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기칠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기칠도(五畿七道)는 일본 율령 시대의 행정 구역으로, 수도 주변의 다섯 구니(五畿)와 기나이에서 뻗어나간 일곱 개의 도로(七道)를 의미한다. 오기(五畿)는 야마시로, 야마토, 가와치, 이즈미, 셋쓰로 구성되며, 칠도(七道)는 도카이도, 도산도, 호쿠리쿠도, 산인도, 산요도, 난카이도, 사이카이도로 이루어진다. 1869년 홋카이도가 설치되면서 오기팔도(五畿八道)로 확장되었으며, 칠도는 각 지역의 수도와 황궁을 연결하는 도로의 역할도 했다. 현대 일본의 지방 구분에도 영향을 미쳐, 홋카이도, 호쿠리쿠, 도카이, 산인, 산요 등의 명칭에 영향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기칠도 - 산요도
    산요도는 킨키 지방과 규슈 지방을 연결하는 역사적인 도로로, 고대 간선도로에서 해상 운송 발달, 몽골 침략 시기 교통로, 에도 시대 숙장 설치, 현대 국도 2호선 계승, 교통 및 경제 중심축 기능까지 시대에 따라 그 역할과 경로가 변화해 왔다.
  • 오기칠도 - 도카이도
    도카이도는 혼슈 태평양 연안 중부 지역을 가리키는 율령제 하의 행정 구역으로, 에도 시대에는 간토와 간사이 지방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였으며, 현재는 국도, 철도, 신칸센 등으로 그 기능을 계승하고 있다.
  • 명수 7 - 세계 7대 불가사의
    세계 7대 불가사의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선정한 지중해와 근동 지역의 놀라운 건축물 목록으로, 그리스 중심적 세계관을 반영하며 대부분 멸실되었으나 현대에도 다양한 불가사의 목록 선정이 이어지고 있다.
  • 명수 7 - 북두칠성
    북두칠성은 큰곰자리의 꼬리 부분에 위치한 일곱 개의 밝은 별로 이루어진 별자리로, 북반구에서 계절에 상관없이 관측 가능하며 북극성을 찾는 길잡이 별자리로 유명하고, 고대부터 항해와 천문학 연구에 활용되었으며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신화와 전설에 등장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양이 변화한다.
오기칠도
지도
개요
명칭고키시치도 (五畿七道)
로마자 표기Gokishichidō
의미5개의 기나이와 7개의 도
다른 명칭기나이시치도 (畿内七道)
로마자 표기Kinai Shichidō
또 다른 명칭고키하치도 (五畿八道)
로마자 표기Gokihachidō
의미5개의 기나이와 8개의 도
역사적 배경
시대일본 고대
시행 시기율령제 시대
목적행정 구역 체계 확립
구성 요소
기나이수도 주변의 5개 지역
7개의 행정 구역
기나이
목록야마시로 (山城)
야마토 (大和)
가와치 (河内)
이즈미 (和泉)
셋쓰 (摂津)
목록도카이 (東海道)
도산 (東山道)
호쿠리쿠 (北陸道)
산인 (山陰道)
산요 (山陽道)
난카이 (南海道)
사이카이 (西海道)
중요성
행정고대 일본의 행정 체계의 기초
사회지역 문화 형성에 영향
참고 문헌
일본 백과사전Japan Encyclopedia, p. 255
일본 황제 연대기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p. 57

2. 오기(五畿)

'''기나이(畿内)'''라고도 하며, 야마토(大和), 야마시로(山城), 셋쓰(摂津), 가와치(河内), 이즈미(和泉)의 5개 구니(国)를 말한다. 이들은 수도(나라, 교토) 주위에 설치되었다. 현재의 나라현, 교토부 남부, 오사카부, 효고현 남동부를 합친 지역이다.[7]

구니 (国)현재 지역
야마시로국(山城国)교토부 남부 (교토시 포함)
야마토국(大和国)나라현
가와치국(河内国)오사카부 남동부
이즈미국(和泉国)오사카부 남부
셋쓰국(摂津国)오사카부 북부 (오사카시 포함), 효고현 일부



五畿七道の地図と畿内

3. 칠도(七道)

칠도(七道)는 기나이(畿内)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을 구분한 행정 구역이다. 칠도는 다음과 같다.



