닌나 지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닌나 지진은 887년 8월 26일 일본 오기칠도 제국에 걸쳐 발생한 대지진이다. 『일본삼대실록』 등 여러 사료에 따르면, 교토에서 건물 붕괴와 사상자가 발생하고, 쓰나미로 인해 익사자가 속출했다. 셋쓰국에서 쓰나미 피해가 심각했으며, 야츠가타케 산록 붕괴로 지쿠마강이 막혀 댐 호수가 형성되었다가 붕괴되어 홍수가 발생했다. 지진의 규모는 M 8.3 정도로 추정되며, 난카이 해역을 진원으로 하는 거대 지진으로 여겨진다. 발굴 조사를 통해 도카이 해역과 관련된 지진의 흔적이 발견되었지만, 난카이 해구 전역의 3연동 지진 가능성은 낮게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세기 지진 - 조간 지진
869년 일본 무쓰국에서 발생한 조간 지진은 쓰나미를 동반하여 막대한 피해를 초래한 모멘트 규모 9.0의 초거대지진으로,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과 유사한 특징을 지닌다. - 9세기 지진 - 고닌 지진
- 난카이 해곡 지진 - 1498년 휴가나다 지진
1498년 휴가나다 지진은 오이타현 사이키시 앞바다에서 발생한 규모 7.0~7.5의 지진으로, 규슈 지역을 중심으로 피해가 발생했으며 난카이 해곡 지진일 가능성도 제기되지만 기록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도 있다. - 난카이 해곡 지진 - 2009년 스루가만 지진
2009년 8월 11일 시즈오카현 스루가만에서 발생한 규모 6.5의 슬래브 내 지진인 2009년 스루가만 지진은 넓은 지역에 진도 6약의 흔들림을 일으키고, 교통망 차질, 원자력 발전소 자동 정지, 인명 및 시설 피해를 야기했다.
닌나 지진 | |
---|---|
지진 정보 | |
이름 | 닌나 지진 |
날짜 | 닌나 3년 7월 30일 (율리우스력 887년 8월 22일, 그레고리력 887년 8월 26일) |
진앙 | 북위 33.0도, 동경 135.0도 (추정 신뢰도 D) |
진원 | 남해도 해역 (진앙은 단층 파괴 시작점을 의미하는 본래의 진원이 아님) |
규모 | 8 |
기타 규모 | 8 ~ 8.5 (추정) |
2. 지진의 기록
닌나 3년(887년) 7월 30일 신시(율리우스력 8월 22일 16시경, 그레고리력 8월 26일) 오기칠도 제국에 걸쳐 대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일본삼대실록』에 남아있다.
『일본삼대실록』은 이 지진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사료로, 교토에서 여러 관청 건물과 민가가 무너져 사망자가 발생했고, 같은 날 오기칠도에서 관사가 붕괴되고 쓰나미로 인해 많은 익사자가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다.[4][5]
도사에서 쓰나미나 대지의 침강・융기 등에 대한 기록은 확인되지 않았고, 고치현에는 백봉 지진에 대한 구전은 있지만, 닌나 지진에 의한 것은 확인되지 않았다.
2. 1. 일본삼대실록 기록
일본삼대실록에는 닌나 3년 7월 30일 신시(율리우스력 887년 8월 22일 16시경, 그레고리력 887년 8월 26일)에 오기칠도 제국에 걸쳐 대지진이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다. 교토에서는 여러 관청의 사옥이나 민가가 상당수 무너져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오기칠도 제국이 같은 날 크게 흔들려 관사가 붕괴되고, 쓰나미로 인해 다수의 익사자가 발생했다.[4][5] 특히 셋쓰에서 쓰나미 피해가 심각했으며, 교토에서는 긴 지진동이 있었다. 여진은 8월 말경까지 기록되었다.아와지섬의 스모토번사가 편찬한 향토사 『아지초』에는 닌나 3년 7월의 지진으로 인해 바다로 돌출되어 있던 사주가 쓰나미로 인해 사라졌다고 기록되어 있다.[6]
『일본삼대실록』 권 제50, 7월 30일의 지진 기록에는 해시(22시경)에 여진이 3번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우스키군 동해촌(현 노베오카시)에 있던 호국사였던 자통사(현 엔츠잔 센코지)가 유실되었다는 기록[10]과, 같은 촌의 가와시마 구마노 다이곤겐이 붕괴되었다는 기록[11]에서, 휴가에서도 쓰나미나 지진 피해가 있었다고 한다.
