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헤미아 그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헤미아 그루는 1641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나 1712년 사망한 영국의 의사이자 식물 해부학자이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수학 후 라이덴 대학교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왕립 학회 회원 및 간사로 활동했다. 그는 식물 해부학 연구를 통해 식물 구조와 화분에 대한 현미경적 연구를 수행했으며, 지문학 연구에도 기여했다. 주요 저서로는 《식물의 해부학》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식물학자 - 존 스티븐스 헨슬로
존 스티븐스 헨슬로는 영국의 식물학자, 광물학자, 성직자로서 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였으며 찰스 다윈에게 큰 영향을 주었고, 다윈의 비글호 항해 참여를 추천하고 과학적 탐구를 지원했으며, 히첨 교구 사제로서 지역 사회에 기여했다. - 영국의 식물학자 - 윌리엄 페니 브룩스
윌리엄 페니 브룩스는 영국의 외과의사이자 치안판사로서, 웬록 올림픽을 창시하고 고대 올림픽 정신을 부활시키려 노력했으며, 피에르 드 쿠베르탱 남작에게 영감을 주어 근대 올림픽 창설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식물생리학자 - 빌헬름 요한센
덴마크의 식물 생리학자이자 유전학자인 빌헬름 요한센은 강낭콩 순계 연구를 통해 유전적 변이가 없는 집단에서도 씨앗 크기가 정규 분포를 따른다는 것을 밝혀내고, 표현형, 유전자형 용어를 만들었으며, 유전자라는 용어를 처음 소개하여 유전학 발전에 기여했다. - 식물생리학자 - 니콜라 테오도르 드 소쉬르
니콜라 테오도르 드 소쉬르는 식물 성장에 대한 화학적 연구, 특히 광합성의 기본 과정을 요약하고 식물이 대기 중 이산화탄소로부터 탄소를 얻고 토양에서 미네랄을 흡수한다는 사실을 밝혀내 식물 생리학 발전에 기여한 스위스의 화학자이자 식물 생리학자이며, 현대 농업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잉글랜드의 식물학자 - 조지 쇼 (생물학자)
영국의 생물학자이자 의사인 조지 쇼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교육받고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오리너구리를 비롯한 호주 동물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기술과 대영 박물관 자연사 부서에서의 한스 슬론 컬렉션 정리, 그리고 뉴홀랜드 동물지 및 일반 동물학 저술 등의 업적으로 현대 생물학 연구에 기여했다. - 잉글랜드의 식물학자 - 존 스티븐스 헨슬로
존 스티븐스 헨슬로는 영국의 식물학자, 광물학자, 성직자로서 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였으며 찰스 다윈에게 큰 영향을 주었고, 다윈의 비글호 항해 참여를 추천하고 과학적 탐구를 지원했으며, 히첨 교구 사제로서 지역 사회에 기여했다.
네헤미아 그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641년 9월 26일 |
출생지 | 워릭셔 맨세터 교구 |
사망일 | 1712년 3월 25일 |
사망지 | 런던 |
국적 | 잉글랜드 |
학문 분야 | |
분야 | 생리학 |
모교 | 레이던 대학교 |
알려진 업적 | 식물 해부학, 식물 형태학 발전 |
2. 생애
잉글랜드의 식물학자이자 의사인 네헤미아 그루는 식물 해부학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워릭셔에서 비국교도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케임브리지 대학교 펨브로크 칼리지와 라이덴 대학교에서 교육받았다.[1]
1664년부터 식물 해부학 연구를 시작했으며, 런던에서 의사로 활동하면서 연구를 병행했다. 1671년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677년에는 간사를 역임하며 학회 활동에 기여했다. 그의 대표적인 연구 업적은 1682년에 출판된 ''Anatomy of Plants''로, 식물의 구조를 상세히 기술하고 수술이 남성 기관임을 밝히는 등 식물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이 책에는 화분에 대한 최초의 현미경 관찰 기록도 포함되어 있다.
그루는 현미경을 이용한 선구적인 연구를 통해 마르첼로 말피기와 함께 식물 해부학의 기초를 다졌으며, 특히 화분 연구는 고생물 화분학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2] 또한, 그는 지문학의 초기 연구자 중 한 명으로, 1684년 손과 발의 지문 패턴을 연구하고 그림으로 남기기도 했다.[3]
주요 저서로는 ''The Anatomy of Vegetables begun''(1672), ''Idea of a Phytological History''(1673), ''Anatomy of Plants''(1682) 외에도 ''바닷물 담수화''(1684), ''엡솜 및 기타 물에 포함된 염의 본질 및 용도''(1697), ''Cosmologia Sacra''(1701) 등이 있다.
