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메아 제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메아 제전은 고대 그리스의 범헬레니즘 경기 중 하나로, 신화에 따르면 테베 원정의 영웅들이 오펠테스의 죽음을 기리기 위해 제정하거나, 헤라클레스가 네메아의 사자를 죽인 후 제전을 열었다고 전해진다. 기원전 6세기부터 존재했으며, 처음에는 전사들을 위한 경기였으나 점차 모든 그리스인에게 개방되었다. 다양한 경기 종목과 승자에게 수여되는 관의 변화, 개최 장소의 이동 등을 거쳐, 마케도니아의 통치와 로마 제국 시대를 지나 쇠퇴했다. 1996년에는 현대 올림픽의 상업주의에 대한 반작용으로 역사 재현의 의미를 담아 부활하여 4년마다 개최되고 있다.

2. 신화

핀다로스의 "네메아"에 대한 주석가의 *argumenta*에는 네메아 제전의 기원에 관한 다양한 전설이 전해지는데, 파우사니아스[1]아폴로도로스제우스 신전 사제와 에우리디케 여왕의 아들 오펠테스를 돌보고 있었다. 힙시필레가 영웅들에게 우물로 가는 길을 안내하는 동안 오펠테스는 드래곤에게 죽임을 당했고, 영웅들은 이를 기리기 위해 장례 경기를 열었다.

다른 전설에 따르면 헤라클레스네메아의 사자를 죽인 후 네메아 제전을 제정했다고 한다. 혹은 헤라클레스가 고대 경기를 부활시켰거나, 제우스를 기리는 경기로 변화시켰다고도 한다.

2. 1. 오펠테스의 죽음

핀다로스의 "네메아"에 대한 주석가의 *argumenta*에는 네메아 제전의 기원에 관한 다양한 전설이 전해지는데, 파우사니아스[1]아폴로도로스아폴로도로스[19]파우사니아스[20] 에 따르면, 일곱 영웅이 네메아에 도착하여 매우 목말랐을 때, 힙시필레를 만났다. 힙시필레는 제우스 신전 사제와 에우리디케 여왕의 아들인 오펠테스를 돌보고 있었다. 힙시필레는 영웅들에게 가장 가까운 우물로 가는 길을 안내하면서, "아이가 걸을 수 있을 때까지 땅에 눕혀서는 안 된다"는 신탁을 잊은 채 아이를 초원에 잠시 눕혀두었다. 그러나 그 사이 오펠테스는 큰 뱀(혹은 드래곤)에게 물려 죽고 말았다. 일곱 영웅은 돌아와 이 사고를 보고 뱀을 죽이고, 오펠테스를 추모하기 위해 3년마다 장례 경기를 열었다.[4]

2. 2. 헤라클레스와 네메아의 사자

헤라클레스네메아의 사자를 물리친 것을 기념하여 제전을 창설했다는 전설이 있다.[2] 또 다른 전설로는, 테베 원정의 일곱 영웅이 설립한 네메아 제전을 헤라클레스가 제우스 신을 기리는 경기 대회로 새롭게 바꾸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3]

3. 역사

핀다로스의 "네메아" 주석에는 네메아 제전의 기원에 관한 다양한 전설이 전해진다. 파우사니아스[1]아폴로도로스[2]의 기록을 비교해 볼 수 있다. 이 전설들은 테베 원정에서 오펠테스(아르케모루스)의 죽음을 기리기 위해 제전이 제정되었다는 데에는 동의한다. 일곱 영웅이 네메아에 도착했을 때, 힙시필레는 제우스 신전 사제와 에우리디케 여왕의 아들 오펠테스를 돌보고 있었다. 힙시필레가 영웅들에게 우물 길을 안내하는 사이, 아이는 드래곤에게 죽임을 당했다. 일곱 영웅은 용을 죽이고 3년마다 장례 경기를 열었다. 다른 전설에 따르면 헤라클레스네메아의 사자를 죽인 후 제전을 제정했거나, 고대 경기를 부활시켜 제우스를 기리는 기념으로 변화시켰다고도 한다.

핀다로스는 이 경기가 나중에 제우스를 기리기 위해 기념되었다고 전한다.3. 1. 초기: 전사를 위한 경기 초기 네메아 제전은 전사를 위한 경기였으며, 전사와 그 아들들만 참가할 수 있었다.[3] 그러나 나중에는 모든 그리스인에게 개방되었다.[4] 경기는 클레오나이와 플리우스 사이의 숲에서 열렸다.

3. 2. 발전: 모든 그리스인에게 개방

네메아 제전은 처음에는 호전적인 성격을 띠어 전사들과 그들의 아들들만 참가할 수 있었으나, 나중에 모든 그리스인에게 개방되었다.[4] 경기는 클레오나이와 플리우스 사이의 숲에서 열렸으며, 제우스를 기리기 위해 기념되었다.[3][4]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경기 종목은 다음과 같았다.[7]

승자에게 주어지는 상품은 원래 올리브 가지였으나, 나중에는 녹색 샐러리 화관이었다.

