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당창업기거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당창업기거주는 수나라 대업 13년(617년) 당 고조 이연 부자가 태원에서 거병한 때부터 무덕 원년(618년) 당 왕조가 개창되기까지 357일간의 사건을 일자별로 기록한 책이다. 저자는 온대아로, 이연의 대장군부기실참군을 지내며 문필 업무를 담당했다. 이 책은 당 왕조 수립 직후 당사자에 의해 정리된 기록으로, 저자가 직접 보고 들은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사료적 가치가 높게 평가받는다. 상, 중, 하 3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원 거병부터 당나라 건국까지의 과정을 다룬다.

2. 저자

저자는 온대아이다. 그는 수나라 말기 이연(당 고조)이 거병할 때 대장군부 기실참군(大將軍府記室参軍)으로 합류하여 문서를 담당했다. 온대아는 자신이 직접 보고 들은 내용을 바탕으로 이 책을 저술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는 《대당창업기거주》가 당나라 건국 과정을 생생하게 담은 1차 사료로서 높은 가치를 지니게 하는 요인이다.

이 책은 무덕 원년(618년)에 완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기거주 형식의 기록일 가능성이 있다. 비록 후대의 사서들이 당 태종 이세민의 공적을 부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과 달리, 《대당창업기거주》는 당 고조은태자 건성의 역할도 비중 있게 다루어 실제 봉기 상황을 비교적 균형 있게 기록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다만, 부분적으로 《구당서》, 《신당서》, 《자치통감》 등 다른 사료와 기록이 다른 부분이 있어 교차 검토가 필요하다.

2. 1. 온대아

저자 온대아(? ~ 628년경)는 자가 언홍(彦弘)이며, 병주 기현(지금의 산시성 치현) 출신이다. 수나라에서는 동궁학사(東宮學士)와 장안현위(長安縣尉)를 지냈다. 이후 이연(당 고조)의 대장군부 기실참군(大將軍府記室参軍)이 되어 주로 문서를 다루는 업무를 맡았다. 당나라가 건국된 후에는 황문시랑(黄門侍郞), 공부시랑(工部侍郞), 예부상서(禮部尙書)를 역임했다. 온대아는 《대당창업기거주》에 자신이 직접 보고 들은 내용만을 기록했다고 전해지며, 이 점은 이 책의 사료적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받는다.

3. 구성

이 책은 (隋) 대업(大業) 13년(617년), 당의 고조 이연 부자가 태원에서 군사를 일으킨 때부터 무덕(武徳) 원년(618년), 당 왕조가 세워지기까지 357일간의 사건을 날짜별로 기록한 기거주 형식의 역사서이다.

원래 제목은 《창업기거주》(創業起居注)였으며, 이것이 표제 그대로 당시의 "기거주"였다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기거주가 된다. 또한, 당나라 건국 직후 건국 당사자였던 문관 온대아가 직접 보고 들은 내용을 정리한 기록이므로 근본적인 1차 사료로서 가치가 높다.

후대에 태종 이세민의 치세에 편찬된 『고조실록』 등의 사료들이 당 건국의 공적을 이세민의 활약으로 돌리는 경향을 보이는 것과 달리, 이 책은 고조 이연, 태자 이건성, 차남 이세민의 활약을 비교적 동등하게 다루고 있어 실제 거병 당시의 상황을 더 가깝게 기록한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부분적인 기술은 《구당서》, 《신당서》, 《자치통감》과 내용이 다른 부분이 있어 상호 비교하며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연의 즉위에 대해 혜화라는 비구니와 위원숭이 지었다는 참언(예언)이 미리 유포되어 도움을 주었다는 기술이 하권 마지막 부분에 나타난다.

본서는 총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 상권: 의병 봉기부터 출발까지 48일간의 기록.
  • 중권: 태원 출발부터 장안 입성까지 126일간의 기록.
  • 하권: 섭정부터 즉위까지 183일간의 기록.

3. 1. 상권

기의(起義), 즉 이연태원 거병부터 출발하기까지 48일간의 사건들을 다룬다.

3. 2. 중권

이연이 태원에서 군사를 일으킨 후, 수나라의 수도였던 장안에 입성하기까지 126일 동안의 사건들을 다룬다.

3. 3. 하권

이연이 공제(恭帝)를 섭정한 시점부터 선양을 받아 즉위하기까지 183일간의 사건들을 다룬다.

4. 사료적 가치

《대당창업기거주》는 대업 13년(617년) 당 고조 이연 부자가 태원에서 군사를 일으킨 때부터 당나라를 세운 무덕 원년(618년)까지 약 1년간(357일)의 사건을 날짜별로 기록한 책이다. 저자 온대아는 당시 이연의 막부에서 문서를 담당했던 인물로, 자신이 직접 보고 들은 내용을 바탕으로 기록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높다.

무덕 원년(618년)에 완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원래 제목은 《창업기거주》(創業起居注)였다. 만약 이 제목이 사실이라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기거주에 해당하며, 당나라 건국 직후 당사자가 직접 남긴 근본적인 1차 사료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후대에 태종의 영향 아래 편찬된 사서들이 건국의 공을 주로 이세민에게 돌리는 경향과 달리, 이 책은 이연이나 태자 이건성의 활약도 비교적 동등하게 다루고 있어 건국 당시의 상황을 보다 균형 있게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다만, 《구당서》, 《신당서》, 《자치통감》 등 다른 주요 사서들과 내용상 차이를 보이는 부분도 있어 상호 비교 검토가 필요하다.