칼 린네는 그의 업적을 기려 수목의 한 속을 ''그레위아''라고 명명했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 펨브로크 칼리지 도서관에는 그의 저작을 묘사한 스테인드글라스가 있다. 그는 1712년 3월 25일 런던에서 사망했다.
2. 1. 출생과 교육
그루는 1641년 9월 26일 잉글랜드 워릭셔 근처 코번트리에서 비국교도 목사이자 코번트리 세인트 마이클 교구의 목사였던 오바디아 그루(1607–1688)의 외아들로 태어났다.1661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펨브로크 칼리지에 진학했으나,[1] 10년 후인 1671년 라이덴 대학교에서 'Disputatio medico-physica de liquore nervoso'라는 논문으로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 2. 의사 활동 및 식물 해부학 연구
케임브리지 대학교 펨브로크 칼리지를 1661년 졸업하고,[1] 약 10년 후인 1671년 라이덴 대학교에서 ''Disputatio medico-physica de liquore nervoso''라는 논문으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라이덴 대학교 졸업 후, 고향인 코번트리에서 개업의로 활동했으며, 이후 런던으로 옮겨 개업의를 했다. 그는 이미 1664년부터 식물 해부학에 대한 관찰을 시작했으며, 의사로 활동하면서 연구를 병행했다.1670년, 그의 논문 ''The Anatomy of Vegetables begun''이 존 윌킨스 주교에 의해 왕립 학회에 전달되었고, 윌킨스의 추천으로 이듬해 1671년에 왕립 학회 회원이 되었다.[1] 1672년 이 논문이 출판되었을 때 그는 런던에 정착하여 의사로서 활발히 활동하기 시작했다. 1673년에는 전년도 왕립 학회에 제출했던 논문들을 모아 ''Idea of a Phytological History''를 출판했다.
1677년에는 헨리 올덴버그의 뒤를 이어 왕립 학회 간사로 취임했다. 그는 1678년부터 1679년까지 ''철학 회보''를 편집했으며, 1681년에는 그레샴 칼리지에 보존된 희귀품 목록을 요청받아 출판했다. 이 책에는 그가 왕립 학회에서 발표했던 위와 창자의 비교 해부학에 관한 여러 논문도 함께 실렸다.
1682년에는 그의 주요 저서인 ''Anatomy of Plants''가 출판되었는데, 이는 이전 출판물들을 모아 정리한 것이었다. 이 책은 ''Anatomy of Vegetables begun'', ''Anatomy of Roots'', ''Anatomy of Trunks'', ''Anatomy of Leaves, Flowers, Fruits and Seeds''의 4권으로 나뉘어 있으며, 82개의 삽화판과 화학 관련 논문 7편이 부록으로 포함되었다.
''Anatomy of Plants''는 특히 식물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유명하다. 그는 줄기와 뿌리의 형태에서 나타나는 거의 모든 주요 차이점을 설명했으며, 국화과 식물의 꽃이 여러 단위로 구성되어 있음을 밝혔다. 또한 수술이 식물의 남성 기관이라는 정확한 가설을 제시했다. 이 책에는 화분에 대한 최초의 현미경 관찰 기록도 담겨 있다.
현미경을 활용한 그루의 선구적인 연구는 동시대의 마르첼로 말피기(1628–1694)의 연구와 비슷한 시기에 이루어졌으며, 두 사람은 서로의 연구 결과를 참고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화분에 대한 그루의 연구는 말피기보다 더 광범위했는데, 그는 모든 화분이 기본적으로 구형이지만 종에 따라 크기와 모양이 다르다는 점, 그리고 같은 종 내에서는 화분 입자가 모두 동일하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 발견은 훗날 고생물 화분학 분야의 기초가 되었다.[2]
2. 3. 사망
1712년 3월 25일, 런던에서 사망했다.3. 주요 업적
네헤미아 그루는 17세기 영국의 식물학자이자 의사로서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특히 식물 해부학 분야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1664년부터 식물 구조에 대한 관찰을 시작하여 1682년 대표작인 ''Anatomy of Plants''를 출판했는데, 이 책은 식물의 구조를 상세히 기술하고 수술이 식물의 남성 기관이라는 가설을 제시하는 등 식물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1]
그루는 또한 현미경을 활용한 연구의 초기 개척자 중 한 명이었다. 동시대의 마르첼로 말피기와 교류하며 연구를 진행했으며, 특히 화분에 대한 현미경적 관찰은 고생물 화분학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2]
더불어 그는 지문학 분야의 선구자로도 인정받는다. 1684년 손과 발의 능선 구조를 연구하고 지문 패턴에 대한 정확한 그림을 남겨 초기 지문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했다.[3]
이 외에도 그는 왕립 학회의 비서(1677–1679)로서 학회 활동에 기여했으며, ''철학 회보''를 편집하기도 했다. 다양한 주제에 걸쳐 ''Idea of a Phytological History''(1673), ''바닷물 담수화''(1684), ''엡솜 및 기타 물에 포함된 염의 본질 및 용도''(1697), ''Cosmologia Sacra''(1701) 등 여러 저서를 남겼다. 그의 업적을 기려 칼 린네는 수목의 한 속을 ''그레위아''라고 명명했다.
