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헤미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느헤미야는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의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의 술 관원으로, 예루살렘 성벽 재건을 요청하여 유다 총독으로 임명받았다. 그는 52일 만에 성벽을 재건하고, 빚 탕감, 율법 공표, 이방인과의 결혼 금지 등 유대 공동체를 정화하는 종교적, 사회적 개혁을 단행했다. 12년간의 총독 재임 후 추가 개혁을 단행하였으며, 마카베오서에서는 디아스포라에서 성물을 가져오고 성경 도서관을 설립한 인물로 묘사된다. 랍비 문헌에서는 스룹바벨과 동일시되거나 업적 과시와 전임자 폄하로 비판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의 예언자 - 다니엘
다니엘은 "하나님이 나의 재판관이시다"라는 뜻을 가진 이름으로, 다니엘서의 주인공이자 에스겔서, 에스라서, 역대상에 언급되는 인물이며, 꿈을 해석하고 묵시적인 환상을 받는 예언자로서 지혜와 의로움을 인정받았고, 다양한 종교에서 중요한 인물로 여겨진다. - 기독교의 예언자 - 퍼블릭 유니버설 프렌드
1776년 티푸스 발병 후 스스로를 "퍼블릭 유니버설 프렌드"라 칭하며 성별을 초월한 종교 지도자가 된 제미마 윌킨슨은 퀘이커 교도회에서 제명된 후 만인의 친구회를 이끌며 최후의 심판과 회개를 전파하고 뉴욕 서부에 공동체를 건설했으나, 사후 그의 종교 운동은 쇠퇴했지만 여성 권리 운동과 트랜스젠더 역사의 선구자로 재평가되고 있다. - 성경의 족장 - 아브라함
아브라함은 구약성서에 등장하는 유대인의 조상으로, 하느님과의 언약을 통해 믿음의 조상으로 널리 존경받는다. - 성경의 족장 - 이사악
이삭은 "그가 웃는다"는 의미의 히브리어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아브라함과 사라의 아들로서 이삭의 번제로 대표되는 신앙심을 보여주는 성경 속 인물이며, 역사성 여부는 불분명하지만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중요한 인물로 여겨진다. - 에즈라와 느헤미야 - 느헤미야기
느헤미야기는 페르시아 시대 느헤미야가 예루살렘 성벽을 재건하고 에스라와 함께 백성들의 회개와 개혁을 이끈 이야기를 담은 구약성경으로, 1인칭 회고록 형식이며 기원전 5세기 후반 사건을 다룬다. - 에즈라와 느헤미야 - 제2성전
제2성전은 키루스 2세의 칙령으로 재건되어 헤로데 대왕 때 확장된 예루살렘의 유대교 성전이었으나 로마에 의해 파괴되었고, 이후 유대교와 아브라함계 종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느헤미야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느헤미야 |
다른 이름 | נְחֶמְיָה (네헤미야) |
로마자 표기 | Nehemiah |
종교적 역할 | |
칭호 | 예언자 및 이스라엘 백성의 지도자 |
축일 | 7월 13일 (로마 가톨릭) 거룩한 선조들의 주일 (정교회) |
공경하는 곳 | 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
인물 정보 | |
시대 | 페르시아 시대 |
직업 | 술잔을 올리는 자 (왕의 술 시중) 예루살렘 총독 예언자 |
성경 속 역할 | |
주요 활동 | 예루살렘 성벽 재건 사회 및 종교 개혁 |
참고 자료 | |
관련 서적 | 느헤미야기 |
2. 느헤미야기의 내용
נְחֶמְיָה|느헤미야he는 아닥사스다 1세(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의 술 관원이었다.[7][8] 그는 유다에 남아 있던 유대인들이 고난을 겪고 예루살렘 성벽이 무너졌다는 소식을 듣고, 에스라가 예루살렘에 도착한 지 약 13년 후인 기원전 445년 또는 444년에 왕에게 성을 재건할 수 있도록 허락해 달라고 요청했다.[9][10] 왕은 그를 유다 총독으로 임명하고 재건 임무와 지원을 약속하는 편지, 그리고 왕의 숲에서 목재를 공급하라는 명령을 내렸다.[11]
