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라오스 플라스티라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오스 플라스티라스는 1883년 그리스 카르디차에서 태어난 군인으로, 발칸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그리스-터키 전쟁에 참전했다. 그는 군사 쿠데타에 참여하고, 1922년 혁명을 주도하여 그리스 콘스탄티노스 1세의 퇴위를 이끌었으며, 이후 총리 재임과 정치 활동을 펼쳤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저항 운동에 참여했고, 1949년 그리스 내전 이후에는 진보 자유당을 창당하여 정계에서 활동했다. 그의 정부는 경제 회복과 재건을 위해 노력했으며, 플라스티라스 댐 건설을 시작했으나, 1952년 총선에서 패배한 후 정계에서 은퇴했다. 그는 1953년 아테네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살리아 출신 - 야니스 구마스
야니스 구마스는 그리스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파나티나이코스 FC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그리스 국가대표팀으로 UEFA 유로 2004 우승을 경험했으며, 이후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 테살리아 출신 - 리가스 페레오스
리가스 페레오스는 18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 치하 그리스에서 프랑스 혁명의 영향을 받아 민중 그리스어로 애국심을 고취하고 공화주의 사상을 전파하며 발칸 반도 봉기를 꾀한 혁명가이자 계몽주의 사상가로, 그의 사상은 그리스 독립 전쟁과 필리키 에테리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그리스의 혁명가 - 리가스 페레오스
리가스 페레오스는 18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 치하 그리스에서 프랑스 혁명의 영향을 받아 민중 그리스어로 애국심을 고취하고 공화주의 사상을 전파하며 발칸 반도 봉기를 꾀한 혁명가이자 계몽주의 사상가로, 그의 사상은 그리스 독립 전쟁과 필리키 에테리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그리스의 혁명가 - 에방겔리스 자파스
에방겔리스 자파스는 19세기 그리스의 애국자이자 사업가, 자선가로서 그리스 독립 전쟁 참전과 왈라키아에서의 사업 성공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했으며, 근대 올림픽 부활에 기여하고 교육 기관 설립 등 다양한 자선 활동을 펼쳤다. - 그리스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알렉산드로스 파파고스
알렉산드로스 파파고스는 그리스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그리스 내전에 참전하여 공산주의 세력을 격퇴하고 총리를 역임하며 그리스 경제 부흥에 기여하다가 사망했다. - 그리스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요르요스 콘딜리스
요르요스 콘딜리스는 그리스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군 경력과 정치 활동을 거쳐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하고 군주제 복고를 추진했으며 섭정으로 공화국을 폐지하고 요르요스 2세의 왕정 복고를 이끌었다.
니콜라오스 플라스티라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니콜라오스 플라스티라스 |
원어 이름 | Νικόλαος Πλαστήρας |
출생일 | 1883년 11월 4일 |
출생지 | 카르디차, 그리스 왕국 |
사망일 | 1953년 7월 26일 |
사망지 | 아테네, 그리스 왕국 |
국적 | 그리스 |
정당 | 국가 진보 중앙 연합 |
충성 | 그리스 왕국 |
복무 기간 | 1904년–1924년 |
계급 | [[File:GR-Army-OF8-1912.svg|15px]] 중장 |
별명 | 검은 기수, Μαύρος Καβαλάρης, 검은 후추, Kara Biber |
서명 | [[File:Nikolaos-plastiras-signature.svg|200px]] |
지휘 | 5/42 에브존 연대 |
부대 | 군도 사단 |
직업 | 군인, 정치인 |
안장된 곳 | 아테네 제1 묘지 |