3. 1. 식물 해부학 연구
그루는 1664년 식물 해부학에 대한 관찰을 시작했다.[1] 1670년, 그의 논문 ''The Anatomy of Vegetables begun''은 존 윌킨스에 의해 왕립 학회에 전달되었고, 그의 추천으로 이듬해 왕립 학회의 회원이 되었다. 이 논문은 1672년에 출판되어 식물 해부학 연구의 기초를 마련했다.1682년에는 그의 대표작인 ''Anatomy of Plants''가 출판되었다. 이 책은 이전에 발표했던 연구들을 모아 ''Anatomy of Vegetables begun'', ''Anatomy of Roots'', ''Anatomy of Trunks'', ''Anatomy of Leaves, Flowers, Fruits and Seeds''의 네 권으로 구성되었으며, 82개의 판으로 된 삽화와 화학적 성격을 띤 7편의 논문이 부록으로 첨부되었다. ''Anatomy of Plants''는 식물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유명하다. 그루는 이 책에서 줄기와 뿌리의 형태의 거의 모든 주요 차이점을 설명하고, 국화과 식물의 꽃이 여러 단위로 이루어져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수술이 식물의 남성 기관이라고 정확하게 가설을 세웠다. 또한, 이 책에는 화분에 대한 최초의 알려진 현미경적 설명이 담겨 있다.
현미경을 이용한 그루의 선구적인 연구는 마르첼로 말피기 (1628–1694)의 연구와 동시대에 이루어졌으며, 두 사람은 서로의 연구를 자유롭게 차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화분에 대한 그루의 연구는 말피기의 연구보다 더 광범위하여, 모든 화분이 대략 구형이지만 종에 따라 크기와 모양이 다르다는 점, 그리고 같은 종 내의 화분 입자는 모두 동일하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 발견은 고생물 화분학 분야의 핵심이다.[2]
3. 2. 현미경 연구
현미경을 이용한 그루의 선구적인 연구는 마르첼로 말피기의 연구와 동시대에 이루어졌으며, 두 사람은 서로의 연구 결과를 공유하며 영향을 주고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루의 저서 ''Anatomy of Plants''에는 화분에 대한 최초의 현미경적 설명이 포함되어 있다.그루의 화분 연구는 말피기보다 더 광범위했는데, 그는 모든 화분이 기본적으로 구형이지만 종에 따라 크기와 모양이 다양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같은 종 내의 화분 입자는 모두 동일하다는 점도 밝혀냈다. 이러한 발견은 고생물 화분학 분야 발전의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2]
3. 3. 지문학 연구
그루는 지문학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그는 손과 발 표면의 능선, 홈, 구멍을 연구하고 설명한 최초의 인물이었다. 1684년, 그는 지문 패턴에 대한 정확한 그림을 출판했다.[3]4. 저서
- Anatomie des Plantesfra (식물의 해부학). 파리: Antoine Dezallier, 1679. [https://gutenberg.beic.it/webclient/DeliveryManager?pid=8778465 (프랑스어 원문)]
- Musaeum Regalis Societatiseng (왕립학회 박물관). 런던: William Rawlins, 1681. [https://gutenberg.beic.it/webclient/DeliveryManager?pid=8907581 (영어 원문)]
5. 평가 및 영향
(원본 소스 내용이 없어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간행물
[2]
논문
Lennart von post and the foundation of modern palynology
http://www.repositor[...]
[3]
간행물
"The description and use of the pores in the skin of the hands and feet,"
[4]
웹사이트
指紋鑑定の歴史
http://www.e-kantei.[...]
2013-1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