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T 문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ST 문산은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한 상륙함이다. LST-120으로 건조되어 미국 해군에서 운용되다 1947년 대한민국 정부에 인수되어 문산으로 명명되었다. 한국 전쟁 발발 후 묵호 전투부대 퇴각 지원, 여수 철수 작전에 참여했으며, 1950년 9월 장사 상륙 작전을 지원하다 좌초되었다. 현재는 장사리 해안에 유적이 남아있으며, 전승 기념 공원이 조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3년 선박 - USS 요크타운 (CV-10)
USS 요크타운 (CV-10)은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 해군의 에식스급 항공모함으로, 침몰한 USS 요크타운 (CV-5)의 이름을 이어받아 태평양 전쟁에서 활약하고 대잠 항공모함으로 개조되어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도 참전했으며, 아폴로 8호의 승무원과 사령선을 회수하는 임무를 수행한 후 박물관 함선으로 전환되어 현재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에 전시되어 있다. - 1943년 선박 - U-234
U-234는 제2차 세계 대전 말 독일 해군이 운용한 U-보트로, 기뢰 부설 잠수함에서 일본으로 향하는 화물 수송 잠수함으로 개조되어 군사 물자 수송 임무를 수행하려다 종전 후 미 해군에 나포, 조사 후 격침되었다.
| LST 문산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 좌표 | |
| 기본 정보 | |
| 함종 | 전차상륙함 |
| 함번 | LST-120 |
![]() | |
| 영어 이름 | Landing Ship, Tank 120 |
| 미국 | |
| 건조 | 제퍼슨빌 선박기계회사, 제퍼슨빌 |
| 기공 | 1943년 5월 5일 |
| 진수 | 1943년 8월 7일 |
| 명명자 | Mrs Laura K. Richert |
| 취역 | 1943년 9월 22일 |
| 퇴역 | 1946년 1월 7일 |
| 제명 | 1947년 3월 5일 |
| 식별 부호 | Callsign: NPHQ |
| 훈장 | 없음 |
| 별칭 | 없음 |
| 운명 | 1947년 대한민국에 양도됨 |
| 대한민국 | |
| 이름 | 문산 (文山) Mun-san |
| 이름 유래 | 문산 |
| 획득 | 1947년 2월 |
| 취역 | 1947년 2월 |
| 퇴역 | 알 수 없음 |
| 운명 | 장사에서 좌초, 1950년 |
| 제원 | |
| 함급 | LST-1급 전차상륙함 |
| 배수량 | 경하: 만재 (항해): (1675톤 적재시 해상 흘수) |
| 흘수 | 경하: 전방: 후방: 항해: 전방: 후방: 상륙 (500톤 적재시): 전방: 후방: |
| 추진 | 2 × General Motors 12-567 디젤 엔진, 2축 추진, 2타 |
| 항속 거리 | at |
| 탑승 인원 | 장교 7명, 사병 104명 |
| 무장 | 2 × 쌍열 40mm 기관포 4 × 단장 40mm 기관포 12 × 단장 20mm 기관포 |
| 탑재정 | 2 × LCVP |
2. 제2차 세계 대전
LST-120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아시아-태평양 전구에 배치되어 태평양 함대 상륙부대에 배속되었다. 1944년 마리아나·팔라우 제도 전역의 사이판 전투와 티니안 전투에 참가하였고, 1945년에는 일본 점령 연합군을 지원하였다.[1]
2. 1. 건조 및 취역
LST-120은 1943년 5월 5일 미국 인디애나주 제퍼슨빌의 제퍼슨빌 보트 앤 머신 컴퍼니에서 기공되었다. 1943년 8월 7일 진수되었고, 1943년 9월 22일 취역하여 미국 해군에 소속되었다.[2] 이후 아시아-태평양 전구에 배치되어 태평양 함대 상륙부대에 배속되었다.2. 2. 미 해군 복무 (1943-1946)
LST-120는 인디애나주 제퍼슨빌에 있는 제퍼슨빌 선박기계회사에서 건조되어 1943년 9월 22일에 취역하였다. 아시아-태평양 전구에 보내져 태평양 함대 상륙부대에 배속되었다.[1]1944년 마리아나·팔라우 제도 전역의 사이판 전투와 티니안 전투에 참전하였다. 1944년 6월 15일부터 7월 28일까지 사이판 점령에 참가했으며, 1944년 7월 24일부터 28일까지 티니안 점령에도 참가했다.[1]
1945년에는 일본 점령 연합군을 지원하였다. 1945년 10월 15일부터 25일까지, 그리고 1945년 11월 18일부터 1946년 2월 13일까지 극동 지역의 점령 임무를 수행하였다.