정치 경력 | |
직위 | 그리스의 총리 |
임기 시작 (1) | 1951년 11월 1일 |
임기 종료 (1) | 1952년 10월 11일 |
군주 (1) | 파블로스 |
이전 총리 (1) | 소포클리스 베니젤로스 |
다음 총리 (1) | 디미트리오스 키우소풀로스 |
임기 시작 (2) | 1950년 4월 15일 |
임기 종료 (2) | 1950년 8월 21일 |
군주 (2) | 파블로스 |
이전 총리 (2) | 소포클리스 베니젤로스 |
다음 총리 (2) | 소포클리스 베니젤로스 |
임기 시작 (3) | 1945년 1월 3일 |
임기 종료 (3) | 1945년 4월 9일 |
군주 (3) | 게오르기오스 2세 |
섭정 (3) | 아테네 대주교 다마스키노스 |
이전 총리 (3) | 요르요스 파판드레우 |
다음 총리 (3) | 페트로스 불가리스 |
군사 경력 | |
참전 전투 | 마케도니아 투쟁 구디 쿠데타 발칸 전쟁 제1차 발칸 전쟁 예니제 전투 제2차 발칸 전쟁 킬키스-라하나스 전투 제1차 세계 대전 마케도니아 전선 스크라디레겐 전투 러시아 내전 러시아 내전 연합군 개입 남부 전선 러시아 남부 개입 소련의 우크라이나 침공 그리스-터키 전쟁 (1919년-1922년) 그리스 여름 공세 사카리아 전투 그리스군 퇴각 둠루프나르 전투 1922년 9월 11일 혁명 1935년 그리스 쿠데타 시도 |
2. 초기 생애
니콜라오스 플라스티라스는 1883년 그리스 카르디차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원래 그리스 테살리아 남서부 아그라파 산맥의 마을인 모르포부니 출신이었다. 모르포부니는 현재 플라스티라스 장군의 이름을 따서 플라스티라스 시(Δήμος Πλαστήρα)로 개칭되었다. 플라스티라스가 태어나기 전에 그의 가족은 카르디차로 이주했다.
2. 1. 가계 및 출생 배경
니콜라오스 플라스티라스는 1883년 그리스 카르디차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원래 그리스 테살리아 남서부 아그라파 산맥의 마을인 모르포부니 출신이었다. 모르포부니는 현재 플라스티라스 장군의 이름을 따서 플라스티라스 시(Δήμος Πλαστήρα)로 개칭되었다. 플라스티라스가 태어나기 전에 그의 가족은 카르디차로 이주했다.3. 군 경력
카르디차에서 학교를 마친 후, 1904년 5보병연대에 자원입대했다.[1] 그는 마케도니아 독립 운동에 참전했고, 1909년 군사 쿠데타에도 참여했다. 1910년 부사관학교에 입학했고, 1912년 소위로 임관된 후 발칸 전쟁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쳐 "흑기병(The Black Rider)"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그는 소령으로서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의 국가방위운동을 지지하며 더욱 유명해졌다. 그는 스크라-디-레겐 전투에서 해군 사단과 함께 훌륭하게 싸웠고 중령으로 진급했다. 1919년 플라스티라스는 우크라이나에서 5/42 에브조네스 연대를 지휘했는데, 이는 백군을 돕기 위한 연합군의 일부로서 적군과의 최종적으로 실패로 끝난 싸움에 참여한 것이었다. 그의 부대는 그 후 루마니아를 거쳐 소아시아의 스미르니로 이동했다. 그리스에서 권력이 바뀌고(1920년 11월) 콘스탄티노스 1세 국왕이 복위한 후, 그는 국가방위운동에 참여했던 장교 중 유일하게 해임되지 않았다. 그의 연대 병사들은 다른 지휘관 밑에서는 싸우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그리스-터키 전쟁 (1919-1922년) 동안 터키인들은 플라스티라스를 "카라 비베르(Kara Biber, 검은 후추)"라고 불렀고, 5/42 에브조네스 연대는 "셰이타닌 아스케를레리(Şeytanın Askerleri, 사탄의 군대)"로 알려지게 되었다.[1] 그 직후 사카랴 전투에서 그리스군은 후퇴를 시작해야만 했다.
1922년 8월 터키군의 돌파 이후, 그의 부대는 그리스군의 위치를 되찾기 위해 카멜라르 산에서 반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는 8월 13일에는 시도하지 않았지만, 다음 날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이 실패로 그는 제4 그리스 보병사단의 궤멸에 대한 책임을 지라는 징계를 받았다.[2] 그의 부대인 5/42 에브조네스 연대는 다른 부대들과 함께 해안으로 질서정연하게 후퇴하며, 우세한 터키군과 싸우면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헬레닉 군대의 잔여 병력은 에게해 동부의 섬들로 향했다.
