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당멸치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당멸치목(Elopiformes)은 조기어류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당멸치상목에 속하며, 뱀장어목, 여을멸목, 밑보리멸목과 함께 당멸치상목을 구성한다. 현재는 2개의 과, 2개의 속에 9종만이 존재하지만, 많은 화석 형태가 알려져 있다. 당멸치목에는 당멸치과(Elopidae)와 풀잉어과(Megalopidae)가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당멸치목 - 당멸치속
    당멸치속은 당멸치과에 속하는 어류 속으로, 당멸치를 비롯한 7종이 알려져 있으며, Elops machnata는 서인도양에서 발견된다.
  • 당멸치목 - 타폰
    타폰속은 대서양타폰과 풀잉어 두 종으로 나뉘며 해양과 담수에서 서식하고 부레 호흡을 통해 산소 부족 환경에서도 생존하는 1억 년 넘는 역사를 지닌 인기 스포츠 어종이다.
당멸치목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학명Elopiformes
당멸치과(Elopidae)
풀잉어과(Megalopidae)
이명Elopoidei sensu de Figueiredo et al. 2012
Megalopiformes
모식종Elops saurus
모식종 명명자Linnaeus, 1766
형태 및 분포
타폰, Megalops sp.
타폰, Megalops sp.
화석 범위중기 쥐라기에서 최근

2. 하위 분류

당멸치목은 현존하는 당멸치속(Elops)과 풀잉어속(Megalops) 2개의 속과 총 8종[13]으로 구성된다. 과거에는 더 다양한 화석 형태가 있었지만, 현재는 비교적 작은 목이다.[4]

당멸치목은 당멸치과와 풀잉어과의 2과로 나뉜다.[10] 과거에는 소토이와시과나 깃과를 당멸치목에 포함시키기도 했지만,[11] 현재는 일반적으로 이 2과만을 포함한다.

2. 1. 당멸치과 (Elopidae)

당멸치목은 현존하는 2개의 속과 8종[1], 그리고 여러 화석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당멸치과는 그 중 하나로, 당멸치속(Elops) 어류를 포함한다.

'''당멸치과(Elopidae)'''는 1속 7종을 포함한다.[4]

  • 당멸치속 ''Elops''
  • * 당멸치 ''Elops hawaiensis''
  • * 대서양당멸치 ''Elops saurus''
  • * ''Elops affinis''
  • * ''Elops lacerta''
  • * ''Elops machnata''
  • * ''Elops senegalensis''


당멸치과는 화석으로도 발견되는데, †''Flindersichthys'', †''Histialosa'', †''Lyrolepis'', †''Nardoelops'', †''Opisthopteryx'', †''Palelops'', †''Parasyllaemus'', †''Sauropsidium'', †''Thrissopteroides'', †''Davichthys'', †''Naiathaelon'' 등이 여기에 속한다.

2. 2. 풀잉어과 (Megalopidae)

풀잉어과(Megalopidae)는 당멸치목의 한 과로, 풀잉어속(''Megalops'') 2종으로 구성된다.[13] 당멸치과와 구별되는 특징은 뒷지느러미의 가장 뒤쪽 연조가 가늘고 길게 뻗는다는 점이다. 풀잉어는 배지느러미 앞쪽이 등지느러미 바로 아래에 있는 반면, 타폰은 등지느러미보다 앞에 위치한다. 또한, 풀잉어가 타폰보다 등지느러미 줄기 수와 척추뼈 수가 더 많다.[10]

  • 풀잉어속(''Megalops'')
  • * 풀잉어(''Megalops cyprinoides'')
  • * 대서양타폰(''Megalops atlanticus'')

2. 3. 화석 분류군

당멸치목은 현재는 비교적 작은 분류군으로, 2개의 속과 9개의 종만이 알려져 있지만, 과거에는 다양한 화석 형태로 존재했다.[4]

