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628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628년은 연호, 기년, 사건, 문화, 교육, 탄생, 사망 등 다양한 내용이 기록된 해이다. 신라에서는 대기근이 발생했고, 동로마 제국은 사산조 페르시아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영토를 회복했다. 일본에서는 개기일식이 관측되었고, 스이코 천황이 사망했으며, 센소지가 창건되었다. 브라마굽타는 수학 저서를 저술했고, 당 고종, 아도난 등이 탄생했으며, 호스로 2세, 스이코 천황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628년
지도 정보
연도 정보
주요 사건
정치 및 사회적 사건에도윈, 노섬브리아의 왕으로 등극 (616년 - 632년)
에드발드, 이스트앵글리아의 왕으로 등극 (627년 - 647년)
카르타헤나, 서고트 왕국에 의해 약탈당함
고트족이 세비야를 약탈함
무함마드가 메카에서 메디나로 이주함 (헤지라, 이슬람력 원년)
당나라에서 동돌궐을 멸망시킴
문화 및 기술적 사건쓰리랑카에서 산스크리트어 문법을 정리한 『싯다르타』가 출판됨
일본에서 쇼토쿠 태자가 사망함
중국에서 『진서』가 편찬됨
종교적 사건파울루스 1세,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로 임명됨
혼도리우스, 라벤나 대주교로 임명됨
에도윈, 기독교로 개종함
무함마드가 후다이비야 조약을 맺음
인물
출생콘스탄티누스 2세, 비잔티움 황제 (641년 사망)
에르메네길드, 스페인 왕족 (630년 사망)
후지하라노 가마타리, 일본 귀족 (669년 사망)
사망쇼토쿠 태자, 일본 섭정 (574년 출생)
보소, 동프랑크 왕국의 귀족
오바인, 브리튼의 왕
에르메네길드, 스페인 왕족 (628년 출생)
기타
연도별 목록628년 출생
628년 사망
628년 설립
628년 해체
628년 정치적 사건
628년 문화적 사건
628년 종교적 사건

2. 연호

3. 기년

국가연호왕력
정관 2년태종 2년
신라건복 45년진평왕 50년
고구려영류왕 11년
백제무왕 29년
기타
간지무자(戊子)
일본추고 천황 36년, 황기 1288년
단기2961년


4. 사건


  • 627년 신라에 큰 서리 피해(大霜害)가 발생하여 대기근으로 백성들이 자기 자식을 잡아먹는 지경에 이르렀다.[1]
  • 4월 10일 (추고 천황 36년 3월 2일) - 일본 열도 동쪽 태평양 상공에서 개기일식이 발생하였다. 『일본서기』에 기록된 최초의 일식 기록이다.
  • 4월 15일 (추고 천황 36년 3월 7일) - 추고 천황이 다무라 왕자(후의 쇼토쿠 천황)와 야마시로 오에 왕에게 유언을 남기고 붕어하였다.
  • 9월 - 유조를 둘러싸고 신하들의 다툼이 발생하여, 다무라 왕자를 지지하는 소가 에미시가 야마시로 오에 왕을 지지하는 일족인 소가 사카베 마리세를 죽였다.
  • 도쿄도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 센소지가 창건되었다.

4. 1. 동로마 제국과 사산조 페르시아

사산조 페르시아가 점령했던 동로마 제국의 모든 영토가 동로마 제국에 반환되었다.[1]

  • 1월 - 동로마 제국 군대가 사산조 페르시아 황궁을 점령하였다.
  • 3월 - 사산조 페르시아 수도 크테시폰에서 반란이 일어나 호스로우 1세가 폐위되어 처형당하고 셰로에가 황위에 올랐다.
  • 4월 3일 - 사산조 페르시아가 동로마 제국에 정식으로 항복하였다.
  • 9월 14일 - 동로마 제국 헤라클리우스가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개선식을 가졌다.
  • 봄 - 비잔티움-사산조 전쟁: 헤라클리우스 황제가 호스로 2세에게 평화를 위한 최후통첩을 발표했지만, 호스로 2세는 그의 관대한 조건을 거부했다. 전쟁에 지친 페르시아인들은 크테시폰에서 호스로 2세 정권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고 그의 아들 카바드 2세를 왕위에 앉혔다. 카바드 2세는 아버지를 죽이고 헤라클리우스와 협상을 시작했다. 카바드 2세는 전쟁 중 빼앗긴 모든 영토를 반환해야만 했다. 페르시아인들은 전리품으로 획득한 모든 것(참십자가 유물 포함)을 포기해야 했고, 상당한 금전적 전쟁 배상금도 지불해야 했다. 헤라클리우스는 자신의 조건으로 평화 협정을 체결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개선하여 돌아왔다.[1]
  • 2월 25일 – 사산 왕조의 마지막 위대한 왕 호스로 2세가 그의 아들 카바드 2세에 의해 폐위되었다.
  • 9월 6일아르다시르 3세가 7세의 나이로 아버지 카바드 2세가 전염병으로 사망하자 사산 왕조의 24대 왕으로 즉위했다.

4. 2. 브리튼 제도

시렌체스터 전투: 메르시아의 펜다 왕이 서섹스인들을 글루스터셔주 시렌체스터(잉글랜드 남서부)에서 패퇴시켰다. 협정을 맺은 후, 그는 세번 계곡과 휘케 왕국을 장악했다.[3][4]

4. 3. 아라비아

무함마드는 이슬람의 예언자로, 약 1,400명의 추종자들을 이끌고 메카순례를 떠났지만, 통행이 막혔다. 쿠라이시 부족과 메디나무슬림 공동체는 10년간의 휴전 협정(후다이비야 조약)을 체결했다.[1]

5. 문화

브라마굽타가 초기이면서도 매우 발전된 수학 책인 브라마스푸타싯단타를 저술하였다.

6. 교육

샤리아는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세속 및 종교 교육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1] 또한 돼지고기, 집돼지 및 모세 율법에 의해 유대인들에게 금지된 다른 고기를 먹는 것을 금한다.[1]

7. 탄생


  • 7월 21일 - 당 고종, 중국 당나라의 제3대 황제[1]
  • 아도난(Adomnán), 아일랜드의 수도원장이자 전기 작가 (704년 사망)
  • 베네딕트 비스콥(Benedict Biscop), 앵글로색슨 수도원장 (690년 사망)
  • 요한 마론(John Maron), 시리아의 수도승이자 총대주교 (707년 사망)

8. 사망

참조

[1] 서적 Heraclius: Emperor of Byzantiu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Christian 283; Artamanov
[3] 웹사이트 The Anglo-Saxon Chronicle http://omacl.org/Agl[...]
[4] 서적 The Chronology of British History Century Lt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