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 (항공모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는 1988년 스페인 해군에 취역한 항공모함으로, 1970년대 미국 해군의 해상 통제함 개념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AV-8B 해리어 II와 헬리콥터를 운용하며, 최대 29대의 항공기를 탑재할 수 있다. 2013년 퇴역 후 스페인 해군의 함상 고정익 플랫폼 역할은 강습상륙함 후안 카를로스 1세가 담당하게 되었으며, 이 함정의 설계를 기반으로 태국 해군은 차크리 나루에벳을 건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항공모함 - 데달도 항공모함
    데달도 항공모함은 스페인 해군이 운용했던 경항공모함으로, 헬기 항모로 개조되어 SH-3D 헬리콥터를 운용하고 해리어 이착륙 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AV-8S와 TAV-8S를 운용했으며,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함에 의해 대체된 후 해체되었다.
  • 1982년 선박 - USS 조지아 (SSGN-729)
    USS 조지아는 미국의 오하이오급 잠수함으로, 탄도 미사일 잠수함에서 유도 미사일 잠수함으로 개조되어 154발의 토마호크 미사일을 탑재하고 다양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 1982년 선박 - INS 비크라마디티야
    INS 비크라마디티야는 원래 소련 해군의 키예프급 항공모함이었으나 러시아 해군에서 퇴역 후 인도에 매각되어 대대적인 개조를 거쳐 STOBAR 방식의 항공모함으로 재탄생, 인도 해군의 해상 전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 (항공모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우현에서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배의 모습
드래곤 해머 92 합동 훈련 중의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 (R11)
함명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
함명 유래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
별칭(제공된 텍스트에 없음)
약칭R-11
슬로건(제공된 텍스트에 없음)
훈장(제공된 텍스트에 없음)
소속로타 해군 기지
함마크[[파일:Emblema Principe de Asturias R-11.svg|100px|center|함의 로고]]
제원
함급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급 경항공모함
종류(제공된 텍스트에 없음)
배수량기준: 15,912톤
만재: 16,700톤
길이195.9m
24.3m
흘수9.4m
추진 방식COGAG
기관바산-제너럴 일렉트릭 LM2500+ 가스터빈 엔진 2기
1개
출력46,400 마력
속력26노트
항속 거리20노트에서 6,500해리
승조원총 830명 (선박 승무원 600명, 항공 승무원 230명)
센서레이시온 SPS-52 C/D 3차원 대공 수색 레이더
SC Cardion SPS-55 대수상 수색 레이더
ITT SPN-35A 항공기 통제 레이더
FABA SPG-M2B 사격 통제 레이더
SELEX Sistemi Integrati RTN-11L/X 미사일 접근 경고 레이더
Selex RAN 12 L 목표 지정 레이더
전자전 장비Nettunel 전자 방해 장치
SRBOC
Sensytech AN/SLQ-25 Nixie 기만 장치
무장FABA Meroka Mod 2B CIWS 4문
욀리콘 L120 20mm 기관포 12문
탑재 항공기고정익 및 회전익 항공기 29대
항공 시설길이 46.5m, 경사 12도의 스키 점프대
건조 정보
발주1977년 5월 29일
건조바산 페롤 조선소
기공1979년 10월 8일
진수1982년 5월 22일
명명소피아 데 그레시아 이 덴마르카
취역1988년 5월 30일
퇴역2013년 2월 6일
폐기2017년 8월 29일 알리아가에서 해체
초기 비용1993년 기준 2억 8,500만 미국 달러
비고(제공된 텍스트에 없음)
기타 정보
대체 함정후안 카를로스 1세
관련 함선데달로
차크리 나루에벳
같이 보기산타 마리아급 호위함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호위함

2. 설계

2004년 항해 중인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 (R-11)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의 설계는 1970년대 미국 해군이 구상했던 해상 통제함(Sea Control Ship, SCS)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다. SCS는 제2차 세계 대전의 호위 항공모함과 유사하게, 헬리콥터와 소수의 STOVL 항공기를 운용하여 소련과의 전쟁 시 호송선단을 보호하는 대잠전 임무 등을 수행할 목적으로 계획된 소형 항공모함이었다. 미국에서는 의회의 반대로 실제 건조까지 이어지지 못했지만, 스페인 해군은 노후화된 항공모함 데다로를 대체하기 위해 이 개념에 주목했다.