3. 1. 군 입대 및 초기 활동
카르디차에서 학교를 마친 후, 1904년 5보병연대에 자원입대했다. 그는 마케도니아 독립 운동에 참전했고, 1909년 군사 쿠데타에도 참여했다. 1910년 부사관학교에 입학했고, 1912년 소위로 임관된 후 발칸 전쟁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쳐 "흑기병(The Black Rider)"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그는 소령으로서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의 국가방위운동을 지지하며 더욱 유명해졌다. 그는 스크라-디-레겐 전투에서 해군 사단과 함께 훌륭하게 싸웠고 중령으로 진급했다. 1919년 플라스티라스는 우크라이나에서 5/42 에브조네스 연대를 지휘했는데, 이는 백군을 돕기 위한 연합군의 일부로서 적군과의 최종적으로 실패로 끝난 싸움에 참여한 것이었다. 그의 부대는 그 후 루마니아를 거쳐 소아시아의 스미르니로 이동했다. 그리스에서 권력이 바뀌고(1920년 11월) 콘스탄티노스 1세 국왕이 복위한 후, 그는 국가방위운동에 참여했던 장교 중 유일하게 해임되지 않았다. 그의 연대 병사들은 다른 지휘관 밑에서는 싸우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그리스-터키 전쟁 (1919-1922년) 동안 터키인들은 플라스티라스를 "카라 비베르(Kara Biber, 검은 후추)"라고 불렀고, 5/42 에브조네스 연대는 "셰이타닌 아스케를레리(Şeytanın Askerleri, 사탄의 군대)"로 알려지게 되었다.[1] 그 직후 사카랴 전투에서 그리스군은 후퇴를 시작해야만 했다.
1922년 8월 터키군의 돌파 이후, 그의 부대는 그리스군의 위치를 되찾기 위해 카멜라르 산에서 반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는 8월 13일에는 시도하지 않았지만, 다음 날 시도했으나 실패했다.[2] 이 실패로 그는 제4 그리스 보병사단의 궤멸에 대한 책임을 지라는 징계를 받았다.[2] 그의 부대인 5/42 에브조네스 연대는 다른 부대들과 함께 해안으로 질서정연하게 후퇴하며, 우세한 터키군과 싸우면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헬레닉 군대의 잔여 병력은 에게해 동부의 섬들로 향했다.
3. 2. 발칸 전쟁 및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니콜라오스 플라스티라스는 카르디차에서 학교를 졸업한 후, 1904년 5보병연대에 자원입대했다. 마케도니아 독립 운동과 1909년 군사 구디 쿠데타에 참여했다. 1910년 부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912년 소위로 임관했다. 발칸 전쟁에서 뛰어난 활약으로 "흑기병(The Black Rider)"이라는 별명을 얻었다.제1차 세계 대전 당시, 그는 소령으로서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의 국가방위운동을 지지했다. 스크라-디-레겐 전투에서 해군 사단과 함께 훌륭하게 싸워 중령으로 진급했다. 1919년 플라스티라스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에서 5/42 에브조네스 연대를 지휘, 백군을 돕기 위한 연합군의 일원으로 적군과 전투를 벌였으나 실패했다. 그의 부대는 루마니아 왕국을 거쳐 소아시아의 스미르니로 이동했다. 1920년 11월 그리스에서 권력이 바뀌고 그리스의 콘스탄티노스 1세 국왕이 복위한 후에도, 그는 국가방위운동에 참여했던 장교 중 유일하게 해임되지 않았다.
