뉘스타드 조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뉘스타드 조약은 대북방 전쟁의 종결을 위해 1721년 스웨덴과 러시아 제국 간에 체결된 조약이다. 이 조약으로 스웨덴은 카렐리야, 에스토니아, 리보니아, 잉그리아 등을 러시아에 할양하여 발트 해 패권을 잃었고, 러시아는 이를 통해 유럽 정치에서의 영향력을 강화했다. 스웨덴에서는 국왕의 권위가 약화되어 왕권 제한이 이루어졌으며, 러시아에서는 표트르 1세가 황제 칭호를 얻는 등 국내 정치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스웨덴 관계 - 제1차 러시아-스웨덴 전쟁
제1차 러시아-스웨덴 전쟁은 스웨덴의 구스타프 3세가 러시아와의 외교 관계 단절을 시도하며 발발하여 해전을 중심으로 전개되었고, 덴마크의 참전 등 어려움 속에서 바랄라 조약으로 종결되어 스웨덴은 영토 변화 없이 평화를 이루었다. - 대북방 전쟁 - 아우구스트 2세
아우구스트 2세는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1세로서 1697년부터 1706년, 1709년부터 1733년까지 폴란드 국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를 지냈으며, 폴란드 왕위를 위해 가톨릭으로 개종, 대북방 전쟁에 참여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을 러시아 영향력 아래 두었고 드레스덴을 문화 중심지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 대북방 전쟁 - 대격노
대격노는 1710년부터 1721년까지 러시아가 핀란드를 점령하여 핀란드인들을 노예로 삼고 강제 노역에 동원했으며 흑사병까지 유행하여 핀란드에 심각한 피해를 입힌 시기를 일컫는다.
뉘스타드 조약 | |
---|---|
조약 정보 | |
이름 | 니스타트 조약 |
원어 이름 | 러시아어: Ништадтский мир 핀란드어: Uudenkaupungin rauha 스웨덴어: Freden i Nystad 에스토니아어: Uusikaupunki rahu |
유형 | 강화 조약 |
관련 분쟁 | 대북방 전쟁 |
위치 | 우시카우풍키(니스타트), 스웨덴 (현재의 우시카우풍키, 핀란드) |
서명일 | 1721년 9월 10일 (구력 8월 30일) |
영향 | |
![]() | |
당사자 | |
서명국 | 스웨덴 러시아 |
관련 이미지 | |
![]() | |
![]() |
2. 조약의 내용
뉘스타드 조약으로 스웨덴은 발트해 패권을 상실했고, 칼 12세 사후 국왕의 권위가 약화되며 절대왕정이 쇠퇴하고 의회 권력이 강화되는 "자유의 시대(자유의 시대)"로 이행하였다. 반면 러시아는 발트 해 패권을 장악하고 유럽 정치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표트르 1세는 러시아 원로원으로부터 "황제", "대제" 칭호를 받으며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4] 1917년 이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비보르그스키 구역(러시아-핀란드 국경과 비교적 가깝다)에 있는 간선 도로 중 하나(현재 ''레스노이 대로'')는 이 조약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
대북방 전쟁 중 러시아가 점령했던 핀란드, 비스마르, 포어포메른 서부는 스웨덴에 반환되었지만, 카렐리야, 에스토니아, 리보니아(Swedish Livonia|스웨덴령 리보니아영어, 현 라트비아령), 잉그리아(잉게르만란드, 이조라), 그리고 발트해의 사레마 섬과 히우마 섬(둘 다 현 에스토니아령)은 스웨덴에서 러시아에 할양되었다.[4] 이로 인해 스웨덴이 구축한 "발트 제국"은 명실상부 붕괴되었고, 러시아가 스웨덴을 대신하여 발트해의 패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3. 조약의 결과 및 영향
3. 1. 국제 정세 변화
이 조약으로 발트해 패권을 잃은 스웨덴에서는 대북방 전쟁 중 칼 12세가 전사하면서 국왕의 권위가 낮아졌다. 그 때문에 왕권 제한이 진행되어 절대왕정 하의 대국주의에서 자유의 시대(자유의 시대)로 이행하게 되었다. 한편, 새롭게 발트해 패권을 장악한 러시아는 유럽 정치에서 존재감을 강화했다. 유럽 주요국은 러시아에 외교관을 상주시키게 되었고, 국제 정치에서 대러시아 관계를 무시할 수 없게 되었다. 국내에서도 표트르 1세가 그 위신을 강화하여 러시아 원로원으로부터 "황제", "대제" 칭호를 받게 되었다.
3. 2. 스웨덴과 러시아의 국내 정치 변화
이 조약으로 발트해 패권을 잃은 스웨덴에서는 대북방 전쟁 중 칼 12세가 전사하면서 국왕의 권위가 저하되었다. 그 때문에 왕권 제한이 진행되어 절대왕정 하의 대국주의에서 소위 "자유의 시대(Frihetstidensv)"로 이행하게 되었다. 한편, 새롭게 발트해 패권을 장악한 러시아는 유럽 정치에서 존재감을 강화했다. 유럽 주요국은 러시아에 외교관을 상주시키게 되었고, 국제 정치에서 대러시아 관계를 무시할 수 없게 되었다. 국내에서도 표트르 1세가 그 위신을 강화하여 러시아 원로원으로부터 "황제", "대제" 등의 칭호를 받게 되었다.[4]
4. 역사적 유산
1917년 이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비보르그스키 구역(러시아-핀란드 국경과 비교적 가깝다)에 있는 간선 도로 중 하나(현재 '레스노이 대로')는 뉘스타드 조약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 이 구역에는 대북방 전쟁에서 러시아의 첫 번째 승리를 기념하는 교회인 성 삼손 대성당이 있다.
참조
[1]
기타
РГАДА. Рукописный отдел библиотеки Московской Синодальной типографии. Фонд 381, ед.хр.805. Л.6.
[2]
웹사이트
Ништадтский мирный договор между Россией и Швецией, 30 августа 1721 г.
http://law.edu.ru/no[...]
[3]
서적
Imperial Russian foreign poli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Записки старого петербуржц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