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엘 피틀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니엘 피틀리는 1582년 옥스퍼드셔에서 태어난 잉글랜드의 성직자이자 학자이다. 그는 매그달렌 칼리지 성가대원으로 교육을 받았으며, 코퍼스 크리스티 칼리지의 장학생과 연구원을 거쳐 문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파리 주재 잉글랜드 대사의 채플린과 캔터베리 대주교 조지 애벗의 개인 채플린을 역임하며 가톨릭 및 침례교와의 논쟁에 참여했고, 찰스 1세의 왕실 사제와 첼시 칼리지 총장으로 활동했다. 잉글랜드 내전 중에는 주교제를 옹호하며 박해를 받았고, 투옥 후 건강 악화로 1645년에 사망했다. 그는 저술 활동을 통해 신학적 입장을 밝혔으며, 《제임스 성경》 번역에도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식으로 죽은 사람 - J. C. R. 리클라이더
J. C. R. 리클라이더는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자로, 심리음향학을 연구하고 인간-컴퓨터 공생 개념을 제시했으며, ARPANET 개발에 기여했다. - 천식으로 죽은 사람 - 닐 해밀턴
닐 해밀턴은 미국의 배우로, 무성 영화 시대부터 텔레비전 시대까지 다양한 영화와 텔레비전 시리즈에서 활동했으며, 특히 《배트맨》 텔레비전 시리즈에서 짐 고든 경찰서장 역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 옥스퍼드 대학교 코퍼스크리스티 칼리지 동문 - 제임스 오글소프
제임스 오글소프는 영국의 군인이자 정치인, 식민지 건설가로서, 조지아 식민지를 건설하고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감옥 및 해군 개혁, 노예제도 반대 등 박애주의 활동을 펼쳤다. - 옥스퍼드 대학교 코퍼스크리스티 칼리지 동문 - 데이비드 밀리밴드
데이비드 밀리밴드는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현재 국제구호위원회 회장으로 활동하는 영국의 정치인이다. - 부종으로 죽은 사람 - 트라야누스
트라야누스는 로마 황제로서 다키아 정복과 파르티아 원정으로 영토를 확장하고 원로원과 협력하여 '최고의 황제'로 칭송받았으며, 대규모 건축 사업과 사회복지 정책을 통해 로마 제국의 발전과 사회 시스템 개선에 기여했다. - 부종으로 죽은 사람 - 페르디난도 2세 데 메디치
페르디난도 2세 데 메디치는 1621년부터 1670년까지 토스카나 대공으로 재위했으며, 과학과 예술을 후원하고 과학 아카데미를 설립하여 과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뇌졸중과 수종으로 사망하여 산 로렌초 성당에 안치되었다.
다니엘 피틀리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582년 3월 3일 |
출생지 | 옥스퍼드 |
사망 | 1645년 4월 17일 (향년 63세) |
사망지 | 옥스퍼드, 영국 |
국적 | 영국 |
종교 | 성공회 |
교육 | |
모교 | 코퍼스크리스티 칼리지 막달렌 홀 |
경력 | |
직업 | 성직자 신학자 |
활동 시기 | 17세기 |
가족 | |
부모 | 존 페어클로우 또는 페클로우 |
형제자매 | 존 페클로우 (형) 주드 페클로우 (형) 새뮤얼 페클로우 (동생) 조시아스 페클로우 (동생) |
서명 | |
![]() |
2. 초기 생애
다니엘 피틀리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교육받고, 종교인이자 학자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청교도의 영향을 받았으며, 논쟁과 설교에 능숙했다.
