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동교 (평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동교는 평양의 대동강을 가로지르는 다리이다. 1923년 11월에 완공되어 사람과 차량의 통행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대동강을 건너는 유일한 인도교였다. 한국 전쟁 중 파괴되었으나 이후 복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동강의 교량 - 벽라교
    벽라교는 일제강점기 평양의 모란봉과 능라도를 잇던 다리로, 능라도 수원지의 정제된 물을 평양 시내에 공급하는 수도관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 대동강의 교량 - 대동강철교
    대동강철교는 1905년 경의선 건설 당시 대동강에 놓여 대동강역과 평양역을 연결하고 양각도를 지나는 철교로, 러일 전쟁 물자 수송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나 잦은 수해로 철교로 대체, 복선화되었고 한국 전쟁 때 파괴 후 복구되어 현재에 이른다.
  • 평양시의 건축물 - 동평양대극장
    동평양대극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에 위치한 극장으로, 혁명가극, 연극 공연과 조선로동당 집회가 열리며, 현대적인 시설을 갖추고 있다.
  • 평양시의 건축물 - 금수산태양궁전
    평양에 위치한 금수산태양궁전은 김일성과 김정일의 시신이 안치된 기념궁전으로, 과거 김일성의 관저였던 건물을 개조하여 건설되었으며, 웅장한 건축물과 전시물을 갖추고 김씨 일가 우상화 수단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대동교 (평양)
지도
기본 정보
이름대동교
한글대동교
한자
로마자 표기Daedonggyo
조선어 표기Taedonggyo
위치 정보
위치평양, 북한
통과 지점대동강
역사
건설1905년
파괴한국 전쟁 중 파괴
재건한국 전쟁 이후 재건
기타 정보
관련 사건1950년 12월 유엔군 철수 당시 폭파
BBC 아카이브 관련 보도 존재: 평양 함락 당시 유엔군 철수
추가 정보옥류교-대동교 대동강변 옹벽공사 완료 (2015년)

2. 역사

대동강을 건너는 다리는 고구려 시대에도 있었다는 것이 최근의 발굴 조사로 알려졌다.[5] 최초의 현대식 교량은 경의선을 부설하면서 놓은 대동강철교로 1905년 3월 24일 준공되었으며, 기차 통행을 위한 것이었다.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쳐 광복되었으나, 한국 전쟁 시기 폭격으로 파괴되었다가 전후에 복구되었다.[16]

2. 1. 일제강점기

최초의 현대식 교량은 경의선 부설과 함께 놓인 대동강철교로, 1905년 3월 24일에 준공되어 기차 통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모란봉(牡丹峰)에서 릉라도(綾羅島)를 잇는 벽라교(碧羅橋)가 1910년경 건설되었는데, 이 다리는 릉라도 수원지에서 정제된 물을 평양 시내에 공급하기 위한 대형 수도관을 설치한 것이었다.[5]

사람과 차량 통행을 위한 최초의 다리는 1923년에 건설된 대동교(大同橋)이다. 1920년 무렵 평양의 시세가 팽창하면서 인도교 건설 요구가 높아졌다.[6] 1918년부터 다리 건설 지점 선정, 공법, 예산 충당 방안 등에 대한 검토가 시작되었고,[7] 1923년 11월에 완공되었다. 11월 30일 개통식에는 사이토 마코토(齋藤 實) 당시 조선 총독이 참석하여 도교식(渡橋式)을 가졌다.[8][9] 같은 날, 평안남도 상품진열소(현재의 당창건사적관)도 총독 참석 하에 낙성식을 거행했다.[10]

대동교는 철교(鐵橋)라고도 불렸기 때문에 대동강철교와 혼동되기도 하지만, 이는 잘못된 것이다.[11] 여기서 철교는 철재로 만들어진 다리(Steel Bridge)를 의미하며, 기차가 다니는 철도교(Railroad Bridge)를 뜻하는 것이 아니다. 개통 당시 대동교를 지나는 전차 노선이 신설되었기 때문에[12] 철교로 불렸을 가능성도 있지만, 1905년 건설된 대동강철교와 혼동을 야기하기도 한다. 평양의 전차 노선은 1923년 5월 20일에 처음 개통되었다.[13]

대동교는 해방 전까지 대동강을 건너는 유일한 인도교였다.[14] 1943년, 대동강 제2인도교 건설에 대한 조선총독부의 인가가 있었으나, 전쟁과 일본의 패전에 이은 8.15 해방으로 인해 건설은 무산되었다.[15]

2. 2. 해방 이후 ~ 한국전쟁

대동교는 해방될 때까지 대동강을 건너는 유일한 인도교였다.[14] 1943년에 대동강 제2인도교 건설에 대한 조선총독부의 인가가 났으나, 8.15 해방과 한국 전쟁으로 건설되지 못했다.[15] 한국 전쟁 시기 폭격으로 파괴되었다가 전후에 복구되었다.[16]

이 사진은 한국 전쟁의 참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이미지 중 하나로, 전쟁으로 인해 삶의 터전을 잃고 피난길에 오른 사람들의 모습을 생생하게 담고 있다. 특히 파괴된 대동교를 위태롭게 건너는 피난민들의 모습은 전쟁의 비극성과 인도주의적 위기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2. 3. 한국전쟁 이후 ~ 현재

3. 주요 다리

대동강을 건너는 다리는 고구려 시대에도 존재했다는 것이 최근 발굴 조사를 통해 알려졌다.[5] 최초의 현대식 교량은 경의선을 부설하면서 놓은 대동강철교로 1905년 3월 24일 준공되었으며, 기차 통행을 위한 것이었다. 일제강점기에 촬영된 사진에는 모란봉에서 릉라도(능라도)를 연결하는 벽라교(碧羅橋)가 나오는데, 1910년경 건설되어 해방 때까지 있었지만 지금은 없다.