  • '''당멸치목'''
  • 속 ?†''Dinelops''
  • '''과''' †'''Anaethaliidae'''
  • 속 †''Daitingichthys''
  • 속 †''Anaethalion''
  • 속 †''Holcolepis''
  • '''아목 Elopoidei'''
  • 속 †''Antofagastaichthys''
  • 속 †''Arratiaelops''
  • 속 †''Coryphaenopsis''
  • 속 †''Ctenodentelops''
  • 속 †''Echinelops''
  • 속 †''Ectasis''
  • 속 †''Elopidarum''
  • 속 †''Elopsomolos''
  • 속 †''Eurygnathus''
  • 속 †''Goulmimichthys''
  • 속 †''Hypsospondylus''
  • 속 †''Irenichthys''
  • 속 †''Laminospondylus''
  • 속 †''Tingitanichthys''
  • 속 †''Paraelops''
  • 속 †''Ichthyemidion''
  • '''과''' †'''Protelopidae'''
  • 속 †''Eoprotelops''
  • 속 †''Protelops''
  • '''과''' '''Elopidae''' (레이디피쉬, 텐파운더)
  • 속 †''Flindersichthys''
  • 속 †''Histialosa''
  • 속 †''Lyrolepis''
  • 속 †''Nardoelops''
  • 속 †''Opisthopteryx''
  • 속 †''Palelops''
  • 속 †''Parasyllaemus''
  • 속 †''Sauropsidium''
  • 속 †''Thrissopteroides''
  • 속 †''Davichthys''
  • 속 †''Naiathaelon''
  • 속 ''Elops'' (7종, 2010년에 기재된 한 종)
  • '''과 Megalopidae''' (타폰)
  • 속 †''Broweria''[8]
  • 속 †''Elopoides''
  • 속 †''Paratarpon''
  • 속 †''Promegalops''
  • 속 †''Protarpon''
  • 속 †''Sedenhorstia''
  • 속 †''Starrias''
  • 속 ''Megalops'' (2종)

3. 계통 분류

2023년 현재, 당멸치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4][15][16]

{| class="wikitable"

|-

| 조기어류

|-

|

{| class="wikitable"

|-

| 다기어목

|-

|

{| class="wikitable"

|-

| 철갑상어목

|-

! 신기어류

|-

|

{| class="wikitable"

|-

! 전골어류

|-

|

아미아목
레피소스테우스목



|-

! 진골어류

|-

|

{| class="wikitable"

|-

! Eloposteoglossocephala

|-

|

{| class="wikitable"

|-

! 골설어상목

|-

|



|-

! 당멸치상목

|-

|

{| class="wikitable"

|-

| '''당멸치목'''

|-

|

{| class="wikitable"

|-

| 뱀장어목

|-

|

여을멸목
밑보리멸목



|}

|}

|}

|-

! Clupeocephala

|-

|

{| class="wikitable"

|-

! Otocephala

|-

|

{| class="wikitable"

|-

! 청어상목

|-

|

{| class="wikitable"

|-

| 청어목

|-

|

{| class="wikitable"

|-

| 민머리치목

|-

! 골표상목

|-

|

{| class="wikitable"

|-

| 압치목

|-

|

{| class="wikitable"

|-

| 잉어목

|-

|

{| class="wikitable"

|-

| 카라신목

|-

|



|}

|}

|}

|}

|}

|-

| 신진골어류

|}

|}

|}

|}

|}

|}

오늘날 당멸치목은 비교적 작은 분류군으로, 2개 속에 9종만이 알려져 있다.[4]

4. 분포 연대표



ImageSize = width:1000px height:auto barincrement:15px

PlotArea = left:10px bottom:50px top:10px right:10px

Period = from:-251 till:10

TimeAxis = orientation:horizontal

ScaleMajor = unit:year increment:10 start:-251

ScaleMinor = unit:year increment:1 start:-251

TimeAxis = orientation:hor

AlignBars = justify

Colors =

#legend

id:CAR value:claret

id:ANK value:rgb(0.4,0.3,0.196)

id:HER value:teal

id:HAD value:green

id:OMN value:blue

id:black value:black

id:white value:white

id:mesozoic value:rgb(0.54,0.54,0.258)

id:triassic value:rgb(0.51,0.17,0.57)

id:earlytriassic value:rgb(0.6,0.22,0.61)

id:middletriassic value:rgb(0.73,0.53,0.71)

id:latetriassic value:rgb(0.78,0.65,0.8)

id:jurassic value:rgb(0.2,0.7,0.79)

id:earlyjurassic value:rgb(0,0.69,0.89)

id:middlejurassic value:rgb(0.52,0.81,0.91)

id:latejurassic value:rgb(0.74,0.89,0.97)

id:cretaceous value:rgb(0.5,0.78,0.31)

id:earlycretaceous value:rgb(0.63,0.78,0.65)

id:latecretaceous value:rgb(0.74,0.82,0.37)

id:cenozoic value:rgb(0.54,0.54,0.258)

id:paleogene value:rgb(0.99,0.6,0.32)

id:paleocene value:rgb(0.99,0.65,0.37)

id:eocene value:rgb(0.99,0.71,0.42)

id:oligocene value:rgb(0.99,0.75,0.48)

id:neogene value:rgb(0.999999,0.9,0.1)

id:miocene value:rgb(0.999999,0.999999,0)

id:pliocene value:rgb(0.97,0.98,0.68)

id:quaternary value:rgb(0.98,0.98,0.5)

id:pleistocene value:rgb(0.999999,0.95,0.68)

id:holocene value:rgb(0.999,0.95,0.88)