원래는 중국에서 사용되던 행정 구역인 “도(道)”를 본뜬 것이다. 일본에서 “도”의 성립에 대해서는 다이카 개신 이전부터 존재했다는 견해도 있지만,[7] 오기칠도(五畿七道)의 원형은 덴무 천황 시대에 성립되었다고 여겨진다.[8] 처음에는 전국을 수도(난바궁, 헤이조궁, 헤이안궁) 주변 기나이 5국, 그 외 지역을 각각 7도로 구분하였다.

7도는 지리적인 행정 구역이라는 견해도 있지만, 지역마다 독립된 행정부가 있는 것은 아니므로, 여러 국가가 모인 지역 구분이라는 견해도 있다. 각 도에 속하는 지역은 다음과 같다.

  • '''도카이도''': 이바라키, 지바, 사이타마, 도쿄, 가나가와, 야마나시, 시즈오카, 아이치, 미에(쿠마노 지방 제외)
  • '''도산도''': 아오모리, 이와테, 아키타, 미야기, 야마가타, 후쿠시마, 도치기, 군마, 나가노, 기후, 시가
  • '''호쿠리쿠도''': 니가타, 도야마, 이시카와, 후쿠이
  • '''산요도''': 효고현 남서부, 오카야마, 히로시마, 야마구치
  • '''산인도''': 교토부 북부, 효고현 북부, 돗토리, 시마네
  • '''난카이도''': 가가와, 도쿠시마, 에히메, 고치, 미에현 쿠마노 지방, 와카야마현, 아와지섬
  • '''사이카이도''': 후쿠오카, 사가, 나가사키, 오이타, 미야자키, 구마모토, 가고시마

3. 1. 칠도의 중요성과 역로

칠도(七道)는 기나이(畿内) 지역에서 여러 방향으로 뻗어나간 행정 구역이었다. 칠도 각 지역에는 같은 이름의 실제 도로(역로(駅路))가 있어, 그 경로를 따라 있는 모든 지방 수도와 황궁을 연결했다.[2][3][4][5] 칠도는 수도를 기준으로 동(도카이·도산), 서(산요·사이카이), 남(난카이), 북(호쿠리쿠)으로 방사상으로 편성되었다(산인도에 대해서는 서와 북 양쪽 해석이 있다).[9]

율령 시대의 칠도(七道)는 대체로 지형적 요건에 따라 구분되었으나, 사이카이도(西海道)를 제외하고는 도(道) 단위의 행정기관은 상시 설치되지 않았다. 사이카이도는 대륙과의 외교·방위상의 중요성으로 인해 다자이후(大宰府)가 설치되어 여러 나라를 관할하였다. 칠도 중에서 가장 중시되었던 것은 산요도(山陽道)이며, 역로(駅路)에서는 유일한 대로(大路)였다. 다음으로 중로(中路)는 도카이도(東海道)와 도산도(東山道) 두 곳이었다.

칠도 각국의 국부(国府)는 각각 같은 이름의 간선 관도(官道)(역로(駅路))로 연결되어 있었다. 칠도 역로는 대로(大路), 중로(中路), 소로(小路)로 나뉘었고, 원칙적으로 30리(약 16km)마다 역(驛)(역가(駅家))을 설치하여 각 역마다 역마(駅馬)를 상비하였다. 준비하는 말의 수는 달랐다. 역 주변(반드시 주변이라고는 할 수 없다)에 역장(駅長)과 역자(駅子)를 두는 '''역호(駅戸)'''를 설치하여 역마의 사육을 담당하였다. 역가에는 왕래하는 인마의 휴식·숙박 시설을 설치하고, 역령(駅鈴)을 가진 관인이나 공문서를 전달하는 역사(駅使)가 도착하면 환승 역마와 안내 역자를 제공하였다. 각 도에 파견된 관인은 역로로 연결된 국부를 순차적으로 순찰하였다.

이러한 칠도는 에도 시대(江戸時代)의 고카이도(五街道)와 중복되는 명칭이 있다. 시대와 성립은 다르지만, 거의 같은 노선이다.

