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국보 (2000년대~2010년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0년대와 2010년대에 대한민국에서 국보로 지정된 문화재는 건축물, 불상, 서적, 도자기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른다. 2000년대에는 여수 진남관, 통영 세병관, 안동 봉정사 대웅전 등 건축물과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 등 불교 조각, 삼국유사, 백자 달항아리 등이 국보로 지정되었다. 2010년대에는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완주 화암사 극락전, 조선 태조 어진, 동의보감, 월인천강지곡 권상, 삼국사기, 이제 개국공신교서,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 포항 중성리 신라비, 기사계첩,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 등이 국보로 지정되어, 각 시대의 역사, 예술, 기술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로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문화유산 목록 - 대한민국의 보물 (제1호 ~ 제100호)
    대한민국의 보물 (제1호 ~ 제100호)는 대한민국 정부가 지정한 보물 중 1호부터 100호까지의 문화재 목록으로, 석탑, 불상 등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 정보를 담고 있으며, 문화유산 보존 및 관리에 활용된다.
  • 대한민국의 문화유산 목록 - 대한민국의 국보 (2020년대)
    2020년대 대한민국의 국보는 공주 충청감영 측우기,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이순신 장검,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등 과학, 불교, 회화, 건축 등 다양한 분야의 문화재를 포함하며, 2021년 문화재 일련번호 폐지로 국보 제336호가 마지막 일련번호 국보가 되었다.
  • 대한민국의 국보 - 석굴암
    석굴암은 경덕왕 때 김대성이 짓기 시작하여 혜공왕 때 완성된 토함산 중턱의 석굴 사찰로, 석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한 아름다운 조각상들과 독창적인 건축미로 한국 불교 미술의 걸작으로 평가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나, 보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대한민국의 국보 - 동의보감
    동의보감은 허준이 편찬하여 1613년에 간행된 조선 시대의 의서로, 조선 의학과 명나라 의학을 통합하고 실용성을 중시하여 당대 의학 지식을 집대성했으며, 200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대한민국의 국보 (2000년대~2010년대)

2. 2000년대 지정 국보

(단체)지정일참조306호

삼국유사 권3~5
(三國遺事 卷三~五)서울 종로구곽영대2003년 2월 3일306-2호
삼국유사
(三國遺事)서울 관악구 관악로 1, 103호 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신림동, 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2003년 4월 14일306-3호
삼국유사 권1~2
(三國遺事 卷一~二)서울 서대문구 연세로 50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박물관)2018년 2월 22일307호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
(泰安 東門里 磨崖三尊佛立像)충남 태안군 태안읍 원이로 78-132 (동문리)태안군2004년 8월 31일308호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
(海南 大興寺 北彌勒庵 磨崖如來坐像)전남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산8-1 북미륵암대흥사2005년 9월 28일309호
백자 달항아리
(白磁 壺)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삼성미술관 리움2007년 12월 17일310호
백자 달항아리
(白磁 壺)서울 종로구 효자로 12, 국립고궁박물관 (세종로, 국립고궁박물관)국립고궁박물관2007년 12월 17일312호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
(慶州 南山 七佛庵 磨崖佛像群)경북 경주시 남산동 산36-4경주시2009년 9월 2일313호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康津 無爲寺 極樂殿 阿彌陀如來三尊壁畵)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1194무위사2009년 9월 2일314호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
(順天 松廣寺 華嚴經變相圖)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 (신평리)송광사2009년 9월 2일



삼국유사(국보 제306호, 제306-2호, 제306-3호)는 고려시대 승려 일연이 쓴 역사서로, 고조선부터 후삼국시대까지의 역사와 설화가 담겨 있다.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국보 제307호)과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국보 제308호)은 통일신라시대 불교 조각으로, 뛰어난 조형미를 보여준다.

백자 달항아리(국보 제309호, 제310호)는 조선시대 백자의 아름다움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국보 제312호)은 통일신라시대 불상 조각 기술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국보 제313호)는 고려 후기 불화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며,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국보 제314호)는 조선시대 불화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

2. 1. 건축 문화재

(단체)지정일참조304호
여수 진남관
(麗水 鎭南館)전남 여수시 동문로 11 (군자동)여수시(여수시장)2001년 4월 17일[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1,03040000,36]305호
통영 세병관
(統營 洗兵館)경남 통영시 세병로 27 (문화동)통영시2002년 10월 14일[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1,03050000,38]311호
안동 봉정사 대웅전
(安東 鳳停寺 大雄殿)경북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222 (태장리)봉정사2009년 6월 30일[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1,03110000,37]



여수 진남관통영 세병관은 조선시대 건축물로, 당시의 건축 기술과 예술성을 보여준다. 특히 안동 봉정사 대웅전은 고려시대 건축 양식을 계승하면서도 조선시대의 특징을 보여주는 중요한 건축물로 평가받고 있다.

2. 2. 역사 기록물

(朝鮮太祖御眞)전북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 44 어진박물관어진박물관2012년 6월 29일319-1호
동의보감
(東醫寶鑑)서울 서초구국립중앙도서관2015년 6월 22일319-2호
동의보감
(東醫寶鑑)경기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한국학중앙연구원 (운중동)한국학중앙연구원2015년 6월 22일319-3호
동의보감
(東醫寶鑑)서울 관악구 관악로 1, 103호 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신림동, 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2015년 6월 22일320호
월인천강지곡 권상
(月印千江之曲 卷上)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중앙연구원2017년 1월 2일322-1호
삼국사기
(三國史記)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216-27 (안강읍, 옥산서원)옥산서원2018년 2월 22일322-2호
삼국사기
(三國史記)서울 중구 세종대로21길 22 (태평로1가, 성암고서박물관)성암고서박물관2018년 2월 22일324호
이제 개국공신교서
(李濟 開國功臣敎書)경남 산청군 단성면 지리산대로2897번길 23 (남사리) 국립진주박물관이석기2018년 6월 27일



조선 태조 어진(국보 제317호)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초상화로, 조선 왕조의 권위를 상징하는 중요한 유물이다. 동의보감(국보 제319-1호, 제319-2호, 제319-3호)은 조선시대 허준이 쓴 의학서로, 한국 전통 의학을 집대성한 책이다. 2015년 6월 22일에 국보로 지정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도 등재되어 그 가치를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월인천강지곡 권상(국보 제320호)은 조선 세종 때 편찬된 불교 찬가로, 초기 한글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삼국사기(국보 제322-1호, 제322-2호)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은 김부식이 편찬한 삼국시대 역사서이다. 이제 개국공신교서(국보 제324호)는 조선 태조가 개국공신 이제에게 내린 문서로, 조선 건국 과정과 초기 정치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3. 2010년대 지정 국보

이전의 출력 결과가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아무것도 출력할 수 없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