스페인 해군은 1967년 미국으로부터 인디펜던스급 항공모함 카보트를 대여받아 '데다로'로 재취역시키며 항공모함 운용을 시작했고, 1973년에는 완전히 구매했다. 하지만 '데다로'는 대여 시점부터 이미 함령 25년의 노후함이었고 성능 저하가 심해 교체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에 스페인 해군은 SCS 개념을 바탕으로 미국의 깁스 앤드 콕스사가 발전시킨 설계안을 채택했다.

기본 설계는 SCS를 따랐지만, 스페인 해군의 요구에 맞춰 여러 수정이 가해졌다. 가장 큰 특징은 고정익 항공기의 단거리 이륙 성능을 높이기 위해 함수에 스키 점프대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함대 기함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기존 SCS 설계의 1층짜리 함교 구조와 달리, 항해 함교 아래에 사령부용 함교를 추가하여 지휘통제 능력을 강화했다. 긴 선루와 폐쇄형 함수를 가진 선체 설계 역시 SCS의 특징을 따른다. 소형 항공모함의 특성상 함의 흔들림을 줄이기 위해 핀 안정기를 탑재했으며, 대잠전 수행 능력을 높이기 위해 수중 방사 소음을 줄이는 프레리 마스커 시스템도 갖추었다.

추진 방식으로는 제너럴 일렉트릭 LM2500 가스터빈 엔진 2기의 출력을 감속기를 통해 모아 하나의 스크류 프로펠러를 구동하는 COGAG(Combined Gas And Gas) 방식을 채택했다. 이는 대형 함선에서는 이례적인 1축 추진 방식으로, 저비용을 추구했던 SCS 설계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미사일 프리깃과 같은 구성이지만 총 출력은 46,400마력에 달한다. 주 기관 고장 등 비상 상황에 대비하여 800마력짜리 접이식 방위각 스러스터 2기를 함체 바닥에 설치하여, 이를 이용해 5노트의 속도로 항해할 수도 있다. 전력 공급은 앨리슨 501-K17 가스터빈 엔진으로 구동되는 2,500kW급 발전기 3기가 담당한다.

건조는 국영 조선사 바잔(현 나반티아)의 페롤 조선소에서 이루어졌다. 건조 작업은 1977년 5월 29일에 시작되어 1978년 3월 1일 강재 절단, 1979년 10월 8일 기공 순으로 진행되었다. 1982년 5월 22일에는 후안 카를로스 1세 국왕이 참석한 가운데 소피아 왕비에 의해 진수 및 명명되었고, 1987년 11월 첫 해상 시험을 거쳐 1988년 5월 30일 스페인 해군에 정식으로 인도되었다.

한편, 1997년 태국 해군에 인도된 항공모함 차크리 나루에벳은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의 설계를 기반으로 건조되었다.

2. 1. 함재기 운용 능력

AV-8B 해리어 II를 주력 함재기로 운용한다. 이 함재기는 AIM-9 사이드와인더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AIM-120 암람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AGM-88 함 대레이더 미사일, AGM-65 메버릭 공대지 미사일, GAU-12U 기관포 등을 탑재할 수 있다.

헬리콥터 운용 능력도 갖추고 있어, 주로 H-3 시킹 계열(SH-3H, SH-3 AEW)과 아구스타-벨 AB-212 등을 공중조기경보(AEW) 및 대잠 초계기, 다목적 임무에 투입한다.

