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당인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당인춤은 일본 각지에서 행해졌던 예능으로, 조선 통신사를 모방한 형태를 띤다. 기원에 대해서는 중국, 류큐 사절, 조선 통신사, 조선인 포로, 남만인 등 다양한 설이 존재하며, 지역에 따라 주류 설이 다르다. 현재 미에현 쓰시의 분베초 당인춤, 미에현 스즈카시의 히가시타마가키초 당인춤, 오카야마현 세토우치시 우시마도초의 당자춤 등이 전승되고 있다.

2. 명칭

당인춤은 '唐人踊' 또는 '唐子踊'으로 표기되며, '도진오도리' 또는 '가라코오도리'로 읽는다.[5]

3. 기원에 대한 설

당인춤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제기되고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세토우치시 우시마도초의 토코오도리 기원 관련 설:
  • * 진구 황후의 삼한 개선 시 기원설
  • * 현지 창작설
  • '''나가사키의 토진야시키에 거류하던 중국인들이 연주하던 예능이 각지로 전해졌다는 설
  • 에도 상경의 류큐 사절이나 조선 통신사에 수행하던 악대와 곡예사 등을 본뜬 설
  • 임진왜란·정유재란에 의해 끌려온 조선인 포로가 전했다는 설
  • 남만인(유럽인)의 풍속에 영향을 받았다는 설[6]


어느 설이 주류인지에 대해서도 지역에 따라 다양하며, 아직 결정적인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3. 1. 조선 통신사 기원설

에도 시대 조선 통신사의 행렬을 모방했다는 설이다. 조선 통신사는 일본에 선진 문물을 전파하는 역할을 했으며, 그 행렬은 화려하고 이국적인 모습으로 일본인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1][2]

미에현 쓰시의 분베초 당인춤, 미에현 스즈카시 히가시타마가키초의 당인춤, 오카야마현 세토우치시 우시마도초의 당자춤 등이 조선 통신사에서 유래하여 현재까지 전승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로 조선 통신사가 통과한 지역은 오카야마현 세토우치시뿐이며, 쓰시와 스즈카시에 이러한 예능이 남아 있는 이유는 확실하지 않다.

로널드 토비는 쓰시의 당인춤이 정유재란 때 쓰 번의 시조 도도 다카토라가 연행한 조선인 포로 중 장군이 주역이라고 주장하며, 쓰시가 통신사의 여정에서 벗어나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2]

축제에서 조선 통신사로 분장한 행렬은 에도의 산노제, 간다제, 나고야의 도쇼구제, 와카야마의 도쇼구제, 가와고에의 히카와 제례, 쓰치우라 기온제 등에서도 볼 수 있다. 이들 축제에서는 조선 통신사의 모습을 본뜬 연극이 부제로 공연되기도 한다.

쓰시의 분베초 당인춤은 간에이 13년(1636년)부터 이어져 온 향토 예능으로, 쓰 마쓰리의 전신인 하치만 신사 제례 행사에서 시작되었다.[1] 춤은 조선 통신사를 본뜬 것으로 여겨지며, 대열을 이루어 멈춰 서서 나팔을 불고 피리와 북소리에 맞춰 "환희의 춤"을 춘다.[2] 1991년(헤이세이 3년)에는 "당인춤 부 대기 1류"가 미에현 무형 민속 문화재로 지정되었다.[2]

스즈카시의 당인춤은 매년 4월 우두천왕신사 봄 축제에서 사자춤과 함께 행해지며,[3] 1976년(쇼와 51년) 스즈카시 지정 민속 문화재로 지정되었다.[4] 조선의 농민 무용이 기원이라고 알려져 있다.

3. 2. 중국 기원설

나가사키의 토진야시키에 거류하던 중국인들이 연주하던 예능이 각지로 전해졌다는 설이 있다.[6]

3. 3. 류큐 사절 기원설

덴포 3년(1832년)의 류큐 사절


에도 상경 때 류큐 사절단에 수행하던 악대와 곡예사 등을 본떴다는 설이 있다.[6]

3. 4. 조선인 포로 기원설

임진왜란·정유재란 때 일본으로 끌려온 조선인 포로들이 전했다는 설이 있다.[6]

3. 5. 남만인(유럽인) 기원설

남만인(유럽인)의 풍속에 영향을 받았다는 설이 있다.[6]

4. 각지의 당인춤

조선 통신사에서 유래되어 현재까지 전승되는 당인춤으로는 미에현 쓰시의 분베초 당인춤, 미에현 스즈카시 히가시타마가키초의 당인춤, 오카야마현 세토우치시 우시마도초의 당자춤이 있다.

