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오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카오 주는 일본 제국 시기 대만에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가오슝시와 핑둥현 일대를 관할했다. 군사적, 경제적 중요성이 증대되어 항만 시설 확충, 농업 생산 증가, 군사 기지 건설 등이 이루어졌다. 1945년 일본의 패망으로 중화민국에 이관되었으며, 가오슝 시와 핑둥 시, 7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주요 산업으로는 농업, 공업, 어업이 있었으며, 종관선, 핑둥 선 등의 철도와 가오슝항을 중심으로 한 교통망이 발달했다. 다카오 주에는 가오슝 신사 등 일본 신사가 건립되었으며, 핑둥 사범학교, 가오슝 제1중학교 등 교육 기관이 있었다. 또한, 일제강점기에는 많은 조선인이 강제 동원되어 가혹한 노동에 시달리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핑둥현의 역사 - 핑둥 공항
핑둥 공항은 중화민국 공군 기지로, 1920년 일본 제국에 의해 건설되어 군사 기지로 사용되었으며, 민간 항공편 운항도 했으나 현재는 중단되었다. - 핑둥현의 역사 - 미야코섬 조난 사건
미야코섬 조난 사건은 1871년 류큐 왕국의 조공선이 태풍으로 표류하여 타이완 원주민에게 공격받은 사건으로, 일본이 류큐를 자국 영토로 편입하고 대만 침공을 감행하는 계기가 되었다. - 일본 제국 치하의 대만의 행정 구역 - 다이호쿠주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 제국이 타이완에 설치한 지방 행정 구역인 다이호쿠주는 타이완 북부의 행정,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 현재의 타이베이시, 지룽시, 신베이시, 이란현 지역을 관할했으며 다양한 민족과 교육 및 산업 시설이 위치했으나, 1945년 일본 패망 후 중화민국에 반환되면서 폐지되었다. - 일본 제국 치하의 대만의 행정 구역 - 다이추주
다이추주는 일제강점기와 중화민국 시대를 거치며 대만 민주화 운동에 영향을 미친 지역으로, 타이중시를 중심으로 대만 중부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나 무사 사건과 2.28 사건으로 역사적 상처를 입었으며,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현재는 타이중시와 장화시를 아우르는 중요한 지역이다. - 가오슝시의 역사 - 가오슝현
가오슝현은 1945년 다카오 주 지역에 설치된 타이완의 행정 구역으로, 핑둥현 신설로 규모가 축소된 후 여러 개편을 거쳐 2010년 가오슝시와 통합되며 현으로서의 역사가 종료되었고, 풍부한 농산물과 관광 자원을 보유했었다. - 가오슝시의 역사 - 2009년 월드 게임
2009년 월드 게임은 중화민국 가오슝에서 102개 국가 및 지역 선수단이 참가하여 31개 정식 종목과 5개 초청 종목을 겨룬 국제 스포츠 대회로, 러시아, 이탈리아, 중국이 메달 순위 상위권을 차지했다.
