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전교도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전교도소는 일제강점기인 1919년 5월 8일 대전군 대전면 중촌정(현 대전 중구 중촌동)에 대전감옥소로 개소하여, 1923년 대전형무소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주로 독립운동가들이 수감되었으며, 대한민국 건국 후 1961년 대전교도소로 개칭되었다. 1984년 현재 위치인 대전 유성구로 이전했으며, 2025년 유성구 방동으로 이전할 예정이다. 대전형무소 학살 사건, 교도관 피살 사건, 재소자 자살 사건 등의 사건이 있었으며, 부속기관으로 논산구치지소가 있다. 구 대전형무소 망루는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로 등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9년 완공된 건축물 - 진주 남악서원
    진주 남악서원은 김유신, 최치원 등의 영정과 위패를 모시고 있으며, 1919년에 재건되어 경주 서악서원의 이름을 본떠 남악서원이라 이름 지었다.
  • 1919년 완공된 건축물 - 중화민국 총통부
    중화민국 총통부는 국가원수인 총통의 직무 수행 기관으로, 1912년 쑨원의 임시 정부에서 기원하여 국공 내전 후 타이완으로 이전했으며, 조직법에 따라 다양한 부서와 고문단으로 구성되어 대외 관계 및 내부 정치적 과제에 직면해 있다.
  • 일제강점기의 형무소 - 서대문형무소
    서대문형무소는 1908년 일제에 의해 경성감옥으로 설립되어 1987년까지 사용된 한국 최초의 근대식 감옥으로, 독립운동가들이 투옥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광복 후에는 서울구치소로 이름이 바뀌어 사용되다가 서대문독립공원으로 조성되어 서대문형무소역사관으로 개관하여 현재는 역사 교육의 장이자 과거사 반성의 공간이다.
  • 일제강점기의 형무소 - 공주교도소
    공주교도소는 1908년 공주감옥으로 개설되어 공주형무소를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1978년 금흥동으로 이전했고, 한국 전쟁 중 학살 사건이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 대전 유성구의 건축물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과학기술 지식정보 인프라 구축 및 서비스 제공, 정보분석, 과학기술정보 유통, 슈퍼컴퓨팅 인프라 구축 및 운영을 통해 국가 과학기술 진흥과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대전 유성구의 건축물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은 1918년 지질조사소 설립을 시작으로 지질자원 개발, 기후변화 대응, 지질재해 연구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는 대한민국의 지질 및 자원 연구 전문 정부출연연구기관이다.
대전교도소
대전교도소 정보
이름대전교도소
영어 이름Daejeon Correctional Institution
설치 년도1919년
국가대한민국
주소대전광역시 유성구 한우물로66번길 6
상급 기관대전지방교정청
관할 지소대전교도소 논산지소

2. 역사

1919년 3·1 운동으로 수감 시설이 부족해지자 일제는 대전감옥을 신축했다. 대전감옥은 1919년 5월 8일 조선총독부령에 따라 대전군 대전면 중촌정(현 대전 중구 중촌동)에서 문을 열었다.[3] 1923년에는 대전형무소로 이름이 바뀌었고, 안창호, 여운형, 김창숙 등 주요 독립운동가들이 이곳에 수감되었다.

해방 후에도 형무소로 사용되다가 1961년에 대전교도소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정권 시절에는 시국사범, 전쟁포로, 남파공작원 등이 많이 수감되었으며, 중앙정보부, 보안사, 경찰 등이 상주하며 전향 공작을 펼쳤던 곳으로 악명이 높았다. 1984년 대전 유성구의 현 위치로 이전했으며, 2020년 10월 26일 최초의 대체복무요원 교육이 이곳에서 실시되었다. 2025년에는 유성구 방동으로 이전할 예정이다.

2. 1. 일제강점기 (1919년 ~ 1945년)

1919년 전국적으로 3.1운동 만세시위가 일어나자 일제는 부족한 수감 시설을 확충하기 위해 여러 지역에 대전감옥소를 신축하게 된다. 대전감옥 역시 이러한 이유로 인해 1919년 5월 8일 조선총독부령 86호에 의해 대전군 대전면 중촌정(현 대전 중구 중촌동)에서 개소하게 되었다. 일제가 대전감옥 신설을 계획한 것은 이보다 앞선 1917년부터였고, 1918년에 대전감옥 부지 대부분을 매입했고, 감옥 설계도도 제작했다.[3]

1923년 대전형무소로 이름이 바뀐 대전교도소는 주로 비중있는 독립운동가들이 수감되는 곳이었다. 이를 위해 조선총독부는 독립운동가들의 감옥과 일반 감옥 사이에 이중벽을 쌓아 탈옥할 수 없도록 하였다. 안창호, 여운형, 김창숙 등이 이 곳에서 수형생활을 하였다. 특히 김창숙은 해방될 때까지 14년 간 이 곳에 수감되었었다.

2. 2. 해방 이후 (1945년 ~ 현재)

대한민국 건국 후에도 형무소로 계속 사용되다가 1961년에 대전교도소로 이름이 바뀌었다. 해방 이후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등 권위주의 정권 시절에는 시국 사범들과 전쟁 포로 및 남파 공작원들이 많이 수감되었는데, 이때도 중앙정보부 요원들과 보안사 군인들, 경찰 대공 라인 소속 경찰관들이 상주하여 전향 공작을 펼쳤던 곳으로 악명이 높았다.[3] 1984년에 유성구의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

2020년 10월 26일 최초의 대체복무요원 교육이 이곳에서 이루어졌으며, 2025년에는 유성구 방동으로 이전할 예정이다.

