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노해방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농노해방령은 1861년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2세가 발표한 개혁으로, 크림 전쟁 패배 이후 기술적, 경제적으로 뒤처진 러시아가 농노제를 유지하면 자본주의적 발전을 저해할 것이라는 판단하에 추진되었다. 이 개혁은 사유 농노에게 자유 시민의 권리를 부여하고 토지 구매를 허용했지만, 토지 소유권은 미르(농촌 공동체)에 귀속되었고 농민들은 정부에 상환금을 지불해야 했다. 농노해방령은 러시아의 사회 구조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쳐 토지 소유 구조를 변화시키고 자본주의 발전을 촉진했지만, 농민들의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 불안을 야기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농노해방령 | |
---|---|
개요 | |
명칭 | 농노 해방 |
다른 명칭 | 농민 개혁 해방 개혁 |
러시아어 명칭 | Krest'yanskaya reforma 1861 goda (크레스티얀스카야 레포르마 1861 고다) |
시행 국가 | 러시아 제국 |
배경 | |
원인 | 크림 전쟁 패배 |
사회 경제적 요인 | 농노제 유지의 비효율성 |
정치적 요인 | 사회 불안과 농민 봉기 증가 |
주요 내용 | |
발표 | 1861년 3월 3일 (율리우스력 2월 19일) |
선포 | 알렉산드르 2세 |
법적 지위 | 농노 해방령에 의해 농노 해방 |
토지 소유권 | 농민에게 토지 분배 (미르를 통해 간접 소유) |
배상금 | 농민은 토지 획득에 대한 배상금을 정부에 상환 |
미르 | 농민 공동체 (미르)를 통한 토지 관리 및 책임 부과 |
주요 인물 | |
주도 인물 | 알렉산드르 2세 |
관련 관료 | 야코프 로스토프체프 니콜라이 밀류틴 |
영향 | |
긍정적 영향 | 농노 해방을 통한 사회적 불평등 완화 자본주의 경제 발전의 토대 마련 노동력 증가 및 산업화 촉진 |
부정적 영향 | 불완전한 토지 분배로 인한 농민 불만 지속 높은 배상금으로 인한 농민 경제적 어려움 가중 미르의 공동체적 성격으로 인한 개인의 경제적 발전 제약 |
사회 변화 | 농촌 사회 구조 변화 귀족의 몰락과 부농의 등장 사회 계층 간 갈등 심화 |
평가 | |
관점 | 개혁의 한계와 불완전성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사회 근대화의 중요한 전환점 |
관련 법령 | |
법령 이름 | 농노 해방에 관한 법령 (러시아어: Положения о крестьянах, вышедших из крепостной зависимости) |
법령 종류 | 법률 |
기타 | |
같이 보기 | 러시아의 역사 알렉산드르 2세 미르 스톨리핀 개혁 |
2. 역사적 배경
크림 전쟁 패배 이후, 러시아는 기술 및 경제적 낙후성을 인지했다. 농노제 유지가 농업 분야의 자본주의적 발전을 저해한다고 판단, 농노 해방을 추진하게 되었다. 귀족들의 반발에 대해 "아래로부터의 개혁보다 위로부터의 개혁이 낫다"는 입장을 표명하며 개혁을 주도했다. 비록 농민들에게 고액의 보상 비용이 부과되고, 해방 이후에도 공동체에 묶이는 등 한계가 있었으나, 법적으로 농노제는 폐지되고 농민들은 자유를 얻었다.
이 개혁으로 농노제는 폐지되었고, 다수의 공장 노동자가 생겨나면서 러시아 자본주의 발달을 촉진했다.
슬라브주의는 농노 해방령 실현에 큰 영향을 주었다. 1855년 콘스탄틴 악사코프는 황제에게 "지방 자치회(젬스키 소보르)" 설치를 제안했고, 1858년 유리 사마린은 귀족 위원회 위원으로 농노제 개혁에 참여했다.
19세기 러시아에서는 개혁 필요성이 널리 인식되었다. 대학교, 작가 등 지식인 사회는 개혁을 지지했다. 미하일 스페란스키, 니콜라이 모르드비노프, 파벨 키셀료프 등이 농노 해방 개혁안을 준비했으나, 보수적인 귀족들의 반대로 좌절되었다. 서부 ''구베르니야''에서는 19세기 초 농노제가 폐지되었다. 콩그레스 폴란드에서는 1807년 나폴레옹에 의해 농노제가 폐지되었지만, 1815년 러시아 점령 후 대부분 부활되었다. 에스토니아(1816년), 쿠를란트(1817년), 리보니아(1819년)에서 농노제가 폐지되었다.[6]
1797년 파벨 1세는 농노의 부역을 주 3일로 제한하고 일요일 부역을 금지했으나, 이 법은 시행되지 않았다. 1801년 알렉산드르 1세는 해방 가능성 연구 위원회를 임명했지만, 가족 없는 농노 판매 금지 외 성과는 없었다. 1825년 니콜라이 1세는 해방 의지를 표명하고 국유지 농노의 삶을 개선했으나, 사유지 농노의 상태는 변화시키지 않았다.[7]
2. 1. 19세기 이전 러시아 농민의 범주
1861년 이전 러시아에는 세 가지 주요 범주의 농민이 있었다.- 국유지에 거주하는 농민 (상당수는 국유재산부의 통제를 받았다. 제국 전역의 많은 비러시아인들도 포함되었다.)