1610년부터 2년간 토머스 에드먼드 경 휘하의 파리 주재 잉글랜드 대사관에서 채플린으로 활동하며 가톨릭 교리와 예수회를 비판하여 주목받았다. 이때 설교한 21편의 설교가 인쇄되기도 했다.[4] 1613년에는 BD 학위를 받았고, 솔직한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1]
이후 캔터베리 대주교 조지 애벗의 개인 채플린이 되었고, 마르크 안토니 드 도미니스를 위해 D.D. 학위 시험을 치렀다. 이 과정에서 존 프라이도와 갈등을 겪기도 했지만, 애벗의 중재로 화해했다. 드 도미니스는 피틀리에게 사보이 병원의 형제 자리를 주었다.[1]
1619년, 피틀리는 세인트 메리-앳-램베스의 사제직을 맡기 전 콘월의 노스 힐 사제직을 수락했다가 사임했다. 1623년에는 험프리 린드 경의 집에서 예수회와의 유명한 종교 회담을 가졌고, 이 내용은 "그물에 걸린 피셔"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제임스 1세가 직접 그와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5][6] 1625년 이전에 올 할로우즈, 브레드 스트리트의 사제직을 받았고, 이후 액턴의 사제직으로 옮겼다.[1]
1622년, 피틀리는 조이스 할로웨이 부인과 결혼했다. 램베스에 사제관이 없어 케닝턴 레인 끝에 있는 아내의 집에서 살았으며, 램베스 궁전에 거주하는 것을 우려해 결혼 사실을 숨겼다. 1625년, 열병으로 인해 애벗의 채플린직을 사임했다.[1]
2. 1. 출생 및 교육
다니엘 피틀리는 1582년 3월 15일 옥스퍼드셔 찰턴어폰오트무어에서 태어났다. 그는 존 페어클로와 그의 아내 마리안 스리프트 사이에서 태어난 둘째 아들이었다.[1] 그의 아버지는 매그달렌 칼리지, 옥스퍼드 총장 로렌스 험프리와 같은 대학교의 코퍼스 크리스티 칼리지 요리사였다. 피틀리는 그의 가족 중 성을 채택한 최초의 인물이었다.피틀리는 매그달렌 칼리지에서 성가대원으로 교육받았다. 존 레이놀즈는 코퍼스 크리스티 칼리지의 총장이자 그의 후원자였으며, 피틀리는 주요 청교도 대변인인 레이놀즈의 제자로 알려졌다.[2] 그는 1594년 12월 13일 코퍼스 크리스티 칼리지의 장학생으로 선발되었고, 1601년 2월 13일 문학사 학위를 취득한 후, 1602년 9월 20일 수습 연구원으로 입학했다. 1606년 4월 17일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논쟁가이자 설교가로 이름을 알렸다. 1607년 레이놀즈의 장례식에서 연설을 했다.[3]
3. 신학적 입장 및 논쟁
다니엘 피틀리는 제1차 니케아 공의회의 '하나님의 하나님(God of God)'이라는 문구에 의문을 제기하고, 그리스도의 신성에 대해 공의회를 참고하는 것에 반대했다.[10] 웨스트민스터 총회에서는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교리를 옹호했다.[11]
3. 1. 가톨릭과의 논쟁
그는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 있었던 문구 중 하나님의 하나님에 대하여 의문을 품고, 그리스도의 신성에 대하여 공의회를 참고할 것을 반대하였다.[10]3. 2. 능동적 순종에 대한 입장 (한국어 문서 내용)
웨스트민스터 총회에서 그는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에 대해 반대하는 5가지 의견에 반박했을 뿐만 아니라, 그 교리가 옳다는 5가지 이유를 들었다.[11]4. 찰스 1세 치하의 활동 및 잉글랜드 내전
피틀리는 윌리엄 로드와 사이가 좋지 않았지만, 1640년대에 잉글랜드 국교회와 주교제를 강력하게 옹호했다. 1634년 그는 램버스 예배당에서 미신적인 혁신을 했다는 혐의로 로드를 고발하는 증인이었다. 로드는 2년 후, 피틀리의 "Clavis Mystica"에서 로마 가톨릭교를 비방하는 구절을 삭제하도록 명령한 후 책을 인쇄하도록 허용했다. 윌리엄 프린은 "Canterburies Doome"에서 이 구절들을 재현했다.[1]
