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페인 해군은 13세기 창설되어 대항해 시대에 무적 함대로 불릴 정도로 강력했지만, 이후 정치적 혼란과 전쟁 패배로 쇠퇴를 겪었다. 19세기 말 미국-스페인 전쟁에서 패배하며 해외 식민지를 상실하고 해군력도 약화되었으나, 20세기 초 페란디스 해군 법안을 통해 재건을 시작했다. 스페인 내전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현대적인 해군으로 변화하였으며, 현재는 이지스 시스템을 갖춘 프리깃, 경항공모함 등을 운용하며, 해군 항공대, 해병대, 잠수함 기동전단 등을 조직하고 있다. 스페인 해군은 해군 본부, 함대, 군 지원 부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로타 해군 기지, 카르타헤나, 페롤 등 주요 기지를 운영한다. 주요 장비로는 항공모함, 상륙함, 호위함, 잠수함, 항공기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육상 전투 장비도 운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세기 설립 - 오스만 제국
오스만 제국은 오스만 1세가 건국하여 쉴레이만 1세 때 전성기를 맞이한 튀르크계 이슬람 제국으로, 제1차 세계 대전 패배 후 튀르키예 공화국으로 대체되기까지 밀레트 제도를 통해 다원적인 사회 구조를 유지했다. - 13세기 설립 - 맘루크 술탄국
맘루크 술탄국은 1250년부터 1517년까지 이집트와 레반트를 통치한 이슬람 왕조로, 노예 출신 군인인 맘루크들이 세웠으며, 바흐리 왕조와 부르지 왕조 시대를 거쳐 강력한 군사력과 행정 시스템을 기반으로 번성했으나, 내부 분쟁과 흑사병, 유럽의 해상 무역 확장으로 쇠퇴하여 오스만 제국에 멸망, 이슬람 문화의 중심지로서 독특한 문화유산을 남겼다.
스페인 해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창설일 | 15세기 |
국가 | 스페인 |
종류 | 해군 |
규모 | 병력 20,838명 (2016년 기준) |
사령 구조 | [[파일:Emblem of the Spanish Armed Forces.svg|25px]] 스페인군 |
본부 | 본부: 스페인 해군 본부, 마드리드 주요 해군 기지: 로타 해군 기지 페롤 해군 기지 카르타헤나 해군 기지 마혼 해군 기지 라스 팔마스 해군 기지 라 카라카 해군 기지 마린 해군 사관학교 |
수호 성인 | 카르멜 산의 성모 (스페인어: Nuestra Señora del Carmen) |
군가 | Himno de la Escuela Naval (José María Pemán) |
기념일 | 7월 16일 |
웹사이트 | 스페인 해군 공식 웹사이트 |
지휘부 | |
총사령관 | 펠리페 6세 |
해군 참모총장 | 카를로스 마르티네스-메레요 이 디아스 데 미란다 제독 (대행) |
상징 | |
해군기 | [[파일:Naval jack of Spain.svg|border|100px]] |
군함기 | [[파일:Flag of Spain.svg|150px]] |
장비 | |
공격기 | McDonnell Douglas EAV-8B Harrier II+ |
전투기 | McDonnell Douglas EAV-8B Harrier II+ |
헬리콥터 | Sikorsky SH-60B Seahawk |
화물 헬리콥터 | Sikorsky SH-60F Seahawk |
다목적 헬리콥터 | Agusta Bell AB-212+ |
훈련 헬리콥터 | Airbus H135 |
정찰기 | Boeing Institu ScanEagle |
훈련기 | McDonnell Douglas TAV-8B Harrier II |
수송기 | Cessna Citation |
역사 | |
주요 참전 | 7년 전쟁 미국 독립 전쟁 나폴레옹 전쟁 미국-스페인 전쟁 스페인 내전 |
2. 역사
스페인 해군의 역사는 중세 시대 스페인을 형성한 아라곤과 카스티야의 해군으로부터 시작된다. 이 두 왕국은 지중해 해상 무역으로 번성했고, 이를 보호하기 위한 해군을 갖추고 있었다.
1492년 레콩키스타 완료 후, 스페인 해군은 대항해 시대를 열었다. 크리스토발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은 강력한 무적 함대의 시작을 알렸다. 에르난 코르테스, 프란시스코 피사로 등 정복자들이 신대륙을 정복하며 가져온 막대한 부는 해군 증강에 사용되었다.
1571년 레판토 해전에서 스페인 해군은 오스만 제국 해군을 상대로 베네치아 해군, 교황령 군과 연합하여 승리했다. 이들은 대포를 탑재한 갤리선을 활용하여 지중해의 안전을 확보했지만, 해상 패권을 장악하지는 못했다. 이후 스페인 해군은 신대륙의 부를 바탕으로 무적함대로서 명성을 떨쳤다.
1580년 스페인은 포르투갈과 왕조 연합을 맺어 해군력의 절정에 도달했고, 포르투갈 해군과 결합하여 세계 최강의 해양 세력이 되었다. 그러나 1588년 아르마다 해전에서 잉글랜드 해군에 패배하며 무적함대의 신화는 깨졌다. 둔중한 갤리온선과 대포를 갖춘 무적함대는 영국 해군의 경쾌한 함대에 패배했다. 이는 청일 전쟁의 황해 해전과 유사한 양상이었다.
17세기 팔십 년 전쟁에서 스페인 해군은 네덜란드 해군과 1607년 지브롤터 해전, 1639년 다운스 해전에서 싸워 패배했고, 서인도 제도 일부를 영국에 빼앗겼다. 1714년 해군성이 설치되어 영국 해군과 젠킨스의 귀 전쟁을 벌였지만, 해군력은 영국 해군, 프랑스 해군에 이어 세 번째 수준이었다.
합스부르크 가문 시대 스페인은 지중해의 갤리선 함대와 대서양의 범선 함대, 두 개의 분리된 함대를 유지했다. 대 동맹 전쟁 (1688–97)과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2–14) 즈음, 합스부르크 정권은 자체 함대보다 동맹 함대(잉글로-네덜란드, 프랑스 함대)에 의존했다.
스페인 합스부르크 왕가 단절 이후 부르봉 왕가가 즉위하면서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이 발발했다. 내전 결과 시칠리아, 사르데냐, 메노르카, 지브롤터를 잃었다. 이후 사자 동맹 전쟁(1718–20)에서 스페인 해군은 시칠리아와 사르데냐로 군대를 수송했지만, 카프 파사로 해전에서 영국 해군에 의해 호위 함대가 파괴되었다.
부르봉 왕조는 1714년 육군과 해군을 관할하는 ''비밀 사무국'' (ministry)을 설립하여 함대 지휘와 행정을 중앙 집중화했다. 이후 함선, 작전, 행정 분야에서 엄격한 표준화 프로그램이 도입되었다. 안토니오 카스타네타, 호르헤 후안 등 스페인인들은 군함 설계 및 품질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1733–38) 동안 잃어버린 이탈리아 영토를 되찾는 데 성공했고, 젠킨스의 귀 전쟁에서는 카르타헤나 데 인디아스 해전에서 영국 침공 함대를 격파하며 아메리카 지배를 연장했다. 1750년대까지 스페인 해군은 영국, 프랑스 다음으로 강력한 해군이 되었다.
7년 전쟁(1756–63) 말기 영국에 대항하여 프랑스에 가담했지만, 아바나를 점령당했다. 미국 독립 전쟁(1775–83)에서 스페인 해군은 프랑스, 네덜란드 해군과 협력하여 영국 해군 자원을 고갈시켰고, 메노르카를 점령했다.
프랑스 혁명 전쟁(1792–1802)에서 처음에는 프랑스에 반대했지만, 1796년 입장을 바꾸었다. 그러나 생 빈센트 곶 해전 (1797) 등에서 영국에 패배하며 카디스에 봉쇄되었다. 전쟁은 1804년 재개되었고, 1808년 스페인과 영국이 나폴레옹에 대항하여 동맹을 맺으며 종결되었다. 스페인 해군은 트라팔가 해전에 참여하여 전열함 11척을 잃었다.