3. 사건

대전교도소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건·사고가 발생했다.


  • '''대전형무소 학살 사건''': 한국 전쟁 발발 직후인 1950년 7월 초, 대한민국 국군이 대전형무소 재소자 중 정치범 약 1,800명을 골령골로 끌고 가 학살한 사건이다.[4] 인천 상륙 작전으로 후퇴하던 조선인민군도 1950년 9월 25일경 우익 인사들을 학살했고, 이후 대전을 다시 장악한 우익 인사들은 좌익 인사들에게 보복 학살을 가했다.[7]
  • '''대전교도소 교도관 피살 사건''': 2004년 7월 12일 대전교도소에서 교도관이 수감자에 의해 살해당한 사건이다.
  • '''대전교도소 자살 사건''': 2007년 약 40일 동안 대전교도소에서 재소자 세 명이 잇따라 자살한 사건이다.[8] 이로 인해 대전교도소의 수용자 관리 및 응급처치 시스템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3. 1. 대전형무소 학살 사건

한국 전쟁 발발 직후인 1950년 7월 초, 대한민국 국군은 대전형무소 재소자 중 정치범 1천 8백여 명을 골령골로 끌고 가 학살했다.[4] 희생자 수가 4천 명이 넘는다는 주장도 있다.[5]

1950년 7월 첫째 주에 "대한민국 최상층부의 명령"에 따라 정치범 1,800명이 사흘에 걸쳐 집단 처형되었고, 이 사실이 미국 정부에 보고되었다"는 내용의 미국 비밀문서가 공개되면서 사건이 공론화되었으나, 명확한 진상이나 책임 소재는 밝혀지지 않았다.[6]

대전형무소에서는 한국 전쟁 당시 좌익과 우익이 번갈아 교도소를 장악하면서 서로 학살을 자행했다. 인천 상륙 작전으로 후퇴하던 조선인민군은 1950년 9월 25일경 우익 인사들을 학살했고, 이후 대전을 다시 장악한 우익 인사들은 좌익 인사들에게 보복 학살을 가했다.[7]

3. 1. 1. 대한민국 국군에 의한 학살

골령골에서 자행된 민간인 학살


골령골에서 자행된 민간인 학살


한국 전쟁 발발 직후인 1950년 7월 초, 대전형무소 재소자 중 정치범 1천 8백여 명이 산내면 골령골로 끌려가 학살되었다.[4] 이 사건은 미국의 비밀문서가 공개되면서 사실로 밝혀졌고 공론화되었으나, 명확한 진상이나 책임 소재는 드러나지 않았다. 희생자 수가 4천 명이 넘는다는 주장도 있다.[5]

미국의 비밀문서에 따르면, 1950년 7월 첫째 주에 "대한민국 최상층부의 명령"에 따라 정치범 1,800명이 사흘에 걸쳐 집단 처형되었고 이 사실이 미국 정부에 보고되었다.[6]

3. 1. 2. 조선인민군에 의한 학살

인천 상륙 작전으로 후퇴하던 조선인민군이 1950년 9월 25일경 우익 인사 1557명을 학살했다. 그 후 대전을 다시 장악한 우익 인사들이 갇혀있던 좌익 인사들을 보복으로 1000명가량 학살했다.[7]

3. 2. 대전교도소 교도관 피살 사건

2004년 7월 12일 대전교도소에서 교도관 김동민(46)이 당시 48세였던 수감자 김원식에 의해 살해당한 사건이다. 이 사건 당시 김 모씨는 1997년 9월에 상해치사 등의 혐의로 징역 8년을 선고받고 대전교도소에서 복역하고 있었다.

3. 3. 대전교도소 자살 사건

2007년에 약 40여 일 동안 대전교도소에서 재소자 세 명이 잇따라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8] 이 사건으로 대전교도소의 수용자 관리 및 응급처치 시스템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4. 산하기관


  • 1997년 강경구치지소로 개청, 1998년 논산구치지소로 개칭, 2006년 현재 명칭으로 개칭되었다.

5. 유적

구 대전형무소 망루가 중촌동에 남아 있으며, 2001년 6월 27일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7호로 등록되었다. 이 망루의 건립 시기는 정확히 기록되지 않거나 일제강점기 때 건립된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1971년 12월 20일에 건립된 것으로 확인되었다.[3]

6. 창작물

더 킹 오브 파이터즈에서 장거한이 수감되었다가 탈옥했다.[1] 그러나 김갑환에게 잡혔으며, 김갑환은 장거한을 경찰에 넘기지 않는 대신 혹독한 수련을 통해 개과천선시키고 있다.[1]

참조

[1] 웹인용 교정기관 간판게시 및 교정직제 영문표기에 관한 지침 http://korealaw.go.k[...] 대한민국 법제처 2017-10-28
[2] 웹인용 법무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제16조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7-10-28
[3] 웹인용 "대전 감옥터 망루, 일제강점기 아닌 1971년에 설치" http://www.ohmynews.[...] 2019-05-12
[4] 뉴스 대전 형무소 산내학살 사건, 진상 규명 작업 본격화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8-09-11
[5] 저널 대전형무소 4천3백명 학살사건
[6] 뉴스 대전형무소 정치범 1800명 집단처형…美비밀문서 확인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8-09-11
[7] 웹인용 [12월 104호]다를異 http://www.tomatoin.[...] 2016-11-11
[8] 뉴스 대전교도소 재소자 잇단 자살... 왜? - 40일새 3명 사망... 재소자 일부 "처우개선" 요구 단식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8-0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