다카오주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명칭 | 다카오 주 (高雄州) |
로마자 표기 | Takaoshū (다카오슈) |
상태 | 주 |
국가 | 일본 제국 |
시대 | 일본 통치 시대 (타이완) |
수도 | 가오슝 시 (일본 통치 시대) |
정치 구분 | 2시, 7군 |
현재 지역 | 가오슝 시, 핑둥 현 |
역사 | |
시작 | 1920년 9월 |
시작 사건 | 다카오 시 승격 (1924년) |
사건 1 | 펑후 제도가 호코 주로 분리 (1926년) |
사건 2 | 헤이토 시 승격 (1933년) |
종료 | 1945년 10월 |
통계 | |
면적 (1941년) | 5721.8674 km² |
인구 (1941년) | 930,383명 |
2. 역사
2. 1. 설치 배경
2. 2. 발전 과정
다카오 주는 일본의 남방 진출 정책에서 핵심 거점으로 개발되었다. 가오슝 항은 대규모 항만 시설 확충을 통해 군사적, 경제적 중요성이 증대되었다. 핑둥 평야에서는 사탕수수 재배를 중심으로 농업 생산량이 크게 증가했다. 1943년 4월에는 다카오 경비부가 설치되었다. 1944년에는 가오슝 주에 해군 항공 기지가 건설되어 태평양 전쟁의 주요 군사 거점이 되었다. 1936년(쇼와 11년) 평시 편제에는 제8비행연대와 대만 고사포 제8연대가 핑둥 시에 있었다.2. 3. 종전과 폐지
1945년, 일본의 패망과 함께 다카오 주는 중화민국에 이관되었다. 가오슝시와 핑둥시는 타이완성으로 이관되었고, 가오슝현에서 분리되었다. 1946년 4월 가오슝 현 정부는 펑산진으로 이전하였다. 1946년 9월 난사 군도(1939년 가오슝 시에 편입)는 광둥 성으로 이관되어 타이완성 가오슝 시에서 분리되었다가, 1979년 가오슝 시에 재편입되었다.1950년 모든 군이 폐지되면서 구 강산구, 펑산구, 치산구 관할 내의 향진은 현재의 가오슝 현에, 구 핑둥구, 차오저우구, 둥강구, 헝춘구 관할 내의 향진은 현재의 핑둥 현에 통합되었고, 핑둥 시는 핑둥 현으로 이관되었다.
3. 행정 구역
1945년 당시, 가오슝 주는 2시 7군으로 구성되었다.
- '''가오슝 시(高雄市)'''
- '''핑둥 시(屛東市)'''
- '''오카야마 군(岡山郡)'''
- ** 오카야마가(岡山街), 엔소장(燕巢庄), 덴료장(田寮庄), 아렌장(阿蓮庄), 로치쿠장(路竹庄), 고나이장(湖內庄), 미다장(彌陀庄)
- '''호잔 군(鳳山郡)'''
- ** 호잔가(鳳山街), 고미나토장(小港庄), 린엔장(林園庄), 다이료장(大寮庄), 다이주장(大樹庄), 진부장(仁武庄), 도리마쓰장(鳥松庄)
- '''기잔 군(旗山郡)'''
- ** 기잔가(旗山街), 미노가(美濃街), 로쿠키장(六龜庄), 산린장(杉林庄), 고센장(甲仙庄), 나이몬장(內門庄), 번지(蕃地)
- '''헤이토 군(屛東郡)'''
- ** 조코장(長興庄), 엔호장(鹽埔庄), 다카기장(高樹庄), 리코장(里港庄), 규카이장(九塊庄), 번지(蕃地)
- '''조슈 군(潮州郡)'''
- ** 조슈가(潮州街), 만란장(萬巒庄), 나이호장(內埔庄), 다케다장(竹田庄), 신히장(新埤庄), 호료장(枋寮庄), 호잔장(枋山庄), 번지(蕃地)
- '''도코 군(東港郡)'''
- ** 도코가(東港街), 신엔장(新園庄), 만탄장(萬丹庄), 린헨장(林邊庄), 가토장(佳冬庄), 류큐장(琉球庄)
- '''고슌 군(恒春郡)'''
- ** 고슌가(恒春街), 샤조장(車城庄), 만슈장(滿州庄), 번지(蕃地)
3. 1. 시 (市)
1945년 당시 다카오 주에는 2개의 시가 있었다.- 가오슝 시(高雄市): 현재의 가오슝시 난쯔 구, 쭤잉 구, 구산 구, 싼민 구, 링야 구, 신싱 구, 첸진 구, 옌청 구, 첸전 구, 치진 구에 해당한다. 1924년 가오슝군 가오슝가에서 승격되었다.
- 핑둥 시(屛東市): 현재의 핑둥현 핑둥시에 해당한다. 1933년 핑둥군 핑둥가에서 승격되었다.
