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빌스타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블스 타워는 미국 와이오밍주에 위치한 거대한 암석 기둥으로, 1875년 리처드 어빙 도지 대령이 이 지역 인디언들이 부르는 이름을 잘못 번역하여 명명되었다. 이 지형은 아메리카 원주민들에게 신성한 장소로 여겨지며, 다양한 전설과 곰 신앙과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진다. 데블스 타워는 약 4050만 년 전 조면암 반암으로 형성되었으며, 육각형 주상 절리가 특징이다. 1906년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에 의해 미국 최초의 국립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등반과 관광 명소로 유명하다. 매년 수많은 등반가들이 이곳을 찾으며, 아메리카 원주민의 종교적 가치를 존중하기 위해 6월 한 달 동안 자발적인 등반 금지령이 시행된다. 1977년 영화 《미지와의 조우》에 등장하며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데빌스타워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다른 이름 | 맛ȟó 티필라 (Matȟó Thípila, Lakota), 닥스피체아사오 (Daxpitcheeaasáao, Crow) |
| 위치 | 미국와이오밍주크룩 카운티 |
| 산맥 | 베어 로지 산맥(Black Hills의 일부) |
| 지리 좌표 | 44°35′26″N 104°42′55″W |
| 지질학적 정보 | |
| 종류 | 관입암맥 |
| 크기 | |
| 해발 고도 | 1,558 m |
| 기저부로부터 높이 | 264 m |
| 등반 정보 | |
| 최초 등반 | 윌리엄 로저스 (William Rogers), 윌러드 리플리 (Willard Ripley), 1893년 7월 4일 |
| 가장 쉬운 경로 | 듀랑스 루트(Durrance Route) |
| 보호 구역 정보 | |
| 이름 | 데빌스 타워 국립 기념물 |
| IUCN 카테고리 | III |
| 가장 가까운 도시 | 휼렛, 와이오밍 |
| 면적 | 5.45 km2 (1,346.91 에이커) |
| 지정일 | 1906년 9월 24일 |
| 방문객 수 (2017년) | 499,031명 |
| 관리 기관 | 미국 국립공원관리청 |
| 웹사이트 | https://www.nps.gov/deto 데빌스 타워 국립 기념물 |
2. 명칭의 유래
데빌스 타워는 원래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에게 "곰의 집", "곰의 숙소" 등으로 불렸다. 샤이엔족은 Matȟó Thípilalkt, Daxpitcheeaasáaocro ("곰의 집"[10])이라 불렀고, 이외에도 "바위 위로 높이" (키오와), "나무 바위", "거대한 회색 뿔"[11], "갈색 들소 뿔"( Ptehé Ǧílkt ) 등으로 불렸다. 아라파호족 등 원주민들은 이 곳을 곰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아메리카 원주민 구전에 따르면 데빌스 타워의 세로 줄무늬는 그리즐리베어가 만든 것이라고 한다.
1875년 리처드 어빙 도지 대령이 이끈 탐험대의 통역관이 원주민의 이름을 "나쁜 신의 탑"으로 오역하면서 현재의 이름이 유래했다.[11] 해당 지역의 모든 안내 표지판에는 지리적 명명 표준에 따라 아포스트로피를 생략한 "데블스 타워(Devils Tower)"라는 이름이 사용되고 있다.[12]
2. 1. 명칭 변경 시도
2005년, 여러 원주민 부족과의 관계를 인정하여 데빌스 타워를 '베어 로지 국립 사적지'로 추가 지정하려는 제안이 있었으나, 바바라 쿠빈 미국 하원의원은 이름 변경이 관광 산업에 해를 끼치고 지역 사회에 경제적 어려움을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하며 반대했다.[13]2014년 11월, 아르볼 루킹 호스는 이 지형의 이름을 "베어 로지"로 변경할 것을 제안하고, 미국 지명 위원회에 해당 요청을 제출했다. 두 번째 제안은 현재 이름을 유지하는 데 있어 "불쾌한" 실수를 인정하고, 기념물과 신성한 장소를 ''베어 로지 국립 사적지''로 개명해 달라고 미국에 요청하는 것이었다. 공식적인 공청 기간은 2015년 가을에 종료되었으며, 지역 주 상원 의원인 오그덴 드리실은 이 변경에 반대했다.[14][15] 이름은 변경되지 않았다.
3. 지질
데빌스타워는 약 6천만 년 전 화산 폭발로 생겨난 화성암 관입체이다. 화산 분출 후 화도에 남은 마그마가 식어 굳었고, 주변 퇴적암층이 침식되며 현재 모습이 드러났다.