마카베오서 2서는 느헤미야가 유다 마카베오처럼 제단의 성화를 디아스포라에서 예루살렘으로 가져와 성경 도서관을 세운 사람이라고 말한다.[15] 여기에서 느헤미야의 정치적 역할은 하스몬 왕조의 본보기가 되며 일반적으로 경건하고 국가적인 리더십의 역할 모델이 된다. 느헤미야 8장에서 토라를 읽고 설명하는 장면은 회당 예배의 모델이 되었다.[15]
일부 랍비 문헌에서는 느헤미야를 스룹바벨과 동일시하는데, 스룹바벨은 별명으로 간주되어 그가 바빌론에서 태어났음을 나타낸다. 또 다른 구전 전승인 미슈나에는 느헤미야가 자랑하고(느헤미야 5:19, 13:31) 그의 전임자들을 폄하했다는(느헤미야 5:15) 비난을 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16] 이 전통은 그의 책이 에스라서에 부록으로 추가되었고, 기독교 구약성경에서처럼 독립된 책이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또 다른 탈무드 문서인 바바 바트라에는 느헤미야가 에스라가 기록했다고 전해지는 역대기를 완성했다고 기록되어 있다.[16]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통치 20년(기원전 445년 또는 444년)[7]에 느헤미야는 왕의 술 맡은 관원이었다.[8] 유다 왕국의 유대인들은 기원전 586년 신바빌로니아에 의해 예루살렘이 함락된 후 바빌론으로 이주되었다(바빌론 유수). 그 후 기원전 539년, 페르시아에 의해 신바빌로니아가 멸망하고 유수민의 예루살렘 귀환이 허락되었지만, 일부 유대인들은 우대받으며 번영했기 때문에 그대로 남은 자들도 많았다.[19]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제20년(기원전 445년 또는 444년)[7]에 느헤미야는 왕의 술 맡은 관원이었다.[8] 유다에 남아 있던 유대인들이 고난을 겪고 예루살렘 성벽이 무너진 것을 알게 된 그는 왕에게 도시 재건 허락을 요청했다.[9] 이는 기원전 458년경 에스라가 예루살렘에 도착한 지 약 13년 후였다.[10] 아르타크세르크세스는 그를 유다 총독으로 임명하여 재건 사업을 맡겼고, 지원 편지와 왕의 숲에서 나무를 제공하라는 명령을 내렸다.[11]
그는 사마리아인, 암몬인, 아랍인, 블레셋인 등 사방의 적들을 물리치고 52일 만에 성벽을 재건했다. 성벽은 북쪽의 양문에서 시작하여 북서쪽 모퉁이의 하나넬 망대, 서쪽의 물고기 문, 성전 산 남서쪽 모퉁이의 용광로 탑, 남쪽의 똥문, 동쪽의 동문과 금문 아래 문까지 이어졌다.[11] 왕비 앞에 나타난 것은 그가 내시였음을 시사하며,[12][13] 칠십인역에서는 그를 술 따르는 사람이 아닌 내시로 묘사하고 있다. 그의 적 스마야가 그를 속여 성전에 들어가게 하려는 시도는 암살자들로부터 숨기려는 것이 아니라 유대 율법을 어기게 하려는 의도였다.[14]
그는 도시에 다시 사람을 거주하게 하고 유대인 공동체를 정결케 하는 조치를 취했다. 빚을 탕감하고, 에스라를 도와 모세의 율법을 선포하고, 유대인 남자가 이방인 아내와 이혼하도록 강요했다. 12년간 총독으로 재임한 후 수산으로 돌아갔다가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왔다. 그는 백성들이 다시 악한 길로 돌아섰고, 이방인들이 안식일에 예루살렘 안에서 장사하고 성전에 방을 두는 것을 허용했음을 알게 되었다. 그는 크게 노하여 성전과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을 정결케 하고 모세의 율법을 지키게 했다.
집회서의 조상 찬가는 스룹바벨과 여호수아 다음에 נְחֶמְיָה|느헤미야he만을 언급하며 그의 건축 활동을 칭찬한다(집회서 49:15).
