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오슝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오슝현은 1920년 타이완 총독부의 지방관제 개정으로 설치된 다카오 주에 속했으며,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고웅현으로 설치되었다. 2010년 가오슝시와 통합되어 특별시가 되었다. 1950년 핑둥현 분리, 1957년, 1972년, 1979년, 2008년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쳤으며, 2010년 통합 직전에는 1개 현할시, 3개 읍, 20개 면, 3개 산간 원주민 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교육 기관으로는 여러 대학교와 과학기술대학 등이 있으며, 철도, 관광, 특산물 등의 정보도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폐지된 행정 구역 - 타이중현
타이중현은 1945년에 설립되어 2010년 타이중시와 통합되어 폐지된 대만의 옛 행정 구역이며, 다양한 교통 시설과 교육 기관, 관광 명소, 특산품을 갖추고 있었다. - 가오슝시의 역사 - 2009년 월드 게임
2009년 월드 게임은 중화민국 가오슝에서 102개 국가 및 지역 선수단이 참가하여 31개 정식 종목과 5개 초청 종목을 겨룬 국제 스포츠 대회로, 러시아, 이탈리아, 중국이 메달 순위 상위권을 차지했다. - 가오슝시의 역사 - 2016년 가오슝 지진
2016년 가오슝 지진은 타이완 가오슝시 메이눙 구에서 발생한 모멘트 규모 6.4의 지진으로, 타이완 남부, 특히 타이난시에서 심각한 건물 붕괴와 인명 피해를 야기했으며 웨이관 진룽 빌딩 붕괴로 115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 대만의 현 - 화롄현
화롄현은 대만 동부 중앙에 위치하여 타이완 중앙산맥과 태평양 사이에 자리 잡고 있는 현으로, 웅장한 절경의 청수단애와 다양한 문화, 국립 동화 대학교, 타로코 국가공원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타로코 익스프레스 열차 탈선 사고를 겪었고 시멘트 산업이 지역 경제에 영향을 미친다. - 대만의 현 - 타이둥현
타이둥현은 대만 동남부에 위치하며 태평양과 중앙산맥에 접해 있고, 타이완 원주민 인구 비율이 가장 높으며, 석가두, 이상미, 나비란, 복록차 등의 특산물이 있다.
가오슝현 | |
---|---|
개요 | |
정식 명칭 | 가오슝 현 |
원어 명칭 | 高雄縣 |
로마자 표기 | Gaoxiong Xian |
한자 표기 | 高雄縣 |
병음 | Gāoxióng Xiàn |
웨이드-자일스 표기 | Kao¹-hsiung² Hsien⁴ |
대만어 로마자 표기 | Ko-hiông Kōan |
객가어 병음 | Kô-hiùng Yen |
광둥어 병음 | gou1hung4 yun6 |
역사 | |
시작 | 1945년 12월 6일 |
종료 | 2010년 12월 25일 |
이전 | 다카오 주 |
이후 | 가오슝 시 (특별 직할시로 통합) |
행정 | |
중심지 | 펑산 구 |
하위 행정 구역 | 1개 현할시, 3개 진, 20개 향, 3개 산지 향 |
통계 | |
면적 (2010년 12월) | 2792.67 제곱킬로미터 |
인구 (2010년 12월) | 1,243,410 명 |
위치 | |
![]() | |
상징 | |
![]() | |
![]() |
2. 역사
1945년 12월 6일,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 일본 제국이 다카오 주(高雄州) 지역에 설치했던 행정구역을 기반으로 가오슝현(Kaohsiung County)이 설치되었다. 초기 가오슝현은 다카오(高雄)와 헤이토(屏東) 도시 인근 지역을 제외한 다카오 주 대부분 지역을 포함했다. 현은 구(區)로 나뉘었는데, 이는 일제강점기의 군(郡)에서 유래한 것이다. 구는 다시 향(Township)으로 나뉘었다.