바다 위의 항공모함에서 수직 이륙을 하는 회색 제트 항공기. 각 기울어진 날개 아래에는 외부 연료 탱크가 있습니다.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에서 운용되는 스페인 AV-8B 해리어 II


항공기 탑재 능력은 최대 29대(고정익 및 회전익 항공기 혼합)이며, 이 중 최대 12대는 5100m2 면적의 비행갑판에, 최대 17대는 2398m2 면적의 격납고에 수용할 수 있다. 격납고는 2대의 항공기용 엘리베이터를 통해 비행갑판과 연결된다. 비행갑판의 길이는 176m이다.

V/STOL 항공기의 단거리 이륙을 지원하기 위해 함수 부분에 12도 경사의 스키 점프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키 점프대는 길이 46.5m에 달하며, 활주로는 함의 중심선에서 약간 좌현 쪽으로 치우쳐 있다.

평시 탑재 항공기 구성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1989년 9월 북유럽 방문 당시 기준).

기종역할수량
마타도르 II (EAV-8B)함상 공격기6대
마타도르 (AV-8S)함상 공격기4대
SH-3 시킹대잠 초계기 / 조기경보기7대 (이 중 3대는 AEW 사양)
AB-212다목적 헬리콥터3대



수송 임무 시에는 최대 37대의 항공기를 탑재할 수 있었으나, 실질적인 전투 운용 가능 대수는 24대 수준이었다.

3. 무장

AV-8B 해리어 II를 주력으로 탑재한다. 이 항공기는 AIM-9 사이드와인더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AIM-120 암람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AGM-88 함 대레이더 미사일, AGM-65 메버릭 공대지 미사일, GAU-12U 기관포 등을 운용할 수 있다. 헬리콥터도 운용하며, 주로 공중조기경보(AEW) 임무를 위한 H-3 Sea King|H-3 시킹eng이나 Agusta AB-212|아구스타 AB-212eng 등이 사용된다.

항공모함은 최대 29대의 AV-8B 해리어 II와 헬리콥터를 탑재할 수 있다. 비행갑판에는 최대 12대, 내부 격납고에는 최대 17대를 수용할 수 있다. 내부 격납고의 면적은 2398m2이며, 2대의 항공기용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비행갑판의 면적은 5100m2이고 길이는 176m이다. V/STOL 항공기 운용을 위해 함수에는 12도 경사의 스키 점프가 설치되어 있다.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에 탑재된 메로카 CIWS


자체 방어용 무장으로는 4기의 메로카 CIWS와 6기의 채프 기만 발사기를 갖추고 있다. 좌현에는 의전용 예포 2문이 설치되어 있었다.

공격 능력은 전적으로 탑재된 항공기에 의존하며, 대잠전 능력 역시 탑재된 대잠 헬리콥터와 호위 전단의 탐지 및 공격 능력에 의존한다. 이처럼 탑재 무기를 근접 방어용으로 제한한 점은 비교적 중무장을 했던 키예프급 항공모함이나 주세페 가리발디와 대조적이다. 또한 현대의 경항공모함으로서는 드물게 소나를 탑재하지 않았다.

4. 운용

1988년 5월 취역하였다. 운용 중이던 2008년 3월 10일, 항공모함 기능도 갖춘 SPS 후안 카를로스 1세 다목적 강습상륙함진수되었다.

2013년 2월 6일 퇴역했으며, 다음 날인 2월 7일 페롤의 나반티아 조선소까지 마지막 항해를 했다.[9] 본 함 퇴역 후 스페인 해군의 함상 고정익 플랫폼 역할은 강습상륙함인 후안 카를로스 1세가 이어받게 되었다.

5. 퇴역

위에서 아래로, 1991년 나토 디스플레이 결정 91 훈련에 참여한 함선들: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 USS 와스프, USS 포레스탈, 그리고 HMS 인빈시블.