미국 본토로 귀환한 LST-120는 1946년 1월 7일, 태평양 함대 편제표에서 재적되어 '''Q004'''로 극동해군 산하 일본 상선 통제 당국(SCAJAP)에 이관되었다.[1]
3. 한국 전쟁
한국 전쟁 발발 직후, 대한민국 해군 묵호경비부사령관 김두찬 중령의 전시동원령에 따라 문산호는 징발되었다.[1] 1950년 6월 25일, 조선인민군 해군 제549육전대가 묵호항에 상륙하자, 육군-경찰 합동부대인 묵호 전투부대가 이에 맞섰다. 문산호는 묵호 전투부대를 포항으로 철수시키고, 3일 뒤 재정비한 부대를 태우고 다시 묵호로 향했다.[1] 6월 29일 새벽, 묵호항에 있던 문산호는 USS 주노에게 조선인민군 함정으로 오인받아 포격을 당했으나, 해군정보부 장교의 확인으로 오해가 풀려 포항으로 철수하였다.[1] 이후 PC-701 백두산의 호위를 받으며 여수 철수 작전에 참가했다.[1]
3. 1. 대한민국 해군 인수 및 운용 (1947-1950)
1947년 2월, 대한민국 정부는 LST-120을 구매하여 "문산"(이하 문산호)으로 명명하였고, 교통부 산하 대한해운공사에서 밀가루나 석탄을 운송하는 데 사용하였다.[1] 묵호항에 정박하여 석탄을 싣고 있다가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대한민국 해군 묵호경비부사령관 김두찬 중령의 전시동원령에 의해 징발되었다.[1]당시 육군-경찰 합동부대인 묵호 전투부대는 1950년 6월 25일에 상륙한 조선인민군 해군 제549육전대와 맞서 싸우고 있었다.[1] 문산호는 퇴각하는 묵호 전투부대를 포항으로 탈출시켰고, 3일 뒤 해군본부의 명령에 따라 재정비한 묵호 전투부대를 태우고 묵호로 다시 출항하였다.[1] 6월 29일 오전 2시 즈음, 문산호가 묵호항에 남아있는 것을 알지 못하고 조선인민군 해군의 함정으로 착각한 USS 주노에게 포격당했다.[1] 마침 문산호에 승선해있던 해군정보부 장교를 보내 대한민국 해군 소속 함정인 것을 확인시켜 오해를 풀고 포항으로 철수하였다.[1]
PC-701 백두산의 호위를 받으며 여수 철수 작전에 참가했다.[1]
3. 2. 한국 전쟁 초기 (1950)
1950년 6월 25일, 조선인민군 해군 제549육전대가 묵호에 상륙하자, 육군-경찰 합동부대인 묵호 전투부대가 이들과 교전하였다. 이때 문산호는 묵호 전투부대를 포항으로 철수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8] 3일 뒤, 문산호는 해군본부의 명령에 따라 재정비한 묵호 전투부대를 태우고 다시 묵호로 향했다.6월 29일 오전 2시경, 문산호가 묵호항에 정박해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USS 주노는 문산호를 조선인민군 해군의 함정으로 오인하여 포격을 가했다.[8] 그러나 문산호에 승선해 있던 해군 정보 장교의 활약으로 대한민국 해군 소속 함정임이 확인되어 위기를 넘기고 포항으로 철수하였다.[8]
이후 문산호는 PC-701 백두산의 호위를 받으며 여수 철수 작전에 참가했다.[8]
3. 3. 장사 상륙 작전 (1950)
9월 14일, 문산호는 독립 제1유격대대의 장사 상륙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출항하였다. 대대원 772명을 태우고 장사에 도착했으나, 곧 태풍 케지아(Kezia영어)에 의해 해안가에 좌초되었다.[8] 간신히 상륙한 대대는 일주일간 조선인민군 제2군단의 주의를 끌었고, 그들과의 전투에서 문산호의 황재중 선장[8]과 선원이 전사하였다.생존자들은 9월 19일 USS 헬레나를 기함으로 한 제7함대 포격임무대(Bombardment Task Force영어)의 지원으로 엄호받으며 대한민국 해군의 LST 조치원을 타고 철수에 성공하였다.