1950년 8월 16일, 행정 구역 개편으로 현의 남부 지역이 분리되어 핑둥현(Pingtung County)이 설치되었다. 남은 가오슝현은 일제강점기의 호잔(펑산), 오카야마(강산), 기잔(치산)에 해당하는 지역이었다. 또한, 남은 가오슝현의 구는 폐지되었고, 모든 향은 현청의 직할이 되었다.[1] 2010년 12월 25일, 가오슝현은 가오슝시(Kaohsiung)와 통합되어 더 큰 단일 특별시(Special municipality (Taiwan))가 되었다.[1]
2. 1. 일제강점기 (1920-1945)
1920년, 일본 제국은 다카오 주(高雄州)를 설치하였다. 다카오 주는 호잔 군(鳳山郡), 오카야마 군(岡山郡), 기잔 군(旗山郡), 헤이토 군(屏東郡), 초슈 군(潮州郡), 토코 군(東港郡), 코슌 군(恒春郡) 등의 군(郡)으로 구성되었다.[1]다카오 주의 군(郡) |
---|
鳳山郡|호잔 군일본어 |
岡山郡|오카야마 군일본어 |
旗山郡|기잔 군일본어 |
屏東郡|헤이토 군일본어 |
潮州郡|초슈 군일본어 |
東港郡|토코 군일본어 |
恒春郡|코슌 군일본어 |
2. 2. 중화민국 시대 (1945-2010)
1945년 12월 6일,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다카오 주(高雄州) 지역에 가오슝현(Kaohsiung County)이 설치되었다. 초기 가오슝현은 다카오(高雄, Kaohsiung)와 헤이토(屏東, Pingtung) 도시 인근 지역을 제외한 다카오 주의 대부분 지역을 포함했다. 현은 구(區)로 나뉘었는데, 이는 일본 제국의 대만 통치 시기의 군(郡, Districts of Japan)에서 유래한 것이다. 구는 다시 향(Township)으로 나뉜다.다카오 주의 구 | 가오슝현의 구 | 비고 | ||
---|---|---|---|---|
호잔(鳳山郡, Hōzan) | 鳳山郡|펑산 군일본어 | 펑산(鳳山區, Feng-shan) | 1947년 폐지, 현이 직접 관할 | |
오카야마(岡山郡, Okayama) | 岡山郡|오카야마 군일본어 | 강산(岡山區, Kang-shan) | ||
기잔(旗山郡, Kizan) | 旗山郡|기잔 군일본어 | 치산(旗山區, Ch'i-shan) | ||
헤이토(屏東郡, Heitō) | 屏東郡|핑둥 군일본어 | 핑둥(屏東區, P'ing-tung) | ||
초슈(潮州郡, Chōshū) | 潮州郡|차오저우 군일본어 | 차오저우(潮州區, Ch'ao-chou) | ||
토코(東港郡, Tōkō) | 東港郡|둥강 군일본어 | 퉁강(東港區, Tung-kang) | ||
코슌(恒春郡, Kōshun) | 恒春郡|헝춘 군일본어 | 헝춘(恆春區, Heng-ch'un) | ||
colspan=2| | 슝펑(雄峰區, Hsiung-feng) | 1949년 설치, 북부 산악 원주민 향 관할 | ||
colspan=2| | 가오펑(高峰區, Kao-feng) | 1949년 설치, 남부 산악 원주민 향 관할 |
1950년 8월 16일, 행정 구역 개편으로 현의 남부 지역이 분리되어 핑둥현(Pingtung County)이 설치되었다. 남은 가오슝현은 일본 시대의 호잔(펑산), 오카야마(강산), 기잔(치산)에 해당하는 지역이었다. 또한, 남은 가오슝현의 구는 폐지되었고, 모든 향은 현청의 직할이 되었다.[1]
1950년부터 2010년까지 가오슝현의 행정 구역은 대체로 안정적이었지만, 일부 변화도 있었다.
- 1957년 7월 1일, 마야향(瑪雅鄉)은 삼민향(三民鄉)으로, 야얼향(雅爾鄉)은 타오위안 향(桃源鄉)으로, 토나향(多納鄉)은 마오린 향(茂林鄉)으로 개칭되었다.