19세기 프랑스 제국에 의해 스페인이 정복당하고 부르봉 왕가가 폐지되면서, 스페인 해군은 프랑스 해군과 함께 트라팔가 해전에 참가했지만 영국 해군에 패배했다. 1820년대 스페인 제국은 아메리카 대륙 대부분의 식민지를 잃었고, 해군력은 약화되었다.
1850년대와 1860년대 스페인 해군은 태평양에 투자하여 제1차 태평양 전쟁에 휘말렸다. 1890년대 장갑 순양함을 획득하여 식민지와의 연결을 유지하려 했다. 1896년 호세 마리아 베랑게르 제독의 계획에 따라 카디스, 페롤, 카르타헤나에 3개 해군 사단이 주둔했다.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에서 스페인 해군은 미국 해군에 비해 수적으로 불리하고 장비가 열세하여 패배했다. 산티아고 데 쿠바 해전과 마닐라 만 해전에서 패배하며 세계적인 해상 세력으로서의 종말을 맞이했다.
모로코에서 발발한 리프 전쟁 동안 스페인 해군은 1925년 알후세마스 상륙을 수행했고, 해군 항공대를 창설했다. 1931년 스페인 제2공화국 선포 이후, 스페인 왕국의 해군은 스페인 공화국 해군으로 변경되었다. 스페인 내전 (1936–39)에서 해군은 분열되었고,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제2차 세계 대전 중 중립 정책으로 중립을 지켰다.
20세기 중반 이후, 스페인 해군은 재편 과정을 시작했다. 미 해군 녹스급 호위함 기반의 발레아레스급을 개발하고, 미국의 해군 교리를 받아들였다. 1982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 회원국이 되었으며, SFOR, 아이티 등 여러 평화 유지 작전에 참여했다. 현재 스페인 해군은 항공모함 전단, 전략 상륙함, 이지스 전투 시스템을 갖춘 프리깃 (F-100급), S-80급 잠수함 등 다양한 함선을 갖춘 현대 해군이다.
2. 1. 기원과 중세 시대
중세 시대 말엽, 이후 스페인을 형성하게 될 아라곤과 카스티야는 강력한 함대를 발전시켰다. 아라곤은 지중해에서 세 번째로 큰 해군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그 능력은 베네치아와 제노바에는 미치지 못했다. 14세기와 15세기에 이러한 해군력은 아라곤이 발레아레스 제도, 사르데냐, 시칠리아, 이탈리아 남부, 그리고 잠시 동안 아테네 공국을 포함하여 지중해에서 어떤 유럽 강대국보다 가장 큰 영토를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6]한편 카스티야는 해군력을 활용하여 무어인에 대항하는 레콩키스타 작전을 수행하고, 1232년에 카디스를 점령했으며, 백년 전쟁에서 프랑스 왕국을 돕기도 했다. 1375년, 카스티야 함대는 부르뇌프에서 대규모 잉글랜드 함대를 격파했고, 카스티야 선박들은 잉글랜드 해안을 습격했다. 카스티야가 네덜란드와 플랑드르의 도시들과 지속적인 무역 관계를 발전시키면서, 영국 해협은 사실상 "스페인 해협"이 되었다.[6] 1402년, 후안 데 베텐코르가 이끄는 카스티야 원정대는 카나리아 제도를 카스티야의 엔리케 3세를 위해 정복했다. 1419년, 카스티야는 바다에서 독일의 한자동맹을 격파하고, 그들을 비스케이 만에서 몰아냈다.[6]

2. 2. 합스부르크 시대: 대항해 시대와 무적함대
13세기경 창설된 스페인 해군은 대항해 시대에 무적 함대라 불릴 정도로 강력한 해군력을 자랑했다. 그러나 16세기 말, 잉글랜드 왕국의 해적 프랜시스 드레이크에게 패배하면서 무적함대의 명성에 금이 가기 시작했다.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과 일관성 없는 해군 정책으로 인해, 스페인 해군은 전함 설계 등의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영국 해군에 대한 우위를 확보하지 못했다.1588년 스페인 해군은 영국 해군과의 아르마다 해전에서 치명적인 타격을 입었다. 둔중한 갤리온선과 거대한 대포를 갖춘 무적 함대로 도전했지만, 해적 출신 영국 해군의 경쾌한 함대에 패배했다. 이는 청일 전쟁의 황해 해전과 유사한 양상이었다. 이 해전으로 스페인의 국력이 쇠퇴한 것은 아니지만, 스페인 해군에게는 쇠퇴의 길로 접어드는 전환점이 되었다.[1]
1492년 레콩키스타 완료 이후, 스페인 해군은 대항해 시대를 맞이하여 크리스토발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을 지원했다. 카라벨선과 캐랙선으로 구성된 함대는 무적함대의 선두 역할을 했다. 에르난 코르테스, 페드로 데 알바라도, 프란시스코 피사로 등 정복자들은 신대륙을 정복하여 스페인에 막대한 부를 가져다주었고, 이는 해군 증강에 사용되었다.
1571년 후안 데 오스트리아가 이끄는 스페인 해군은 오스만 제국 해군과의 레판토 해전에서 베네치아 해군, 교황령 군과 연합하여 승리했다. 이들은 대포를 탑재한 갤리선을 활용하여 지중해에서의 안전을 확보했지만, 해상 패권 장악에는 이르지 못했다.[1] 이후 신대륙에서 얻은 부를 바탕으로 스페인 해군은 무적함대로서 두려움을 샀다.[1]
1580년 스페인은 포르투갈과 왕조 연합을 맺어 해군력의 절정에 도달했고, 포르투갈 해군과 결합하여 세계 최강의 해양 세력이 되었다.
합스부르크 가문 아래 통일된 왕국은 지중해의 갤리선 함대와 대서양의 범선 함대, 두 개의 분리된 함대를 유지했다. 이들은 각각 아라곤과 카스티야 해군의 후계자였다. 이러한 배치는 17세기 동안 갤리선 전투가 쇠퇴하면서 대체될 때까지 지속되었다.
1565년부터 스페인 함대는 필리핀 제도, 즉 스페인령 동인도를 탐험하고 식민지화했다.
1580년대 네덜란드에서의 분쟁은 잉글랜드를 스페인과의 전쟁으로 끌어들여 스페인 선박에 또 다른 위협을 가했다. 이를 막기 위해 1588년 잉글랜드 침공을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이듬해 잉글랜드 무적함대의 재앙이 교전국 간의 균형을 회복했다. 1588년의 패배는 함대 작전의 개혁으로 이어졌다. 당시 해군은 단일 작전이 아니라 주로 왕실 함선의 호위를 받는 무장 상선으로 구성된 다양한 함대로 구성되었다. 무적함대의 실패는 해전의 전환점이 되었고, 램밍과 백병전보다 사격이 더 중요해졌으며, 스페인 선박에는 목적에 맞게 제작된 해군 총이 장착되었다. 1590년대 동안, 이러한 함대의 확장을 통해 해외 무역이 크게 증가하고 사치품과 은의 수입이 대폭 증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실한 항구 방어로 인해 1596년 잉글로-네덜란드 연합군이 카디스를 습격하여 도시에 큰 피해를 입혔다. 이후 카디스의 항구 방어가 강화되었고, 이후 공격 시도는 모두 실패했다.
17세기 팔십 년 전쟁에서 스페인 해군은 네덜란드 해군과 1607년 지브롤터 해전, 1639년 다운스 해전에서 싸워 패배했다. 또한 서인도 제도의 일부 지배권을 영국에 빼앗겼다.[1] 17세기 초, 스페인 함대는 케이프 코르보 해전, 케이프 셀리도니아 해전에서 오스만 제국에 큰 패배를 안겨주었으며 콘스탄티노플 습격과 오스만 튀니지에 대한 여러 차례의 습격도 있었다. 이 전투들은 동지중해 전선의 상황을 안정시켰다. 그러나 1639년, 마르턴 트롬프 휘하의 네덜란드 함대는 다운스 해전에서 대규모 스페인 함대를 격파하고 북부 해역에서의 스페인 작전을 종식시켰다.