- 황실 영지(우델)에 거주하는 농민
- 사유지에 거주하는 농민 (사유 농노)
사적으로 소유된 농민만이 농노로 간주되었다. 이들은 인구의 약 38%를 차지했다.[4] 이들은 국가뿐만 아니라, 그들의 삶에 막대한 권력을 가진 지주에게도 의무를 졌다.
농촌 인구는 가구(''dvory'', 단수형 ''dvor'')에 거주하며, 마을(''derevni''; 교회가 있는 ''derevnya''는 ''selo''가 됨)로 모여 미르(공동체, 또는 공식 용어로는 ''obshchina'')에 의해 운영되었다. 제정 러시아에는 약 2천만 개의 ''dvory''가 있었고, 그 중 40%가 6~10명의 사람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미르'' 의회인 ''skhod'' (''sel'skii skhod'')는 외부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촌장 (''starosta'')과 서기 (''pisar'')를 임명했다. 많은 지역적 차이와 관습이 있었지만, 러시아 중부의 ''미르'' 내 농민들은 토지와 자원을 공유했다. 토지 구획은 평등한 경제적 조건을 만들기 위해 마을 내에서 주기적으로 재분배되었다. 그러나 토지는 ''미르''의 소유가 아니었고, 약 10만 명의 지주(''pomeshchiks'', "토지 귀족"에 해당)의 법적 재산이었다. 농노로서 거주자들은 일반적으로 태어난 토지를 떠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농민들은 노동과 물품으로 정기적인 지불을 해야 할 의무가 있었다. 19세기 전반기에 지주들이 소득과 생산의 최소 3분의 1을 가져갔다고 추정된다.[5]
2. 2. 농노 해방의 필요성 대두
19세기 러시아에서는 개혁의 필요성이 널리 인식되고 있었다. 대학교, 작가 및 기타 지식인 사회는 개혁에 대한 지지를 보냈다. 미하일 스페란스키, 니콜라이 모르드비노프, 파벨 키셀료프는 다양한 농노 해방 개혁안을 준비했지만, 보수적이거나 반동적인 귀족들의 반대로 좌절되었다. 서부의 ''구베르니야''에서는 세기 초에 농노제가 폐지되었다. 콩그레스 폴란드에서는 1807년 나폴레옹에 의해 농노제가 폐지되었지만, 1815년 러시아가 점령한 후 대부분 부활되었다. 농노제는 에스토니아(1816년), 쿠를란트(1817년), 리보니아(1819년)에서 폐지되었다.[6]1797년, 파벨 1세는 농노의 부역을 주 3일로 제한하고 일요일에는 부역을 시키지 않도록 명령했지만, 이 법은 시행되지 않았다. 1801년부터 알렉산드르 1세는 해방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한 위원회를 임명했지만, 그 결과는 가족이 없는 농노의 판매를 금지하는 것뿐이었다. 1825년부터 니콜라이 1세는 여러 차례 해방에 대한 열망을 표명했으며, 국유지 농노들의 삶을 개선했지만, 사유지의 농노의 상태는 바꾸지 않았다.[7]
3. 농노 해방령의 추진
크림 전쟁 패배 이후, 러시아는 기술 및 경제적으로 뒤처졌음을 깨달았다. 농노제가 농업의 자본주의적 발전을 막는다고 판단하여 농노 해방이 추진되었다. 알렉산드르 2세는 "아래보다 더 위에서 시작하는 것이 훨씬 낫다"라며 귀족들을 설득하고 개혁을 이끌었다.[2]
니콜라이 밀류틴, 알렉세이 스트롤만, 야코프 로스토프체프 등 자유주의 정치인들은 러시아가 유럽에서 몇 안 되는 봉건 국가 중 하나임을 인지하고, 산업 및 군사력 강화를 위한 경제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들은 농노 해방 이후 ''미르'' 공동체가 해체되고 시장 경제가 시작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하지만 농노 해방 과정에서 토지 분배는 큰 문제였다. 지주들은 농민에게 자유만 주고 토지는 주지 않으려 했다. 1848년 혁명을 의식한 차르와 고문들은 프롤레타리아트 발생을 우려했지만, 농민에게 토지를 주지 않으면 지주들이 값싼 노동력을 잃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결국 1859년까지 귀족 토지의 3분의 1과 농노의 3분의 2가 국가나 귀족 은행에 저당 잡혀 있었기 때문에, 귀족들은 해방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8]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법안에는 농민의 경제적 자립을 억제하는 세 가지 조치가 포함되었다. 2년간의 과도기 동안 농민은 이전처럼 지주에게 의무를 져야 했고, 공동 토지의 상당 부분이 ''오트레즈키''("잘린 토지")로 지주에게 넘어가 숲, 도로, 강 이용에 요금을 내야 했다. 또한 농민은 토지 할당에 대한 상환금을 지주에게 지불해야 했고, 정부는 총액의 75%를 지주에게 지급한 후 농민에게 49년간 이자와 함께 상환받았다. 이 상환금은 1907년에야 폐지되었다.