그리스-터키 전쟁 (1919-1922년) 동안 터키인들은 플라스티라스를 "카라 비베르(Kara Biber, 검은 후추)"라고 불렀고, 5/42 에브조네스 연대는 "셰이타닌 아스케를레리(Şeytanın Askerleri, 사탄의 군대)"로 알려지게 되었다.[1] 사카랴 전투 이후 그리스군은 후퇴했다. 1922년 8월, 그의 부대는 카멜라르 산에서 반격 명령을 받았으나 실패했고, 제4 그리스 보병사단 궤멸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되었다.[2] 그의 부대는 해안으로 질서정연하게 후퇴하며 에게해 동부 섬들로 향했다.
3. 3. 러시아 내전 및 그리스-터키 전쟁 참전
1919년 플라스티라스는 우크라이나에서 5/42 에브조네스 연대를 지휘, 백군을 돕기 위한 연합군의 일부로서 적군과의 전투에 참여했다.[1] 그의 부대는 루마니아를 거쳐 소아시아의 스미르니로 이동했다. 그리스-터키 전쟁 (1919-1922년) 동안 터키인들은 플라스티라스를 "카라 비베르(Kara Biber, 검은 후추)"라고 불렀고, 5/42 에브조네스 연대는 "셰이타닌 아스케를레리(Şeytanın Askerleri, 사탄의 군대)"로 알려지게 되었다.[1]1922년 8월 터키군의 돌파 이후, 그의 부대는 카멜라르 산에서 반격을 시도했으나 실패, 제4 그리스 보병사단의 궤멸에 대한 책임을 지라는 징계를 받았다.[2] 5/42 에브조네스 연대는 다른 부대들과 함께 해안으로 질서정연하게 후퇴하며, 우세한 터키군과 싸우면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2]
4. 1922년 혁명 주도
소아시아 전역에서의 패배와 그리스 군의 사기 저하는 혁명의 배경이 되었다.[3] 아테네의 정치 지도부에 대한 군의 불만은 니콜라오스 플라스티라스, 스틸리아노스 고나타스 대령, 포카스(Phokas) 사령관이 이끈 1922년 9월 11일 혁명의 발발로 이어졌다. 군과 대다수 국민의 지지를 받은 혁명 장교들은 신속하게 아테네에 진입하여 국가 통제권을 장악했다. 당시 상황을 목격한 페넬로페 델타(Penelope Delta)에 따르면, 플라스티라스는 군중에게 "왜 환호하는가? 우리는 패배했고, 파괴된 채로 돌아왔다"라고 말했다고 한다.[3]
플라스티라스는 콘스탄티노스 1세 국왕의 퇴위를 강요하고, 망명 중이던 베니젤로스를 소환하여 터키와의 협상을 이끌었다. 이 협상은 로잔 조약으로 이어졌고, 플라스티라스는 터키의 진격에 대비하여 트라키아 군대를 재편성하는 데 착수했다.(동부 트라키아는 여전히 그리스의 손에 있었다). 혁명 정부의 가장 논란이 많은 행위 중 하나는 1922년 11월 28일, 소위 "6인 재판"에서 소아시아 재앙의 주요 책임자로 여겨진 전 총리 디미트리오스 구나리스와 전 총사령관 게오르기오스 하치아네스티스 장군을 포함한 5명의 왕당파 정치인들을 재판하고 처형한 것이었다.[3]
플라스티라스는 그리스 통치 과정에서 파괴된 경제, 국제적 고립, 내부 분열과 더불어 인구 교환으로 인한 130만 명의 난민을 수용해야 하는 등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했다. 코르푸 사건과 1923년 10월의 왕당파 쿠데타 미수는 이를 보여주는 사례였다. 왕당파 쿠데타 실패 후 게오르기오스 2세 국왕은 그리스를 떠나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국가 질서를 어느 정도 회복하고 제2 헬레닉 공화국의 기반을 마련했다. 1923년 12월 새로운 국민의회 선거 후, 그는 1924년 1월 2일에 군에서 사임하고 은퇴했다. 국가에 대한 그의 공로를 인정받아 국민의회는 그를 "조국에 공헌한 자"로 선포하고 예편 중장 계급을 수여했다.[3]
플라스티라스는 그의 가장 큰 적이었던 무스타파 케말에게도 존경을 받았다. 전쟁이 끝나고 그리스와 새로이 건설된 터키 공화국 간의 인구 교환에 대한 협상 중에, 아타튀르크는 플라스티라스에게 "나는 금을 주었고, 당신은 나에게 구리를 주었다"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4. 1. 혁명 배경 및 과정