2012년 5월, 스페인 정부의 재정적 압박으로 인해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가 현역에서 퇴역할 수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7] 항공모함과 항공단의 연간 운영비는 1억유로에 달했다.[6] 함선의 지위가 스페인 해군의 기함이었던 만큼, 퇴역 결정은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했다.[7]

결국 2012년 11월 퇴역이 확정되었고, 공식 퇴역식은 2013년 2월 6일에 거행되었다.[6] 퇴역 후 함상 항공 작전 능력은 강력한 항공 운용 능력을 갖춘 강습상륙함인 후안 카를로스 1세가 이어받게 되었다.[6] 퇴역 다음 날인 2013년 2월 7일 페롤의 나반티아 조선소까지 마지막 항해를 했다.[9] 이후 2017년 8월 29일, 터키 알리아아에서 해체되었다.[8]

한편, 조선소 바산사는 이 함선의 설계를 기반으로 축소·파생형인 태국 해군의 차크리 나루에벳을 건조하기도 했다.

6. 파생형

스페인의 조선 회사 나반티아(구 바산사)는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함을 기반으로 축소·파생형 설계를 개발하여, 태국 해군을 위해 차크리 나루에벳을 건조했다.

7. 비교 대상

함명국가건조년도길이(m)만재배수량(톤)헬기수직이착륙기속력(노트)마력종류
휴우가함일본2007197m18000ton11030100,000DDH
22DDH일본2014248m27000ton1430112,000DDH
미스트랄함프랑스2004199m21300ton3501948,679BPC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스페인1988196m17190ton29292746,400경항공모함
주세페 가리발디이탈리아1985180m13500ton18123082,000경항공모함
인빈시블영국1977209m20700ton20202897,000CVS
오오스미일본1995178m14000ton002226,000LST
짜끄리 나르벳태국1996183m11486ton141425.555,450경항공모함



일본 해상자위대의 휴우가함은 이탈리아 해군의 13850ton급 주세페 가리발디함, 스페인 해군의 17000ton급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함, 영국 해군의 21000ton급 인빈시블함과 비슷한 외형을 가지고 있다.[10] 태국짜끄리 나르벳함은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함을 기반으로 건조되었다.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함의 탑재 병기는 근접 방어용으로 제한되어 있는데, 이는 선행한 소련 해군키예프급 항공모함이나 이탈리아 해군의 주세페 가리발디함이 비교적 중무장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또한 소나를 탑재하지 않아, 현대의 경항공모함 중에서는 이례적인 경우로 평가받는다.

참조

[1] 웹사이트 Principe de Asturias Class - Archived 3/99 https://www.forecast[...] Forecast International 1998-03-00
[2] 웹사이트 The Former Spanish Navy Flagship Vessel Is A Victim of Budgetary Cuts http://www.murciatod[...] Murcia Today 2013-02-06
[3] 뉴스 Several countries interested in buying ex-Spanish Navy Aircraft Carrier Principe de Asturias http://www.navyrecog[...] Navyrecognition.com 2013-05-27
[4] 웹사이트 ANGOLA COMPRA PORTA-AVIÕES PRÍNCIPE DAS ASTÚRIAS - atualizado (M1301 - 368PM/2013) http://www.passarode[...] 2013-12-00
[5] 웹사이트 Dünyaca ünlü uçak gemisi Türk firmasının oldu http://www.haberturk[...] 2017-09-04
[6] 간행물 Flash Traffic: Farewell Principe de Asturias Navy League of Australia 2013-04-00
[7] 웹사이트 Military mulls whether to dock navy's only aircraft carrier http://elpais.com/el[...] El Pais 2012-05-07
[8] 문서
[9] 웹사이트 O «Príncipe de Asturias» chega a Ferrol para a súa baixa http://www.lavozdega[...] La voz de Galicia 2013-02-08
[10] 웹인용 Japan's Secret Aircraft Carriers http://www.strategyp[...] Strategypage.com 2007-08-25
[11] 뉴스 Japan's About-Face: The military's shifting role in post-war society. http://www.pbs.org/w[...] PBS/WNET, NY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