1714년 해군성이 설치되어 영국 해군과 젠킨스의 귀 전쟁을 벌였다. 해군력은 예전에 비해 매우 약했지만, 영국 해군, 프랑스 해군에 이어 세 번째 세력이었다.[1]
대 동맹 전쟁 (1688–97)과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2–14) 즈음, 합스부르크 정권은 자체 함대에 투자하기보다 동맹 함대(잉글로-네덜란드, 프랑스 함대)에 의존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했다. 이 무렵, 미국 기반의 방어 사략선 서비스인 "과르다 코스타"가 설립되었다.
2. 3. 부르봉 왕조 시대: 해군 재건과 쇠퇴
17세기에 팔십 년 전쟁에서 스페인 해군은 지배하에 있던 네덜란드 해군과 1607년 지브롤터 해전, 1639년 다운스 해전에서 싸워 패배했다. 게다가 서인도 제도의 일부 지배권을 영국에 빼앗겼다. 1714년 해군성이 설치되어 젠킨스의 귀 전쟁을 영국 해군과 벌였다. 해군력은 옛날에 비해 매우 열세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국 해군, 프랑스 해군에 이어 세 번째 세력이었다.
스페인 합스부르크 왕가의 단절 이후 스페인 왕위에 부르봉 왕가(House of Bourbon)의 왕이 즉위하면서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이 발발했다. 합스부르크 왕가를 지지하는 세력과 부르봉 왕가를 지지하는 세력 간의 내부 분열은 내전으로 이어졌고, 결국 시칠리아, 사르데냐, 메노르카, 지브롤터를 잃게 되었다. 지브롤터와 메노르카는 합스부르크 왕위 계승자인 카를 6세의 스페인 국기를 휘날리며 싸운 영국-네덜란드 연합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메노르카는 수년 후 스페인에 반환되었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이 끝나자, 스페인은 저지대 국가와 이탈리아 본토에 대한 소유권을 오스트리아에 양도했다.
이전 전쟁의 손실을 만회하려던 사자 동맹 전쟁(1718–20)에서 스페인 해군은 군대를 시칠리아와 사르데냐로 수송하는 데 성공했지만, 제대로 관리되지 않은 호위 함대는 카프 파사로 해전에서 영국 해군에 의해 파괴되었고, 스페인 침공군은 이탈리아에서 오스트리아에 패배했다. 쇠퇴한 해군을 개조하고 재편성하는 대규모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부르봉 왕조는 1714년에 이미 육군과 해군을 관할하는 ''비밀 사무국'' (ministry)을 설립하여 여러 함대의 지휘와 행정을 중앙 집중화했다. 사자 동맹 전쟁 이후, 함선, 작전, 행정 분야에서 엄격한 표준화 프로그램이 도입되었다. 스페인 제국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스페인 군함 설계는 전투보다는 장거리 호위 및 순찰 임무에 더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었다. 스페인 해군의 주요 개혁이 시작되어 함선과 행정을 현대화했는데, 프랑스와 이탈리아 전문가들의 지원을 받았다. 스페인인, 특히 안토니오 카스타네타와 호르헤 후안이 이 작업에서 곧 두각을 나타내 스페인을 다시 군함 설계 및 품질 분야의 선두 주자로 만들었다. 이는 ''프린세사''와 같은 함선으로 입증되었다. 대규모 해군 조선소가 아바나에 설립되어 해군이 식민지 방어와 해적 및 밀수 진압을 위해 아메리카에 영구적인 병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고, ''과르다 코스타'' 사략선이 이를 보완했다. 본국 스페인에서는 스페인 해군 장교들이 정기적으로 대규모 삼림 정찰 작전을 수행하여 조선에 적합한 목재를 탐색했다.[7]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1733–38) 동안, 잃어버린 이탈리아 영토를 부르봉 왕조를 위해 되찾으려는 시도가 성공했다. 프랑스를 동맹국으로, 영국과 네덜란드를 중립국으로 하여 스페인은 해상 작전을 시작하여 오스트리아로부터 시칠리아와 남부 이탈리아를 되찾았다. 젠킨스의 귀 전쟁에서 해군은 영국 해군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아메리카 식민지와의 통신을 유지하고 이탈리아의 스페인 군대에 물자를 보급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해군은 오늘날의 콜롬비아에 위치한 카르타헤나 데 인디아스 해전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여기서 대규모 영국 침공 함대와 육군이 유능한 전략가 블라스 데 레소 제독이 지휘하는 소규모 스페인 군대에 패배했다. 이 스페인 승리로 인해 스페인의 아메리카 지배는 19세기 초까지 연장되었다. 해군 개조 프로그램은 계속되었고, 1750년대까지 스페인 해군은 네덜란드를 능가하여 영국과 프랑스 다음으로 세계에서 세 번째로 강력한 해군이 되었다.
7년 전쟁(1756–63) 말기에 영국에 대항하여 프랑스에 가담했지만, 해군은 영국이 아바나를 점령하는 것을 막지 못했고, 이 과정에서 주둔해 있던 스페인 함대도 포획되었다. 미국 독립 전쟁(1775–83)에서 스페인 해군은 프랑스 및 네덜란드 해군과 협력하여 영국 해군 자원을 고갈시키는 수적 우위를 확보하는 데 필수적이었다. 그들은 프랑스 및 네덜란드와 함께 미국 반군에게 군사 물자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해군은 또한 스페인 육군이 주도한 작전에서 플로리다에서 영국을 격파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연합군 측의 순수한 해상 전투의 대부분은 프랑스 해군에 맡겨졌지만, 스페인은 북아메리카의 영국군과 왕당파에 물자를 보급하기 위한 두 개의 거대한 영국 호송선을 포획함으로써 수익성 있는 성공을 거두었다. 프랑스와의 연합 작전으로 메노르카를 점령했지만 지브롤터 포위전에서는 실패했다. 이 시기는 또한 포격선과 소형 선박을 기반으로 한 정책인 ''푸에르사스 수틸레스''의 창설을 기념했다.
프랑스 혁명 전쟁(1792–1802)에서 처음에는 프랑스에 반대했지만, 스페인은 1796년에 입장을 바꾸었다. 그러나 몇 달 후 생 빈센트 곶 해전 (1797)과 트리니다드 (1798)에서 영국에 패배한 후, 스페인 본 함대는 카디스에서 봉쇄되었다. 해군 작전의 쇠퇴는 봉쇄만큼이나 스페인의 혼란스러운 정치적 상황과 관련이 있었다. 영국의 스페인 항구 봉쇄는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고, 카디스를 공격하려는 시도는 실패했다. 특수 임무를 수행하는 선박과 호송선은 카디스 봉쇄를 성공적으로 피했고, 다른 항구들은 거의 어려움 없이 계속 운영되었지만, 주력 전투 함대는 대부분 활동이 없었다. 봉쇄는 아미앵 조약 1802년에 해제되었다. 전쟁은 1804년에 재개되어 1808년에 스페인과 영국이 나폴레옹에 대항하여 동맹을 맺으면서 종결되었다. 첫 번째 부분과 마찬가지로 카디스가 봉쇄되었고 스페인 해군 활동은 최소화되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사건은 프랑스의 지휘하에 스페인이 트라팔가 해전에 참여한 것이었다. 이로 인해 스페인 해군은 11척의 전열함 또는 전열함의 4분의 1 이상을 잃었다. 1808년 스페인이 독립 전쟁에서 영국과 동맹을 맺은 후, 스페인 해군은 나폴레옹에 대항하는 전쟁 노력에 합류했다.