- 1972년 7월 1일, 펑산진(鳳山鎮)은 인구 증가로 인해 읍에서 현할시로 승격되었다.
- 1979년 7월 1일, 샤오강 향(小港鄉)은 가오슝시에 편입되면서 농촌 읍에서 구로 개편되었다.
- 2008년 1월 1일, 삼민향은 나마샤 향(那瑪夏鄉)으로 개칭되었다.
2010년 12월 25일, 가오슝현은 가오슝시에 통합되었고, 모든 현할시와 읍은 구가 되었다.
3. 행정 구역
1950년부터 2010년까지 가오슝현의 행정 구역은 대체로 안정적이었지만, 몇 가지 변화가 있었다.
- 1957년 7월 1일, 마야향(瑪雅鄉)은 삼민향(三民鄉)으로, 야얼향(雅爾鄉)은 타오위안향(桃源鄉)으로, 토나향(多納鄉)은 마오린향(茂林鄉)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 1972년 7월 1일, 풍산진(鳳山鎮)은 인구 증가로 인해 읍에서 현할시로 승격되었다.
- 1979년 7월 1일, 샤오강향(小港鄉)은 가오슝시에 편입되면서 농촌 읍에서 구로 개편되었다.
- 2008년 1월 1일, 삼민향은 나마샤향(那瑪夏鄉)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2010년 12월 25일, 가오슝현은 가오슝시에 통합되었고, 모든 현할시와 읍, 향은 구가 되었다.[1]
3. 1. 1945년 설치 당시 행정 구역 (일본 다카오 주와의 비교)
가오슝현(Kaohsiung County)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인 1945년 12월 6일, 일본 시대 다카오 주(高雄州, Takao Prefecture) 지역에 설치되었다. 초기 가오슝현은 다카오(高雄, Kaohsiung)와 헤이토(屏東, Pingtung) 도시 인근 지역을 제외한 다카오 주의 대부분 지역을 포함했다. 현은 구(區)로 나뉘었는데, 이는 개편된 일본 시대의 일본 구(郡, Districts of Japan)에서 유래한 것이다. 구는 다시 향(Township)으로 나뉜다.다카오 주의 구 | 가오슝현의 구 | 비고 | ||
---|---|---|---|---|
호잔 군(鳳山郡, Hōzan) | 鳳山郡|호잔 군일본어 | 펑산(鳳山區, Feng-shan) | 1947년 폐지, 현이 직접 관할 | |
오카야마 군(岡山郡, Okayama) | 岡山郡|오카야마 군일본어 | 강산(岡山區, Kang-shan) | ||
기잔 군(旗山郡, Kizan) | 旗山郡|기잔 군일본어 | 치산(旗山區, Ch'i-shan) | ||
핑둥 군(屏東郡, Heitō) | 屏東郡|헤이토 군일본어 | 핑둥(屏東區, P'ing-tung) | ||
차오저우 군(潮州郡, Chōshū) | 潮州郡|조슈 군일본어 | 차오저우(潮州區, Ch'ao-chou) | ||
둥강 군(東港郡, Tōkō) | 東港郡|도코 군일본어 | 퉁강(東港區, Tung-kang) | ||
헝춘 군(恒春郡, Kōshun) | 恒春郡|고슌 군일본어 | 헝춘(恆春區, Heng-ch'un) | ||
colspan=2| | 슝펑(雄峰區, Hsiung-feng) | 1949년 설치, 북부 산악 원주민 향 관할 | ||
colspan=2| | 가오펑(高峰區, Kao-feng) | 1949년 설치, 남부 산악 원주민 향 관할 |
3. 2. 2010년 가오슝시와 통합 직전 행정 구역
2010년 12월 25일, 가오슝시에 가오슝현이 통합되었다. 통합 직전 가오슝현은 1개 현할시, 3개 진, 20개 향, 3개 산지 원주민 향으로 구성되어 있었다.유형 | 이름 | 중국어 | 타이완어 | 객가어 | 지역 |