BarData=

bar:eratop

bar:space

bar:periodtop

bar:space

bar:NAM1

bar:NAM2

bar:NAM3

bar:NAM4

bar:NAM5

bar:NAM6

bar:NAM7

bar:NAM8

bar:NAM9

bar:NAM10

bar:NAM11

bar:NAM12

bar:NAM13

bar:NAM14

bar:NAM15

bar:NAM16

bar:NAM17

bar:NAM18

bar:NAM19

bar:NAM20

bar:NAM21

bar:NAM22

bar:space

bar:period

bar:space

bar:era

PlotData=

align:center textcolor:black fontsize:M mark:(line,black) width:25

shift:(7,-4)

bar:periodtop

from: -251 till: -245 color:earlytriassic text:초기

from: -245 till: -228 color:middletriassic text:중기

from: -228 till: -199.6 color:latetriassic text:후기

from: -199.6 till: -175.6 color:earlyjurassic text:초기

from: -175.6 till: -161.2 color:middlejurassic text:중기

from: -161.2 till: -145.5 color:latejurassic text:후기

from: -145.5 till: -99.6 color:earlycretaceous text:초기

from: -99.6 till: -65.5 color:latecretaceous text:후기

from: -65.5 till: -55.8 color:paleocene text:고신

from: -55.8 till: -33.9 color:eocene text:에오

from: -33.9 till: -23.03 color:oligocene text:올리고

from: -23.03 till: -5.332 color:miocene text:마이오

from: -5.332 till: -2.588 color:pliocene text:플리오

from: -2.588 till: -0.0117 color:pleistocene text:플라이

from: -0.0117 till: 0 color:holocene text:홀로

bar:eratop

from: -251 till: -199.6 color:triassic text:트라이아스기

from: -199.6 till: -145.5 color:jurassic text:쥐라기

from: -145.5 till: -65.5 color:cretaceous text:백악기

from: -65.5 till: -23.03 color:paleogene text:고제3기

from: -23.03 till: -2.588 color:neogene text:신제3기

from: -2.588 till: 0 color:quaternary text:Q.