역로등급역마 수
도카이도(東海道)중로10필
도산도(東山道)중로10필
호쿠리쿠도(北陸道)소로5필
산인도(山陰道)소로5필
산요도(山陽道)대로20필
난카이도(南海道)소로5필
사이카이도(西海道)소로5필



중국(당)의 도(道)는 원래 있던 주(州)의 상부(즉, 지역 단위)에 도를 설치한 반면, 일본의 도는 수도 및 기내(畿内)에서 거의 방사상으로 도가 설치되어 그에 맞춰 간선 관도도 정비되었다. 당나라도 일본도 기본적인 지방 행정은 각 주 및 (령제) 국이 행하고 있었고, 도는 사자 파견의 대상 지역을 정할 때 사용되었다는 점은 기본적으로 같다. 그러나 중앙에서 지방으로의 일상적인 행정 문서 전달에 대해, 당나라는 각 주로 직송한 반면, 일본은 도 단위로 작성되어 소속하는 각국의 사이를 순서대로 전송하는 것을 기본으로 했다는 점에서는 다르다. 일본에서 역전 제도가 쇠퇴한 헤이안 시대(平安時代)가 되어도 지방 행정으로서의 상부 구분은 고기칠도(五畿七道)가 유지되었고, 칠도의 선이 삽입된 행기도(行基図)는 그 후에도 사용되었다.[10]

4. 오기팔도(五畿八道)

기나이의 다섯 구니(国)는 수도(나라, 교토) 주위에 설치되었다.



1869년 에조치홋카이도가 설치되었다. 오기칠도에 홋카이도를 합쳐 "오기팔도"(五畿八道)라 불렀다.

율령제 이후, 령제국 등 세부 경계의 이동을 제외하고 오랫동안 변경되지 않았으나, 후대 메이지 유신 이후인 1869년 9월 20일(메이지 2년 8월 15일)에, 화인지 및 에조치에 새롭게 홋카이도(령제)가 설치됨에 따라, 이후로는 '''오기팔도'''라고도 불린다.

5. 오기칠도의 현대적 의의

홋카이도, 호쿠리쿠 지방, 도카이 지방, 산인 지방, 산요 지방 등 일본의 지방 구분 명칭은 오기칠도에서 유래되었으며,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몇몇 일본 지역들은 여전히 고대 오기칠도의 이름을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호쿠리쿠산요가 대표적이다. 홋카이도와 류큐 열도는 19세기까지 일본에 의해 식민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오기칠도에 포함되지 않았다. 오기칠도의 지리적 구분과 봉건적인 한 영지가 현대적인 현 체제로 대체되던 시기와 같다. 처음에 일본 정부는 홋카이도를 8번째 도(道)로 조직하려고 시도했지만, 곧 단일 현으로 통합되었다.

1870년대와 1880년대에 많은 현들이 통합되고 재편되어 도(道)와 비슷하게 되었으므로, 많은 현대 현들은 고대의 도(道)에 배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카이도(東海道)의 서쪽 지방은 현재 도카이 지방(東海地方)으로 묶이는 현의 일부이다. 하지만 여전히 예외가 있어서 도(道)를 현으로 설명하는 것은 포괄적으로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1876년 이후의 현재 효고현은 5개의 구니(하리마, 타지마, 아와지, 셋쓰, 탐바)[6]에 걸쳐 있으며, 따라서 3개의 도(산요도, 산인도, 난카이도)뿐만 아니라 고대 수도 지역에도 걸쳐 있다.

7개의 고대 도(道)와 그 현대(메이지 시대)의 구니. 홋카이도와 그 구니는 포함되지 않음.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3] 서적 (Unspecified)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4] 서적 (Unspecified)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5] 서적 (Unspecified)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6] 웹사이트 県域の変遷 (ken'iki no hensen, "changes of the prefectural territory") https://web.pref.hyo[...] 2020-10-24
[7] 서적 日本古代の道と衢 吉川弘文館
[8] 서적 律令国家の地方支配 吉川弘文館
[9] 서적 律令制下の交通制度 吉川弘文館
[10] 서적 七道制と日本の律令制国家運営 吉川弘文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