3. 마카베오서의 내용
4. 랍비 문헌에서
5. 구약성서 속 느헤미야
어느 날 느헤미야는 예루살렘에서 온 친척으로부터 유다에 남아 있던 유대인들이 고난을 겪고 예루살렘 성벽이 무너진 것을 알게 되었다.[9] 그는 왕에게 돌아가 도시를 재건할 허락을 요청했고,[10] 아르타크세르크세스는 그를 유다의 총독으로 임명하여 재건 사업을 맡겼으며, 그의 지원을 설명하는 편지와 왕의 숲에서 나무를 제공하라는 명령을 내렸다.[11]
느헤미야는 사마리아인, 암몬인, 아랍인, 블레셋인 등 유다의 모든 적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52일 만에 성벽을 재건했다. 재건된 성벽은 북쪽의 양문(Sheep Gate)에서 시작하여 북서쪽 모퉁이의 하나넬 탑(Hananeel Tower), 서쪽의 물고기 문(Fish Gate), 성전산 남서쪽 모퉁이의 용광로 탑(Furnaces Tower), 남쪽의 똥문(Dung Gate), 동쪽의 동문(East Gate)과 금문(Golden Gate) 아래의 문을 포함한다.
왕비 앞에 나타난 것[12]은 그가 환관(eunuch)이었음을 시사하며,[13] 칠십인역(Septuagint)인 히브리어 성경의 그리스어 번역본에서는 "oinochoos"(술 따르는 사람) 대신 "eunochos"(환관)로 묘사되어 있다. 만약 그렇다면, 그의 적 세마야(Shemaiah)가 그를 성전에 들어가도록 속이려는 시도는 단순히 암살자로부터 숨기는 것이 아니라 유대교 율법을 어기게 하려는 것이었다.[14]
그는 그 후 도시에 다시 사람들을 살게 하고 유대 공동체를 정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여 빚 탕감을 시행하고, 에스라가 모세의 율법을 공표하는 것을 돕고, 유대인 남성들이 이방인 아내와의 이혼을 강제했다.
12년간 총독으로 재임하는 동안 정의와 공의로 통치한 후, 그는 수사(Susa)에 있는 왕에게 돌아갔다. 수사에 머문 후 예루살렘으로 돌아왔지만, 백성들이 다시 악한 길로 돌아선 것을 발견했다. 이방인들이 안식일에 예루살렘 안에서 사업을 하고 성전에 방을 두는 것이 허용되었다. 크게 분노한 그는 성전과 제사장들과 레위인들을 정결하게 하고 모세의 율법 준수를 강제했다.
6. 느헤미야의 업적
느헤미야는 사마리아인, 암몬인, 아랍인, 블레셋인 등 유다의 모든 적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52일 만에 성벽을 재건했다. 성벽은 북쪽의 양문에서 시작하여 북서쪽 모퉁이의 하나넬 탑, 서쪽의 물고기 문, 성전산 남서쪽 모퉁이의 용광로 탑, 남쪽의 똥문, 동쪽의 동문과 금문 아래의 문까지 이어졌다.
느헤미야서의 주요 내용은 파괴된 예루살렘 성벽 수축에 관한 것이다. 수축 과정에서 예루살렘과 그 주변 지역을 소유한 사마리아인 등의 방해를 받았으나, 무기를 지급하여 경계를 강화했다. 또한 페르시아 왕에게 반역하여 왕이 되려 한다는 소문을 퍼뜨리려는 협박에도 굴하지 않고 성벽 건축을 완료했다.
6. 1. 종교적 개혁
느헤미야는 12년 동안 총독으로 공의롭게 다스린 뒤 수산 왕에게 돌아갔다. 얼마 후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그는 백성들이 다시 악한 길로 빠졌음을 알게 되었다. 유대인이 아닌 사람들도 안식일에 예루살렘 안에서 장사하는 것이 허용되었고, 성전에는 방을 두는 것까지 허용되었다. 그는 크게 노하여 성전과 제사장, 레위 사람들을 정결케 하고 모세의 율법을 지키게 했다.