데빌스타워 주변은 대부분 퇴적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오래된 암석은 트라이아스기 얕은 바다에서 퇴적된 붉은색 사암과 실트스톤이며, 벨푸르슈 강에서 볼 수 있다. 이는 스피어피시 층으로 불리며, 철광물 산화로 붉은색을 띤다. 그 위에는 쥐라기 시대의 석고 스프링스 층이라 불리는 얇은 흰색 석고 띠가 있고, 선댄스 층이 이어진다.[16] 고생대 에오세기(5600만 년~6600만 년 전) 로키 산맥과 블랙힐스 융기 시 마그마가 지각을 뚫고 퇴적암층에 침입했다.[17]
19세기 후반, 지질학자 카펜터와 러셀은 데빌스타워가 화성암 관입암으로 형성되었다고 결론 내렸다.[18] 1907년, 지질학자 넬슨 호라티오 다턴과 C.C. O'하라(사우스다코타 광산 대학교)는 라콜리스의 침식 잔재로 추정했다.[19] 지질학적으로 관련된 미주리 버트는 데블스 타워에서 북서쪽으로 약 5.63km 떨어져 있다. 약 2억 년 전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 로키 산맥이 융기할 때 마그마가 활동하여 이 지역의 퇴적암을 뚫고 관입했다. 용암인 암경은 냉각된 후 주변의 퇴적암보다 단단했기 때문에, 오랜 세월 동안 퇴적암이 침식, 삭박된 후에도 그대로 남았다. 암석의 성질은 몬조섬록반암이며, 냉각될 때 주상 절리라는 수직 방향의 갈라짐이 발달했다.
3. 1. 형성 과정
지질학자들은 데빌스타워가 약 6천만 년 전 화산 폭발에 의해 생겨난 것으로 추측한다. 화산 폭발 후 분출되지 못하고 화도 속에 잔존하던 마그마가 그대로 식어 화도 모양 그대로 굳은 것이다. 당시 주변 지형은 대부분 셰일, 사암, 석회암, 이암으로 이루어진 퇴적층이었는데, 약 5천만 년에 걸쳐 침식작용이 일어나면서 퇴적층은 깎여나가고, 풍화에 강한 화성암만 남아 지상으로 드러나 현재와 같은 장관을 연출하게 되었다.[17]
데블스 타워를 둘러싼 풍경은 대부분 퇴적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데블스 타워 국립 기념물에서 볼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암석은 트라이아스기에 얕은 바다에서 퇴적되었다. 이 어두운 붉은색 사암과 적갈색 실트스톤은 셰일과 교호하며 벨푸르슈 강을 따라 볼 수 있다. 철광물의 산화는 암석의 붉은색을 유발한다. 이 암석층은 스피어피시 층으로 알려져 있다. 스피어피시 층 위에는 석고로 된 얇은 흰색 띠가 있는데, 이를 석고 스프링스 층이라고 하며, 쥐라기 시대의 것이다. 이 층 위에는 선댄스 층이 있다.[16] 고생대 에오세기인 5600만 년에서 6600만 년 전에 로키 산맥과 블랙힐스가 융기했다. 마그마가 지각을 뚫고 올라와 기존의 퇴적암층으로 침입했다.[17]
지질학자 카펜터와 러셀은 19세기 후반에 데블스 타워를 연구하여 그것이 화성암 관입암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결론을 내렸다.[18] 1907년, 지질학자 넬슨 호라티오 다턴과 C.C. O'하라(사우스다코타 광산 대학교)는 데블스 타워가 라콜리스의 침식된 잔재임에 틀림없다고 이론화했다.[19]
타워를 형성하는 화성 물질은 약 4050만 년 전에 침입한 조면암 반암으로, 흰색 장석의 눈에 띄는 결정이 있는 밝은 회색에서 어두운 회색 또는 녹색 회색의 화성암이다.[21] 마그마가 냉각되면서 육각형 주상 절리가 형성되었으며(때로는 4, 5, 7각형 기둥도 가능했음), 너비는 최대 약 6.10m이고 높이는 약 182.88m였다.
