 사이 다섯 차례 집정관, 제2차 삼니움 전쟁의 영웅. 리비우스는 그를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비유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쿠스기원전 312년 감찰관, 최초의 로마의 수도교 (아쿠아 아피아)와 최초의 로마의 도로 (아피아 가도) 건설
가이우스 파브리키우스 루스키누스기원전 282년, 278년 집정관, 피로스 전쟁 중 청렴함으로 유명
가이우스 두일리우스기원전 260년 집정관, 밀레 해전에서 카르타고 상대로 첫 해전 승리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베루코수스기원전 233년-209년 사이 다섯 차례 집정관, 제2차 포에니 전쟁한니발 상대 지연 전술로 유명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마르켈루스기원전 222년-208년 사이 다섯 차례 집정관, 기원전 222년 스폴리아 오피마 수여, 기원전 212년 시라쿠사 점령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기원전 205년, 194년 집정관, 기원전 202년 자마에서 한니발 격파
가이우스 코르넬리우스 케테구스기원전 197년 집정관, 케노마니족 상대 개선식 거행
마르쿠스 포르키우스 카토기원전 195년 집정관, 보수적 도덕성, 라틴어 최초의 로마사 저술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아시아티쿠스기원전 190년 집정관, 마그네시아에서 안티오코스 3세 격파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기원전 187년, 175년 집정관, 프린켑스 세나투스 여섯 차례, 폰티펙스 막시무스 역임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 마케도니쿠스기원전 182년, 168년 집정관, 피드나에서 마케도니아의 페르세우스 격파
티베리우스 셈프로니우스 그라쿠스기원전 177년, 163년 집정관, 켈티베리아인과 사르데냐인 상대 개선식 거행
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풀케르기원전 177년 집정관, 히스트리족과 리구레스족 상대 개선식 거행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기원전 147년, 134년 집정관, 카르타고와 누만티아 점령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마케도니쿠스기원전 143년 집정관, 안드리스쿠스 격파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누미디쿠스기원전 109년 집정관, 유구르타 격파
가이우스 마리우스기원전 107년-86년 사이 일곱 차례 집정관, 킴브리족과 튜턴족 격파
술라기원전 88년, 80년 집정관, 유구르타 생포, 미트리다테스 격파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루쿨루스기원전 74년 집정관, 미트리다테스 6세와 티그라네스 격파



다른 조각상으로는 엔도이오스가 조각한 상아 재질의 아테나 알레아 상이 있으며, 아우구스투스가 그리스테게아에 있는 신전에서 가져온 것이다. 아우구스투스의 게니우스라고 불리는 거대한 조각상은 북쪽 포르티코(현재는 콜로수스 홀이라고 불림)에 위치했는데, 이 조각상의 받침대로 추정되는 기초 부분은 여전히 남아있다. 이 조각상의 파편들은 현재 인근 황제들의 포룸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4. 3. 주요 인물 목록

아우구스투스 포룸에는 로마 공화정 시기의 유명 인사들의 조각상이 다수 세워졌으며, 각 조각상에는 인물의 업적을 기록한 비문('엘로기아', ''elogia'')이 함께 있었다. 이러한 조각상들은 아우구스투스가 자신의 혈통과 권위를 로마의 위대한 역사와 연결시키려는 의도를 보여준다. 비문이 현재까지 남아 전해지는 주요 인물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11]