4. 1. 1차 사료

무덕 원년(618년)에 성립된 것으로 보이며, 원래 제목은 《창업기거주》(創業起居注)이다. 이 제목이 맞다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기거주이며, 당나라 건국 직후 사건 당사자인 문관(온대아)이 직접 보고 들은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한 기록이라는 점에서 근본적인 1차 사료로서 가치가 높다.

당 고조 시대를 다룬 《고조실록》(高祖實錄) 이후의 사료들은 당 태종 시대에 편찬되어 당 건국 공적을 이세민 중심으로 서술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이 책은 이연, 태자 이건성, 이세민의 활약을 비교적 동등하게 다루고 있어 실제 거병 상황을 더 잘 반영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다만, 부분적으로 《구당서》, 《신당서》, 《자치통감》과 내용이 다른 부분이 있어 상호 비교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이연의 즉위와 관련하여 혜화 비구니와 위원숭이 퍼뜨린 참언(예언)에 대한 기록이 하권 마지막 부분에 나타난다.

4. 2. 균형 잡힌 시각

《대당창업기거주》는 당나라 건국 과정에서 당 고조 이연뿐만 아니라, 태자 이건성과 차남 이세민의 활약을 비교적 동등한 비중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는 후대에 편찬된 사서, 특히 태종의 치세에 정리된 기록들이 건국의 공을 주로 이세민에게 돌리는 경향을 보이는 것과 대조된다. 이러한 점에서 《대당창업기거주》는 건국 당시의 실제 상황을 보다 균형 있게 반영한 기록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그러나 부분적으로는 《구당서》, 《신당서》, 《자치통감》 등 다른 주요 역사서와 기록이 다른 부분도 존재하므로, 연구 시에는 이들 사료와의 상호 비교 검토가 필수적이다. 또한, 책의 말미에는 이연의 즉위를 정당화하는 혜화 비구니와 위원숭의 예언에 대한 내용도 기록되어 있다.

4. 3. 다른 역사서와의 비교 연구

《대당창업기거주》는 태종 시대 이후 편찬된 사료들과 중요한 차이점을 보인다. 고조 시대의 일을 기록한 《고조실록》(高祖實錄) 이후의 사료들은 태종의 영향 아래 편찬되었기 때문에, 당나라 건국의 공적을 주로 이세민의 활약으로 돌리는 경향이 나타난다. 반면, 《대당창업기거주》는 고조 이연이나 은태자(隱太子) 이건성의 활약에 대해서도 이세민과 동등하게 다루고 있어, 실제 봉기 당시의 상황을 비교적 객관적으로 기록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부분적인 기술에서는 《구당서》, 《신당서》, 《자치통감》 등 후대의 주요 사서들과 내용상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존재하므로, 이들 사료와의 상호 비교 및 교차 검토를 통해 내용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고조 이연의 즉위 과정과 관련하여, 혜화(慧化)라는 비구니와 위원숭(衛元嵩)이 지어 퍼뜨렸다는 참언(讖言), 즉 예언시가 미리 유포되어 즉위를 도왔다는 기술이 하권 마지막 부분에 나타나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5. 판본


  • 각종 총서 수록본
  • * 『비책휘함』
  • * 『진대비서』
  • * 『학진토원』
  • * 『우향령습』
  • * 『총서집성』 초편
  • 현대 통행본
  • * 이계평, 이석후 점교본, 1983년, 상해고적출판사.
  • * 추록명 전증본, 2022년, 중화서국.

6. 평가

《대당창업기거주》는 저자 온대아당 고조 이연의 거병부터 당 왕조 개창까지의 과정을 직접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1차 사료로서 가치가 높다. 온대아는 왕조에서 동궁학사(東宮學士), 장안현위(長安縣尉) 등을 지내다 이연의 대장군부기실참군(大將軍府記室参軍)이 되어 문서를 다루는 일을 맡았으며, 건국 후에는 황문시랑(黄門侍郞), 공부시랑(工部侍郞), 예부상서(禮部尙書) 등 고위 관직을 역임한 인물이다.

이 책은 무덕 원년(618년)에 완성된 것으로 보이며, 원래 제목은 《창업기거주》(創業起居注)였다. 이 제목이 맞다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기거주일 가능성이 있다. 당 왕조 수립 직후 그 과정을 직접 겪은 문관에 의해 정리된 기록이라는 점에서 근본적인 1차 사료로 평가받는다. 그 기술 내용은 모두 저자 온대아 자신이 보고 들은 것으로 작성되었으며, 이는 책의 사료 가치를 높이는 요인이다.

후대에 당 태종 이세민의 공적을 중심으로 서술된 《고조실록》(高祖實錄) 이후의 사료들과 달리, 이 책은 당 고조은태자 건성의 활약도 비교적 동등하게 다루고 있어, 실제 당나라 건국 초기 상황을 기록한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부분적으로 《구당서》, 《신당서》, 《자치통감》 등 다른 주요 사서들과 기록이 다른 부분이 있어 교차 검토가 필요하다. 책의 하권 마지막 부분에는 당 고조의 즉위와 관련하여 혜화(慧化)라는 비구니와 위원숭(衛元嵩)이 퍼뜨렸다는 참언(讖言)에 대한 기술이 포함되어 있는 점도 특징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