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걀 성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걀 성운은 백조자리에 위치한 성운이다. 백조자리에는 달걀 성운 외에도 다양한 항성, 은하, 성단 및 기타 천체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시행성상성운 - 부메랑 성운
부메랑 성운은 중심별에서 빠른 속도로 분출되는 기체가 팽창하며 절대영도에 가까운 극저온을 기록, 현재까지 관측된 자연 상태의 우주 공간 중 가장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원시행성상성운이다. - 원시행성상성운 - 서리사자 성운
서리사자 성운은 사자자리에 위치하며, 극축을 따라 분리된 두 개의 "안사"와 모래시계 형태의 로브, 그리고 팽창하는 분자 외피를 특징으로 하는 점대칭 구조의 쌍극 행성상 성운이다. - 백조자리 - 백조자리 61
백조자리 61은 11.36광년 거리에 있는, 큰 고유 운동과 시차 측정으로 유명한 '베셀의 별'이라고도 불리는 K형 주계열성 쌍성계이다. - 백조자리 - 데네브
데네브는 백조자리의 알파별로, 아랍어로 꼬리를 뜻하며, 국제천문연맹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별의 고유 명칭이며, 여름철 대삼각형을 이루는 청색 초거성으로 약 2,600광년 거리에 있고, 밝기가 변하며 수백만 년 안에 초신성 폭발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달걀 성운 | |
---|---|
기본 정보 | |
![]() | |
형태 | 원시 행성상 성운 |
별자리 | 백조자리 |
거리 | 약 3000 광년 (920 파섹) |
겉보기 등급 | +14.0 |
반지름 | 0.2 광년 |
절대 등급 | +4.2 |
기타 명칭 | RAFGL 2688 The Egg (달걀) Cygnus Egg (백조자리 달걀) V1610 Cyg (V1610 Cyg 변광성) |
2. 주요 천체
달걀 성운은 백조자리에 있는 주요 천체 중 하나이다. 백조자리에는 이 외에도 다양한 천체들이 존재한다.
종류 | 이름 |
---|---|
은하 | 백조자리 A 은하, 불꽃놀이 은하 |
성운 | 코쿤 성운, 콜드웰 15, 망상 성운, 북아메리카 성운, 초승달 성운, 펠리컨 성운 |
성단 | 메시에 29, 메시에 39 |
기타 | 백조자리 OB2 |
항성과 관련된 내용은 '항성'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2. 1. 항성
백조자리는 여러 밝은 항성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은 바이어 명명법, 플램스티드 명명법, 아르겔란더 명명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불린다. 대표적인 항성으로는 데네브, 알비레오, 사드르, 파와리스, 알자나 등이 있으며, 헨리 드레이퍼 목록과 기타 항성 목록에도 다양한 백조자리 항성들이 등재되어 있다.2. 1. 1. 바이어 명명법
2. 1. 2. 플램스티드 명명법
2. 1. 3. 아르겔란더 명명법
- CP
- DT
- KY
- NML(V1489)
- P
- R
- RT
- T
- U
- V380
- V389
- V460
- V476
- V1500
- V1668
- V1974
- W
- X
2. 1. 4. 헨리 드레이퍼 목록
- HD 185269
- HD 187123
- HD 188753
2. 1. 5. 기타 항성
2. 2. 은하
- 백조자리 A
- 불꽃놀이 은하
2. 3. 성운
코쿤 성운콜드웰 15
달걀 성운
망상 성운
북아메리카 성운
초승달 성운
펠리컨 성운
2. 4. 성단
메시에 29, 메시에 392. 5. 기타 천체
백조자리 OB2는 산개성단으로, 지구에서 가까운 거대 항성 탄생 영역 중 하나이다. 이 성단에는 우리은하에서 가장 무겁고 밝은 별들이 속해 있으며, 그중에는 백조자리 OB2-12와 같은 청색초거성도 포함되어 있다.[1]3. 갤러리
참조
[1]
simbad
V* V1610 Cyg
2007-01-05
[2]
간행물
Spectroscopic observations of CRL 2688
http://articles.adsa[...]
2020-11-15
[3]
간행물
Mass Loss from Evolved Stars. III. Mass Loss Rates for 50 Stars from CO J = 1--0 Observations
http://articles.adsa[...]
2020-11-26
[4]
간행물
The Chemical Evolution of Planetary Nebulae
http://articles.adsa[...]
2020-11-26
[5]
간행물
The Multiple Molecular Winds of CRL 2688
http://articles.adsa[...]
2020-11-26
[6]
간행물
The Structure of the Prototype Bipolar Protoplanetary Nebula CRL 2688 (Egg Nebula): Broadband, Polarimetric, and H2 Line Imaging with NICMOS on the Hubble Space Telescope
1998-01
[7]
웹사이트
Proto-planetary Nebulae
http://www.schoenbal[...]
2013-07-06
[8]
뉴스
Hubble Images Searchlight Beams from a Preplanetary Nebula
http://www.spacetele[...]
2012-04-24
[9]
웹사이트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https://simbad.u-str[...]
2007-01-05
[10]
뉴스
HSTが捉えた、虹色に輝く「卵星雲」
https://www.astroart[...]
AstroArts
[11]
뉴스
Hubble Images Searchlight Beams from a Preplanetary Nebula
https://esahubble.or[...]
2012-04-24
[12]
문서
거리 3,000 광년 × sin ( 크기 (분각 단위) 1' / 2 ) = 0.2 광년. 반지름
[13]
문서
14.0 겉보기 등급 - 5 * (log10(920 파섹 거리) - 1) = 4.2 절대 등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