19세기에는 프랑스 제국에 의해 스페인은 정복되어 부르봉 왕가는 폐지되었고,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형인 호세 1세 (조제프)를 옹립한 프랑스의 괴뢰가 되었다. 스페인 해군은 프랑스 해군과 함께 프랑스의 주요 해전인 트라팔가 해전에 참가했지만, 영국 해군에 패배하는 결과를 낳았다.
2. 4. 19세기: 식민지 상실과 해군력 약화
16세기 말, 스페인 해군은 잉글랜드의 해적인 프랜시스 드레이크에게 패배하면서 무적 함대의 명성에 흠집이 가기 시작했다. 스페인 해군은 전함 설계 등에서 영국 해군보다 우수했지만,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으로 인해 일관성 없는 해군 정책을 펼쳐 영국 해군에게 우위를 점할 수 없었다. 결국, 1805년 트라팔가 해전에서 프랑스 해군과 함께 영국 해군에 맞서 싸웠으나 패배했다.1820년대에는 스페인 제국이 아메리카 대륙 대부분의 식민지를 잃었다. 제국의 규모가 크게 축소되고, 스페인 본토는 독립 전쟁 이후 분열과 불안정이 지속되면서 해군의 중요성은 퇴색되었고 규모도 크게 축소되었다.

1850년대와 1860년대, 특히 오도넬 장군이 총리로 재임하는 동안 스페인 해군은 태평양에 상당한 투자를 했다. 새로운 증기 추진 해군 함대가 스페인 과학 원정대를 호위하며 태평양을 항해했고, 1864년부터 1871년까지 제1차 태평양 전쟁에 휘말렸다. 이 분쟁 동안 스페인은 페루, 칠레, 에콰도르 연합 해군에 맞서기 위해 15척의 함대를 집결했다.

1890년대에 스페인 해군은 장갑 순양함을 몇 척 획득했는데, 이는 스페인 제국의 남은 식민지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데 중요했다.[1] 1896년 호세 마리아 베랑게르 제독의 계획에 따르면, 카디스, 페롤, 카르타헤나에 3개의 해군 사단이 주둔하고 있었다.[1] 각 사단은 스페인 해안 방어를 위한 보조 함대와 함께 철갑선으로 구성되었다.[1] 그 해, 해군은 전함 1척, 1급 순양함 8척, 2급 순양함 6척, 3급 순양함 9척, 어뢰정 38척으로 구성되었다.[1] 추가로 10척의 선박이 건조 중이었다.[1] 1896년 현재 해군에는 1,002명의 장교, 725명의 기술자, 14,000명의 수병, 9,000명의 해병이 있었다.[1] 이들의 인원은 항해 인구의 징병을 통해 유지되었다.[1]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에서 스페인 해군은 미국 해군보다 수적으로 불리하고, 장비 면에서도 열세여서 패배했다(당시 스페인 해군에서는 목조 전함이 많았다). 장갑 순양함 4척과 구축함 2척으로 구성된 스페인 함대는 산티아고 데 쿠바 해전에서 미국의 봉쇄를 뚫으려다 수적으로나 기술적으로 우월한 세력에 압도되었다. 세르베라 제독의 함대는 쿠바 해안에서 강력한 미국의 봉쇄를 뚫으려는 시도에서 전멸했다. 필리핀에서는 낡은 선박들로 구성된 함대가 마닐라 만에서 상징적인 희생을 치렀다. 마닐라 만 해전은 1898년 5월 1일에 벌어졌다. 조지 듀이 제독 휘하의 미국 아시아 함대는 파트리시오 몬토호 이 파사론 제독 휘하의 스페인 태평양 함대와 교전하여 파괴했다. 이 교전은 필리핀 마닐라 만에서 벌어졌으며, 미국-스페인 전쟁의 첫 번째 주요 교전이었다. 이 전쟁은 스페인 해군이 세계적인 해상 세력으로서의 종말을 고하는 사건이었다.
2. 5. 20세기와 21세기: 현대화와 재도약
13세기경 창설된 스페인 해군은 대항해 시대 무적 함대로 불릴 정도로 강력했으나, 16세기 말 잉글랜드 해적 프랜시스 드레이크에게 패배하며 위상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본래 전함 설계 등은 영국 해군보다 우수했으나, 혼란한 정치 상황과 일관성 없는 해군 정책으로 영국 해군에 우위를 점하지 못했다. 1805년 트라팔가르 해전에서 프랑스 해군과 연합하여 영국 해군에 맞섰으나 패배했고,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에서는 미국 해군에 비해 수적으로 불리하고 장비 면에서도 열세여서 패배했다(당시 스페인 해군은 목조 전함이 많았다).
모로코에서 발발한 리프 전쟁 동안 스페인 해군은 1925년 세계 최초의 공해상 상륙 작전인 알후세마스 상륙을 포함, 해안을 따라 작전을 수행했다. 당시 해군은 해군 항공대를 창설했다.

1931년 스페인 제2공화국 선포 이후, 스페인 왕국의 해군은 스페인 공화국 해군으로 변경되었다. 아스나르 제독의 "어제 스페인이 왕정으로 잠들었다가 공화국으로 일어났다는 것이 별거 아니라고 생각하십니까?"라는 발언은 즉시 유명해져 마드리드와 스페인 전역에 빠르게 퍼져나가 사람들에게 이 사실을 받아들이게 하고 보다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했다.[8] 스페인 공화국 해군은 국기와 기장과 해군 장교 계급장의 몇 가지 변화를 도입했다.[9] 집행 고리 ''(La coca)''는 황금색 오각별로 대체되었고, 놋쇠 단추와 장교의 흉갑 ''(La gola)''에 있는 왕관은 성벽 왕관으로 바뀌었다.
스페인 공화국 해군은 1936년 7월 쿠데타 이후 분열되어 스페인 내전 (1936–39)으로 이어졌다. 함대의 두 척의 소형 전함, 한 척의 중순양함, 한 척의 대형 구축함과 약 6척의 잠수함 및 보조 선박이 분쟁 과정에서 손실되었다.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제2차 세계 대전 중 중립 정책으로 스페인 해군은 다른 스페인 군대와 마찬가지로 중립을 지켰다.


20세기 중반 이후, 스페인 해군은 세계 주요 해군 중 하나가 되기 위한 재편 과정을 시작했다. 미 해군의 녹스급 호위함을 기반으로 한 발레아레스급이 개발된 후, 스페인 해군은 미국의 해군 교리를 받아들였다.[10] 스페인은 1982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 회원국이 되었으며, 아르마다 에스파뇰라는 SFOR에서 아이티를 거쳐 전 세계 여러 지역에 이르기까지 많은 연합 평화 유지 작전에 참여해 왔다. 아르마다는 항공모함 전단, 현대적인 전략 상륙함 (2011년에 전용 항공모함을 대체), 이지스 전투 시스템을 갖춘 현대적인 프리깃 (F-100급), F-80급 프리깃, 기뢰 제거함, 신형 S-80급 잠수함, 상륙함 및 해양학 연구선을 포함한 다양한 기타 함선을 갖춘 현대 해군이다.
아르마다의 특수 작전 및 비정규전 능력은 함대 사령관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는 해군 특수전 사령부('''Mando de Guerra Naval Especial''')에 구현되어 있다. 특수 작전을 담당하는 부대는 이전의 ''특수 작전 부대'' (Unidad de Operaciones Especiales (UOE))와 ''특수'' ''전투 잠수 부대'' ('''Unidad Especial de Buceadores de Combate (UEBC)''')의 통합으로 이루어진 ''해군 특수전 부대'' ('''Fuerza de Guerra Naval Especial''')이다. 이 부대는 해상 대테러, 특수 전투 잠수 및 수영, 해안 침투, 선박 탑승, 직접적인 공격, 특수 정찰, 수로 정찰 및 수중 폭파 훈련을 받는다.
아르마다 장교는 스페인 해군 사관학교 (ENM)에서 교육을 받는다. 그들은 두 가지 다른 방법으로 모집된다.