소아시아 전역에서의 패배와 그리스 군의 사기 저하는 혁명의 배경이 되었다.[3] 아테네의 정치 지도부에 대한 군의 불만은 니콜라오스 플라스티라스, 스틸리아노스 고나타스 대령, 포카스(Phokas) 사령관이 이끈 1922년 9월 11일 혁명의 발발로 이어졌다. 군과 대다수 국민의 지지를 받은 혁명 장교들은 신속하게 아테네에 진입하여 국가 통제권을 장악했다. 당시 상황을 목격한 페넬로페 델타(Penelope Delta)에 따르면, 플라스티라스는 군중에게 "왜 환호하는가? 우리는 패배했고, 파괴된 채로 돌아왔다"라고 말했다고 한다.[3]
플라스티라스는 콘스탄티노스 2세 국왕의 퇴위를 강요하고, 망명 중이던 베니젤로스를 소환하여 터키와의 협상을 이끌었다. 이 협상은 로잔 조약으로 이어졌고, 플라스티라스는 터키의 진격에 대비하여 트라키아 군대를 재편성하는 데 착수했다.(동부 트라키아는 여전히 그리스의 손에 있었다). 혁명 정부의 가장 논란이 많은 행위 중 하나는 1922년 11월 28일, 소위 "6인 재판"에서 소아시아 재앙의 주요 책임자로 여겨진 전 총리 디미트리오스 구나리스와 전 총사령관 게오르기오스 하치아네스티스 장군을 포함한 5명의 왕당파 정치인들을 재판하고 처형한 것이었다.[3]
플라스티라스는 그리스 통치 과정에서 파괴된 경제, 국제적 고립, 내부 분열과 더불어 인구 교환으로 인한 130만 명의 난민을 수용해야 하는 등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했다. 코르푸 사건과 1923년 10월의 왕당파 쿠데타 미수는 이를 보여주는 사례였다. 왕당파 쿠데타 실패 후 게오르기오스 2세 국왕은 그리스를 떠나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국가 질서를 어느 정도 회복하고 제2 헬레닉 공화국의 기반을 마련했다. 1923년 12월 새로운 국민의회 선거 후, 그는 1924년 1월 2일에 군에서 사임하고 은퇴했다. 국가에 대한 그의 공로를 인정받아 국민의회는 그를 "조국에 공헌한 자"로 선포하고 예편 중장 계급을 수여했다.[3]
플라스티라스는 그의 가장 큰 적이었던 무스타파 케말에게도 존경을 받았다. 전쟁이 끝나고 그리스와 새로이 건설된 터키 공화국 간의 인구 교환에 대한 협상 중에, 아타튀르크는 플라스티라스에게 "나는 금을 주었고, 당신은 나에게 구리를 주었다"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4. 2. 혁명 정부의 정책 및 활동
1922년 9월 11일, 니콜라오스 플라스티라스 대령, 스틸리아노스 고나타스 대령, 포카스(Phokas) 사령관은 군의 불만을 배경으로 혁명을 일으켰다.[3] 군과 국민 대다수의 지지를 받은 혁명군은 아테네를 장악했고, 플라스티라스는 콘스탄티노스 1세의 퇴위를 강요했다. 망명 중이던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를 소환하여 로잔 조약 체결을 위한 터키와의 협상을 주도하게 하였고, 트라키아 군대를 재편성하여 터키의 진격에 대비했다.[3]혁명 정부는 소아시아 재앙의 책임을 물어 디미트리오스 구나리스 전 총리와 게오르기오스 하치아네스티스 장군 등 왕당파 정치인 5명을 6인 재판을 통해 처형했다.[3]
플라스티라스는 경제 파탄, 국제적 고립, 사회 분열, 130만 명의 난민 수용, 코르푸 사건, 왕당파 쿠데타 미수 등 여러 어려움에 직면했다.[3] 왕당파 쿠데타 실패 후 게오르기오스 2세는 그리스를 떠났다.[3]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플라스티라스는 국가 질서를 회복하고 제2 헬레닉 공화국 수립의 기반을 마련했다.[3] 1923년 12월 총선 이후 1924년 1월 군에서 사임했으며, 국회는 그에게 "조국에 공헌한 자" 칭호와 예편 중장 계급을 수여했다.[3]
플라스티라스는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에게도 존경을 받았다. 인구 교환 협상 중 아타튀르크는 플라스티라스에게 "나는 금을 주었고, 당신은 나에게 구리를 주었다"라고 말했다.[3]
5. 정치 경력
1924년 1월 2일, 군에서 사임하고 은퇴했다. 국민의회는 그를 "조국에 공헌한 자"로 선포하고 예편 중장 계급을 수여했다.
