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달도 항공모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달도 항공모함은 스페인 해군이 1967년 미국으로부터 임대하여 운용한 항공모함으로, 스페인 최초의 항공모함이다. 1972년 매입 후 1989년 퇴역할 때까지 운용되었으며, 원래 대잠 헬기 항모로 사용되다가 해리어 이착륙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해리어 전투기를 운용했다. 1988년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 항공모함으로 교체되었으며, 퇴역 후 박물관으로 활용하려 했으나 실패하여 2002년 폐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항공모함 -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 (항공모함)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는 1988년 스페인 해군에 취역한 항공모함으로, AV-8B 해리어 II와 헬리콥터를 운용하며 2013년 퇴역 후 강습상륙함 후안 카를로스 1세가 그 역할을 이어받았다.
  • 1943년 선박 - USS 요크타운 (CV-10)
    USS 요크타운 (CV-10)은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 해군의 에식스급 항공모함으로, 침몰한 USS 요크타운 (CV-5)의 이름을 이어받아 태평양 전쟁에서 활약하고 대잠 항공모함으로 개조되어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도 참전했으며, 아폴로 8호의 승무원과 사령선을 회수하는 임무를 수행한 후 박물관 함선으로 전환되어 현재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에 전시되어 있다.
  • 1943년 선박 - LST 문산
    LST 문산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해군 소속 LST-120으로 태평양 전구에서 활동하다 대한민국 해군에 인수되어 문산호로 명명된 상륙함으로, 한국 전쟁 초기 전투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장사상륙작전 기념공원에 모형이 건립되어 보존되고 기념관이 개관하여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있다.
데달도 항공모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데달로 함이 해상에서 항해 중인 모습 (1988년 6월 1일)
데달로 함이 해상에서 항해 중인 모습 (1988년 6월 1일)
함명데달로
함 종류경항공모함
기공1942년 3월 16일
진수1943년 4월 4일
취역스페인 임대: 1967년 8월 30일
스페인 구매: 1972년
퇴역1989년 8월
폐기2002년
비고1943년~1947년, 1948년~1955년 미국 해군에서 로 복무
인디펜던스급 항공모함
제원
배수량11,000톤
길이189.7 미터 (622.5 피트)
수선: 21.8 미터 (71.5 피트)
전체: 33.27 미터 (109 피트 2 인치)
흘수7.9 미터 (26 피트)
동력75,000 킬로와트 (100,000 shp)
추진4 × B&W 보일러
4 × 제너럴 일렉트릭 증기 터빈
4 × 프로펠러
속력59 킬로미터/시 (32 노트)
승선 인원1,112명
무장
무장26 × 보포스 40 mm 포
탐지 장비
레이다SPS-6 레이다
탑재 항공기
함재기8 × AV-8S
8 × SH-3D
총 33대의 고정익 항공기 및 헬리콥터
항공기 시설격납고: 70 미터 × 13 미터 × 5 미터
비행 갑판: 168 × 22 미터, 엘리베이터 2개
기타 정보
소속 국가스페인
함급인디펜던스급 항공모함
함번R01

2. 역사

데달도는 경하배수량 13,000톤, 만재배수량 16,416톤으로, 만재배수량 18,800톤인 독도함과 비슷하다. 그러나 독도함이 4만 마력 엔진인데 비해, 데달도는 일본 휴우가함과 같은 10만 마력 엔진을 사용했다. 1,650일 동안 스팀 엔진을 가동해 30만 해리(56만 km)를 항해했고, 3만 회의 함재기 이착륙을 기록했으며, AV-8A 1대와 AB 212ASW 대잠헬기 3대를 사고로 잃었다.[6]

2. 1. 도입 배경

1953년 스페인 정부는 미국과 군사 협정을 체결했으며, 이후 스페인 해군은 북미 설계의 헬리콥터 수송선/항공모함을 도입하기 위한 여러 방안을 연구했다. 특히, 카사블랑카급 호위 항공모함 (USS ''Thetis Bay'') 또는 에식스급 항공모함 (USS ''Lake Champlain'') 또는 인디펜던스급 경항공모함 (USS ''Cabot'' 또는 USS ''San Jacinto'')의 인도를 요청하는 것을 검토했다.[2][3]

1967년 스페인 해군은 미국 인디펜던스급 항공모함인 USS 캐봇 (CVL-28)을 중고로 임대했다. 이는 12년 이상 미국에서 보존 처리되었던 것으로, 1967년에 5년 예정으로 대여받았다. 임대 후 몇 년 사용하다가 1972년에 구매했으며, 스페인 최초의 항공모함이 되었다.

데달도는 1967년부터 1976년까지 9년 동안 대잠전을 위한 헬기항모로 사용되었다. 1972년 11월 8일, 데달도 비행갑판에 해리어 이착륙 테스트를 성공했다. 해리어가 수직으로 착륙할 때 내뿜는 고열의 연소가스가 나무로 된 비행갑판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함미의 비행갑판 위에 내열 강철판을 설치했다.[5] 1976년에는 1인용 AV-8S 6대와 2인용 TAV-8S 2대를 인도받았고, 1980년에는 AV-8S 4대를 추가로 인도받았다. 스키 점프대는 설치되지 않았다.

