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제사장 예수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수아(요자닥의 아들)는 기원전 515년경부터 490년경까지 이스라엘의 대제사장이었다. 그는 성전 재건을 위한 지도자 중 한 명으로 묘사되며, 스가랴서와 학개서에 등장한다. 스가랴서의 환상에서 그는 제사장 직무를 회복하고 정결함을 받으며, 하나님의 길을 따르고 율법을 지키는 등 의무를 다해야 했다. 예수아는 예수와 이름의 기원을 같이 하며, 기독교인들에게 예수의 예표로 해석되기도 한다. 그의 가계는 요아킴, 엘리아십, 요야다로 이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즈가리야서 - 사탄
    사탄은 원래 "적대자"를 뜻하는 히브리어 단어였으나,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서 악마, 유혹자, 또는 인간 내면의 부정적인 면모를 상징하는 존재로 다양하게 해석되며 문화 예술 분야에서도 악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 대제사장 - 아론
    아론은 히브리어 성경에 등장하는 모세의 형이자 이스라엘 제사장의 조상으로, 파라오에게 이스라엘 백성의 해방을 요구하는 모세를 도왔지만 금송아지 숭배 사건과 같은 논란에 연루되기도 했으며, 여러 종교에서 중요한 인물이지만 역사적 실존 여부는 논쟁 중이다.
  • 대제사장 - 유다 마카베오
    유다 마카베오는 셀레우코스 제국의 종교 탄압에 맞서 마카베오 반란을 이끈 하스몬 왕조 출신의 유대인 지도자로, 게릴라전을 통해 예루살렘을 탈환하고 성전을 정화하여 하누카 제정의 계기를 마련했으며, 로마와의 동맹을 추진하다 엘라사 전투에서 전사하여 유대인들에게 독립을 향한 저항의 불씨를 지폈다.
대제사장 예수아
기본 정보
대제사장 여호수아
대제사장 여호수아
직함대제사장
임기 시작기원전 515년
이전(직책 부재)
후임요아킴
종교유대교
개인 정보
이름여호수아
아버지여호자닥
출생바빌론 유수
사망예루살렘
민족이스라엘인
관련 인물
동시대 인물스룹바벨
학개
스가랴

2. 생애

요사닥의 아들 예수아는 기원전 515년경부터 490년경까지 이스라엘 대제사장 목록에 따라 대제사장으로 봉직했다.[2] 성경 에스라 5장 2절에 따르면, 예수아는 예루살렘 성전 재건을 위한 동기를 부여한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이후 에스라 10장 18절에는 그의 아들들과 조카들 일부가 이방 민족과의 결혼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스가랴서 3장 6-10절에는 예언자 스가랴가 주의 천사로부터 받은 환상을 통해 예수아의 제사장 직무 회복과 정결함을 확인받는 내용이 나온다. 이 환상에는 예수아가 지켜야 할 요구 사항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1) 하나님의 길을 걷는 것, (2) 요구 사항(율법)을 지키는 것, (3) 하나님의 집(성전)을 다스리는 것, (4) 그분의 뜰을 관리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의무를 다함으로써 천사는 예수아와 그의 동료 제사장에게 성전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이 환상은 또한 예수아를 정화하고 그의 제사장 직무를 준비하도록 성별하는 역할을 했다.

그는 또한 학개서 1장과 2장에도 등장한다.

예수아라는 이름은 예수와 어원이 같으며, 이 때문에 기독교에서는 대제사장 예수아를 예수 그리스도의 예표로 해석하기도 한다.

3. 스가랴서의 환상

스가랴서 3장 6-10절에서 예언자 스가랴는 주의 천사로부터 받은 환상을 통해 예수아의 제사장 직무 회복과 정결함을 확인받는다. 이 환상에서 예수아는 더러운 옷을 입고 주의 사자 앞에 섰다가 새 옷으로 갈아입는 모습으로 묘사된다.[8]

환상에는 예수아가 지켜야 할 다음과 같은 요구 사항들이 포함되어 있다.

# 하나님의 길을 걷는 것

# 하나님의 요구 사항(율법)을 지키는 것

# 하나님의 집(성전)을 다스리는 것

# 하나님의 뜰을 관리하는 것

이러한 의무를 다할 때, 천사는 예수아와 그의 동료 제사장들에게 성전 안에 들어갈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고 약속했다. 이 환상은 예수아를 정화하고 그의 제사장 직무를 위해 준비시키는 성별(聖別)의 의미를 지닌다.

또한, 예수아는 "싹"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성전을 재건할 새로운 희망으로 묘사된다.[9] 스가랴의 환상에 대한 역사적 배경으로는 예수아의 손자인 제사장 엘리아십(기원전 470-433년경 활동)의 행적을 들 수 있다(느헤미야기 13장).[10]

4. 학개서에서의 등장

예수아는 학개서 1장과 2장에도 등장한다. 그는 예언자 학개를 통해 스룹바벨과 함께 성전을 재건하라는 주의 말씀을 받았다.[7]

5. 예수아의 이름과 의미

예수아라는 이름은 예수라는 이름과 같은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대제사장 예수아는 기독교인들에게 예수의 예표로 해석되기도 한다.

6. 가계

역대기 5장에 따르면, 예수아의 부계 혈통은 이스라엘 대제사장의 전통적인 계보를 따른다.

6. 1. 가족 관계 (일본어 위키백과 참고)

에스라서 10장 18절에 따르면, 예수아의 아들과 조카 중 일부는 이방인과의 결혼 문제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예수아 이후 대제사장직을 계승한 그의 직계 후손은 다음과 같다.

관계이름직위재임 기간 (기원전)비고
본인예수아대제사장515-490요사닥의 아들[2]
아들요아킴대제사장490-470[3]
손자엘리아십대제사장470-433[4]
증손요야다대제사장433-410엘리아십의 아들[5]



예수아의 손자인 대제사장 엘리아십의 아들 중 한 명은 호론 사람 산발랏의 사위가 되었는데, 이 일로 인해 느헤미야는 그를 성전에서 쫓아냈다.[6]

7. 무덤

1825년, 전통적인 여호수아의 무덤이 바그다드에서 한 시간 거리에 있는 곳에서 발견되었다고 보고되었다.[1]

참조

[1] 서적 American missionary register https://books.google[...] J. & J. Harper 2010-10-04
[2] 문서 Joshua, son of Jehozadak, ca. 515-490 BC
[3] 문서 Joiakim, son of Joshua, ca. 490-470 BC
[4] 문서 Eliashib, son of Joiakim, ca. 470-433 BC
[5] 문서 Joiada, son of Eliashib, ca. 433-410 BC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ゼカリヤ書6章12節
[10] 문서
[11] 문서 학개 1장 1절, 2장 2절
[12] 문서 스가랴 6장 11절
[13] 문서 에스라 3장 2절
[14] 문서 학개 1장 14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