'''아우구스투스 포룸의 공화정 인물 조각상 목록 (엘로기아 기록 기준)'''
인물주요 활동 및 업적
아울루스 포스투미우스 알부스 레길렌시스기원전 496년 집정관, 레길루스 호수 전투 승리
마니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기원전 494년 독재관, 최초의 원로원 의장(추정)
아울루스 코르넬리우스 코수스기원전 428년 집정관, 기원전 437년 피데나 전투에서 에트루리아 왕 라르스 톨룸니우스 사살, 스폴리아 오피마 수훈
마르쿠스 푸리우스 카밀루스기원전 396년 ~ 367년 사이 독재관 5회 역임, 기원전 390년 갈리아인의 로마 약탈 이후 로마 구원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코르부스기원전 346년 ~ 299년 사이 집정관 6회 역임, 개선식 3회 거행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쿠르소르기원전 326년 ~ 313년 사이 집정관 5회 역임, 삼니움 전쟁의 영웅, 리비우스가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비견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쿠스기원전 312년 감찰관, 최초의 로마 수도교(아쿠아 아피아)와 최초의 로마 도로(아피아 가도) 건설
가이우스 파브리키우스 루스키누스기원전 282년, 278년 집정관, 피로스 전쟁 당시 청렴함으로 유명
가이우스 두일리우스기원전 260년 집정관, 밀레 해전에서 카르타고 상대로 첫 해전 승리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베루코수스기원전 233년 ~ 209년 사이 집정관 5회 역임, 제2차 포에니 전쟁한니발 상대 파비우스 전략 구사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마르켈루스기원전 222년 ~ 208년 사이 집정관 5회 역임, 기원전 222년 스폴리아 오피마 수훈, 기원전 212년 시라쿠사 점령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기원전 205년, 194년 집정관, 기원전 202년 자마 전투에서 한니발 격파
가이우스 코르넬리우스 케테구스기원전 197년 집정관, 체노마니 상대 개선식 거행
마르쿠스 포르키우스 카토기원전 195년 집정관, 보수적 도덕성으로 유명, 라틴어로 된 최초의 로마 역사서 저술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아시아티쿠스기원전 190년 집정관, 마그네시아 전투에서 안티오코스 3세 격파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기원전 187년, 175년 집정관, 원로원 의장 6회 및 대사제 역임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 마케도니쿠스기원전 182년, 168년 집정관, 피드나 전투에서 마케도니아페르세우스 격파
티베리우스 셈프로니우스 그라쿠스기원전 177년, 163년 집정관, 켈티베리아인과 사르데냐인 상대 개선식 거행
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풀케르기원전 177년 집정관, 히스트리와 리구레스 상대 개선식 거행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기원전 147년, 134년 집정관, 카르타고와 누만티아 점령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마케도니쿠스기원전 143년 집정관, 안드리스쿠스 격파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누미디쿠스기원전 109년 집정관, 유구르타 격파
가이우스 마리우스기원전 107년 ~ 86년 사이 집정관 7회 역임, 킴브리족과 테우토니족 격파
술라기원전 88년, 80년 집정관, 유구르타 생포, 미트리다테스 격파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루쿨루스기원전 74년 집정관, 미트리다테스 6세와 티그라네스 격파


4. 4. 기타 조각상

조각가 엔도이오스가 상아로 만든 아테나 알레아 상도 포룸에 있었다. 이 조각상은 아우구스투스그리스테게아에 있는 신전에서 가져왔다.

또한 '아우구스투스의 게니우스'라 불리는 거대한 조각상이 포룸 북쪽 주랑(포르티코)에 있었는데, 이 장소는 '콜로수스 홀'이라고도 불린다. 조각상의 받침대로 추정되는 기초는 여전히 남아 있으며, 조각상의 파편들은 인근 황제들의 포룸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5. 건축 양식

아우구스투스 포룸의 초기 설계는 확보된 부지보다 넓은 면적을 필요로 했으나, 아우구스투스는 인근 토지를 강제로 수용하는 대신 설계를 변경하는 방식을 택했다.[14] 이로 인해 포룸 일부, 특히 동쪽 모서리 부분에서 비대칭적인 모습이 나타나게 되었다. 수에토니우스는 아우구스투스가 주변 주택 소유주들의 재산을 강제로 빼앗고 싶어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기록했다.[14] 이러한 토지 문제와 여러 건축적 어려움으로 인해 완공까지는 40년이라는 긴 시간이 소요되어 기원전 2년에야 마무리되었다.[13][15] 이후 서기 19년에는 티베리우스 황제가 마르스 울토르 신전 양옆에 소 드루수스와 게르마니쿠스의 게르마니아 전쟁 승리를 기념하는 개선문 두 개를 추가로 세웠다.

5. 1. 건축 재료

(내용 없음)

참조

[1] AV미디어 Augustus Assembles His Marble City https://web.archive.[...] Yale University 2014-02-16
[2] 기타 Augustus
[3] 서적 Understanding Architecture: Its Elements, History and Meaning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4] 웹사이트 Temple of Mars Ultor: Ruins http://penelope.uchi[...] Penelope.uchicago.edu 2014-08-03
[5] 기타 History of the City of Rome in the Middle Ages
[6] 서적 The Age of Augustus https://archive.org/[...] Crown Publishers
[7]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Scriptores Historiae Augustae, with an English Translation by David Magie Harvard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Latin Inscriptions: Elogia http://www.attalus.o[...] Attalus.org 2014-08-03
[10]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기타 First Hall of Fame
[12] 기타 Augustus
[13] 영상 Augustus Assembles His Marble City https://class.course[...] Yale University 2022-06-06
[14] 기타 Augustus
[15] 서적 Understanding Architecture: Its Elements, History and Meaning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16] 웹인용 Temple of Mars Ultor: Ruins http://penelope.uchi[...] Penelope.uchicago.edu 2014-08-03
[17] 기타 History of the City of Rome in the Middle Ages
[18] 서적 The Age of Augustus https://archive.org/[...] Crown Publishers
[19]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서적 Scriptores Historiae Augustae, with an English Translation by David Magie Harvard University Press
[21] 웹인용 Latin Inscriptions: Elogia http://www.attalus.o[...] Attalus.org 2014-08-03
[22]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기타 First Hall of Fa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