그가 건국을 도왔던 공화국은 불안정한 상태였다. 쿠데타와 반쿠데타, 베니젤리스트/공화파와 왕당파 간의 갈등, 그리고 끊임없는 경제 문제가 그리스를 괴롭혔다. 팡갈로스 독재 정권 시대에 박해받았던 플라스티라스는 반베니젤리스트들이 선거에서 승리한 후인 1933년 3월 쿠데타를 시도했지만, 베니젤로스 자신으로부터도 반대에 직면하여 해외로 도피해야 했다. 결국 1935년 실패한 1935년 베니젤리스트 반란 이후, 비록 해외에 있었지만, 결석 상태에서 사형 선고를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전쟁 영웅으로서 높은 명성을 유지했고, 그의 청렴성과 확고한 공화주의 때문에 존경받았다.
그는 EDES 저항 단체의 창설에 역할을 했으며, 콤니노스 피로마글루와의 논의 후, 본인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명목상 지도자가 되었다.
1949년 그리스 내전이 끝난 후, 플라스티라스는 새로운 정당인 진보 자유당을 창당했는데, 이는 1950년 그리스 총선을 위해 국가 진보 중앙 연합(Εθνική Προοδευτική Ένωση Κέντρου, EPEK)으로 변모하여 실망한 자유주의자들과 좌파 성향의 민주주의자들의 지지를 얻었다. 그는 국가 화해 메시지를 전파했는데, 이는 공산 정부 수립을 위해 싸운 사람들을 처벌하려던 보수적인 기득권층과 갈등을 빚었다. 소포클리스 베니젤로스와 조지 파판드레우와 함께 플라스티라스는 1950년 연정 정부를 구성했지만, 동료들이 물러난 후 무너졌다. 1951년 9월 선거에서 EPEK는 중도 정당 중 가장 강력한 정당으로 부상했다. 플라스티라스는 소포클리스 베니젤로스의 자유주의자들과 연정을 구성하고 국가의 큰 문제들을 해결하려고 노력했다. 그의 정부는 그리스의 경제 회복과 재건을 시작했다. 이것을 보여주는 기념물은 그가 시작한 사업인 타브로포스(메그도바스) 강에 건설된 댐이다. 이전에는 타브로포스였던 호수와 댐은 이제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러나 그의 화해 정책은 우익으로부터 격렬한 비난을 받았고, 좌익으로부터 불신을 받았으며, 그의 내각 구성원들로부터도 약화되었다. 그의 정부의 중요한 순간은 국제적인 항의에도 불구하고 1952년 3월 니코스 벨로기아니스의 유죄 판결과 처형이었다. 1952년 11월 선거에서 패배한 후, 그의 정치 경력과 함께 자유주의 '중도 정권'은 막을 내렸다. 그는 1953년 아테네에서 가난 속에서 사망했다.