PlotData=

align:left fontsize:M mark:(line,white) width:5 anchor:till align:left

color:latejurassic bar:NAM1 from: -161.2 till: -155.7 text: 안토파스타이키스

color:latejurassic bar:NAM2 from: -161.2 till: -155.7 text: 총이키티스

color:latejurassic bar:NAM3 from: -152.43 till: -150.8 text: 에오프로텔롭스

color:latejurassic bar:NAM4 from: -152.43 till: -138.93 text: 아나에탈리온

color:latejurassic bar:NAM5 from: -150.8 till: -149.03 text: 아이히슈테티아

color:earlycretaceous bar:NAM6 from: -115.25 till: -112 text: 노텔롭스

color:earlycretaceous bar:NAM7 from: -115.25 till: -70.6 text: 오스메로이데스

color:earlycretaceous bar:NAM8 from: -112 till: -99.6 text: 플린더시크티스

color:latecretaceous bar:NAM9 from: -99.6 till: -93.5 text: 카르소트리소프스

color:latecretaceous bar:NAM10 from: -99.6 till: -83.5 text: 다비크티스

color:latecretaceous bar:NAM11 from: -99.6 till: -65.5 text: 오스타리오스토마

color:latecretaceous bar:NAM12 from: -99.6 till: -97.6 text: 프로토스토미아스

color:latecretaceous bar:NAM13 from: -99.6 till: -89.3 text: 프로텔롭스

color:latecretaceous bar:NAM14 from: -93.5 till: -89.3 text: 코리파에놉시스

color:latecretaceous bar:NAM15 from: -93.5 till: -70.6 text: 타키넥테스

color:latecretaceous bar:NAM16 from: -85.8 till: -83.5 text: 오피스토프테릭스

color:latecretaceous bar:NAM17 from: -85.8 till: -83.5 text: 프로노타칸투스

color:latecretaceous bar:NAM18 from: -83.5 till: -70.6 text: 다크틸로포곤

color:eocene bar:NAM19 from: -55.8 till: -48.6 text: 에소셀롭스

color:eocene bar:NAM20 from: -55.8 till: 0 text: 엘롭스

color:eocene bar:NAM21 from: -37.2 till: -33.9 text: 리롤레피스

color:miocene bar:NAM22 from: -11.608 till: -5.332 text: 엑타시스

PlotData=

align:center textcolor:black fontsize:M mark:(line,black) width:25

bar:period

from: -251 till: -245 color:earlytriassic text:초기

from: -245 till: -228 color:middletriassic text:중기

from: -228 till: -199.6 color:latetriassic text:후기

from: -199.6 till: -175.6 color:earlyjurassic text:초기

from: -175.6 till: -161.2 color:middlejurassic text:중기

from: -161.2 till: -145.5 color:latejurassic text:후기

from: -145.5 till: -99.6 color:earlycretaceous text:초기

from: -99.6 till: -65.5 color:latecretaceous text:후기

from: -65.5 till: -55.8 color:paleocene text:고신

from: -55.8 till: -33.9 color:eocene text:에오

from: -33.9 till: -23.03 color:oligocene text:올리고

from: -23.03 till: -5.332 color:miocene text:마이오

from: -5.332 till: -2.588 color:pliocene text:플리오

from: -2.588 till: -0.0117 color:pleistocene text:플라이

from: -0.0117 till: 0 color:holocene text:홀로

bar:era

from: -251 till: -199.6 color:triassic text:트라이아스기

from: -199.6 till: -145.5 color:jurassic text:쥐라기

from: -145.5 till: -65.5 color:cretaceous text:백악기

from: -65.5 till: -23.03 color:paleogene text:고제3기

from: -23.03 till: -2.588 color:neogene text:신제3기

from: -2.588 till: 0 color:quaternary text:Q.


4. 1. 당멸치목

당멸치목 어류는 오늘날 비교적 작은 목으로 겨우 2속 8종만을 포함하고 있다.[13] 많은 화석 형태가 알려져 있지만, 현생하는 당멸치목은 2개의 속과 9종만 포함한다.[4]

  • 당멸치목 (Elopiformes)
  • 당멸치과(Elopidae)
  • 당멸치속(''Elops'') - 2010년 현재 7종.
  • 풀잉어과(Megalopidae)
  • 풀잉어속(''Megalops'') - 2종


당멸치목은 장어목, 부레뱀장어목 등과 마찬가지로 당멸치상목에 속하며, 렙토케팔루스 유생이라 불리는 특징적인 유생 단계를 거쳐 성장한다. 열대에서 아열대의 얕은 해역에 분포하며, 때로는 담수·기수역에도 진출한다. 당멸치는 일본 열도에서 도쿄만으로 흘러드는 도쿄도 기타구 내의 하천에서도 확인되고 있다.[9]

몸 형태는 멸치류와 비슷하며 다소 가늘고 길다. 배지느러미가 배의 위치에 있는 것, 비늘이 원린인 것, 아가미의 개구부가 넓은 것 등이 본 목 어류의 특징이다. 꼬리지느러미는 크게 두 갈래로 갈라진다.

4. 2. 풀잉어목

당멸치목은 현재 두 개의 속과 아홉 개의 종으로 구성된 비교적 작은 목이다. 하지만 화석 기록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당멸치목 어류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4]

  • '''당멸치목''' Gosline 1960[5][6][7]
  • 속 ?†''Dinelops'' Woodward, 1907
  • '''과''' †'''Anaethaliidae''' Gaudant 1968 [Anaethalionidae Gaudant 1967]
  • 속 †''Daitingichthys'' Arratia 1987
  • 속 †''Anaethalion'' White 1938 [''Aethalion'' von Münster 1842 non Lepeletier & Serville 1828]
  • 속 †''Holcolepis'' von der Marck 1868 [''Macrolepis'' von der Marck 1863 non Rafinesque 1815; ''Rhabdolepis'' von der Marck 1863 non Troschel 1857; ''Petalolepis'' Geints 1868]

참조

[1] 논문 A review of Jurassic and Early Cretaceous otoliths and the development of early morphological diversity in otoliths
[2] 논문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Living and Fossil Ray-Finned Fishes (Actinopterygii)
[3]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4] FishBase
[5] 웹사이트 Elopiformes – Tarpons and Tenpounders http://www.helsinki.[...] 2016-12-30
[6]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7] 논문 Family-group names of recent fishes https://biotaxa.org/[...]
[8] 논문 A new Palaeocene Megalopidae (Teleostei, Elopomorpha) from the phosphate basins of Morocco https://www.tandfonl[...] 2018-02-25
[9] 뉴스 34年前は9種類、東京・北区の川に魚35種類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18-10-25
[10] 서적 Fishes of the world (4th edn) John Wiley and Sons
[11] 문서 日本の海水魚
[12]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13] FishBase
[14] 웹사이트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 Version 4 https://sites.google[...]
[15] 웹사이트 Study Resolves 50-Year Dispute of Teleost Fishes Ancestral Lineage https://www.fau.edu/[...]
[16] 웹사이트 Genome structures resolve the early diversification of teleost fishes https://hal.scien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