3. 3. 경기 종목

경마( Ἱπποδρομία|히포드로미아grc ), 경기장에서 갑옷을 입고 달리기,[6] 레슬링, 전차 경주, 원반 던지기, 권투, 창 던지기, 양궁, 음악 경연이 네메아 제전의 경기 종목에 포함되었다.[7]

3. 4. 승자와 심판

승자에게는 처음에는 올리브 관이 수여되었으나, 나중에는 아르고스에서 가져온 녹색 샐러리 화관이 수여되었다.[7] 상을 수여하는 심판들은 검은 옷을 입었으며, 아르고스인이 주관했을 때 그들의 정의의 한 예가 파우사니아스에 의해 기록되었다.[8] 네메아 제전의 장소는 클레오나이, 코린토스, 아르고스 사이에서 시대에 따라 달랐으며, 때로는 첫 번째 장소에 따라 클레오나이안 게임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3. 5. 개최 시기와 장소의 변화

네메아 제전의 개최 장소는 시대에 따라 클레오나이, 코린토스, 아르고스 등지에서 열렸다.[8] 처음에는 클레오나이에서 열렸기 때문에 클레오나이안 게임이라고 불리기도 했다.[8] 상을 수여하는 심판들은 검은 옷을 입었는데, 아르고스인이 주관했을 때 심판의 정의로움에 대한 예가 파우사니아스에 의해 기록되었다.[8]

개최 시기에 대해서는, 핀다로스에 대한 주석가는 파네모스 달의 12일에 열렸다고 언급했지만,[9] 다른 구절에서는 이 주장을 반박하는 진술을 한다. 파우사니아스는 겨울 네메아 제전에 대해 이야기하며, 여름에 열리는 다른 경기들과 구별한다.[10] 네메아 제전은 한동안 열리지 않다가 올림피아드 51.4 (기원전 573년)에 부활하였는데, 유세비우스는 이때부터 첫 번째 네메아드라고 기록한다. 그 후 오랫동안 매 올림피아드마다 두 번, 즉 매 두 번째 올림픽 해의 시작인 겨울과 매 네 번째 올림픽 해의 시작 직후 여름에 정기적으로 열렸다. 마라톤 전투 즈음에는 아르골리스에서 네메아드를 기준으로 날짜를 계산하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

3. 6. 중단과 부활

네메아 제전은 한동안 소홀해졌다가 올림피아드 51.4 (기원전 573년)에 부활하였고, 유세비우스는 이때부터 첫 번째 네메아드라고 기록한다.[9] 그 후 오랫동안 매 올림피아드마다 두 번, 즉 매 두 번째 올림픽 해의 시작인 겨울과 매 네 번째 올림픽 해의 시작 직후 여름에 정기적으로 열렸다.[10] 마라톤 전투 즈음에는 아르골리스에서 네메아드를 기준으로 계산하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

최근에 헬레니즘 스타디움(2001년, 스티븐 G. 밀러에 따르면 약 기원전 320년에 지어진 아치형 입구 터널이 있음)이 발견되었다. 마케도니아의 통제하에 있던 경기는 기원전 4세기 말에 네메아로 돌아왔다. 기원전 208년,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5세는 아르고스인에 의해 네메아 경기에서 회장으로 존경받았고,[11] 퀸티우스 플라미니누스는 네메아 경기에서 아르고스인들의 자유를 선포했다.[12] 황제 하드리아누스는 네메아 경기에서 쇠퇴했던 소년들의 경마를 복원했다. 그러나 그 이후로는 더 이상 기념되지 않은 것 같고, 이후 시기의 어떤 작가도 더 이상 언급하지 않는다.

4. 경기 종목

네메아 제전의 경기는 크게 김닉(Gymnic) 경기와 승마 경기로 나뉜다. 김닉 경기는 참가자들이 나체로 경쟁하는 방식이었다. 승마 경기는 경마장에서 열렸으며, 여성이 참가할 수 있는 유일한 종목이었다.[15] 이는 여성들이 직접 경기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말이나 전차의 소유주가 우승자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폴리스는 승마팀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었다.

4. 1. 김닉 경기 (Gymnic)

이 부분의 참가자들은 나체로 경쟁했다.

  • 퓌크스: 권투와 유사한 경기로, 긴 가죽 끈으로 손과 손목을 묶어 상대를 보호하고 더 큰 피해를 입혔다. 기절하거나 패배를 인정하는 사람이 지는 경기였다.
  • 판크라티온: 권투와 레슬링을 혼합한 경기로, 규칙이 거의 없었다. 기절하거나 패배를 인정하면 졌다.
  • 팔레: 서서 하는 레슬링으로, 상대를 세 번 땅에 넘어뜨리는 것이 목표였다.
  • 5종 경기: 스타디온, 팔레(레슬링), 창 던지기, 원반 던지기, 멀리뛰기로 구성되었다.