2. 2. 운용

1967년 8월 30일 스페인 해군미국 인디펜던스급 항공모함인 USS 캐봇 (CVL-28)을 중고로 임대했다. 몇 년 사용하다가 구매했으며, 이는 스페인 최초의 항공모함이다. 1972년 11월 8일, 데달도 비행갑판에 해리어 이착륙 테스트를 성공했다. 해리어가 수직으로 착륙할 때 내뿜는 고열의 연소가스가 나무로 된 비행갑판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함미의 비행갑판 위에 내열 강철판을 설치했다.[5] 1976년 AV-8S 6대와 TAV-8S 2대를 인도받았고, 1980년 AV-8S 4대를 추가로 인도받았다. 스키 점프대는 설치되지 않았다.

데달도는 1650일 동안 스팀 엔진을 가동해 300000해리(56만 km)를 항해했고, 3만 회의 함재기 이착륙을 기록했다. AV-8A 1대, AB 212ASW 대잠헬기 3대를 사고로 잃었다.[6]

1988년 스페인이 독자 건조한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 (항공모함)으로 교체되고, 1989년 데달도함은 퇴역했다. 미국의 기업에 팔려 박물관으로 사용될 예정이었으나, 2002년 폐기되었다.

데달도함은 스키 점프대도 없고, 이륙용 증기 캐터펄트도 없으며, 착륙용 어레스팅 와이어도 없는 점이 미국 와스프함, 한국 독도함과 같은데, 8대의 해리어 전투기를 운용했다.

스페인 해군 항공모함 ''데달로'' (R01)가 1976년 로타 해군 기지의 부두에 정박해 있다.


1982년 2월 로타에 정박해 있는 ''데달로''와 USS ''Raleigh'', USS ''Saipan''


AV-8S Matador가 1988년 ''데달로'' 상공을 비행한다.


해리어를 탑재한 데달로


2. 3. 퇴역

1967년 8월 30일, 스페인 해군은 미국 인디펜던스급 항공모함인 USS 캐봇 (CVL-28)을 중고로 임대했다가 이후 구매하여 스페인 최초의 항공모함으로 운용하였다. 1988년 스페인이 독자 건조한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 (항공모함)으로 교체되면서, 데달도함은 1989년 8월에 퇴역하였다. 퇴역 후 미국의 기업에 팔려 박물관으로 사용될 예정이었으나, 2002년에 폐기되었다.[1]

데달도는 1650일 동안 스팀 엔진을 가동하여 30만 해리(56만 km)를 항해했으며, 3만 회의 함재기 이착륙을 기록했다. 이 과정에서 AV-8A 1대와 AB 212ASW 대잠헬기 3대를 사고로 잃었다.[1]

SH-3 시킹을 탑재한 데달로


3. 해리어 운용

스키 점프대나 이륙용 증기 캐터펄트, 착륙용 어레스팅 와이어가 없는 데달도함은 미국의 와스프함, 한국의 독도함과 마찬가지로 8대의 해리어 전투기를 운용했다.

1972년 11월 8일, 데달도함은 세계 최초로 해리어 탑재 시험에 성공했다. 1972년 시험 후, 데달도함 정비 시기에 AV-8S 마타도르(AV-8A 해리어의 스페인 해군 사양)를 주문하여 배치가 결정되었다. 수직 착륙 시 해리어의 하강 기류가 목재 갑판에 손상을 주었기 때문에, 비행 갑판 후반에 보호 금속 피복을 설치했다. 1976년에 제1진 AV-8S 단좌기 6기와 TAV-8S 복좌기 2기가 스페인에 도착했고, 1980년에는 제2진 AV-8S 4기가 도착했다. 해리어를 탑재하는 다른 항공모함과 달리, STOVL(단거리 이륙 수직 착륙)을 보조하는 스키 점프대는 만들어지지 않았다. 대신 해리어의 최대 이륙 중량을 제한했다.

데달도함은 보통 대잠 임무를 수행하는 4기의 초계 헬리콥터 SH-3, 전자전을 겸임하는 4기의 AB-204/AB-212, 그리고 추가로 1개 그룹의 헬리콥터(대잠 항공모함으로 활동했던 1976년까지는 4기의 수송 헬리콥터 CH-19, 그 외 해군의 공격 헬리콥터 AH-1G 코브라 등)와 해리어 4개 그룹으로 구성된 항공기를 탑재했으며, 최대 7개 그룹까지 탑재가 가능했다.[1]

참조

[1] 서적 Conway#REDIRECT Naval Institute Press 1983
[2] 웹사이트 Los Huey Cobra de la Armada española https://envisitadeco[...] 2018-05-12
[3] 웹사이트 ¿Otro portaaviones Dédalo? https://blognaval.es[...]
[4] 문서 es:Dédalo (portaaeronaves)
[5] 웹사이트 The full story of the Harrier "Jump-Jet" Part Three – Harriers in Service and the Falklands War http://www.wingweb.c[...]
[6] 웹사이트 Wikispaces.com, R01 Dédalo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