2. 2. 기타 사료
일본삼대실록에는 닌나 3년 7월 30일 신시(율리우스력 887년 8월 22일 16시경, 그레고리력 887년 8월 26일)에 오기칠도에 걸친 대지진으로 교토에서 여러 관청 건물과 민가가 무너져 사망자가 발생했고, 같은 날 오기칠도에서 관사가 붕괴되고 쓰나미로 인해 많은 익사자가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다. 여진은 8월 말경까지 기록되었다.[4][5]특히 셋쓰에서 쓰나미 피해가 심각했으며, 교토에서는 긴 진동이 있었다. 아와지섬의 스모토번사가 편찬한 향토사 『아지초』에는 닌나 3년 7월의 지진으로 인해 바다로 돌출되어 있던 사주가 쓰나미로 인해 사라졌다고 기록되어 있다.[6] 한편, 도사에서의 쓰나미나 대지의 침강・융기 등 기록은 확인되지 않고, 고치현에는 백봉 지진에 대한 구전으로 전해지는 이야기는 몇몇 존재하지만, 닌나 지진에 의한 것은 확인되지 않았다.
야츠가타케 산록이 붕괴되어 지쿠마 강을 막아 형성된 댐 호수(하도폐색)가 303일 후인 닌나 4년 5월 8일(율리우스력 888년 6월 20일, 그레고리력 6월 24일)에 붕괴되어 발생한 토석류가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홍수[7][8][9]가 발생했다. 오츠키강에 생긴 하도폐색의 저수량은 5.8억m3으로 추정된다.[9] 이는 일본 최대 규모의 천연 댐으로 여겨진다. 야츠가타케 산록의 붕괴는 이토이가와-시즈오카 구조선 단층대의 남부가 연동하여 발생한 지진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우스키군 동해촌(현 노베오카시)에 있던 호국사였던 자통사(현・엔츠잔 센코지)가 유실되었다는 기록[10]과 동 촌의 가와시마 구마노 다이곤겐이 붕괴되었다는 기록[11]에서 휴가에서도 쓰나미나 지진 피해가 있었다고 한다.
2. 3. 야츠가타케 산사태와 홍수
닌나 3년(887년) 7월 30일 야쓰가타케 산록이 붕괴되어 지쿠마강을 막아 댐 호수(하도폐색)가 형성되었다.[7][8][9] 닌나 4년(888년) 5월 8일, 이 댐이 붕괴되면서 토석류와 홍수가 발생했다.[7][8][9] 오츠키강 하도폐색으로 생긴 저수량은 5억 8천만 m3으로 추정되는데,[9] 이는 일본 최대 규모의 천연 댐으로 여겨진다.야쓰가타케 산록 붕괴는 이토이가와-시즈오카 구조선 단층대 남부가 연동하여 발생한 지진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부상략기』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 닌나 3년 7월 30일 신축
>
> 신노국대산퇴붕, 거하일류, 육군성려불지표류, 우마남녀류사성구,
『유취삼대가』 권 17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 지난해 7월 30일, 곤덕실정, 지진성재, 8월 20일 역시대풍홍수지예, 전후조중해자 30유여국, 혹해수범일, 인민귀어구지국, 혹읍야함몰, 혐우변교룡지가, 호차저택지공미성, 상경지기엄지, 고념변맹, 성진중회, 짐첨이박덕비승홍기, 내전척고지통, 다척임곡지위, 중금월8일신농국산퇴하일, 당돌육군, 성려불지이류표, 호구수파이몰익, 백성하고, 빈리유화, 도발구수지탄, 의강원수지은, 고분견사자, 취존위무, 의상가실핵시우휼, 기피재우심자, 물수금년조조, 소재개창진■, 급기생업, 약유시해미렴자, 관위매장, 파차홍택지미, 협짐납항지심, 주자시행, /닌나 4년 5월 28일
3. 지진의 특성 및 규모
닌나 지진은 난카이도 해역을 진원으로 하는 거대 지진으로 추정되지만, 단편적인 기록만 남아있어 정확한 규모나 특성은 불확실하다. 이마무라 아키츠네와 카와치 신페이의 연구를 통해 "시나노 북부 지진"의 존재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었고,[12][13] 쓰나미 발생 기록과 도사 지역의 기록 부재로 인해 중앙구조선을 따른 지진이라는 설도 제기되었다.[14] 카와스미 히로시는 규모 ''M''K = 7.5 (''M'' = 8.6)를 제시했지만, 근거는 불분명하며, ''M'' 8 - 8.5[16], ''M'' 8.3[5] 등 다양한 추정치가 존재한다.