4. 1. 찰스 1세와의 관계
다니엘 피틀리는 잉글랜드의 찰스 1세의 왕실 사제였으며, 1630년 쇠퇴해가는 첼시 칼리지의 총장으로 임명되었다. 1626년에 출판된 "Ancilla Pietatis"라는 경건 서적은 매우 인기를 얻어 1639년에 여섯 번째 판이 나왔고, 프랑스어 및 다른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어려움에 처한 찰스 1세가 특히 좋아했다.[1]찰스 1세의 메시지에 따라, 피틀리는 웨스트민스터 총회에서 탈퇴했다. 얼마 후 옥스퍼드에 있는 왕과 함께 있는 대주교 제임스 어셔와 서신을 주고받은 것이 발각되었고, 피트 경의 앨더스게이트 스트리트의 집에 스파이로 투옥되었다.[1]
4. 2. 잉글랜드 내전 중 박해와 투옥
1641년, 피틀리는 웨스트민스터의 예루살렘 회의소에서 존 윌리엄스 주재 하에 열린 '종교 정착'을 위한 소위원회 중 하나로 상원에 의해 지명되었다.[1] 그는 "Vertumnus Romanus"(1642)라는 가톨릭 논문에 대한 비판을 썼고, 바울 서신에 대한 여백 주석을 시작했는데, 이는 1645년 웨스트민스터 총회에서 발행된 성경에 인쇄되었다.[1]제1차 잉글랜드 내전이 발발하면서 그는 괴롭힘을 당했다. 브렌트퍼드 전투 이후, 1642년 11월 13일, 에식스 백작의 병력 중 일부가 액턴에 주둔하면서 그의 곡창과 마구간에 불을 지르고, 교회를 부수고, 세례반을 쓰러뜨리고, 창문을 부수고, 거리에서 성찬 난간을 태웠다.[1] 1643년 2월 10일, 예배 중에 다섯 명의 병사가 램버스 교회로 돌진하여 피틀리를 살해하려 했지만, 피틀리는 경고를 받고 피신했다. 두 명의 교구민이 부상을 입고 사망했다.[1]
피틀리는 '반분리주의자'라고 칭한 그의 램버스 교구민 셋이 그를 상대로 제기한 소송을 위해 약탈된 목사 위원회에 소환되었다. 1643년 3월 16일, 그는 혐의에 답하기 위해 재무실에 소환되었다. 위원회는 그의 증인의 말을 듣기를 거부하고, 3월 23일, 17명 중 4명만 참석한 가운데 그를 해임했다. 이 명령은 7월 11일까지 하원에 보고되지 않았고, 그때 무효화되었다.[1]
그는 6월에 회원으로 지명된 웨스트민스터 총회 회의에 참석했다. 그는 주교제를 지지하고 교회 재산의 매각과 새로운 종파의 관용을 비난했다. 그는 또한 성대한 동맹과 언약에 동의하는 것을 거부했다. 그의 연설과 '주교 정부를 위한 16가지 이유'는 "Sacra Nemesis"에 인쇄되어 있고, 연설만 "Orationes Synodicae"로 그의 "Dippers Dipt"의 여섯 번째 판에 실려 있다.[1] 찰스 왕의 사제였던 찰스 왕의 메시지에 따라, 피틀리는 결국 총회에서 탈퇴했다. 곧 그는 옥스퍼드에 있는 왕과 함께 있는 대주교 제임스 어셔와 서신을 주고받은 것이 발각되었고, 피트 경의 앨더스게이트 스트리트의 집에 스파이로 투옥되었다.[1] 그의 판결에 따르면, 그의 직무와 도서관만 몰수하도록 명령했지만 그는 약탈당했고; 리처드 벡스터 등이 동정했다.[1]
투옥 기간 동안 피틀리는 논쟁으로 돌아왔다. 의회의 요청에 따라 그는 가톨릭교에 반대하는 논문을 썼다.[7] 1644년 1월, 그는 "The Gentle Lash"의 세 번째 부분으로, 잉글랜드 국교회의 조항, 징계 및 전례를 옹호하겠다고 제안하는 당시의 청교도 신학자들에 대한 '도전'을 출판했다.[1] 또 다른 논쟁은 동료 죄수였던 침례교 목사 헨리 덴과의 논쟁이었다. 피틀리는 1643년 10월 17일 사우스워크에서 윌리엄 키핀과 세 명의 다른 침례교인들과 격렬한 논쟁을 벌였는데, 그 내용을 그는 그의 가장 유명한 저서인 "The Dippers Dipt"에 담았다.[8] 덴은 피틀리의 비난조의 어조에 상처를 받아 그와 직접 10가지 논쟁을 벌일 것을 제안했고, 그 후 그의 "Antichrist Unmasked"를 작성했는데, 피틀리가 이미 죽어가던 1645년 4월 1일까지 출판되었고; 새뮤얼 리처드슨의 또 다른 답변, "Some brief Considerations"가 곧 뒤따랐다.[1]