- '''Militar de Complemento:''' 미국의 ROTC 프로그램과 유사하게, 학생들은 해군에 입대하는 대학 졸업자이다. 그들은 해군 사관학교에서 1년을 보내고 소위 및 해병 소위로 임관한다. 이 경로는 권위가 높아지고 있다. 그들의 경력은 해군에서는 대령, 해병대에서는 중령 계급에서 끝난다.
- '''Militar de Carrera:''' 학생들은 보급 부대 또는 공학 부대에 지원하는 경우 해군 사관학교에서 1년을 보내고, 일반 부대 또는 해병대에 지원하는 경우 5년을 보내며, 졸업 시 대학 학위와 동등한 학위를 받고 소위 및 해병 소위로 임관한다.
3. 조직
스페인 해군은 스페인 육군, 스페인 공군 및 우주군과 유사한 조직 구조를 가진다. 각 군은 본부, 작전 부대(군), 행정/물류/훈련 부대(군 지원)로 구성된다. 스페인 해군의 작전 부대는 역사적 전통에 따라 함대라고 불리며, 두 용어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19]
해군 수장은 해군 참모총장(AJEMA)이며, 4성 장군 계급인 ''알미란테 헤네랄''이 임명된다. 실질적인 참모총장 역할은 3성 장군인 해군 참모총장 부참모장(''2º AJEMA'')이 수행한다.
'''해군 참모총장 (''AJEMA'')'''
- '''해군 본부''' – 해군 참모총장 부참모장 (''2º AJEMA'') (마드리드에 위치)
- 해군 참모본부
- 해군 참모총장실
- 일반 서비스, 기술 지원, 신호 및 통신 시스템 부서
- 해군 문화 및 역사 사무소
- 해군 본부 법률 서비스
- 해군 중앙 내부 감사 서비스
- 중앙 해사(해군) 재판소
- '''함대''' – 함대 사령관 (''ALFLOT'')
- 함대 사령부 (로타 해군 기지 내)
- '''해군 작전군''' – 해군 작전 사령관 (''ALNAV'') (페롤의 라 그라냐 해군 기지에 위치)
- 해군 작전단 1 (페롤의 라 그라냐 해군 기지에 위치)[19]
- 제31 호위 전대 (페롤에 위치): AEGIS 호위함 5척 (6250ton)
- 제41 호위 전대 (로타 해군 기지에 위치): 호위함 6척 (4017ton)
- 보급선 1척 (17045ton)
- 보급선 1척 (19500ton)
- 해군 작전단 2 (로타 해군 기지에 위치)
- LHD 1척 (27079ton)
- LPD 2척 (13818ton)
- 해안 지휘대, LCM-1E 상륙정 포함
- '''해군 해양군''' – 해양 작전 사령관 (''ALMART'') (카르타헤나 해군 병기창에 위치)
- 카나리아 제도 해군 사령부 – 카나리아 제도 사령관 (''ALCANAR'') (라스 팔마스 데 그란 카나리아 해군 병기창에 위치)
- 카나리아 순찰정대
- 카나리아 잠수대
- 지원 부대
- 산타 크루스 데 테네리페 해군 사령부
- 라스 팔마스 데 그란 카나리아 해군 사령부
- 카디스 해군 작전 사령부, 푼탈레스 해군 기지, 카디스에 위치
- 알보란 해군 파견대 (순찰정과 예인선)
- 카디스 잠수대
- 카디스 해군 사령부
- 페롤 해군 작전 사령부, 페롤 해군 기지에 위치
- 페롤 해군 파견대
- 페롤 잠수대
- 페롤 해군 사령부
- 카르타헤나 해군 작전 사령부, 카르타헤나 해군 병기창에 위치
- 카르타헤나 해군 파견대
- 카르타헤나 해군 사령부
- 발레아레스 제도 해군 구역, 포르토 피 해군 기지, 팔마 데 마요르카에 위치
- 팔마 해군 사령부
- 마온 해군 사령부
- 이비자 해군 사령부
- 기뢰전군, 카르타헤나 해군 병기창에 위치
- 기뢰전 지휘함 디아나
- 제1 기뢰전 전대: 기뢰 탐색함 M-30 6척 (585ton)
- 기뢰전 잠수대
- 지원군
- 해군 잠수 센터, 알가메카 해군 기지, 카르타헤나에 위치
- 발레아레스 해군 구역
- 해병대 – 해군 보병대 사령관 (''COMGEIM'') (산 페르난도, 카디스에 위치)
- 해군 원정군
- 해군 보병 여단, 산 페르난도, 카디스에 위치
- 방어군
- 마드리드 해병대 파견대 – 해군 본부 경비대
- 북부 대대 –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로스 돌로레스 병영, 페롤
- 남부 대대 – 산 페르난도 및 로타 해군 기지
- 동부 대대 – 카르타헤나 해군 병기창
- 카나리아 제도 해군 사령부 보안대 – 라스 팔마스
- 해군 특수전 부대(FGNE), 알가메카 해군 기지, 카르타헤나에 위치
- '''잠수함 기동전단''' (FLOSUB), 카르타헤나 해군 병기창에 위치
- 기동전단 사령부
- 잠수함 S-70 ''갈레르나'' 3척 (1740ton)
- AIP 잠수함 4척 (건조 중) (3426ton)
- 잠수함 기지
- 훈련 부대
- 전술 잠수함 프로그램 센터
- '''항공 기동전단''' (FLOAN), 로타 해군 기지에 위치
- 기동전단 사령부
- 제3 비행 전대 – 벨 212
- 제4 비행 전대 – 세스나 사이테이션 연락기
- 제5 비행 전대 – 시콜스키 SH-3 Sea King
- 제6 비행 전대 – 휴즈 500MD
- 제9 비행 전대 – 맥도넬 더글러스 AV-8B 해리어 II
- 제10 비행 전대 – 시콜스키 SH-60 시호크
- 제11 비행 전대 – 보잉 인시투 스캔이글
- 항공모함 항공대 – 비행 전대에서 파견된 항공기
- 시뮬레이션 센터
- 항공기 유지보수 센터
- 일반 지원 부대
- 군 지원
- 인사 부서, 카디스에 위치
- 물류 지원 부서, 카디스에 위치
- 경제 담당 이사회, 마드리드에 위치
- '''총 톤수 주력 함선: 233596ton'''
3. 1. 중앙 조직
스페인 해군 참모총장 산하에는 4개의 지역 사령부가 있다.- 칸타브리아 해역: 대서양 연안 페롤에 본부
- 해협 해역: 카디스 근처 산 페르난도에 본부
- 지중해 해역: 카르타헤나에 본부
- 카나리아 제도 해역: 라스팔마스 데 그란 카나리아에 본부
작전 해군 부대는 임무에 따라 전투 부대, 보호 부대, 보조 부대로 나뉜다.
2007년 기준으로 현역 19,500명, 예비역 9,000명이다.[24] 해군참모총장(AJEMA)의 지휘 하에 다음과 같은 직위 및 조직이 있다.