3. 1. 진원 및 규모 추정
이러한 "오기칠도 대지진"은 난카이도 해역을 진원으로 하는 거대 지진으로 추정된다.[12]이마무라 아키츠네는 『부상략기』에 기록된 산이 무너지고 강이 넘쳤다는 내용을 근거로 같은 날 "시나노 북부 지진"이 발생했다고 주장했다.[12] 그러나 카와치 신페이는 『류이산다이카쿠』에는 닌나 4년 5월 8일에 산사태와 강이 넘쳤다는 기록이 있지만, 『부상략기』에는 이 날짜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들어 "시나노 북부 지진"은 존재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13]
쓰나미가 발생했다는 사실은 외대(外帯)에서의 지진을 시사하지만, 도사에서의 기록이 확인되지 않아 중앙구조선을 따른 지진이라는 설도 제기되었다.[14]
카와스미 히로시는 규모 ''M''K = 7.5를 제시했지만, 그 근거는 밝히지 않았다.[15] 이 값은 ''M'' = 8.6으로 환산되었다. 또한 ''M'' 8 - 8.5[16], 또는 그 중간값을 반올림한 ''M'' 8.3[5] 등으로 추정되기도 하지만, 단편적인 기록밖에 없는 역사 지진이므로 정확한 수치는 알 수 없다. 기록이 부족하여 규모나 진앙의 근거로 추정되는 진도 역시 교토가 진도 V, 불확실한 (오기・후술) 아와에서 e (지진)로 기록되어 있을 뿐이다.[17][18]
3. 2. 여진 활동
『일본삼대실록』에는 닌나 지진으로부터 약 1개월 후인 8월 26일에 권 제50이 종결될 때까지 지진 기록이 많이 나타난다. 구체적인 진원은 불명확하지만, 여진 활동이 활발했음을 엿볼 수 있다.[1] 이후에도 『일본기략』에는 닌나 3년을 중심으로 여진으로 보이는 지진 기록이 많이 보인다. 또한 닌나 지진 직전에도 교토에서 지진 기록이 있다.[2]날짜 (887년) | 내용 |
---|---|
6월 24일[J], 6월 28일[G] | 지진 |
7월 25일[J], 7월 29일[G] | 밤 지진 |
7월 29일[J], 8월 2일[G] | 밤 지진 |
8월 22일[J], 8월 26일[G] | 닌나 지진 |
8월 23일[J], 8월 27일[G] | 낮밤 지진 두 번 |
8월 24일[J], 8월 28일[G] | 낮 지진 세 번 |
8월 26일[J], 8월 30일[G] | 지진 다섯 번 |
8월 27일[J], 8월 31일[G] | 낮 지진 다섯 번, 밤 큰 지진. 교토 백성들이 스스로 집을 나와 길거리에 머무름 |
8월 28일[J], 9월 1일[G] | 석전의 예를 중단. 지난달 30일 목공료 장령 진천본 검교수조직원 지진에 놀라 실신하여 사망. 제사 담당자가 이 더러움에 접촉함 |
8월 29일[J], 9월 2일[G] | 미시(14시경) 지진 |
8월 31일[J], 9월 4일[G] | 지진 |
9월 4일[J], 9월 8일[G] | 지진 |
9월 5일[J], 9월 9일[G] | 자시(0시경) 지진 |
9월 7일[J], 9월 11일[G] | 인시(4시경) 지진 |
9월 13일[J], 9월 17일[G] | 밤 자시(24시경) 지진 |
9월 14일[J], 9월 18일[G] | 미시(14시경) 지진 |
9월 15일[J], 9월 19일[G] | 축시(2시경) 지진, 인시(4시경) 다시 진동 |
4. 발굴 조사
난카이 해역 지진은 근기 지방에 지진동과 쓰나미를 일으키는 특징이 있지만, 도카이 해역 지진으로 여겨지는 기록은 『부상략기』에 아와에서 지진이 있었다는 기록뿐이었다.[19] 하지만, 이 기록은 『대일본지진사료 증정』의 오기로 추정된다.[20]
734년 기내 7도 제국 지진이 닌나 지진과 유사한 지진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쓰나미 기록이 없어 내륙 지진으로 추정된다. 엔랴쿠 13년(794년) 난카이 해구 연안 지진설은 "진사" 기록을 근거로 제기되었지만, "진사"는 벼락으로 인한 사망을 의미하므로 지진 가능성은 낮다.[30][31]
4. 1. 주요 발굴 조사 결과