슬라브주의는 농노 해방령 실현에 큰 영향을 주었다. 1855년 콘스탄틴 악사코프는 황제에게 "지방 자치회(젬스키 소보르)" 설치를 제안했고, 1858년 유리 사마린은 귀족 위원회 위원이 되어 농노제 개혁에 참여했다.
3. 1. 알렉산드르 2세의 개혁 의지
크림 전쟁 패배 후, 러시아는 기술 및 경제적 낙후성을 인지했다. 농노제가 농업의 자본주의적 발전을 저해한다고 판단, 농노해방령이 발표되었다. 알렉산드르 2세는 동요하는 귀족들에게 "아래로부터 농노제가 폐지되기 시작할 때까지 기다리는 것보다 위로부터 농노제를 폐지하는 것이 더 낫다"라고 설득하며, 측근 관료와 함께 개혁을 주도했다.[2] 1856년 3월 30일 귀족 원수 연설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알렉산드르 2세는 부친과 달리 농노제 문제 해결에 적극적이었다. 리투아니아 지방 청원을 시작으로 "농민 상태 개선을 위한" 위원회가 설립되어, 농노 해방 원칙이 논의되었다.
3. 2. 자유주의 정치인들의 역할
크림 전쟁에서 러시아군의 초라한 모습은 정부가 제국의 약점을 뼈저리게 깨닫게 했다. 니콜라이 밀류틴, 알렉세이 스트롤만, 야코프 로스토프체프 등의 자유주의 정치인들은 러시아가 유럽에서 몇 안 되는 봉건 국가 중 하나임을 인식하고, 산업, 군사 및 정치적 힘을 키우고 발전시키기 위한 여러 경제 개혁을 도입해야 한다고 생각했다.[2] 이들은 농노제 폐지 후 ''미르''가 해체되어 시장 경제가 시작될 것이라는 낙관적인 희망을 가졌다.3. 3. 토지 분배 문제와 귀족의 저항
농노 해방의 주요 쟁점은 농노를 지주에게 의존적인 상태로 둘 것인지, 아니면 독립적인 공동체 소유주 계급으로 만들 것인지였다.토지 소유주들은 농민에게 자유는 주되, 토지는 주지 않으려 했다. 1848년 혁명을 경험한 차르와 고문들은 프롤레타리아트의 형성과 이로 인한 불안정을 우려했다. 그러나 농민에게 토지를 주지 않으면 토지 소유주들이 생계를 유지할 값싼 노동력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1859년까지 귀족 토지의 3분의 1과 농노의 3분의 2가 국가나 귀족 은행에 저당 잡혀 있었기 때문에, 귀족들은 결국 해방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8]
이러한 상황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법안에는 농민의 경제적 자립을 제약하는 세 가지 조치가 포함되었다. 첫째, 2년간의 과도기를 두어 농민들이 이전처럼 토지 소유주에게 의무를 지게 했다. 둘째, 공동 토지의 상당 부분을 ''오트레즈키''("잘린 토지")로 만들어 토지 소유주에게 넘겨, 숲, 도로, 강을 유료로만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셋째, 농노가 토지 할당에 대한 상환금을 토지 소유주에게 지불하도록 했고, 이는 채권을 통해 토지 소유주에게 보상하는 데 사용되었다. 정부는 총액의 75%를 토지 소유주에게 지급하고, 농민은 49년 동안 정부에 이자와 함께 상환했다. 정부는 1907년에 이러한 상환금 지급을 취소했다.
4. 농노 해방령의 내용
크림 전쟁 패배 후, 러시아는 기술 및 경제적 낙후성을 인지했다. 농노제가 농업의 자본주의적 발전을 저해한다고 판단, 농노 해방령이 발표되었다. 개혁에 동요하는 귀족들에게 "아래로부터의 변화보다 위로부터의 개혁이 낫다"고 설득하며, 측근 관료와 함께 개혁을 추진했다. 농민에게는 고액의 보상 비용이 부과되었고, 해방 후에도 공동체에 묶이는 등 한계가 있었으나, 법적으로 농노제는 폐지되고 농민은 자유를 얻었다.[9][10][11]
이 개혁으로 농노제는 폐지되었고, 다수의 공장 노동자가 생겨나 러시아 자본주의 발달을 촉진했다.
