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박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박덕은 전한 무제 시기의 장군으로, 흉노 정벌과 남월 정벌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다. 곽거병을 따라 흉노를 정벌하여 부리후에 봉해졌으며, 남월 정벌에서는 복파장군으로 활약하여 남월을 멸망시키는 데 기여했다. 이후 법에 걸려 작위를 잃었으나, 강노도위로 기용되어 흉노 방어에 힘썼다. 이릉과의 갈등으로 무제의 오해를 사기도 했으며, 이광리의 흉노 북벌에도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뤼량시 출신 - 유연 (전조)
4세기 초 중국 북방 흉노족 출신 유연은 팔왕의 난 시기 한나라 부흥을 명분으로 한 왕조를 건국하고 한왕에 즉위하여 광문제로 추존되었으며, 그의 나라 한은 조카 유요에 의해 한조 또는 전조로 불리게 되었다. - 뤼량시 출신 - 자장커
자장커는 중국 사회 변화 속 소외된 사람들의 삶을 현실적으로 묘사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스틸 라이프》로 베니스 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수상한 중국의 영화 감독이자 배우, 제작자이다. - 전한의 장군 - 이릉
이릉은 전한의 무장으로 이광의 손자이며 기마궁술에 능하여 무제의 총애를 받았으나 흉노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항복 후 흉노의 우교왕이 되어 20여 년간 망명 생활을 하다 병사했고 그의 항복은 조국을 배신했다는 비판과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옹호론이 있다. - 전한의 장군 - 팽월
팽월은 창읍 출신의 어부로, 진나라에 대항하여 유방을 돕고 양나라 왕에 봉해졌으나 반란 혐의로 처형당하고 젓갈이 되었으며 사후 무신으로 숭배되었다. - 전한의 공신후 - 신도가
신도가는 전한 시대의 무관 출신으로, 항우와의 싸움과 영포의 난에 참여하고 혜제 때 회양태수를 거쳐 승상에 올랐으며, 청렴한 성품으로 황제의 총애를 받던 등통을 처벌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조조와의 갈등 끝에 죽음을 맞이하여 절후의 시호를 받았다. - 전한의 공신후 - 구독
구기(緱起)는 전한 시대에 기후(騎虎)에 봉해지고 태상(太常)을 역임한 인물로, 기원전 32년 사망 후 그의 아들 구숭(求崇)이 기후 자리를 계승했다.
노박덕 |
---|
2. 생애
원수 4년(기원전 119년), 우북평태수 노박덕은 곽거병을 따라 흉노 정벌에 참여하여 부리후(符離侯)에 봉해졌다.[8] 원정 5년(기원전 112년)에는 복파장군(伏波將軍)에 임명되어 남월 정벌에 참여, 평정하였다.[9] 이듬해 해남도를 공략하여 주애·담이 2개 군을 설치하였다.
이후 법에 걸려 작위가 박탈되었고, 강노도위(彊弩都尉)에 임명되어 거연(居延)에 주둔하였다.
천한 2년(기원전 99년), 기도위 이릉이 흉노의 선우를 유인하는 임무를 맡자, 무제는 노박덕에게 이릉의 후미를 따르게 하였다. 그러나 노박덕은 자신보다 경력이 부족한 이릉의 뒤를 따르는 것을 수치스럽게 여겨 무제에게 글을 올렸다.
무제는 이릉이 겁을 먹고 노박덕에게 부탁한 것이라 오해하여 이릉을 질책하고 홀로 정찰하게 하였다.
노박덕은 강노도위를 지내다가 죽었다.[6]
2. 1. 초기 생애 및 흉노 정벌
원수 4년(한무제) 우북평태수 노박덕은 곽거병을 따라 흉노 정벌에 참여하여, 그 공으로 부리후(符離侯)에 봉해졌다.[8] 원정 5년 복파장군(伏波將軍)에 임명되어 남월 정벌에 참여하였다.[9] 이때 노박덕은 부리후(1천6백 호, 『한서』에서는 비리후[5])에 봉해졌다.[3]2. 2. 남월 정벌
원정 5년(전한) 위위 노박덕은 복파장군(伏波將軍)[9]에 임명되어 남월 정벌에 참여하여 이를 평정하였다. 이듬해에는 해남도를 공략하여 주애(珠崖)·담이(儋耳) 2개 군을 설치하였다.[8]원정 6년, 남월의 수도인 번우성의 장병을 시켜 개성하게 하여, 부하가 남월왕 조건덕을 사로잡는 공을 세웠다.[4] 남월을 멸망시킨 한나라는 그 곳에 9개의 군을 설치했다.
남월 정벌 당시 노박덕은 동료인 양복에게 뒤처졌지만, 최종적으로 가장 큰 공적을 세웠다. 사마천은 《사기》 남월열전에서 "화가 복이 되고, 실패가 성공으로 바뀌는 것은 마치 먹줄을 꼬는 것과 같다"라고 평했다. "화복은 꼬아 놓은 삼대와 같다"라는 고사성어의 출전으로 여겨진다.
2. 3. 이릉과의 갈등 및 말년
원수 4년(기원전 119년), 우북평태수 노박덕은 곽거병을 따라 흉노 정벌에 참여하여 부리후(符離侯)에 봉해졌다.[8]천한 2년(기원전 99년), 기도위 이릉이 흉노의 선우를 유인하는 임무를 맡아 보병 5천 명을 이끌게 되었고, 노박덕은 현지에서 이릉을 맞이하여 후미를 따르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러나 노박덕은 자신보다 경력이 한참 부족한 이릉의 뒤를 따르는 것을 수치스럽게 여겼다. 그는 무제에게 글을 올려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이는 노박덕이 봄에 이릉과 협공하겠다는 뜻이었다. 그러나 무제는 이릉이 겁을 먹고 노박덕에게 글을 써달라고 부탁한 것이라고 오해하여 이릉을 질책하고 홀로 준계산에서 정찰하도록 하였다.
이후 노박덕은 강노도위를 지내다가 죽었다.[6]
3. 평가
양복에게 뒤처졌지만, 최종적으로 가장 큰 공적을 세웠다. 사마천은 《사기》 남월열전에서 "화가 복이 되고, 실패가 성공으로 바뀌는 것은 마치 먹줄을 꼬는 것과 같다"라고 평했다.[1] "禍福は糾える縄の如し|화복은 꼬아 놓은 삼대와 같다중국어"라는 고사성어의 출전으로 여겨진다.[1]
참조
[1]
서적
Ancient Southeast Asia
Routledge
[2]
서적
China and Vietnam: The Politics of Asymmetr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史記
[4]
서적
史記
[5]
서적
漢書
[6]
서적
史記
[7]
웹사이트
禍福は糾える縄の如し
https://kotobank.jp/[...]
2021-07-14
[8]
서적
사기
[9]
문서
전한 최초의 복파장군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