아이치현 이나자와시의 지조고시 유적에서 헤이안 시대 전기의 지층에서 분사 흔적이 확인되어, 도카이 해역 지진의 진원역에서 지진이 있었음을 시사하고 있다[21]。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의 가미도 유적에서도 지진의 흔적이 발견되었다[22][20]。시즈오카현 후지시 우키시마가하라 저지에서 760년-1020년 사이의 지층에서 수위 상승 흔적이 확인되었고, 이 기간의 단층 활동이 닌나 지진에 해당할 가능성도 고려되고 있다[23]。
호에이 지진 등의 기록과 유사하게, 지진 피해와 풍수해를 입은 나라가 30여 개국에 달하고, 교토에서 수각(약 2시간) 이상으로 보이는 긴 진동은 광대한 진원역과 긴 진원 시간을 갖는 다중 지진이며, 그 후 활발한 여진 활동을 보였다. 오사카의 대쓰나미로부터, 진원역은 호에이 지진처럼 광역에 걸친 거대 지진일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24][25]。
그러나 시즈오카현 이와타시 오타가와 강변의 모토지마 유적에서 발견된 쓰나미 퇴적물은 684년 하쿠호 지진에 해당하는 7세기 후반의 것이 대규모인 데 반해, 닌나 지진에 해당하는 9세기 후반의 것은 규모가 작아[27], 난카이 해구 전역에 걸친 3연동 지진의 가능성은 낮다고 여겨진다[28]。또한 닌나 지진에 해당하는 쓰나미 퇴적물은 난카이 측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29]。
4. 2. 3연동 지진 가능성
난카이 해역 지진은 근기 지방에 지진동과 쓰나미를 일으키는 특징이 있지만, 도카이 해역 지진으로 여겨지는 기록은 『부상략기』에 아와에서 지진이 있었다는 기록뿐이었다.[19] 하지만, 이 기록은 『대일본지진사료 증정』의 오기로 추정된다.[20]아이치현이나자와시 지조고시 유적과 시즈오카시 가미도 유적에서 헤이안 시대 전기의 지층에서 분사 및 지진 흔적이 발견되어, 도카이 해역에서 지진이 발생했음을 시사한다.[21][22][20] 시즈오카현후지시우키시마가하라 저지에서는 760년-1020년 사이 지층에서 수위 상승 흔적이 발견되어 닌나 지진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23]
『유취삼대격』에 따르면, 지진과 풍수해 피해를 입은 나라가 30여 개국에 달하며, 교토에서 2시간 이상 지속된 긴 지진동은 넓은 진원역과 긴 진원 시간을 갖는 다중 지진이었음을 보여준다. 이는 호에이 지진과 유사하며, 기타야쓰가타케 산사태, 지쿠마강 댐 호수 홍수, 오사카 대쓰나미 등을 고려하면, 진원역이 넓은 거대 지진이었을 가능성이 높다.[24][25] 아이치현 지타반도에서 발견된 역암층 퇴적물은 ''M'' 9 규모의 초거대 지진 발생 가능성을 시사하지만, 연대는 특정되지 않았다.[26]
하지만, 시즈오카현 이와타시 오타가와 강변 모토지마 유적에서 발견된 쓰나미 퇴적물은 684년 하쿠호 지진 때보다 규모가 작아, 난카이 해구 전역에 걸친 3연동 지진 가능성은 낮게 평가된다.[27][28] 또한, 닌나 지진 관련 쓰나미 퇴적물은 난카이 해역에서 확인되지 않았다.[29]
734년 기내 7도 제국 지진이 유사한 지진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쓰나미 기록이 없어 내륙 지진으로 추정된다. 엔랴쿠 13년(794년) 난카이 해구 연안 지진설은 "진사" 기록을 근거로 제기되었지만, "진사"는 벼락으로 인한 사망을 의미하므로 지진 가능성은 낮다.[30][31]
참조
[1]
서적
震度分布図も書けておらず、南海道沖を震央とみなしただけであり、断層破壊開始点である本来の[[震源]]、その地表投影である[[震央]]ではない。地震学的な震源は地震計が無ければ決まらず、震源域が広大な巨大地震では無意味な上誤解を与える恐れがある。
2014
[2]
웹사이트
日本付近の主な被害地震年代表
https://www.zisin.jp[...]