4. 1. 농노 해방 칙서와 관련 법령
1861년 3월 3일(구력 2월 19일) 알렉산드르 2세가 발표한 '''농노 해방 칙서'''[9][10][11]는 "농노적 종속에서 벗어나는 농민에 관한 규정"(Положения о крестьянах, выходящих из крепостной зависимости|Polozheniya o krestyanakh, vykhodyashchikh iz krepostnoi zavisimostiru)과 함께 개혁의 법적 근거가 되었다.이 칙서는 사유지 및 가내(가족) 농노의 해방을 선포했다.[1] 농노는 자유 시민의 완전한 권리를 부여받아, 동의 없이 결혼할 권리, 재산을 소유할 권리, 사업을 소유할 권리를 얻었다. 또한 농민이 지주로부터 토지를 구매하는 것을 허용했다.
해방령 발포 후 2년간은 준비 기간으로, 1863년 2월 19일에 모든 농노는 "인격적으로" 무상 해방되었다. 그러나 토지 소유권은 여전히 영주에게 있었다. 농노는 토지를 유상으로 분양받을 수 있었는데, 그 대가는 조례에 따랐다. 권리서는 영주가 선택한 관리의 조정에 의해 작성되었으며, 농민 측은 개인이 아닌 공동체 단위로 교섭에 참여하고 대가 지불 책임을 졌다.
정부는 대가의 75-80%를 농민에게 대출하는 형태로 영주에게 증서를 대신 납부했다. 이 대출금은 연 6%의 이자를 붙여 49년간 갚아야 했다. 1912년 완제를 목표로 러시아 정부는 공동체를 재편성하여 통치 기구에 편입했지만, 실제 행정은 영주에게 위임되었다.
분양 가능 면적은 조례로 자세하게 정해져 있었고, 비옥한 정도에 따라 4개 지역으로 세분화되어 1인당 분양률을 정했다. 영주는 농민과의 합의하에 무상 증여 조건으로 가능 면적을 대폭 삭감할 권리를 부여받았다. 가능 면적은 최대 2/3였으며, 이 제한이 분양률과 경합할 경우 우선되었다. 구체적인 분양지 배치는 영주가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농민에게 분양된 면적의 평균은 해방 전 경작 면적보다 작았다. 인구 조사 등록 농 1,000만 명 정도의 95.2%가 6데샤티나 이하이며, 2-4데샤티나밖에 보유하지 않은 농민만 54.2%를 차지했다.
물납은 인정되지 않았고, 기본적으로 대가는 화폐로 지불하도록 했다. 토지 대금은 조례의 화폐 지대에 100/6을 곱한 값으로 정했다. 예를 들어 화폐 지대가 6루블이면 토지 대금은 100루블이 되었다. 대 러시아의 경우 토지 대금뿐만 아니라 해방 전에 영주가 농민의 인격에 부과했던 공조도 화폐로 환산하여 대가에 포함되었다. 비흑토지대의 영주는 토지 등급 구분을 이용하여 대가를 벌었다. 특정 분양 가능지에는 큰 틀의 대가가 정해져 있었고, 그것을 처음 분양하는 1데샤티나에 50%, 다음 1데샤티나에는 25%를 할당하고, 나머지 분양지 전체에 대가의 25%를 배분하는 식으로 하여 분양 면적이 좁은 경우에도 영주는 고수입을 올렸다.
토지는 개인에게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묶어서 미르에 넘겨졌고, 거기에서 농민이 분여지를 얻게 되었지만, 지불할 수 있는 농민은 드물었고, 대부분이 미르의 소유가 되었다.
4. 2. 농노의 권리 획득
농노는 자유 시민의 완전한 권리를 부여받아, 동의 없이 결혼할 권리, 재산을 소유할 권리, 사업을 소유할 권리를 얻었다.[1] 이 칙서는 또한 농민이 지주로부터 토지를 구매하는 것을 허용했다.4. 3. 토지 분배와 상환금
러시아 농노들은 농노해방령에 따라 토지를 분배받고, 그 대가로 상환금을 지불해야 했다. 토지 분배와 관리는 '미르'라고 불리는 농촌 공동체가 담당했다. 미르는 토지를 공동체 소유로 관리하며, 개별 농민에게 토지를 분배했다. 농민들은 자신이 경작하던 토지의 약 절반을 매입할 권리가 있었지만, 경제적 여건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토지의 4분의 1을 무상으로 받는 '빈민 할당지'를 받았다.[12]농민들이 지불해야 하는 상환금은 상당히 비쌌고, 상환 기간은 49년이었다. 정부는 농민들에게 대출 형태로 상환금의 75~80%를 지원했고, 농민들은 연 6%의 이자를 붙여 갚아야 했다.[14]
토지 대금은 조례의 화폐 지대에 100/6을 곱한 값으로 정해졌다. 예를 들어 화폐 지대가 6루블이면 토지 대금은 100루블이 되는 방식이었다. 비옥한 정도에 따라 4개 지역으로 세분화되었고 1인당 분양률을 정했다.