그는 성전 봉사와 직무에 관해 규정하고 이를 준수하게 했다. "이스라엘 자손과 레위 자손은 곡식과 포도주와 기름을 가져다가 성소의 그릇들과 제사장들과 문지기들과 노래하는 자들의 방에 두어야 할지니 우리가 우리 하나님의 전을 버리지 아니하게 하리라"(느헤미야 10:39).
또한 안식일 거래를 중단시켰다. "예루살렘 모든 문이 어두워지기 시작할 때에 안식일 전에 내가 명하여 문을 닫게 하고, 안식일이 끝날 때까지 열지 말라고 명령하였고, 내 종 몇 사람을 문에 두어 안식일에 짐을 지고 들어오지 못하게 하였느니라"(느헤미야 13:19).
나아가 이방인과의 결혼을 금지했다. "그때에 내가 유다 사람 중에 아스돗 여자와 암몬 여자와 모압 여자를 취한 자를 보았는데 그들의 자녀 중의 절반은 아스돗 말을 하여 유다 말을 할 줄 알지 못하고 그들의 각기 어머니의 말을 하였더라 내가 그들을 책망하고 저주하고 그 중 몇 사람을 때리고 그들의 머리털을 뽑고 하나님의 이름으로 맹세하게 하여 이르기를 너희가 너희 딸들을 그들의 아들에게 주지 말 것이며 너희 아들들과 너희 자신을 위하여 그들의 딸들을 취하지 말 것이라 하였느니라"(느헤미야 13:23-25).[21] 이어서 대제사장 엘리아십의 아들 요야다의 한 아들이 베토론 사람 산발랏(사마리아 총독)의 딸과 결혼했기 때문에 추방했다(느헤미야 13:28).[22]
이처럼 느헤미야는 여러 가지 문제에 엄격하게 대처하여 종교적 개혁과 사회적 개혁을 단행했다고 여겨진다.
6. 2. 사회적 개혁
느헤미야는 예루살렘의 인구를 늘리고 도시 행정을 정비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 그는 유대 공동체를 정화하기 위해 빚을 탕감하고, 에스라가 모세의 율법을 공표하는 것을 도왔다.[14] 또한 유대인 남성들에게 이방인 아내와 이혼할 것을 강요했다.
느헤미야는 성벽 완공으로 도시의 안전성이 높아지자 예루살렘 주민을 증가시켰다. 그는 백성들에게 제비뽑기를 하여 열 명 중 한 명은 예루살렘에, 나머지 아홉 명은 다른 성읍에 살게 하였다. (느헤미야 11:1).
또한 성전 봉사와 직무에 관해 규정하고 이를 준수하게 했다. (느헤미야 10:39). 그는 안식일에는 성문을 닫아 예루살렘 안에서 거래를 중단시켰다. (느헤미야 13:19).
더 나아가, 이방인과의 결혼을 금지했다. 그는 유다 사람 중에 아스돗, 암몬, 모압 여자를 취한 자를 보고 그들을 책망하고 저주했으며, 그들의 자녀들이 유다 말을 할 줄 모르는 것에 분노했다. 그는 하나님의 이름으로 맹세하게 하여 이방인과의 결혼을 금지했다. (느헤미야 13:23-25)[21] 이어서 대제사장 엘리아십의 손자이자 요야다의 아들이 사마리아 총독 산발랏의 딸과 결혼했기 때문에 추방했다. (느헤미야 13:28).[22]
이처럼 느헤미야는 여러 가지 문제에 엄격하게 대처하여 종교적, 사회적 개혁을 단행했다고 여겨진다.