5. 1. 공화국 수립 이후의 정치 활동
그가 건국을 도왔던 공화국은 불안정한 상태였다. 쿠데타와 반쿠데타, 베니젤리스트/공화파와 왕당파 간의 갈등, 그리고 끊임없는 경제 문제가 그리스를 괴롭혔다. 팡갈로스 독재 정권 시대에 박해받았던 플라스티라스는 반베니젤리스트들이 선거에서 승리한 후인 1933년 3월 쿠데타를 시도했지만, 베니젤로스 자신으로부터도 반대에 직면하여 해외로 도피해야 했다. 결국 1935년 실패한 1935년 베니젤리스트 반란 이후, 비록 해외에 있었지만, 결석 상태에서 사형 선고를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전쟁 영웅으로서 높은 명성을 유지했고, 그의 청렴성과 확고한 공화주의 때문에 존경받았다.그는 EDES 저항 단체의 창설에 역할을 했으며, 콤니노스 피로마글루와의 논의 후, 본인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명목상 지도자가 되었다.
1949년 그리스 내전이 끝난 후, 플라스티라스는 새로운 정당인 진보 자유당을 창당했는데, 이는 1950년 그리스 총선을 위해 국가 진보 중앙 연합(Εθνική Προοδευτική Ένωση Κέντρου, EPEK)으로 변모하여 실망한 자유주의자들과 좌파 성향의 민주주의자들의 지지를 얻었다.[4] 그는 국가 화해 메시지를 전파했는데, 이는 공산 정부 수립을 위해 싸운 사람들을 처벌하려던 보수적인 기득권층과 갈등을 빚었다. 소포클리스 베니젤로스와 조지 파판드레우와 함께 플라스티라스는 1950년 연정 정부를 구성했지만, 동료들이 물러난 후 무너졌다. 1951년 9월 선거에서 EPEK는 중도 정당 중 가장 강력한 정당으로 부상했다. 플라스티라스는 소포클리스 베니젤로스의 자유주의자들과 연정을 구성하고 국가의 큰 문제들을 해결하려고 노력했다. 그의 정부는 그리스의 경제 회복과 재건을 시작했다. 이것을 보여주는 기념물은 그가 시작한 사업인 타브로포스(메그도바스) 강에 건설된 댐이다. 이전에는 타브로포스였던 호수와 댐은 이제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러나 그의 화해 정책은 우익으로부터 격렬한 비난을 받았고, 좌익으로부터 불신을 받았으며, 그의 내각 구성원들로부터도 약화되었다. 그의 정부의 중요한 순간은 국제적인 항의에도 불구하고 1952년 3월 니코스 벨로기아니스의 유죄 판결과 처형이었다. 1952년 11월 선거에서 패배한 후, 그의 정치 경력과 함께 자유주의 '중도 정권'은 막을 내렸다. 그는 1953년 아테네에서 가난 속에서 사망했다.
5. 2. 제2차 세계 대전 및 저항 운동 참여
그는 EDES 저항 단체의 창설에 관여하였으며, 콤니노스 피로마글루와의 논의 후, 본인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명목상 지도자가 되었다.[4] 그는 전쟁 영웅으로서 높은 명성을 유지했고, 그의 청렴성과 확고한 공화주의 때문에 존경받았다.[4]5. 3. 총리 재임 (1945년)
12월 사건 이후, 니콜라오스 플라스티라스는 중도적인 인물로 평가받아 총리로 추대되었다.[4] 그는 영국과 EAM/ELAS 사이에서 중도적인 입장을 취하려 노력했으며, 그의 총리 재임 중 바르키자 협정이 체결되었다.[4] 그러나 그의 온건 정책과 공화주의적 성향은 영국의 불신을 샀고, 그리스-이탈리아 전쟁을 중단시키기 위해 독일의 개입을 제안했던 과거 편지가 공개되면서, 총리 취임 3개월 만에 해임되었다.[4]5. 4. 진보 자유당(EPEK) 창당 및 연립 정부 구성
1949년 그리스 내전 종식 후, 플라스티라스는 1950년 그리스 총선을 위해 진보 자유당(EPEK)을 창당했다.[4] 이는 실망한 자유주의자들과 좌파 성향 민주주의자들의 지지를 얻는 기반이 되었다.[4] 그는 국가 화해 메시지를 내세웠으나, 공산주의에 맞서 싸운 보수 세력과의 갈등을 빚었다.소포클리스 베니젤로스, 조지 파판드레우와 함께 플라스티라스는 1950년 연립 정부를 구성했지만, 동료들이 물러나면서 정부는 무너졌다.[4]
5. 5. 총리 재임 (1951년 ~ 1952년)
1951년 그리스 총선에서 국가 진보 중앙 연합(EPEK)이 중도 정당 중 가장 강력한 정당으로 부상하면서, 플라스티라스는 소포클리스 베니젤로스의 자유주의자들과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4] 총리로서 플라스티라스는 국가 화해 정책을 추진하여 그리스 내전으로 인한 갈등을 해소하고 국민 통합을 이루고자 했다. 그러나 이 정책은 공산 정부 수립을 위해 싸운 사람들을 처벌하려던 보수 기득권층과 좌파 양측의 반발에 직면했다.[4]플라스티라스 정부는 경제 회복 및 재건 정책을 추진했다. 그 일환으로 타브로포스(메그도바스) 강에 댐 건설을 시작했다.[4] 이 댐은 현재 그의 이름을 따 플라스티라스 호로 불린다.