이 중 실제로 조선 통신사가 통과한 지역은 오카야마현 세토우치시뿐이며, 조선 통신사가 통과하지 않은 쓰시와 스즈카시에 이러한 예능이 남아 있는 이유는 확실하지 않다.

축제에서 조선 통신사로 분장한 행렬이 나타난 다른 사례로는 에도의 산노제, 간다제, 나고야의 도쇼구제, 와카야마의 도쇼구제, 가와고에의 히카와 제례, 쓰치우라 기온제 등에서 조선 통신사의 모습을 취한 연극이 부제로 공연되기도 했다.

4. 1. 분베초 당인춤 (미에현 쓰시)

간에이 13년(1636년)부터 이어져 온 시를 대표하는 향토 예능 중 하나이다. 쓰 마쓰리의 전신인 하치만 신사 제례 행사로 분베초에서 시작되었다.[1] 춤은 조선 통신사를 본뜬 것으로 여겨진다.[2] 대열을 이루어 멈춰 서서 나팔을 불고, 피리와 북소리에 맞춰 "환희의 춤"을 춘다.

1991년(헤이세이 3년) 3월 26일, "당인춤 부 대기 1류"가 미에현 무형 민속 문화재로 지정되었다.[2]

로널드 토비에 따르면, 제례에서 행해지는 것은 "조선통신사 행렬"이지만, 그 주역은 조선통신사가 아니라 조선의 장군이다. 정유재란 때 쓰 번의 시조 도도 다카토라가 연행한 수백 명의 조선인 포로 중에 있던 장군이라고 생각하는 편이 자연스럽다고 한다. 또한, 쓰가 통신사의 여정에서 벗어나 있다는 점도 지적하고 있다.

  • [https://www.bunka.pref.mie.lg.jp/bunkazai/da/daItemDetail?mngnum=730906&pageCur=4&hiddenSpetype_id=09 당인춤] - 미에현 교육위원회
  • [https://tsumatsuri.info/group/tojin-odori/ 분부마치 당인춤 보존회] - 쓰마쓰리

4. 2. 히가시타마가키초 당인춤 (미에현 스즈카시)

매년 4월, 우두천왕신사의 봄 축제에서 사자춤과 함께 행해진다.[3] 1976년 4월 1일, 스즈카시 지정 민속 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4] 조선 농민 무용이 기원이라는 설이 있다.

4. 3. 우시마도초 당인춤 (오카야마현 세토우치시)

스사노오 신사(역신사)의 가을 예제에서 봉납되는 치고마이이다. 화려한 의상을 입은 남자아이 두 명이 독특한 춤을 춘다. 의상, 춤, 노래는 조선풍이라고 하나, 그 의미와 기원은 불분명하다.[5] 1960년 8월 23일, 오카야마현 중요 무형 민속 문화재로 지정되었다.[5]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5]

  • 삼한 기원설: 진구 황후가 삼한으로부터 개선할 때 시작되었다는 설.
  • 조선 통신사 기원설: 조선에서 통신사가 왔을 때 전해졌다는 설.
  • 중국 기원설: 당인춤의 노래는 중국어로 해석할 수 있다는 설.
  • 현지 창작설

5. 조선 통신사 분장 행렬

축제에서 조선 통신사로 분장한 행렬이 나타난 다른 사례로는, 에도의 산노제, 간다제, 나고야의 도쇼구제, 와카야마의 도쇼구제, 가와고에의 히카와 제례, 쓰치우라 기온제 등에서 조선 통신사의 모습을 본뜬 연극이 부제로 공연된 것이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分部町唐人踊り保存会 https://tsumatsuri.i[...] 津まつり 2022-11-27
[2] 웹사이트 唐人踊 https://www.bunka.pr[...] 三重県教育委員会 2022-11-27
[3] 웹사이트 広報すずか https://www.city.suz[...] 鈴鹿市 2022-11-27
[4] 웹사이트 鈴鹿市の文化財一覧 https://www.city.suz[...] 鈴鹿市 2022-11-27
[5] 웹사이트 唐子踊(疫神社) https://www.pref.oka[...] 岡山県 2022-11-27
[6] 문서 勢州一志郡八幡宮祭礼 뉴욕 공공 도서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