전체적으로 농민에게 분양된 면적의 평균은 해방 전 경작 면적보다 작았다. 인구 조사에 등록된 농민 1,000만 명 중 95.2%가 6데샤티나 이하를 보유했으며, 2~4데샤티나밖에 보유하지 않은 농민은 54.2%를 차지했다.
5. 농노 해방령의 시행과 문제점
농노 해방령은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농노들은 자유를 얻었지만, 경제적으로는 여전히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 토지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돈을 지불해야 했고, 실제로 얻는 토지의 양도 지주 밑에서 일했을 때보다 훨씬 적었다. 이 때문에 많은 농노들이 다시 지주 밑에서 소작인으로 일하거나 도시로 가서 공장 노동자가 되었다.
지주와 귀족들은 정부 채권으로 토지 대금을 받았지만, 채권 가치는 곧 하락했다. 지주들의 관리 능력도 일반적으로 좋지 않았다.
1883년, 정부는 늘어나는 세금 체납에 대응하기 위해 지급률을 13% 삭감했지만(공동체별로 달랐지만, 전국 평균),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14]
5. 1. 농노 해방령 시행 과정
농노 해방령으로 농노들은 자유를 얻었지만, 많은 돈을 지불해야만 자신의 땅을 가질 수 있었다. 게다가 땅을 소유하더라도 지주 밑에서 일했을 때보다 절반 이하의 땅만 받을 수 있었다. 이 때문에 많은 농노들이 다시 지주 밑에서 소작인이 되었다. 원래 농사를 짓지 않던 가내 농노들은 도시로 가서 공장 노동자가 되기도 했다.[22]''미르'' 공동체는 새로 해방된 농노에게 제공된 토지를 공동체 안의 개인에게 분배할 권한을 가졌다. 토지는 개인 소유가 아닌 공동체 소유였기 때문에, 개인 농민은 도시 공장에서 일하기 위해 자신의 토지를 팔 수 없었다. 농민은 정부로부터 장기 대출을 받아 지주에게 토지 대금을 지불해야 했다. 하지만 새로 해방된 농노에게 할당된 토지에는 전국 최고의 토지가 포함되지 않았고, 이는 귀족의 손에 남아 있었다.
토지 정착 시행은 러시아 제국의 넓은 영토에 걸쳐 다양하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농민은 자신이 경작하는 토지의 약 절반을 매입할 권리를 가졌다. 만약 농민이 이를 지불할 여유가 없다면, 토지의 4분의 1을 무상으로 받았는데, 이를 '''빈민 할당지''' (''베드냐츠키 나델'')라고 불렀다.[12]
많은 농민들은 선언의 조건이 받아들일 수 없다고 생각했다. 많은 지역에서 농민들은 선언이 진짜라고 믿지 않았고, 소란이 일어나 군대가 투입되기도 했다.[13] 지주와 귀족들은 정부 채권으로 토지 대금을 받았지만, 채권 가치는 곧 하락했다.
일부 미르는 토지 매입 과정에 전혀 참여하지 않았고, 1881년 법령에 의해 매입이 강제될 때까지 이전 소유주 아래에서 임시 의무 농민으로 남아 있었다. 1883년, 정부는 늘어나는 세금 체납에 대응하기 위해 지급률을 13% 삭감했다 (공동체별로 달랐지만, 전국 평균).[14]
해방령 발포 후 2년 동안은 준비 기간이었고, 1863년 2월 19일에 모든 농노가 "인격적으로" 무상 해방되었다. 그러나 토지 소유권은 여전히 영주에게 있었다. 노비가 아닌 농노는 토지를 유상으로 분양받을 수 있었고, 대가는 조례에 따랐다. 권리서는 영주가 선택한 관리의 조정에 의해 작성되었으며, 농민 측은 개인이 아닌 공동체 단위로 교섭에 참여했고, 대가 지불 책임도 공동체가 부담했다. 대가가 거액이었기 때문에 정부는 75-80%를 농민에게 대출하는 형태로 영주에게 증서로 대신 납부했다. 이 대출금은 연 6%의 이자를 붙여 49년간 갚아야 했다.
분양 가능 면적은 조례로 자세히 정해져 있었다. 비옥도에 따라 4개 지역으로 세분화되었고, 1인당 분양률이 정해졌다. 영주는 농민과 합의하여 무상 증여 조건으로 가능 면적을 대폭 삭감할 권리를 가졌다. 가능 면적은 최대 2/3였으며, 이 제한은 분양률과 경합할 경우 우선 적용되었다. 영주는 구체적인 분양지 배치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농민에게 분양된 면적은 해방 전 경작 면적보다 작았다. 인구 조사에 등록된 농민 1,000만 명 중 95.2%가 6데샤티나 이하의 토지를 받았고, 2-4데샤티나만 보유한 농민도 54.2%나 되었다.