---|---|---|---|
현할시 | 풍산 | |Fung-sân | 풍산 |
진 | 강산 | |Kông-sân | 강산 |
치산 | |Khì-sân | 치산 | |
메이농 | |Mî-nùng | ||
향 | 리뉴안 | |Lìm-yèn | 풍산 |
달리아오 | |Thai-liàu | ||
다슈 | |Thai-su | ||
다셰 | |Thai-sa | ||
렌우 | |Yìn-vú | ||
니아오송 | |Tiâu-tshiùng | ||
치아오투 | |Khiâu-thèu | 강산 | |
옌차오 | |Yèn-tshâu | ||
티엔리아오 | |Thièn-liàu | ||
알리안 | |Â-lièn | ||
루주 | |Lu-tsuk | ||
후네이 | |Fù-nui | ||
치에딩 | |Kâ-tin | ||
용안 | |Yún-ôn | ||
미투오 | |Mì-thò | ||
지관 | |Tsṳ́-kôn | ||
리우구이 | |Liuk-kuî | 치산 | |
자시안 | |Kap-siên | ||
산린 | |Tsham-lìm | ||
네이먼 | |Nui-mùn | ||
산간 원주민 향 | 마오린 | |Meu-lìm | |
타오위안 | |Thò-ngièn | ||
나마샤 | |Namasia |
4. 교육
가오슝현에는 여러 대학교와 전문학교가 있었다.
종류 | 학교 이름 |
---|---|
대학교 | 이슈대학, 국립가오슝사범대학(옌쓰 캠퍼스), 실천대학(가오슝 캠퍼스) |
과학기술대학 / 기술학원 | 국립가오슝제1과학기술대학(옌즈 캠퍼스), 국립가오슝응용과학기술대학(옌즈 캠퍼스), 수덕과학기술대학, 정수과학기술대학, 고원과학기술대학, 부영과학기술대학, 동방기술학원, 화춘기술학원, 공군항공기술학원 |
의료관리전문학교 | 수인의료관리전문학교, 고미의료관리전문학교 |
군관학교 | 공군군관학교, 육군군관학교 |
4. 1. 대학교
- 이슈대학
- 국립가오슝사범대학 (옌쓰 캠퍼스)
- 실천대학 (가오슝 캠퍼스)
4. 2. 과학기술대학 / 기술학원
- 국립가오슝제1과학기술대학 (옌즈 캠퍼스)
- 국립가오슝응용과학기술대학 (옌즈 캠퍼스)
- 수덕과학기술대학
- 정수과학기술대학
- 고원과학기술대학
- 부영과학기술대학
- 동방기술학원
- 화춘기술학원
- 공군항공기술학원
- 수인의료관리전문학교
- 고미의료관리전문학교
- 공군군관학교
- 육군군관학교
5. 교통
가오슝현에는 종관선과 핑둥선이 지나간다. 종관선에는 대호역, 로죽역, 岡山역, 교두역이 있고, 핑둥선에는 봉산역, 후장역, 구곡당역이 있다.
5. 1. 철도
6. 관광
타이완 옥산국립공원(玉山國家公園), 마오린국립풍경구(茂林國家風景區), 청징후풍경구(澄清湖風景區), 다강산풍경구(大崗山風景區), 메이산온천(梅山温泉), 옌차오니화산(燕巣泥火山), 지관산(雞冠山), 불광산(佛光山) 등은 가오슝현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이다.
6. 1. 가오슝시 10대 명산
- 옥산(玉山)
- 삼차산(三叉山)
- 탑관산(塔関山)
- 관산(関山)
- 다귀호(大鬼湖)
- 계남산(溪南山)
- 명해산(鳴海山)
- 관음산(觀音山 (高雄市))
- 기미산(旗尾山)
- 다강산(大崗山)
7. 특산
가오슝현의 특산물로는 석류, 바나나, 대추, 무화과, 파인애플 등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