3. 2. 군 (郡)
다카오 주에는 1945년 기준으로 2개의 시와 7개의 군이 있었다.- 오카야마 군(岡山郡): 현재의 가오슝시 강산구, 차오터우구, 옌차오구, 톈랴오구, 알롄구, 루주구, 후네이구, 치딩구, 미퉈구, 융안구, 쯔관구에 해당한다. 1924년 가오슝 군이 폐지되면서 옌차오 촌, 쭤잉 촌, 난쯔 촌이 오카야마 군으로 합병되었고, 1932년에는 치산 군에서 톈랴오 촌이 오카야마 군으로 편입되었다. 1940년에는 쭤잉 촌이, 1944년에는 난쯔 촌이 가오슝 시로 합병되면서 폐지되었다.
- 호잔 군(鳳山郡): 현재의 가오슝시 펑산구, 샤오강구, 린위안구, 다랴오구, 다수구, 런우구, 다서구, 냐오쑹구에 해당한다. 1924년 가오슝 군이 폐지되면서 런우 촌이 호잔 군으로 합병되었다.
- 기잔 군(旗山郡): 현재의 가오슝시 치산구, 메이농구, 류구이구, 산린구, 자셴구, 네이먼구, 나마샤구, 타오위안구, 마오린구에 해당한다. 1932년 핑둥 군에서 류구이 촌이, 같은 해 핑둥 군 번지에서 현재의 타오위안구, 마오린구 지역이 치산 군으로 편입되었다.
- 헤이토 군(屛東郡): 현재의 핑둥현 창즈향, 린뤄향, 옌푸향, 주루향, 가오수향, 리강향, 산디먼향, 우타이향에 해당한다.
- 조슈 군(潮州郡): 현재의 핑둥현 차오저우진, 완롼향, 네이푸향, 창즈향, 주톈향, 신피향, 팡랴오향, 팡산향, 타이우향, 라이이향, 춘르향, 스쯔향, 마자향에 해당한다. 1932년 핑둥 군 번지에서 현재의 마자향 지역이 조슈 군으로 편입되었다.
- 도코 군(東港郡): 현재의 핑둥현 둥강진, 신위안향, 칸딩향, 완단향, 난저우향, 린볜향, 자둥향, 류추향에 해당한다.
- 고슌 군(恒春郡): 현재의 핑둥현 헝춘진, 처청향, 만저우향, 무단향에 해당한다.
각 군은 마을(街)과 촌(庄)으로 나뉘어 있었다.
4. 인구
194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다카오 주의 총 인구는 930,383명이었다. 이 중 타이완인이 863,313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일본인이 59,633명, 한국인이 598명, 기타 민족이 6,839명이었다.
5. 산업
핑둥 평야를 중심으로 사탕수수, 쌀, 바나나 등이 재배되었다. 타이완 제당, 메이지 제당 등 일본 기업들이 대규모 농장을 운영하며 농업 생산을 주도했다.
타이완 제당, 메이지 제당, 신흥 제당, 육귀 제당 등 제당 공장과 가오슝 제빙과 같은 제빙 공장, 타이완 철공소와 같은 철강 공장이 가오슝 시에 설립되었다. 타이완 철공소 등에서는 군수 물자도 생산했다.
가오슝항과 둥강항을 중심으로 어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5. 1. 농업
핑둥 평야를 중심으로 사탕수수, 쌀, 바나나 등이 재배되었다. 타이완 제당, 메이지 제당 등 일본 기업들이 대규모 농장을 운영하며 농업 생산을 주도했다.5. 2. 공업
타이완 제당, 메이지 제당, 신흥 제당, 육귀 제당 등 제당 공장과 가오슝 제빙과 같은 제빙 공장, 타이완 철공소와 같은 철강 공장이 가오슝 시에 설립되었다. 타이완 철공소 등에서는 군수 물자도 생산했다.5. 3. 어업
가오슝항과 둥강항을 중심으로 어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6. 교통
가오슝 주에는 타이완 총독부 철도의 종관선, 핑둥 선, 둥강 선 등의 노선이 통과했다. 핑둥 선의 자둥~팡랴오 구간은 전시 중 일시 폐지되었다.