물납은 허용되지 않았고, 기본적으로 화폐로 대가를 지불해야 했다. 토지 대금은 조례의 화폐 지대에 100/6을 곱한 값으로 정해졌다. 예를 들어 화폐 지대가 6루블이면 토지 대금은 100루블이었다. 대 러시아의 경우 토지 대금 외에 해방 전 영주가 농민에게 부과했던 공조도 화폐로 환산하여 대가에 포함되었다. 비흑토지대의 영주는 토지 등급 구분을 이용하여 대가를 더 많이 받았다.
토지는 개인에게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미르에 묶어서 넘겨졌다. 농민은 미르에서 분여지를 얻었지만, 이를 지불할 수 있는 농민은 드물었고, 대부분 미르의 소유가 되었다.
5. 2. 토지 소유 구조의 변화
농노 해방령은 러시아의 토지 소유 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귀족 및 호족이 소유한 토지 비중은 전국토의 80%에서 50%로 감소한 반면, 농민이 소유한 토지의 비중은 5%에서 20%로 증가했다.[22] 이는 농노들이 자유를 얻으면서 토지를 소유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농노들은 많은 돈을 지불해야 자신의 땅을 가질 수 있었고, 소유한 땅도 지주 밑에서 일했을 때보다 절반 이하에 불과했다. 그래서 많은 농노들이 다시 지주의 소작인이 되었다.5. 3.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 불안
농노 해방령으로 농노들은 자유를 얻었지만, 경제적인 어려움과 사회 불안은 계속되었다. 농노들은 땅을 얻기 위해 많은 돈을 지불해야 했고, 실제로 얻는 땅도 지주 밑에서 일할 때보다 훨씬 적었다. 이 때문에 많은 농민들이 다시 소작인이 되거나 도시로 가서 공장 노동자가 되었다.[22]새롭게 얻은 자유에도 불구하고 농노들의 삶은 여러 측면에서 여전히 비참했다. 특히 가내 농노는 자유는 얻었지만 토지를 얻지 못해 가장 큰 어려움을 겪었다. 농민들은 생존에 필요한 것보다 적은 토지를 받았고, 상환세가 너무 높아 생산한 곡물을 모두 팔아도 세금을 내기 어려웠다. 이로 인해 기근이 러시아 전역을 휩쓸기도 했다.[15]
토지 소유주들 역시 부채에 시달리고 토지를 팔아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새로 해방된 농노들은 지주에게 토지를 빌리거나 "노동 지불"을 위해 일해야 했고, 자신의 밭을 제대로 돌보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다.[15]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농민들은 새로운 사회 시스템에 불만을 품고 저항했다. 1861년 4월 12일에는 베즈드나 마을에서 농민 봉기가 일어나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기도 했다.[16]
농노 해방 이후, 정부는 농민들에게 토지 대금을 대출해주고 49년간 연 6%의 이자를 붙여 갚도록 했다. 그러나 분양 가능 면적은 지역별, 비옥도별로 세분화되어 있었고, 영주는 무상 증여 조건으로 면적을 대폭 삭감할 권리를 가졌다. 실제로 농민들에게 분양된 면적은 해방 전 경작 면적보다 적은 경우가 많았다.
토지 대금은 화폐로 지불해야 했으며, 토지 가격 외에 농민의 인격에 부과되었던 공조도 포함되었다. 비옥하지 않은 지역의 영주들은 토지 등급 구분을 이용하여 더 많은 이익을 얻기도 했다. 토지는 개인에게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미르라는 공동체에 넘겨졌고, 대부분의 농민들은 미르의 소유로 남았다.
6. 농노 해방령의 영향
크림 전쟁 패배 이후, 러시아는 농노제가 농업의 자본주의적 발전을 저해한다고 판단하여 농노 해방을 추진했다. 알렉산드르 2세는 귀족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아래에서보다 위에서 시작하는 것이 훨씬 낫다"며 개혁을 주도했다. 농민에게는 고액의 보상 비용이 발생하고, 해방 후에도 공동체에 묶이는 등 한계가 있었지만, 법적으로 농노제는 폐지되고 농민은 자유를 얻게 되었다.
이 개혁으로 농노제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다수의 공장 노동자가 생겨나면서 러시아 자본주의 발달의 촉진제가 되었다.
6. 1. 사회 구조의 변화
크림 전쟁 패배 이후, 러시아는 농노제가 농업의 자본주의적 발전을 저해한다고 판단하여 농노 해방을 추진했다. 농민에게는 고액의 보상 비용이 발생하고, 해방 후에도 공동체에 묶이는 등 한계가 있었지만, 법적으로 농노제는 폐지되고 농민은 자유를 얻었다.[15]이 개혁으로 다수의 공장 노동자가 생겨나면서 러시아 자본주의 발달이 촉진되었다.