피틀리는 투옥되기 전부터 건강이 좋지 않았고, 18개월 간의 감금 후 그는 공기를 바꾸기 위해 첼시 칼리지로 옮기도록 보석으로 풀려났다. 그곳에서 그는 천식과 복수로 1645년 4월 17일에 사망했고, 4월 21일에 램버스 교회의 성가대석에 묻혔다.[1]
5. 사망
제1차 잉글랜드 내전 중 왕당파 성향으로 인해 투옥되었던 피틀리는 건강이 악화되어 1645년 4월 17일 첼시 칼리지에서 천식과 복수로 사망했다.[1] 그의 장례식은 4월 21일 램버스 교회에서 거행되었으며, 오랜 친구였던 윌리엄 레오 박사가 설교를 맡았다.[1]
6. 저작
다니엘 피틀리는 제임스 성경 번역에 참여했으며, 이 프로젝트에서 구약성서 후반부 번역을 담당하는 "옥스퍼드 제1팀"에서 활동했다.[9]
그의 작품은 다음과 같다.
- 1609년과 1611년에 주교의 수집된 작품에 수록된 존 주얼의 "생애". 로렌스 험프리가 쓴 전기문의 요약본이 대부분이다. 이는 1651년 토머스 풀러의 ''Abel Redevivus''에 레놀즈, 로버트 애벗, 솔즈베리 주교 등의 생애와 함께 재수록되었다.
- ''Parallelismus nov-antiqui erroris Pelagiarminiani'', 런던, 1630년, 리처드 몽태규에 반대하는 익명의 논문.
- ''Pelagius Redivivus, or Pelagius raked out of the ashes by Arminius and his schollers'', 런던, 1620년, 익명, 이전 논문의 번역 포함.
- ''A Second Parallel together with a Writ of Error [by Dr. Featley] sued against the Appealer'' (i.e. Bishop Montagu), 런던, 1620년.
- ''The grand sacrilege of the Church of Rome in taking away the sacred cup from the Laiety in the Lord's Table . . . Together with two conferences, the former at Paris with D. Smith ... the later at London with Mr. Everard'', 런던, 1630년.
- ''Hexalexium : or, six Cordials to strengthen the Heart of every faithful Christian against the Terrors of Death'', 런던, 1637년.
- ''Transubstantiation exploded; or an encounter with Richard [Smith] the Titularie Bishop of Chalcedon, concerning Christ his presence at his holy Table. . . . Whereunto is annexed a . . . Disputation [touching the same point] held at Paris with C. Bagshaw'', 런던, 1638년.
- ''Θρήνοικος. The House of Mourning; furnished with directions for the houre of death. Delivered in 47 sermons, preached at the funeralls of . . . divers Servants of Christ. By Dr. D. Featly and other, . divines.'' 런던, 1640년; 또 다른 판, 런던, 1660년.