4. 1. 1. 달리기


  • 스타디온: 네메아에서 약 178m 길이의 단거리 달리기 경주였다.
  • 디아울로스: 스타디온의 두 배 길이로, 네메아에서 약 355m였다.
  • 히피오스: 디아울로스의 두 배 길이로, 네메아에서 약 710m였다.[13]
  • 돌리코스: 장거리 달리기 경주였다. 이 경주의 정확한 길이는 불확실하며, 스타디움을 7, 10, 20 또는 24바퀴 도는 것이었을 수 있다.[14]
  • 호플리토드로모스: 투구, 청동 방패, 정강이받이를 착용하고 디아울로스 거리를 달리는 중장보병 달리기였다.

4. 2. 승마 경기

경마장에서 열린 승마 경기는 여성이 참가할 수 있는 유일한 종목이었다.[15] 이는 여성들이 직접 말을 타는 것이 허용되어서가 아니라, 말이나 전차의 소유주가 우승자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폴리스는 승마팀을 지원함으로써 참여할 수 있었다.

현재까지 고대 경마장은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제시된 거리는 추정치이다.

  • 테트리폰: 네 마리의 말이 달리는 전차 경주
  • 시노리스: 두 마리의 말이 달리는 전차 경주
  • 켈레스: 기마 경주

4. 2. 1. 전차 경주

경마장에서 열린 이 경기는 여성이 참가할 수 있는 유일한 종목이었다.[15] 이는 여성들이 직접 말을 타는 것이 허용되어서가 아니라, 기수나 마부가 아닌 말이나 전차의 소유주가 우승자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폴리스는 승마팀을 지원함으로써 참여할 수 있었다.

현재까지 고대 경마장은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제시된 거리는 추정치이다.

  • 테트리폰: 네 마리의 말이 8400m를 달리는 전차 경주.
  • 시노리스: 두 마리의 말이 5600m를 달리는 전차 경주.

4. 2. 2. 기마 경주

경마장에서 열린 기마 경주는 여성이 참가할 수 있는 유일한 종목이었다.[15] 이는 여성들이 직접 말을 타는 것이 허용되어서가 아니라, 우승자는 기수나 마부가 아닌 말이나 전차의 소유주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폴리스는 승마팀을 지원함으로써 참여할 수 있었다.

켈레스는 4200m의 기마 경주였다.

5. 현대 네메아 제전의 부활

네메아에서 20년 이상 고고학 발굴을 거쳐 1994년에 네메아 경기 부활 협회가 설립되었다.[16] 이 협회는 1996년부터 4년마다 네메아 제전을 재현하고 있다.[22]

5. 1. 현대 제전의 특징

현대 네메아 제전은 실제 스포츠 행사보다는 역사 재현에 가깝다.[16] 1996년부터 4년마다 개최되며, 현대 올림픽의 상업주의에 대한 반작용이자 역사에 대한 대중 교육의 한 형태로 기획되었다. 경주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조직되며 국제적인 참가가 가능하다. 메달은 수여되지 않으며, 승자에게는 종려나무 가지와 야생 셀러리 잎으로 만든 관이 수여된다.

2008년 6월 21일에는 약 600명의 사람들이 튜닉을 입고 고대 경기장의 폐허에서 맨발로 경주를 벌였다. 10세부터 80세까지의 참가자들을 위해 100m 경주와 7.5km 경주, 두 경기가 열렸다. 이 행사에서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호플리토드로모스 경주가 부활한 것이었다.

가장 최근의 네메아 제전은 2016년 6월 11일과 12일에 개최되었다.

참조

[1] 서적 Pausanias, ii. 15. §2, etc.
[2] 서적 Apollodorus, iii. 6. §4
[3] 서적 Pindar, Nem. iii. 114, etc.
[4] 서적 Strabo, viii.
[5] 서적 Apollodorus, iii. 6
[6] 서적 Pausanias, ii. 15. §2
[7] 서적 Pausanias, viii. 50. §3; Plutarch, Philop. 11.
[8] 서적 Pausanias, viii. 40. §3
[9] 서적 Scholiast on Pindar, Argum. ad Nem.
[10] 서적 Pausanias, ii. 15. §2
[11] 서적 Livy, xxvii. 30, etc.; Polybius, x. 26
[12] 서적 Livy, xxxiv. 41; Polybius, x. 26.
[13] 문서 Evidence suggests this race wasn't held always.
[14] 서적 See J. Jüthner, Die athletische Leibesübungen der Griechen (1968) for a discussion of the classical sources.
[15] 문서 After the Romans conquered Greece, women could no longer participate.
[16] 웹사이트 Dusting Off Ancient Games / Temple of Zeus at Nemea holds secrets of contests, Berkeley archaeologist discovers https://www.sfgate.c[...]
[17] 웹사이트 ネメア祭(ねめあさい)とは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5-10-26
[18] 서적 ギリシア文明 論創社
[19] 서적 ギリシア神話 岩波文庫
[20] 서적 ギリシア案内記 岩波文庫
[21] 서적 ネメア祝勝歌 3歌
[22] 간행물 アテネオリンピック 2004の文化的側面 (<特集 アテネオリンピック・パラリンピック>) https://hdl.handle.n[...] 筑波大学体育科学系 2022-0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