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관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관군은 평안북도 중부에 위치한 군으로, 1952년 북한의 행정 구역 개편으로 신설되었다. 군역의 대부분이 산림으로 덮여 있으며, 대령강이 군의 중앙부를 관통한다. 북쪽으로 삭주군·창성군, 동쪽으로 동창군, 남쪽으로 태천군·구성시, 서쪽으로 천마군과 접한다. 주요 산업은 임업으로, 평안북도 최대의 목재 생산지이며, 옥수수 재배도 이루어진다. 평북선이 군을 남북으로 지나며, 팔영역, 대령강역, 신온역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안북도의 군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 평안북도의 군 - 동창군
동창군은 평안북도 동부의 산악 지형에 위치하며 자강도와 경계를 접하고 1952년 창성군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군으로, 금, 은, 인회석 등의 광업이 주요 산업이며 옥수수 경작과 소규모 수력 발전이 이루어지고 1개의 읍, 1개의 로동자구, 16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 - 1952년 설치 - 평양시
평양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대동강이 관통하는 평양 평야에 위치하며 오랜 역사를 지닌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다. - 1952년 설치 - 우시군
우시군은 북한 자강도 서쪽 끝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접경하고, 1952년 벽동군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으며, 수자원이 풍부하지만 철도가 없어 도로 교통에 의존하고 농업 중심의 낙후된 경제 구조를 가진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평안북도
평안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의주를 도청 소재지로 하여 3개의 시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록강과 청천강을 주요 하천으로 하며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대관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이름 | 태관군 |
원어 이름 | 대관군 (大館郡)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 Taegwan-gun |
로마자 표기 (개정 로마자) | Daegwan-gun |
국가 | 북한 |
도 | 평안북도 |
면적 | 865km² |
인구 (2008년) | 69,565명 |
행정 구역 | 1읍, 1 노동자구, 22리 |
행정 구역 정보 | |
읍 | 1개 |
노동자구 | 1개 |
리 | 22개 |
2. 지리
평안북도 중부의 산악 지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군역의 83%를 삼림이 차지하고 있다. 서쪽의 천마군과의 경계에 우뚝 솟아있는 천마산 등에 둘러싸인 지세이며, 군내에서 발원한 대령강이 군역의 중앙부를 남쪽으로 흐르고 있다.
대관은 상대적으로 비가 많은 기후로 연평균 강수량은 1300mm이다. 연평균 기온은 7°C이고 1월 평균기온은 -11.2°C, 7월 평균기온은 22.5°C이다.
북쪽으로 삭주군·창성군, 동쪽으로 동창군, 남쪽으로 태천군·구성군, 서쪽으로 천마군과 접한다. 대관군의 경계는 산악 지형으로, 북쪽에는 강남산맥, 서쪽에는 천마산맥이 솟아 있다. 대령강은 군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많은 급류의 작은 하천들이 이곳으로 합류한다.
대관군은 광복 이후, 북한의 행정구역 재편에 의해서 신설된 군이다.[4]
3. 역사
대관읍 | 양산리 | 평화리 | 수동리 | 개혁리 | 수룡리 | 신광리 | 송남리 | 운창리 | 운림리 |
---|---|---|---|---|---|---|---|---|---|
수원리 | 명상리 | 신온리 | 오봉리 | 원풍리 | 료하리 | 덕연리 | 답풍리 | 용산리 | 용창리 |
남장리 | 대안리 | 노흥리 | 청계리 | 금창리 | 용성리 | 덕하리 | 신상리 | 용흥리 |
- 1954년: 용흥리가 수동리·신상리에 분할 편입되었다.(1읍 27리)[4]
- 1958년 6월: 개혁리가 태천군에 편입되었다.(1읍 26리)[4]
- 1967년: 수룡리가 대관읍에 편입되었다.(1읍 25리)[4]
- 1987년: 수동리·용성리·덕하리가 신상리에 편입되었다.(1읍 22리)[4]
- 1989년 11월: 수동리, 용성리, 덕하리가 신상리에 합병되었다.[4]
현재는 1읍 1노동자구 25리로 구성되어 있다.[4]
4. 행정 구역
대관군은 1개의 읍 (대관읍), 1개의 로동자구 (송평로동자구)와 22개의 리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읍 | 로동자구 | 리 |
---|---|---|
대관읍 | 송평로동자구 | 신광리, 송남리, 운창리, 운림리, 수원리, 명상리, 신온리, 오봉리, 원풍리, 료하리, 량산리, 덕연리, 답풍리, 룡산리, 룡창리, 남장리, 대안리, 로흥리, 청계리, 금창리, 평화리, 신상리 |
5. 기후
대관군은 비교적 비가 많이 내리는 기후를 보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1300mm이다. 평균 기온은 7°C이며, 1월 평균 기온은 -11.2°C, 7월 평균 기온은 22.5°C이다.[1]
6. 산업
대관군 면적의 83%가 산림이고, 경작지는 8.5%에 불과하다. 대부분 밭이며, 주요 작물은 옥수수이다. 임업은 목재 생산뿐만 아니라 야생 약초와 과일 채취를 포함하며, 이 지역의 주요 산업이다. 대관군은 평안북도 최대의 목재 생산지이고, 특히 광업과 건설업 장비에 많이 사용된다. 금과 흑연이 생산되며, 대령강에서는 소규모 수력발전도 이루어진다.[2]
7. 교통
정주시와 삭주군 청수를 연결하는 철도인 평북선이 군내를 남북으로 가로지르고 있다.[1] 평북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에 의해 운영되며, 정주청년역과 청수역 사이를 지나 대관군을 경유한다.[1]
- 평북선
- * 팔영역 - 대령강역 - 신온역
- 대관리선
- * 신온역 - 대관리역
8. 교육
대관군에는 대관 기술학교 등의 교육 기관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s://www.citypopu[...]
[2]
웹사이트
No. 301 Factory
https://www.nti.org/[...]
Nuclear Threat Initiative
2003-03-01
[3]
웹사이트
Missile Bases & Major Underground Sites
https://mynorthkorea[...]
AccessDPRK
2019-10-23
[4]
웹사이트
평안북도 대관군 역사
http://www.cybernk.n[...]
[5]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00-00 # 년도만 제공됨. 월일 정보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