조직 |
---|
해군 본부 (CGA) |
전투 부대 총사령부 |
지원 부대 총사령부 |
* 본부 보조 기관(OAJ) |
종속 단체 |
* 해군조선국(DIC) |
후방 지원 본부가 담당하는 주변 조직 |
함대 주계관(DAEA) |
예산 회계 부국(SDPC) |
재무 관리 신병 채용 부국(SDGEC) |
3. 2. 함대 (FLOTA)
스페인 해군 참모총장 산하에는 4개의 지역 사령부가 있다. 이들은 대서양 연안 페롤에 본부를 둔 칸타브리아 해역, 카디스 근처 산 페르난도에 본부를 둔 해협 해역, 카르타헤나에 본부를 둔 지중해 해역, 라스팔마스 데 그란 카나리아에 본부를 둔 카나리아 제도 해역이다. 작전 해군 부대는 임무에 따라 전투 부대, 보호 부대, 보조 부대로 나뉜다.전투 부대는 공격 및 방어 작전을 수행하고 해상 통신을 보장한다. 주요 함정으로는 항공모함, 해군 항공기, 수송선, 상륙정, 잠수함, 미사일 장착 고속정 등이 있다. 보호 부대는 해상 통신을 확보하고 항구 및 해상 터미널 접근을 보장한다. 주요 구성 요소는 프리깃함, 코르벳함, 기뢰 탐색함이다. 또한 해군 시설 방어를 위한 해병대도 있다. 보조 부대는 해상 수송 및 보급, 해안 경비, 과학 연구, 훈련선 유지 관리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보급선, 유조선, 구축함, 초계정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2013년 예산 삭감으로 퇴역하기 전까지,[11] ''아르마다''의 두 번째로 큰 함선은 1988년 취역한 항공모함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였다. 스페인에서 건조되었으며 "스키 점프" 이륙 데크를 갖추고 AV-8 해리어 II 수직/단거리 이착륙(V/STOL) 항공기 29대 또는 대잠전 및 해병대 상륙 지원용 헬리콥터 16대를 탑재했다.
현재, 아르마다는 20,800명의 인원을 보유하고 있다.[12] 2007년 기준 현역 19,500명, 예비역 9,000명이다.[24] 해군참모총장(AJEMA) 지휘 하에 다음과 같은 직위 및 조직이 있다.
- 함대 총사령관(AF)
- 함대 총본부(CGF)
- 해상 고등 준비 총본부(CGMAD) -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즉응 부대 담당
- 부대 방호군(GUP)
- 소해 부대(FMC)
- 해군 특수전 사령부(MGNE)
- 제31 호위대(31ªEE)
- 제41 호위대(41ªEE)
- 항공대(FA)
- 잠수대(FS)
- 보급함 「마르케스 데 라 엔세나다」(Marqués de la Ensenada)
- 보급함 「파티뇨」(Patiño)
- 전투 자격 교습 센터(COC)
- 전술 프로그램 훈련 지도 센터(CPTIA)
- 로타 행정 관리 통합 센터(CIGAR)
- 전술 회의 상임 비서관(SPJT)
- 해군 작전 분석 그룹(GAON)
3. 3. 해군 활동 부대 (FAM)
스페인 해군 참모총장 산하에는 4개의 지역 사령부가 있다.- 칸타브리아 해역: 페롤에 본부
- 해협 해역: 산 페르난도에 본부
- 지중해 해역: 카르타헤나에 본부
- 카나리아 제도 해역: 라스팔마스 데 그란 카나리아에 본부
작전 해군 부대는 임무에 따라 전투 부대, 보호 부대, 보조 부대로 나뉜다.
- 전투 부대: 잠재적 적에 대한 공격 및 방어 작전, 해상 통신 보장 임무를 수행한다. 주요 함정으로는 항공모함, 해군 항공기, 수송선, 상륙정, 잠수함, 미사일 장착 고속정 등이 있다.
- 보호 부대: 대양 및 연안 항로를 통한 해상 통신 확보, 항구 및 해상 터미널 접근 확보 임무를 수행한다. 주요 구성 요소는 프리깃함, 코르벳함, 기뢰 탐색함이다. 해군 시설 방어를 위한 해병대도 보유한다.
- 보조 부대: 해상 수송 및 보급, 해안 경비 작전, 과학 연구, 훈련선 유지 관리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보급선과 유조선 외에도 구축함과 다수의 초계정이 포함된다.
2013년 2월 예산 삭감으로 퇴역하기 전까지,[11] ''아르마다''의 두 번째로 큰 함선은 1988년 해상 시험을 마치고 취역한 항공모함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였다. 스페인에서 건조되었으며 "스키 점프" 이륙 데크로 설계되었다. AV-8 해리어 II 수직 (또는 단거리) 이착륙 (V/STOL) 항공기 29대 또는 대잠전 및 해병대 상륙 지원용으로 설계된 헬리콥터 16대를 탑재했다.
현재, 아르마다는 20,800명의 인원을 보유하고 있다.[12]
3. 4. 해병대 (FIM)
스페인 해군의 해병대(Infantería de Marina)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해병대로, 11,5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지 방어 부대와 상륙 부대로 나뉜다. 세 개의 기지 방어 대대 중 하나는 각 해군 본부에 주둔해 있다. "그룹"(대대와 연대 사이)은 마드리드와 라스 팔마스 데 그란 카나리아에 주둔해 있다. ''테르시오''(함대 - 연대급)는 즉시 탑승할 수 있으며 산 페르난도에 주둔하고 있다. 주요 무기로는 경전차, 장갑차, 자주포, TOW 및 드래곤 대전차 미사일이 있다.[24]해군참모총장(AJEMA) 지휘 하에 다음과 같은 조직을 가진다.
- 해군 테르시오(Tercio de Armada)
구분 | 구성 |
---|---|
기지대 | |
해병 여단(BRIMAR) |
- 방호 부대(Fuerza de Protección)
구분 |
---|
남부 테르시오(TERSUR) |
북부 테르시오(TERNOR) |
동부 테르시오(TERLEV) |
카나리아스 해군 관구 방호대(USCAN) |
마드리드 해병군(AGRUMAD) |
- 해군 특수전 부대(Fuerza de Guerra Naval Especial)
구분 |
---|
특수 작전반(UOE) |
전투 잠수대(UEBC) |
- 마르틴 알바레스반(Sección Martín Álvarez) - 부대 방호 담당의 항공모함 탑승 해병대
- 마르 오세아노 중대(Compañía “Mar Océano”) - 근위병 부대
3. 5. 해군 항공대 (FLOAN)
비행대 | 운용 기종 | 대수 |
---|---|---|
제3비행대 | AB 212 | 10대[24] |
제4비행대 | 세스나 사이테이션 시리즈 | 3대[24] |
제5비행대 | SH-3D/H | 8대[24] |
제6비행대 | MD 500 | 6대[24] |
제9비행대 | AV8B II Plus | 16대[24] |
제10비행대 | SH-60 B | 12대[24] |
4. 계급
스페인 해군은 장교, 부사관 및 준사관, 병으로 계급이 나뉘며, 각 계급은 NATO 계급 코드와 비교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스페인 군 계급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장교
한국어 표기 | 스페인어 표기 | 계급 이미지 | NATO 코드 |
---|---|---|---|
해군 총사령관 | Capitán General | OF-10 | |
1급 제독 (상급대장) | Almirante General | OF-9 | |
제독 (대장) | Almirante | OF-8 | |
부제독 (중장) | Vice Almirante | OF-7 | |
후제독 (소장) | Contra Almirante | OF-6 | |
해군 함장 (대령) | Capitán de Navío | OF-5 | |
프리깃 함장 (중령) | Capitán de Fragata | OF-4 | |
코르벳 함장 (소령) | Capitán de Corbeta | OF-3 | |
해군 정장 (대위) | Teniente de Navío | OF-2 | |
해군 부관 (중위) | Alférez de Navío | OF-1 | |
프리깃 부관 (소위) | Alferez de Fragata | OF-1 | |
사관후보생 | Guardiamarina | OF-D |
4. 2. 부사관 및 준사관
한국어 표기 | 스페인어 표기 | 계급 이미지 | NATO 코드 |
---|---|---|---|
준위 | Subteniente | OR-9A | |
원사 | Suboficial Mayor | OR-9B | |
상사 | Brigada | OR-8 | |
일등중사 | Sargento Primero | OR-7 | |
중사 | Sargento | OR-6 |
4. 3. 병
한국어 표기 | 스페인어 표기 | 계급 이미지 | NATO 코드 |
---|---|---|---|
우등하사 | Cabo Mayor | OR-5 | |
일등하사 | Cabo Primero | OR-4 | |
하사 | Cabo | OR-3 | |
일등수병 (일병) | Marinero de 1ª clase | OR-2 | |
수병 (이병) | Marinero | OR-1 | |
견습수병 | Recluta | OR-1 |
5. 주요 기지 및 시설
기지명 | 위치 | 설명 |
---|---|---|
마드리드 | 마드리드 | 해군 본부 |
로타 해군 기지 | 로타 | 미국군과 공동 사용하며, 3,600m 활주로를 갖춘 항공모함 및 상륙함의 주요 기지이다. |
산 페르난도 | 카디스 주 | 로타 기지 근처에 위치하며, 훈련함 및 해병대 등의 본거지이다. |
카르타헤나 | 무르시아 지방 | 지중해 방면 주요 기지이자 잠수함 부대의 본거지이다. |
페롤 | 갈리시아 지방 | 대서양 방면 주요 기지이다. 조병창도 있다. |
라스 팔마스 데 그란 카나리아 | 카나리아 제도 | 카나리아 제도에 있는 기지이다. |
마오 | 발레아레스 제도 메노르카 섬 | 발레아레스 제도에 있는 지방 기지이다. |
마린 | 갈리시아 지방 | 갈리시아 지방에 있는 지방 기지이자 해군 사관학교가 위치한다. |
6. 장비
## 항공기
스페인 해군 항공대는 해군의 항공 부서이다.