- ''The Gentle Lash, or the Vindication of Dr. Featley, a knowne Champion of the Protestant Religion; also Seven Articles exhibited against him. With his Answer thereunto. Together with the said Doctor his Manifesto and Challenge'', 2 parts (옥스퍼드), 1644년; 같은 해 다른 판.
- ''Sacra Nemesis, the Levites Scourge; or, Mercurius Britain. Civicus, disciplin'd. Also diverse remarkable Disputes and Resolves in the Assembly of Divines related, Episcopacy asserted. Truth righted, Innocency vindicated against detraction'' (익명). 옥스퍼드, 1644년.
- ''Pedum Pastorale et Methodus Concionandi'', 위트레흐트, 1657년.
- ''Featlei Παλιγγενεσία; or, Dr. Daniel Featley revived: proving that the Protestant Church (and not the Romish) is the onely Catholick and true Church. . ., With a succinct History of his Life and Death. Published by John Featley'', 2 parts, 런던, 1660년.
- ''The League illegal: wherein the late solemn league is … examined … and confuted; … written long since in prison by Daniel Featley. … Published by John Faireclough, vulgo Featley. (D. F. his speech before the assembly of divines, concerning the new league and covenant. Dr. Featley's sixteen reasons for Episcopal government, which he intended to have delivered in the assembly . . . but was not permitted'', 런던, 1660년.[1]
피틀리는 또한 1638년 런던에서 험프리 린데 경의 사후 출판된, 예수회원 로버트 제니슨에 대한 답변인 ''A Case for the Spectacle, or a Defence of Via Tuta''를 출판했으며, 그의 논문인 ''Strictura in Lyndomasttigem, by way of supplement to the Knight's Answer''와 에드먼드 깁슨의 ''Preservative from Popery'' (5권, 1849년 판)의 부록에 재수록된 "코밤 장례식 설교(6월 14일, 1636년)"를 함께 출판했다. 1606년에 그가 쓴 라틴어 시는 예수회 양의어에 대한 설명으로, 헨리 메이슨의 ''New Art of Lying'', 런던, 1634년에 수록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Baptists together with some account of their principles and practices
http://www.trailofbl[...]
Baptist Bible Institute
2010-02-23
[2]
서적
Aspects of English Protestantism, c. 1530-1700
2001
[3]
DNB
Featley, Daniel
[4]
문서
Clavis Mystica: a Key opening divers difficult and mysterious Texts of Holy Scripture; handled in seventy Sermons preached at solemn and most celebrious Assemblies upon special occasions in England and France
1636
[5]
문서
Published as The Romish Fisher caught and held in his owne Net; or, a True Relation of the Protestant Conference and Popish Difference, A Justification of the one, and Refutation of the other, etc. (An Appendix to the Fisher's Net, etc. – A True Relation of that which passed in a Conference . . . touching Transubstantiation – A Conference by writing betweene D. Featley I ... and M. Sweet . . . touching the ground . . . of Faith)
1624
[6]
문서
Cygnes Cantio: or learned Decisions and . , . pious Directions for Students in Divinitie, delivered by … King James at White Hall, a few weekes before his death
1629
[7]
문서
Καταβαπτισταὶ καταπτυσταί. The Dippers dipt: or, the Anabaptists duck’d and plung'd over head and ears, at a Disputation in Southwark. Together with a large and full Discourse of their (1) Originall, (2) Severall sorts, (3) Peculiar Errours, (4) High Attempts against the State, (5) Capital punishments: with an application to these times
1645
[8]
문서
Roma Ruens; Romes Ruins; being a succinct Answer to a Popish Challenge, concerning the antiquity, unity, universality, succession, and perpetuall visibility of the true Church ...
1644
[9]
웹사이트
The Advancement of Grace
http://www.advanceme[...]
2009-06-29
[10]
서적
The theology of the Westminster standards : historical context and theological insights
https://www.worldcat[...]
null
[11]
서적
The theology of the Westminster standards : historical context and theological insights
https://www.worldcat[...]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