그러나 1952년 3월, 국제적인 항의에도 불구하고 공산주의자 니코스 벨로기아니스가 처형되면서 플라스티라스 정부는 큰 논란에 휩싸였다. 결국 1952년 11월 선거에서 패배하면서 플라스티라스의 정치 경력은 막을 내렸다.[4]
5. 6. 정계 은퇴 및 사망
1949년 그리스 내전 종전 후, 플라스티라스는 진보 자유당을 창당, 1950년 그리스 총선을 위해 국가 진보 중앙 연합(Εθνική Προοδευτική Ένωση Κέντρου, EPEK)으로 확대하여 자유주의자들과 좌파 성향 민주주의자들의 지지를 얻었다.[4] 그는 국가 화해를 주장했으나, 공산 정부 수립을 위해 싸운 이들을 처벌하려던 보수 기득권층과 갈등을 빚었다. 소포클리스 베니젤로스, 고령의 조지 파판드레우와 함께 1950년 연립 정부를 구성했으나, 동료들의 사퇴로 무너졌다. 1951년 9월 선거에서 EPEK는 중도 정당 중 가장 강력한 정당이 되었다. 플라스티라스는 소포클리스 베니젤로스의 자유주의자들과 연정을 구성, 국가 문제 해결을 시도했다. 그의 정부는 타브로포스(메그도바스) 강에 댐 건설을 시작하는 등 그리스의 경제 회복과 재건에 기여했다.[4] 호수와 댐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러나 그의 화해 정책은 우익과 좌익 양측의 비판을 받았고, 1952년 3월 니코스 벨로기아니스의 처형은 국제적인 항의를 불러 일으켰다. 1952년 11월 총선에서 패배하며 그의 정치 경력은 막을 내렸고, 1953년 아테네에서 가난 속에서 사망했다.
6. 평가 및 유산
6. 1. 긍정적 평가
6. 2. 부정적 평가
6. 3. 종합적 평가
7. 플라스티라스 댐 (플라스티라스 호수)
참조
[1]
서적
The Minor Asia Campaign, Operation Angora, volume 5, part 1
Army History Directorate, Greek Army General Staff
[2]
서적
The Minor Asia Campaign
Greek Army General Stuff, History Directorate
[3]
서적
Andros Odyssey: Liberation: (1900–1940)
https://books.google[...]
iUniverse
[4]
논문
Η ανάδυση του Κέντρου στην μεταπολεμική Ελλάδα. Η Εθνική Προοδευτική Ένωσις Κέντρου του Νικολάου Πλαστήρα ("The Emergence of the Center in Post-War Greece: The National Progressive Center Union of Nikolaos Plastiras")
https://www.didaktor[...]
University of Peloponnese
2013
[5]
문서
아테네를 장악하지 못한 대립 정부의 수반
[6]
문서
군사/독재 정권 수반
[7]
문서
비상시 또는 과도 정부 수반
[8]
문서
제2차 세계 대전 때 추축국이 그리스를 점령할 당시(1941~1944) 점령군에 협조한 그리스국의 수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