과거 운용했던 항공기는 다음과 같다.
; 고정익기
- BAe/맥도넬 더글러스 EAV-8B (나이트 어택)/EAV-8B (해리어2)/TAV-8B 4/12/1대
- 세스나 사이테이션 II/VII 3/1대
; 회전익기
- 시콜스키 SH-3D/G/H 시킹 8대
- 시콜스키 SH-3D 시킹 AEW 3대
- 시콜스키 SH-60B 시호크 (LAMPS 3) 12대
- 아구스타 AB212 7대
- 휴즈 500MD 6대
; 무인 항공기
- 보잉 인시투 스캔이글 8대
## 육상 전투 장비
스페인 해병대는 다음과 같은 육상 전투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장비 종류 | 모델명 | 보유량 |
---|---|---|
주력전차 | M60A3 전차 | 16대 |
상륙돌격장갑차 | AAV7A1/P7A1/C7A1/R7A1 상륙돌격장갑차 | 19대 |
장륜식 장갑차 | 피라냐 장륜식 장갑차 | 18대 |
자주곡사포 | M109A2 155mm 자주곡사포 | 6대 |
곡사포 | 오토 멜라라 Mod56 105mm 곡사포 | 12문 |
대전차 미사일 | TOW 대전차 미사일 | 24기 |
지대공 미사일 | 미스트랄 SAM | 12기 |
6. 1. 함정
2018년 기준으로, 스페인 해군은 소형 보조 선박을 포함하여 약 138척의 함정을 운용하고 있다. 여기에는 강습 상륙함 (항공모함으로도 사용), 상륙 수송 도크, 호위함, 잠수함, 기뢰 제거함, 초계정 그리고 다수의 보조함이 포함된다. 스페인 해군의 총 배수량은 약 220,000톤이다.[13]
과거에 취역한 함정에 관해서는 "스페인 해군 함정 목록"을 참조한다.
;재래식 잠수함
;프리깃
함급 | 척수 | 함명 | 취역 연도 |
---|---|---|---|
F-110형 프리깃 | 0 (5척 계획 중) | F111, F112, F113, F114, F115 | 2023년~2027년 (예정) |
알바로 데 바잔급 | 5 | 알바로 데 바잔 (F101) | 2002년 |
알미란테 후안 데 보르본 (F102) | 2003년 | ||
블라스 데 레소 (F103) | 2004년 | ||
멘데스 누녜스 (F104) | 2006년 | ||
크리스토발 콜론 (F105) | 2012년 | ||
산타 마리아급 | 6 | 산타 마리아 (F81) | 1986년 |
빅토리아 (F82) | 1987년 | ||
누만시아 (F83) | 1988년 | ||
레이나 소피아 (F84) | 1990년 | ||
나바라 (F85) | 1994년 | ||
카나리아스 (F86) | 1994년 |
;초계함
함급 | 척수 | 함명 | 취역 연도 |
---|---|---|---|
메테오로급 | 4 (2척 건조 중) | 메테오로 (P41) | 2012년 |
라요 (P42) | 2011년 | ||
레람파고 (P43) | 2012년 | ||
토르나도 (P44) | 2012년 | ||
세르비올라급 | 4 | 세르비올라 (P71) | 1991년 |
센티넬라 (P72) | 1991년 | ||
비히아 (P73) | 1992년 | ||
아탈라야 (P74) | 1992년 | ||
데스쿠비에르타급 | 5 | 인판타 엘레나 (P76) | 1980년 |
인판타 크리스티나 (P77) | 1980년 | ||
카사도라 (P78) | 1982년 | ||
벤세도라 (P79) | 1983년 | ||
1 | 칠레우 (P61) | 1992년 | |
알보란급 | 3 | 알보란 (P62) | 1997년 |
아르노멘디 (P63) | 2000년 | ||
타리파 (P64) | 2004년 |
;초계정
함급 | 척수 | 함명 | 취역 연도 |
---|---|---|---|
아나가급 | 4 | 타고마고 (P22) | 1981년 |
메다스 (P26) | 1981년 | ||
타바르카 (P28) | 1981년 | ||
토라야급 | 2 | 토라야 (P81) | 1987년 |
포르멘토르 (P82) | 1988년 | ||
1 | 카보 프라데라 (P201) | 1963년 | |
P101급 | 2 | P101 | |
P114 |
;강습상륙함 (LHD)
함급 | 함명 | 취역 연도 |
---|---|---|
후안 카를로스 1세급 | 후안 카를로스 1세 (L61) | 2010년 |
;도크형 수송 상륙함 (LPD)
함급 | 척수 | 함명 | 취역 연도 |
---|---|---|---|
갈리시아급 | 2 | 갈리시아 (L51) | 1998년 |
카스티야 (L52) | 2000년 |
;전차 상륙함 (LST)
함급 | 함명 | 취역 연도 |
---|---|---|
구・미국 뉴포트급 | 피사로 (L42) | 1995년 (재취역) |
;중형 상륙정 (LCM)
함급 | 척수 |
---|---|
LCM(1E)형 | 12 |
LCM6형 | 14 |
;차량 병원 상륙정 (LCVP)
- 각형×16
;보병 상륙정 (LCP)
- 각형×8
;기뢰 제거정
함급 | 척수 | 함명 | 취역 연도 |
---|---|---|---|
카사미나스급 | 6 | 세구라 (M31) | 1999년 |
세야 (M32) | 1999년 | ||
탐브레 (M33) | 2000년 | ||
투리아 (M34) | 2000년 | ||
두에로 (M35) | 2004년 | ||
타호 (M36) | 2005년 |
;정보 수집함
- 알레르타 (A111) - 1992년
;조사선
- 라스 팔마스 (A52) - 1978년
- 에스페리데스 (A33) - 1991년
;측량함
함급 | 척수 | 함명 | 취역 연도 |
---|---|---|---|
마라스피나급 | 2 | 마라스피나 (A31) | 1975년 |
토피뇨 (A32) | 1975년 |
;측량정
함급 | 척수 | 함명 | 취역 연도 |
---|---|---|---|
LHT-130형 | 2 | 아스트롤라비오 (A91) | 2001년 |
에스칸달로 (A92) | 2004년 | ||
1 | 안타레스 (A23) | 1974년 |
;연습 항해 선박
- 후안 세바스티안 엘카노 (A71) - 1928년
- 아로사 (A72) - 1981년
- 블랑카 (A73) - 2013년
- 라 그라시오사 (A74) - 1988년
- 시사르가스 (A75) - 1982년
- 히랄다 (A76) - 1958년
- 살보라 (A77) - 1983년
- 페레그리나 (A78) - 2007년
- 아게테 (A79) - 2006년
;연습정
함급 | 척수 | 함명 | 취역 연도 |
---|---|---|---|
콘트라마에스트레 나바레테급 | 4 | 콘트라마에스트레 나바레테 (A82) | 1983년 |
콘트라마에스트레 산체스 페르난데스 (A83) | 1984년 | ||
콘트라마에스트레 안테로 (A84) | 1984년 | ||
콘트라마에스트레 라마드리드 (A85) | 1984년 | ||
RODMAN 66형 | 4 | 과르디아마리나 바루티아 (A121) | 2007년 |
과르디아마리나 체레기니 (A122) | 2007년 | ||
과르디아마리나 룰 (A123) | 2007년 | ||
과르디아마리나 살라스 (A124) | 2008년 |
;보급함
- 칸타브리아 (A15) - 2010년
- 파티뇨 (A14) - 1995년
;수송함
- 콘트라마에스트레 카사도 (A01) - 1982년
- 마르틴 포사디요 (A04) - 1973년
- 엘 카미노 에스파뇰 (A05) - 1984년
;항내 유조선
- Y231 - 1981년
- Y251 - 1981년
- Y254 - 1981년
- Y255 - 1981년
;정박정・바지
- 200형 (급수)×3
- 300형 (운송)×5
- 400형 (오염 방지)×10
- 항내형×45
;지원함
- 마르 카리베 (A101)
- 넵투노 (A20)
;항해용 예인선
- 마온 (A51) - 1978년
- 라 그라냐 (A53) - 1982년
;연안/항내 예인선
- Y116 - 1981년
- Y118 - 1990년
- Y120 - 1988년
- Y121 - 1990년
- Y122 - 1999년
- Y123 - 1999년
- Y124 - 2001년
- Y126 - 2001년
- Y138 - 1967년
- Y139 - 1967년
- Y142 - 1981년
- Y144 - 1979년
- Y145 - 1979년
- Y147 - 1987년
- Y148 - 1987년
- Y174 - 1999년
- Y175 - 1999년
- Y176 - 1999년
- Y177 - 1999년
- Y178 - 1999년
- Y179 - 1999년
- Y180 - 2005년
- Y181 - 2005년
- Y182 - 2005년
- Y183 - 2005년
6. 2. 항공기
스페인 해군 항공대는 스페인 해군의 해군 항공 부서이다.
