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는 2008년 교육인적자원부와 과학기술부의 통합으로 신설되어, 2013년 교육부로 개편되기 전까지 대한민국의 교육 및 과학기술 정책을 담당했다. 역대 장관으로는 김도연, 안병만, 이주호 등이 있으며, 교육과학기술부 폐지 후 일부 업무는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폐지된 정부 기관에 관한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정부 기관에 관한 - 대한민국 내무부
대한민국 내무부는 1948년 설치되어 치안, 소방, 지방 행정, 재해 예방 등 국가 기본 질서 유지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했으나 1998년 행정자치부 신설로 폐지되었다. - 2013년 폐지 -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대한민국 행정안전부는 국무회의 서무, 법령 공포, 정부 조직 관리, 정부혁신, 전자정부 구축, 지방자치 지원, 재난안전관리 등을 수행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내무부와 총무처의 통합 및 국민안전처 흡수를 거쳐 현재 명칭으로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다. - 2013년 폐지 - 워싱턴 포스트
워싱턴 포스트는 1877년 창간되어 워싱턴 D.C.에서 발행되는 영향력 있는 미국의 일간지로, 워터게이트 사건 보도와 퓰리처상 수상, 제프 베이조스의 디지털 혁신 추진을 거쳐 "민주주의는 어둠 속에서 죽는다"라는 슬로건을 사용하는 신문이다. - 대한민국 교육부 - 전북대학교
전북대학교는 1947년 설립되어 전북특별자치도에 여러 캠퍼스를 둔 거점국립대학교로, 다양한 단과대학과 대학원을 운영하며 QS 아시아 대학 평가에서 우수한 순위를 기록했다. - 대한민국 교육부 - 대한민국학술원
대한민국학술원은 대한민국학술원법에 따라 설립된 학술 기관으로, 정부 학술 정책 자문, 학술 연구 지원, 국내외 학술 교류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각 분야 최고 권위자인 회원들로 구성된다.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기관명 | 교육과학기술부 |
로마자 표기 | Gyoyukgwahakgisulbu |
설립일 | 2008년 2월 29일 |
해산일 | 2013년 3월 23일 |
전신 | 교육인적자원부 과학기술부 |
후신 |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
관할 | 대한민국 정부 |
본부 | 중앙 정부청사, 서울시 종로구 세종로 77-6 |
웹사이트 | 공식 영어 사이트 |
주요 인사 | |
장관 | 김도연 (마지막) |
제1차관 | 김응권 |
제2차관 | 조래열 |
2.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 설치 근거는 2008년 2월 29일에 전부 개정된 정부조직법 (법률 제8852호) 제22조 및 제24조이다.[3] 소관 업무는 2008년 2월 29일에 제정된 교육과학기술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대통령령 제20740호) 제3조에 규정되어 있다.[4]
3. 연혁
3. 1. 기관 연혁
3. 2. 역대 장관
(현 경북과 분리)서울대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대통령실 교육과학문화수석비서관, 교육과학기술부 차관, 제17대 국회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