사람과 차량 통행을 위해 최초로 건설된 다리는 1923년 준공된 대동교이다. 대동교는 해방될 때까지 대동강을 건너는 유일한 인도교였다.[14] 한국 전쟁 시기에 폭격으로 파괴되었다가 전후에 복구되었다.[16]

3. 1. 대동교

고구려 시대에도 대동강을 건너는 다리가 있었다는 사실이 최근 발굴 조사를 통해 알려졌다.[5] 최초의 현대식 교량은 경의선 부설과 함께 놓인 대동강철교로, 1905년 3월 24일에 준공되어 기차 통행을 위해 사용되었다.

일제강점기에 촬영된 사진에는 모란봉에서 릉라도(능라도)로 연결되는 벽라교(碧羅橋)가 보인다. 이 다리는 릉라도 수원지에서 정제된 물을 평양 시내에 공급하기 위해 대형 수도관을 부설한 다리로, 1910년경 건설되어 해방 때까지 존재했지만 지금은 사라졌다.

사람과 차량 통행을 위해 최초로 건설된 다리는 1923년에 완공된 대동교(大同橋)이다. 1920년 무렵 평양의 인구가 증가하고 도시가 발전하면서 인도교 건설 요구가 높아졌다.[6] 1918년부터 다리 건설 위치 선정, 공법, 예산 확보 방안 등에 대한 검토가 시작되었고,[7] 1923년 11월에 준공되었다. 11월 30일 다리 개통식에는 사이토 마코토 당시 조선 총독이 참석하여 다리를 처음 건너는 도교식(渡橋式)을 거행했다.[8][9] 같은 날 평안남도 상품진열소(현재의 당창건사적관)도 총독 참석 하에 낙성식을 가졌다.[10]

이 다리는 철교(鐵橋)라고도 불렸기 때문에 대동강철교와 혼동되어 1905년에 건설되었다고 알려지기도 했지만, 이는 잘못된 정보이다.[11] 여기서 철교(鐵橋)는 철재로 만들어진 다리(Steel Bridge)를 의미하며, 기차가 다니는 철도교(Railroad Bridge)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개통 당시 이 다리를 지나는 전차 노선도 개설되었기 때문에[12] 철교로 불렸을 가능성도 있지만, 1905년에 건설된 경의선의 일부인 대동강철교와 혼동되기도 한다. 평양에 전차 노선이 처음 개통된 것은 1923년 5월 20일이었다.[13]

대동교는 해방 전까지 대동강을 건너는 유일한 인도교였다.[14] 1943년 대동강 제2인도교 건설에 대한 조선총독부의 인가가 있었지만, 전쟁과 일본의 패전에 이은 8.15 해방으로 건설되지는 못했다.[15] 대동교는 한국 전쟁 중 폭격으로 파괴되었다가 전쟁 후에 복구되었다.[16]

4. 갤러리

2011년 8월 11일 사진. 1920년대 개통 초기 모습과 거의 같다.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Pyongyang Anthem Press
[2] 웹사이트 Pyongyang taken as UN retreats, 1950 https://www.bbc.co.u[...] 2021-08-22
[3] Google Maps 구글 지도 대동교 위치 보기 https://www.google.c[...]
[4] 뉴스 北, 평양 옥류교-대동교 대동강변 옹벽공사 완료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2015-06-08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대동강다리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6] 뉴스 평양시민 결의, 大同江 架橋 https://www.bigkinds[...] 每日申報 1921-03-07
[7] 뉴스 平壤人道鐵橋起工에 就하여 https://www.bigkinds[...] 每日申報 1918-02-09
[8] 뉴스 平壤大祝賀會(평양대축하회), 餘興等擧行方法決定, 十一部門등 大同江鐵橋開通式을 期하야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23-11-12
[9] 뉴스 大同橋, 개교식과 총독臨場 https://www.bigkinds[...] 每日申報 1923-12-01
[10] 해외사료총서 해외사료총서 15권 일본소재 한국사 자료 조사보고 Ⅲ > 미즈사와(水沢) 사이토마코토(斎藤実)기념관 소장 일제시기 사진자료 해제 > Ⅲ. 사이토의 식민통치 특성과 지방 순시
[11] Structurae Taedong Bridge https://structurae.n[...] Structurae (International Database and Gallery of Structures)
[12] 뉴스 평양전차구역확장, 승차규정을 개정하였다 https://www.bigkinds[...] 每日申報 1923-11-29
[13] 뉴스 평양 電車 개통식, 오는 20일에 성대히 거행, 전차 주의사항을 배부 선전 https://www.bigkinds[...] 매일신보(每日申報) 1923-05-17
[14] NK조선 대동강의 다리 http://nk.chosun.com[...] 2013-10-28
[15] 뉴스 朝鮮人市街中心 第二人道橋 架設 運動, 양각도 부근에 설치설로 平壤府民 期成會組織 http://db.history.go[...] 동아일보 1936-03-26
[16] 북한지역정보넷 대동교(大同橋) http://www.cybernk.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