; 고정익기
- BAe/맥도넬 더글러스 EAV-8B (나이트 어택)/EAV-8B (해리어2)/TAV-8B 4/12/1대
- 세스나 사이테이션 II/VII 3/1대
; 회전익기
- 시콜스키 SH-3D/G/H 시킹 8대
- 시콜스키 SH-3D 시킹 AEW 3대
- 시콜스키 SH-60B 시호크 (LAMPS 3) 12대
- 아구스타 AB212 7대
- 휴즈 500MD 6대
; 무인 항공기
- 보잉 인시투 스캔이글 8대
6. 3. 육상 전투 장비
스페인 해병대는 다음과 같은 육상 전투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장비 종류 | 모델명 | 보유량 |
---|---|---|
주력전차 | M60A3 전차 | 16대 |
상륙돌격장갑차 | AAV7A1/P7A1/C7A1/R7A1 상륙돌격장갑차 | 19대 |
장륜식 장갑차 | 피라냐 장륜식 장갑차 | 18대 |
자주곡사포 | M109A2 155mm 자주곡사포 | 6대 |
곡사포 | 오토 멜라라 Mod56 105mm 곡사포 | 12문 |
대전차 미사일 | TOW 대전차 미사일 | 24기 |
지대공 미사일 | 미스트랄 SAM | 12기 |
7. 보존 함선
보존된 퇴역 스페인 해군 함정 중 대부분은 박물관 함선으로 사용되는 잠수함이다.
- 1888년에 건조된 잠수함 페랄|페랄es은 카르타헤나 (무르시아 주)에 보존되어 있다.
- 포카급 2척: SA-41은 마온 (발레아레스 제도)에, SA-42는 카르타헤나 (무르시아)에 있다.
- 티부론급 2척: SA-51은 바르셀로나 (카탈루냐)에, SA-52는 카르타헤나 (무르시아)에 있다.
- ''델핀'' (S-61) (다프네급 S-60)은 토레비에하 (알리칸테 주, 발렌시아 지방)에 정박해 있다. 다른 잠수함들과 달리 육지에 정박하지 않고 항구에 정박하여 스페인 최초의 "수상 박물관"이 되었다.
- 세관 감시 서비스 순찰차 ''알바트로스 III''도 토레비에하에 보존되어 있다.
- 1922년부터 1982년까지 스페인 해군의 훈련 함선이었던 바크 갈라테아|갈라테아영어는 글래스고 (스코틀랜드, 영국)에 보존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rmada Española – Ministerio de Defensa – Gobierno de España
http://www.armada.md[...]
2015-07-11
[2]
웹사이트
España Hoy 2016-2016
http://www.lamoncloa[...]
2017-05-27
[3]
웹사이트
LISTA OFICIAL DE BUQUES DE LA ARMADA
https://armada.defen[...]
Spanish Navy
2024-03-09
[4]
웹사이트
AERONAVES MILITARES ESPAÑOLAS
https://aeronavesmil[...]
2024-03-09
[5]
서적
The Spanish Empire: A Historical Encyclopedia [2 volumes]: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2016
[6]
서적
A History of the Middle Ages, 300–1500
Rowman & Littlefield
2016
[7]
논문
Spanish Forest Reconnaissance and the Search for Shipbuilding Timber in an Era of Naval Resurgence, 1737-1739
https://brill.com/vi[...]
2014-06-04
[8]
서적
El Problema Militar en España
Ed. Historia 16
1990
[9]
웹사이트
Armada Española – Ministerio de Defensa – Gobierno de España
http://www.armada.md[...]
2015-05-08
[10]
웹사이트
Defensa Antimisil Meroka
http://www.militar.o[...]
[11]
웹사이트
The Principe De Asturias Will Be Decommissioned Today
http://www.murciatod[...]
2013-06-02
[12]
웹사이트
Presupuesto del Ministerio de Defensa
http://www.defensa.g[...]
2012-10
[13]
문서
es:Armada Española#La Armada hoy
[14]
웹사이트
A la espera del caza F-35: la Armada podrá volar sus Harrier desde el buque Juan Carlos I hasta 2030, gracias a EEUU
https://www.infobae.[...]
2024-04-02
[15]
웹사이트
Spanish Ministries of Defence and Interior sign for 36 H135s
https://www.airbus.c[...]
Airbus
2023-02-09
[16]
웹사이트
MH-60R Seahawk: this is the new multi-mission helicopter that the Spanish Navy will receive
https://www.outono.n[...]
2023-04-20
[17]
웹사이트
Army Ranks & Insignia
https://ejercito.def[...]
Ministry of Defence (Spain)
2021-05-30
[18]
웹사이트
Army Ranks & Insignia
https://ejercito.def[...]
Ministry of Defence (Spain)
2021-05-30
[19]
웹사이트
Bienvenida – Grupo de Acción Naval 1 – Organización – Armada Española – Ministerio de Defensa – Gobierno de España
http://www.armada.md[...]
2020-02-21
[20]
웹사이트
Armada Española – Ministerio de Defensa – Gobierno de España
http://www.armada.md[...]
2015-07-11
[21]
웹사이트
Anuario Estadístico Militar
https://publicacione[...]
Secretaría General Técnica (Ministerio de Defensa)
2023-04-16
[22]
웹사이트
Lista oficial de buques de la Armada 2023
https://armada.defen[...]
Armada
[23]
웹사이트
Aeronaves
http://www.armada.md[...]
Armada
2014-07-13
[24]
간행물
Military Balance 2007
[25]
웹사이트
Spanish Navy decommissions fourth Galerna-class submarine
https://www.janes.co[...]
Janes
2024-0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