[3]
서적
理科年表(2018), p736
[4]
서적
2003
[5]
서적
地震の事典
朝倉書店
[6]
서적
2007
[7]
웹사이트
仁和の洪水
https://web.archive.[...]
[8]
간행물
平安時代に起こった八ヶ岳崩壊と千曲川洪水
http://www.edu.gunma[...]
[9]
간행물
長野県中・北部で形成された巨大天然ダムの事例紹介
http://www.histeq.jp[...]
[10]
간행물
宮崎県で発生が予測される地震『宮崎県災異誌』
http://www.pref.miya[...]
[11]
간행물
『日向市郷土年表』
http://www.city.nobe[...]
[12]
기타
善光寺地震の教訓(講演速記),善光寺地震百年忌記念・善光寺地震誌
1948
[13]
기타
1100年前の信濃北部地震(M=7.4)は実在しなかった40年近い論争に終止符
1982
[14]
서적
兵庫県南部地震はなぜ発生したか
新風社
[15]
간행물
有史以來の地震活動より見たる我國各地の地震危險度及び最高震度の期待値
https://hdl.handle.n[...]
1951-10-05
[16]
서적
2003
[17]
서적
1994
[18]
웹사이트
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モデル検討会 中間とりまとめ(案) 参考資料集
https://www.bousai.g[...]
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モデル検討会
2023-08-03
[19]
서적
『大日本地震史料 増訂』 一巻』
[20]
저널
文献史料からみた東海・南海巨大地震 1.14世紀前半までのまとめ
https://doi.org/10.5[...]
[21]
서적
1997
[22]
기타
静岡県埋文関係救援連絡会議, 埋蔵文化財研究会編集・発行: 発掘された地震痕跡
1996
[23]
간행물
静岡県浮島ヶ原低地の水位上昇履歴と富士川河口断層帯の活動
http://unit.aist.go.[...]
2007
[24]
저널
887年仁和地震が東海・南海巨大地震であったことの確からしさ
http://www2.jpgu.org[...]
日本地球惑星科学連合
[25]
서적
2012
[26]
간행물
「津波の数値復元に基づく,漸深海底における津波堆積物形成の検討-愛知県知多半島南部に分布する中新世の礫質堆積岩の例-」
http://wwwsoc.nii.ac[...]
2009
[27]
간행물
元島遺跡周辺(静岡県磐田市)で見られる4世紀から中世にかけての津波堆積物
http://www.histeq.jp[...]
2013
[28]
뉴스
3連動地震、7世紀にも発生か 静岡で津波堆積物 「南海」と同時期、産総研が確認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2-08-21
[29]
간행물
中間とりまとめ
https://www.bousai.g[...]
内閣府 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モデル検討会
[30]
간행물
仁和三年の南海地震と平安京社会
https://www.okayama-[...]
[31]
간행물
[論説]794年(延暦十三)の幻の「南海地震」について-「震死」の意味
http://www.histeq.jp[...]
2016
[32]
서적
理科年表 平成30年
丸善
2017-11-30
[33]
저널
静岡県浮島ヶ原低地の水位上昇履歴と富士川河口断層帯の活動
https://www.gsj.jp/d[...]
2018-10-14
[34]
웹인용
vol.26 縄文時代の女と男のオシャレ
http://homepage3.nif[...]
信州発考古学最前線
2018-10-14
[35]
저널
平安時代に起こった八ヶ岳崩壊と千曲川洪水
http://www.hayakaway[...]
2018-10-14
[36]
저널
長野県中・北部で形成された巨大天然ダムの事例紹介
http://sakuya.ed.shi[...]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