다카오 주에는 종관도로를 비롯하여 기산갑선도, 기산육귀도, 기산미농도, 기산관묘도, 구곡당령구도, 오카야마 미타도, 좌영 미타도, 내포고수도, 핑둥 기산도, 이강 육귀도, 이강령구도, 난쯔 기산도, 난쯔 펑산도, 가오슝 펑산도, 펑산 다린푸도, 다린푸 둥강도, 둥강 핑둥도, 헝춘 타이둥도, 처청 주계도, 펑강 타이둥도, 헝춘 다반열도, 다반열 켄팅도 등 여러 도로가 건설되었다. 이러한 도로는 가오슝 주 내륙 지역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과의 연결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가오슝항은 대만 남부의 주요 항구로서, 대규모 선박이 정박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6. 1. 철도
가오슝 주에는 타이완 총독부 철도의 종관선, 핑둥 선, 둥강 선 등의 노선이 통과했다. 핑둥 선의 자둥~팡랴오 구간은 전시 중 일시 폐지되었다.6. 2. 도로
다카오 주에는 종관도로를 비롯하여 기산갑선도, 기산육귀도, 기산미농도, 기산관묘도, 구곡당령구도, 오카야마 미타도, 좌영 미타도, 내포고수도, 핑둥 기산도, 이강 육귀도, 이강령구도, 난쯔 기산도, 난쯔 펑산도, 가오슝 펑산도, 펑산 다린푸도, 다린푸 둥강도, 둥강 핑둥도, 헝춘 타이둥도, 처청 주계도, 펑강 타이둥도, 헝춘 다반열도, 다반열 켄팅도 등 여러 도로가 건설되었다. 이러한 도로는 가오슝 주 내륙 지역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과의 연결성을 크게 향상시켰다.6. 3. 항만
가오슝항은 대만 남부의 주요 항구로서, 대규모 선박이 정박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7. 교육
7. 1. 주요 교육 기관
핑둥 사범학교는 1943년 타이완 총독부 타이난 사범학교로 이관되었다가, 현재 국립 핑둥 대학교가 되었다. 가오슝 주립 가오슝 제1중학교는 현재 가오슝 시립 가오슝 고등학교이다. 가오슝 주립 가오슝 제1고등여학교는 현재 가오슝 시립 가오슝 여자고등학교이다. 가오슝 주립 가오슝 공업학교는 현재 가오슝 시립 가오슝 공업직업고등학교이다. 가오슝 주립 핑둥 농업학교는 현재 국립 핑둥 과학기술대학교이다.8. 문화
8. 1. 신사
다카오 주에는 가오슝 신사, 오카야마 신사, 차오저우 신사 등 일본 신사가 건립되어 일본 문화와 종교가 이식되었다. 이 외에도 아거우 신사, 둥강 신사, 펑산 신사, 리강 신사, 자둥 신사, 치산 신사, 헝춘 신사, 가오스 신사 등이 있었다.8. 2. 국립공원
일제 강점기에 신타카오 아리산 국립공원(현재의 아리산 국가풍경구와 위산 국가공원 일부)이 지정되어 자연 보존과 관광 개발이 이루어졌다.9. 강제 동원
일제강점기 다카오주는 군사적 요충지로, 많은 조선인들이 강제 동원되었다. 이들은 가오슝항, 비행장, 군수 공장 등에서 가혹한 노동에 시달렸으며, 제대로 된 임금도 받지 못하고 인권 유린을 당했다. 특히, 다카오주에는 해군 항공 기지가 건설되면서 많은 조선인들이 비행장 건설에 강제 동원되었다.
10. 주요 인물
진중화는 자산가이며, 황문웅은 평론가이다. 오창정은 야구 선수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