새로운 자유에도 불구하고, 가내 농노는 토지를 얻지 못하는 등 혜택을 받지 못했다. 많은 관료들은 개혁이 사회 하층에만 영향을 줄 것이라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군주가 독립적인 법원, 자유 언론, 지방 정부와 공존하게 되면서 이들은 이전보다 자유롭게 운영되었다.[15] 이러한 지방 정부는 각 지역에 ''젬스트보''라는 의회를 포함했다.[15] 개혁은 토지 소유주들이 지방에서 더 많은 발언권을 갖도록 했지만, 전제 정치의 개념을 약화시키기도 했다.[15] "부유한" 농노들은 사유 재산으로 토지를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초기에는 지방 정부의 창설이 큰 변화를 가져오지 않았지만, 자본주의의 부상은 러시아 사회 구조와 자치 정부 기관에 큰 영향을 미쳤다.[15] 지방 정부는 새로운 시장을 규제하는 역할을 맡지 않았지만, ''젬스트보''는 언론과 불만 세력에게 활동을 제공하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었다.[15]
농노 해방령 실현에는 러시아 국내 슬라브주의의 역할이 컸다. 1855년 콘스탄틴 악사코프는 황제에게 자문 기관으로서 "지방 자치회(젬스키 소보르)" 설치를 제안했고, 1858년 유리 사마린은 귀족 위원회 위원이 되어 농노제 개혁에 참여했다.
6. 2. 농업 생산 방식의 변화
크림 전쟁 패배 이후, 러시아는 농노제가 농업의 자본주의적 발전을 저해한다고 판단하여 농노 해방을 추진했다. 농노 해방 이후, 판매용 곡물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고용 노동자 수와 농기계 사용도 증가했다.[15] 귀족의 토지 소유는 감소한 반면, 농민의 토지 소유는 증가했다.[15]1860년대부터 러시아 중앙부에서 변방으로 대규모 이주가 일어났는데, 특히 노보로시야 지역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주했다. 타브리다, 헤르손, 드니프로 지역의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 러시아 정부는 이 지역에 정착한 독일인 입식자들에게 일정 면적의 토지를 할당했는데, 예를 들어 베르댠스크 군의 메노나이트 입식자는 농가당 65데샤티나, 멜리토폴 군의 다른 독일인들은 농가당 60데샤티나를 받았다. 헤르손 현 남부와 오데사 군에도 다수의 독일인이 정착했다.[20]
독일인 입식자들은 1860년대 초까지 목양을 하다가 이후 경작을 시작했다. 1870년대에는 독자적인 곡물 재배 방법을 확립했는데, 여기에는 농기구 개량, 시비 휴경지, 수확 즉시 탈곡 등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2-3명의 노동력으로 이전보다 훨씬 넓은 면적(40-60데샤티나)을 경작할 수 있게 되었다. 철도와 항만 정비로 곡물 수출이 활발해지면서 독일인 입식자들은 부를 축적했고, 1880년대에는 토지 구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러시아 농민들은 독일인들의 성공 사례를 보고 토지를 구입하기 시작했다.[20]
6. 3. 국제 관계의 변화
크림 전쟁 패배 이후 급격한 근대화 과정에서 1858~59년 은행 위기와 모기지 대출 중단이 발생했다.[21] 이로 인해 농노 해방령이 불가피해졌다. 또한, 강화 조약을 중재한 프로이센 왕국이 러시아 내정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프로이센은 1840년대에 일렉토럴 울을 전 세계로 수출하여 외화를 축적한 후 공업화를 이루었다. 러시아에 대해서는 농기구를 수출하고 곡물을 수입하는 리카도식 국제 분업을 달성했다. 1857년 이후에는 자본 수출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1860년, 러시아는 국립은행을 설립하고 채무 상환을 계획했다. 이를 완수하기 위해서는 농업의 합리화가 필요했다. 이에 따라 독일 농민을 받아들이고, 면화의 업랜드종을 수입하는 두 가지 정책이 실행되었다. 농노 해방령은 독일 농민 수용을 중간 목표로 시행되었다.
국채 상환을 위해서는 농노 해방이 불가피했다. 러시아의 토지가 처분되어 그 대금과 농민의 소득이 스베르방크의 기반이 되는 저축으로 이어졌다. 소 러시아에서는 독일인, 폴란드인, 그리고 프랑스 자본이 복잡한 국제 경제 관계를 형성했다. 1883년에 업랜드가 중앙아시아로 이식되었고, 4년 후에는 독일-러시아 재보장 조약이 체결되었다.