4. 유산
장사 상륙 작전 이후 문산호는 장사리 해안에 좌초된 채 방치되어 있다가 1997년 3월 6일 해병대 제1사단 특수수색대 대원들에 의해 발견되었다.[3] 장사 상륙 작전을 기념하기 위한 전승기념공원이 조성되었으며, 문산호는 2,000톤급 모형으로 재현되었다.[4][5][6] 2020년 11월 16일에는 장사 상륙 작전 기념관이 개관하였다.[7]
5. 수상 내역
LST-120은 아메리카 전역훈장, 아시아-태평양 전역훈장, 제2차 세계 대전 승전훈장, 해군 점령근무훈장과 2개의 전투별을 수상했다.
| 수상 내역 |
|---|
5. 1. 미 해군
USS LST-120은 인디애나주 제퍼슨빌에 있는 제퍼슨빌 선박기계회사에서 1943년 5월 5일에 기공, 8월 7일 진수, 9월 22일에 취역하였다. 아시아-태평양 전구에 보내져 태평양 함대 상륙부대에 배속되었다.1944년 마리아나·팔라우 제도 전역의 사이판 전투과 티니안 전투에 참가하였다. 1945년에는 일본을 점령한 연합군을 지원하였다.
미국 본토로 귀환한 USS LST-120는 1946년 1월 7일, 태평양 함대 편제표에서 재적되어 '''Q004'''으로서 극동해군 Shipping Control Authority for the Japanese Merchant Marine|일본선박통제당국영어(SCAJAP)에 넘겨졌다.
''LST-120''은 다음의 상을 수상했다.
| 수상 내역 |
|---|
| 아메리카 전역훈장 |
| 아시아-태평양 전역훈장 |
| 제2차 세계 대전 승전훈장 |
| 해군 점령근무훈장 (1945년 10월 15~25일, 1945년 11월 18일 ~ 1946년 2월 13일) |
2개의 전투별
5. 2. 대한민국 해군
1947년 2월, LST-120은 대한민국 정부에서 사들여 "문산"으로 명명되었고, 교통부 산하 대한해운공사에서 밀가루나 석탄을 운송하는 데 사용되었다. 묵호항에 정박하고 있다가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대한민국 해군 묵호경비부사령관 김두찬 중령의 전시동원령에 의해 징발되었다.당시 육군-경찰 합동부대인 묵호 전투부대가 1950년 6월 25일에 상륙한 조선인민군 해군 제549육전대에 맞서 싸우고 있었다. 문산호는 퇴각하는 묵호 전투부대를 포항으로 탈출시켰고, 3일 뒤, 해군본부의 명령에 따라 재정비한 묵호 전투부대를 태우고 묵호로 다시 출항하였다. 6월 29일 오전 2시 즈음, 문산호가 묵호항에 남아있는 것을 알지 못하고 조선인민군 해군의 함정으로 착각한 USS 주노에게 포격당했다. 마침 문산호에 승선해있던 해군정보부 장교를 보내 대한민국 해군 소속 함정인 것을 확인시켜 오해를 풀고 포항으로 철수하였다.
PC-701 백두산의 호위를 받으며 여수 철수작전에 참가했다.
참조
[1]
웹사이트
Tank Landing Ship LST-120
https://www.navsourc[...]
2021-08-25
[2]
웹사이트
LST-120
https://www.history.[...]
2021-08-26
[3]
뉴스
영덕앞바다서 좌초 문산함…47년만에 인양
https://www.chosun.c[...]
[4]
웹사이트
문화재방송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http://www.tntv.kr/b[...]
2021-08-25
[5]
웹사이트
문산호 복원, 학도군 기념탑 설치 … '장사상륙작전 기념공원' 조성 착착
https://www.joongang[...]
2015-06-17
[6]
웹사이트
'장사상륙작전 전승기념관' 영덕 바다 위에 떴다
https://www.donga.co[...]
2020-06-03
[7]
웹사이트
장사상륙작전 전승기념관 준공식 개최 {{!}} 뉴스로
https://www.newsro.k[...]
2021-08-25
[8]
뉴스
최초공개 -6·25 전쟁 인천상륙작전 성공 투입된 LST 문산호 선장 선원 명단
http://pub.chosun.co[...]
월간조선
2019-0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장사동 해안가에 자초된 LST 문산과 상륙 중인 [[제1독립유격대대]]의 대원들. 항공촬영](https://cdn.onul.works/wiki/no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