7. 느헤미야에 대한 평가
느헤미야는 아닥사스다 1세(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때 왕의 술 관원이었다가 유다 총독으로 임명되어 예루살렘 성벽을 재건하고 유대 공동체를 재건하는 등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7][8][9][11] 그러나 일부 랍비 문헌에서는 자신의 업적을 과시하고 전임자들을 비판했다는 지적도 있다.[16]
7. 1. 긍정적 평가
느헤미야는 강력한 리더십과 개혁 정신으로 유대 공동체를 재건하고 신앙의 순수성을 회복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아닥사스다 1세(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때 왕의 술 관원이었다가 유다 총독으로 임명되어 무너진 예루살렘 성벽을 52일 만에 재건하였다.[7][8][9][11] 이는 예루살렘의 안전을 확보하고 유대 민족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그는 성벽 재건 이후에도 유대 공동체를 정화하기 위해 여러 조치를 취했다. 빚을 탕감하고, 에스라를 도와 모세의 율법을 선포하게 했으며, 유대인 남성들에게 이방인 아내와 이혼하도록 강요했다.[14] 또한, 총독으로 12년 동안 재임한 후 수사로 돌아갔다가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와 백성들이 다시 악한 길로 돌아선 것을 보고 성전과 제사장, 레위인들을 정결케 하고 모세의 율법을 지키게 했다. 이러한 종교적, 사회적 개혁은 유대 사회의 기강을 확립하고 공동체의 결속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7. 2. 부정적 평가
일부 랍비 문헌에서는 느헤미야가 자신의 업적을 과시하고 전임자들을 비판했다는 지적이 있다.[16] 예를 들어, 랍비 문헌인 아가다에서는 느헤미야를 스룹바벨과 동일 인물로 보았는데, 스룹바벨은 별명으로 여겨져 그가 바빌론에서 태어났음을 나타낸다고 해석한다. 또 다른 구전 전승인 미슈나에는 느헤미야가 자신의 업적을 자랑하고(느헤미야 5:19, 13:31) 전임자들을 폄하했다는(느헤미야 5:15) 비난을 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16] 이러한 전통에 따르면, 그의 책은 기독교 구약성서처럼 독립된 책이 아니라 에스라서에 추가되었다고 한다.[16] 또 다른 탈무드 문서인 바바 바트라에는 느헤미야가 에스라가 기록했다고 전해지는 역대기상·하를 완성했다는 기록이 있다.[16]참조
[1]
웹사이트
Prophet Nehemiah
https://www.oca.org/[...]
[2]
서적
Gesenius' Hebrew-Chaldee Lexicon
http://www.tyndalear[...]
Baker Book House; 7th edition, 1979
2015-04-16
[3]
서적
Eerdmans Commentary on the Bible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03-11-19
[4]
서적
'"What did Nehemiah do for Judaism," in' A Wandering Galilean: Essays in Honour of Seán Freyne
https://books.google[...]
BRILL
[5]
서적
'"The Contribution of the Samaria Papyri from Wadi Daliyeh to the Study of Economics in the Persian Period," in' Samaritans: Past and Present: Current Studi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6]
서적
Rethinking Biblical Scholarship: Changing Perspectives 4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4-09-03
[7]
서적
Ezra-Nehemiah: A Commentary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88-01-01
[8]
성경
Nehemiah 1:11
[9]
성경
Nehemiah 1:1-2:5
[10]
서적
The Oxford Bible Commentary
https://b-ok.org/dl/[...]
Oxford University Press
2017-11-22
[11]
성경
Nehemiah 2:6-9
[12]
성경
Nehemiah 2:6
[13]
서적
The books of Ezra and Nehemiah
Cambridge University Press, Eerdmans
[14]
서적
The Oxford Bible commentary
Oxford University Press
[15]
간행물
Nehemiah in 2 Maccabees 1:10-2:18
2020-05-02
[16]
서적
Nehemiah
Funk & Wagnalls
[17]
웹사이트
Lexikoneintrag zu »Neemias (1)«. Vollständiges Heiligen-Lexikon, Band 4. Augsburg ...
http://www.zeno.org/[...]
2023-02-03
[18]
웹사이트
Святой Нееми́я, вождь иудейский
https://azbyka.ru/da[...]
2023-02-03
[19]
서적
旧約聖書人名事典
東洋書林
[20]
서적
聖書人名事典
教文館
[21]
문서
율법의 규정과 네헤미야의 판단
[22]
문서
마나세의 추방과 유사한 사건
株式会社教文館
[23]
문서
느헤미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