6. 4. 노보로시야 개발
농노 해방 이후, 러시아 중앙부에서 변방으로 대규모 이주가 일어났다. 1860년대에 노보로시야로 이주한 사람은 약 20만 명이었고, 1871년부터 1916년 사이에는 120만 2000명에 달했다. 인구 증가가 두드러진 곳은 타브리다, 헤르손, 드니프로였다.[20]타브리다 현 북부에 독일인들이 입식할 때, 러시아 정부는 일정 면적의 토지를 할당했다. 예를 들어, 베르댠스크 군으로 이주한 메노나이트 입식자는 농가당 65ha의 토지를 받았다. 주로 멜리토폴 군으로 입식한 다른 독일인들도 농가당 60ha를 받았다. 독일인 이주자의 15~20%는 토지를 소유하지 않고 농업 외의 일을 했다. 헤르손 현에서도, 특히 남부에 다수의 독일인이 입식했다. 오데사 군의 독일인 입식자는 총 129353ha의 토지를 정부로부터 받았다. 게다가 그들은 귀족의 대토지 소유자로부터 76652ha의 토지를 구입했다.[20]
독일인 입식자는 러시아 정부로부터 특별한 보호를 받았다. 불가리아인, 유대인 입식자도 독일인과 거의 동등한 보호를 받았다. 불가리아인의 경우, 1861~1863년에 타브리다 현 북부에 입식한 기혼자에게 각 50ha의 토지가 국가로부터 주어졌다. 마리우폴에서도 외국인 입식자에게 많은 토지가 분여되었다.[20]
독일인 입식자는 1860년대 초까지 목양(독일 본국의 울 생산량이 감소하던 시기에 행해졌다)에 종사했다. 그 후에는 경작을 시작했다. 1870년대가 되자 그들은 타브리다 현 북부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곡물 재배 방법을 형성했다(농기구의 전면 개량, 비료를 주는 휴경지, 수확 즉시 탈곡). 이렇게 2~3명의 노동력으로, 종전의 20ha에서 30ha에서 40ha에서 60ha도 경작할 수 있게 되었다. 철도, 항만이 정비되어 곡물은 먹을 양이 남는지와 관계없이 수출되는 구조가 만들어졌다. 생산력은 억지로라도 향상되었고, 독일인 입식자에게 부를 가져다주었다. 특히 1880년대는 입식자에 의한 토지 구입이 활발했다. 러시아인 농민은 독일인의 성공 사례를 보고 나서 토지를 구입하게 되었다.[20]
참조
[1]
간행물
Harmsworth History of the World: Volume 7
https://archive.org/[...]
Carmelite House, London
1907
[2]
서적
AQA A-level History Tsarist and Communist Russia: 1855–1964
https://books.google[...]
Hachette UK: Hodder Education; Dynamic Learning
2015-09-08
[3]
논문
'The Peasants Have Always Fed Us': The Georgian Nobility and the Peasant Emancipation, 1856–1871
https://www.jstor.or[...]
1979-01
[4]
서적
Russia Under the Old Regime
[5]
서적
The Governing of Tsarist Russia
Palgrave Macmillan
2007
[6]
논문
Borders, ethnicity, and demographic patterns in the Russian Baltic provinces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1999
[7]
서적
The Story of Land
Lincoln Institute of Land Policy
1987
[8]
서적
A People's Tragedy: The Russian Revolution: 1891–1924
Jonathan Cape
1996
[9]
웹사이트
Taras Shevchenko: Aral Sea expeditionary
http://www.ukrweekly[...]
The Ukrainian Weekly
2015-11-27
[10]
웹사이트
Dmitry Medvedev took part in the conference The Great Reforms and Modernisation of Russia
http://en.kremlin.ru[...]
Kremlin.ru
2011-03-03
[11]
웹사이트
Alexander II Emancipates the Serfs
http://www.newhistor[...]
NewHistorian
2015-03-02
[12]
서적
Leaders of Russia and the Soviet Union Since 1613
http://public.j.ebli[...]
Fitzroy Dearborn Publishers
2014-03-04
[13]
서적
Peasant Wars of the 20th Century
1969
[14]
웹사이트
Russian Serfdom and Emancipation: New Empirical Evidence
https://economics.ya[...]
2023-09-09
[15]
서적
Russia in the Nineteenth Century: Autocracy, Reform, And Social Change, 1814–1914
http://site.ebrary.c[...]
M.E. Sharpe
2005
[16]
논문
The Russian Peasants' Reaction to the Emancipation of 1861
Wiley-Blackwell
1968-04
[17]
서적
世界歴史大系 ロシア史2
山川出版社
1994
[18]
논문
1848-49年ハンガリー革命における農奴解放の展開
1980
[19]
웹사이트
農奴解放令
https://www.y-histor[...]
世界史の窓
2024-06-09
[20]
서적
ロシア経済研究
有斐閣
1998
[21]
논문
農奴解放の開始から大改革へ
2012
[22]
서적
Russia In The Nineteenth Century: Autocracy, Reform, And Social Change, 1814–1914
http://site.ebrary.c[...]
M.E. Sharpe
2019-05-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