비와 눈이 타워 기저부를 둘러싼 퇴적암을 계속 침식함에 따라 데블스 타워가 더 많이 노출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워의 노출된 부분은 여전히 일정량의 침식을 경험한다. 기둥을 따라 있는 균열은 물과 얼음 침식에 취약하다. 데블스 타워의 암석 일부 또는 기둥 전체가 끊어져 떨어지고 있다. 부서진 기둥, 바위, 작은 돌, 자갈 더미인 사태가 타워 기저부에 놓여 있는데, 이는 타워가 오늘날보다 더 넓었음을 나타낸다.[17]
3. 2. 암석의 특징
데블스 타워를 구성하는 암석은 조면암 반암으로, 흰색 장석 결정이 눈에 띄는 밝은 회색에서 어두운 회색 또는 녹색 회색을 띤다.[21] 마그마가 냉각되면서 육각형 모양의 주상 절리가 발달했다. (때로는 4, 5, 7각형 기둥도 있다.) 이 기둥들은 너비가 최대 약 6.10m이고 높이는 약 182.88m에 달한다.비와 눈이 타워 기저부를 둘러싼 퇴적암을 계속 침식함에 따라 데블스 타워는 더 많이 노출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워의 노출된 부분은 여전히 일정량의 침식을 겪는다. 기둥을 따라 있는 균열은 물과 얼음 침식에 취약하다. 데블스 타워의 암석 일부 또는 기둥 전체가 끊어져 떨어지고 있으며, 부서진 기둥, 바위, 작은 돌, 자갈 더미인 사태가 타워 기저부에 쌓여 있다. 이는 타워가 과거에는 더 넓었음을 나타낸다.[17]
4.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
데빌스 타워는 여러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에게 신성한 장소로 여겨졌다. 이들은 이 거대한 바위를 "곰의 집" 또는 "곰의 숙소"라고 불렀으며, 샤이엔족은 Matȟó Thípilalkt 또는 Daxpitcheeaasáaocro ("곰의 집")[10], 키오와족은 "바위 위로 높이", "나무 바위", "거대한 회색 뿔"[11], 라코타족은 "갈색 들소 뿔"(Ptehé Ǧílkt) 등으로 불렀다.
"데블스 타워(Devil's Tower)"라는 이름은 1875년 리처드 어빙 도지 대령이 이끈 탐험대의 통역관이 원주민의 이름을 "나쁜 신의 탑"으로 잘못 해석하면서 유래되었다.[11] 현재 사용되는 "데블스 타워(Devils Tower)"라는 명칭은 지리적 명명 표준에 따라 아포스트로피를 생략한 것이다.[12]
2005년, 이 암석을 ''베어 로지 국립 사적지''로 추가 지정하여 여러 원주민과의 관계를 인정하자는 제안이 있었으나, 바바라 쿠빈 미국 하원의원은 관광 산업 피해와 지역 사회의 경제적 어려움을 이유로 반대했다.[13] 2014년에는 아르볼 루킹 호스가 "베어 로지"로의 이름 변경을 제안하고 미국 지명 위원회에 요청을 제출하기도 했다. 두 번째 제안은 현재 이름을 유지하는 데 있어 "불쾌한" 실수를 인정하고, 기념물과 신성한 장소를 ''베어 로지 국립 사적지''로 개명해 달라고 미국에 요청하는 것이었지만, 지역 주 상원 의원인 오그덴 드리실의 반대로[14][15] 이름은 변경되지 않았다.
4. 1. 전설
인디언 부족들은 데빌스 타워 측면의 주상절리를 곰이 할퀸 자국이라고 믿었다. 옛날에 밖으로 놀러 나왔던 7명의 인디언 소녀들이 거대한 곰에게 쫓기게 되었는데, 그들이 데빌스 타워로 피신을 가서 그들을 구해달라고 간절히 기도하자 땅이 솟아올라 곰이 소녀들에게 닿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 밖에도 데빌스 타워에 대해 인디언 부족마다 서로 다른 몇 가지 전설들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고 한다.[10]거대한 암석에 대한 원주민 이름에는 "곰의 집" 또는 "곰의 숙소" (또는 "곰의 티피", "곰의 집", "곰의 굴")가 포함되며, 샤이엔어로 Matȟó Thípilalkt, Daxpitcheeaasáaocro ("곰의 집")[10], "바위 위로 높이" (키오와), "나무 바위", "거대한 회색 뿔"[11], 그리고 "갈색 들소 뿔"(Ptehé Ǧílkt)이 있다.
아라파호족 등 원주민들이 주로 곰 신앙의 대상으로 삼아 다양한 이름을 붙였다. 아메리카 원주민의 구전에 따르면 데빌스 타워의 세로 줄무늬는 그리즐리베어에 의해 생겨난 것이라고 한다.
5. 역사
모피 사냥꾼들이 데블스 타워를 방문했을 수도 있지만, 그들은 그렇게 했다는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 최초로 기록된 비원주민 방문자는 1859년 윌리엄 F. 레이놀즈 대위의 레이놀즈 탐험대의 일원이었다.[30] 16년 후, 리처드 I. 도지 대령은 인디언 관리국의 과학 조사단을 이 거대한 암석 지형으로 안내했고, 데블스 타워라는 이름을 붙였다.[30] 그 독특한 특성을 인식한 미국 의회는 1892년 이 지역을 미국 삼림 보호 구역으로 지정했고, 1906년 데블스 타워는 미국 최초의 국립 기념물이 되었다.[31]
아라파호족 등 원주민들은 주로 곰 신앙의 대상으로 삼아 데블스 타워에 다양한 이름을 붙였다. 아메리카 원주민의 구전에 따르면 데블스 타워의 세로 줄무늬는 그리즐리베어에 의해 생겨난 것이라고 한다. 이 지역을 탐험한 미국 군인의 통역이 처음 "악마의 타워"로 오역한 것이 데블스 타워로 불리게 된 유래이다. 최근 명칭 변경 움직임이 있었지만, 정부는 관광객 감소로 인한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변경에 반대했다.
6. 등반
1994년을 기준으로 데블스 타워 등반은 인기가 증가했다. 연간 기념물을 방문하는 40만 명의 방문객 중 약 1.3%가 전통 등반 기술을 주로 사용하여 데블스 타워를 등반했다.[32]
6. 1. 등반 역사
1893년 7월 4일, 지역 목장주인 윌리엄 로저스와 윌라드 립리가 암벽 틈새에 나무 못을 박아 만든 사다리를 이용하여 데블스 타워를 처음으로 등반했다.[32] 이 나무 못 중 일부는 여전히 남아 있으며, 데블스 타워 국립 기념물의 약 2.09km 타워 트레일을 따라 하이킹할 때 볼 수 있다. 이후 30년 동안 이 사다리를 이용한 많은 등반이 이루어졌지만, 사다리는 점차 낡아졌다.
1937년, 프리츠 바이스너는 윌리엄 P. 하우스, 로렌스 코베니와 함께 현대 등반 기술을 사용하여 최초로 등반에 성공했다. 바이스너는 거의 전체 등반을 자유 등반으로 이끌었으며, 단 하나의 고정 장비인 피톤만 설치했는데, 나중에 불필요하다고 여겨 후회했다.
1941년, 조지 홉킨스는 내기에서 비롯된 선전용 스턴트로 허가 없이 데블스 타워에 낙하산을 타고 내려갔다.[33] 그는 정상에 성공적으로 착륙했지만, 하강용 로프를 포함한 장비 꾸러미가 가장자리로 떨어지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날씨가 악화되면서 장비를 다시 떨어뜨리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밧줄이 얽히고 얼어붙어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홉킨스는 결국 1938년에 데블스 타워를 성공적으로 등반했던 잭 듀런스가 이끄는 구조대에 의해 구조될 때까지 추위, 비, 50mph 바람에 노출된 채 6일 동안 고립되었다.[34][35] 이 사건은 당시 언론에 대대적으로 보도되었다.[36]
오늘날에는 매년 여름 수백 명의 등반가들이 데블스 타워의 암벽을 오른다. 가장 일반적인 경로는 1938년에 두 번째로 개척된 자유 루트인 듀런스 루트이다. 타워의 모든 면에는 다양한 난이도의 등반 경로가 있으며, 모든 등반가는 등반 전후에 공원 레인저에게 등록해야 한다. 정상에서의 야영은 허용되지 않는다.[37]
데블스 타워는 라코타, 샤이엔, 키오와 등 여러 평원 부족에게 신성한 장소이다. 이 때문에 많은 아메리카 원주민 지도자들은 등반가들이 기념물을 오르는 것을 모독으로 여겨 반대했다. 등반가들은 연방 토지이기 때문에 등반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결국 부족들이 의식을 치르는 6월 한 달 동안 자발적인 등반 금지령이 내려졌다. 등반가들은 6월에 타워에 오르지 않도록 요청받지만, 강제 사항은 아니다. 약 85%의 등반가가 이 금지령을 존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8][39]
6. 2. 등반 규정
모든 등반가는 등반 시도 전후에 공원 레인저에게 등록해야 한다. 정상에서의 야영은 허용되지 않으며, 등반가들은 등반한 당일에 기지로 돌아온다.[37]라코타, 샤이엔 및 키오와를 포함한 여러 평원 부족에게 데빌스타워는 신성한 장소이다. 이 때문에 많은 아메리카 원주민 지도자들은 등반가들이 기념물을 오르는 것을 모독으로 여겼다. 등반가들은 연방 토지이기 때문에 타워를 등반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부족들이 기념물 주변에서 의식을 치르는 6월 한 달 동안 자발적인 등반 금지령이 내려지면서 결국 타협이 이루어졌다. 등반가들은 6월에 타워에 오르지 않도록 요청받지만, 의무는 아니다. PBS 다큐멘터리 ''경외의 빛 안에서''에 따르면, 약 85%의 등반가가 이 금지령을 준수하고 6월 한 달 동안 자발적으로 타워를 오르지 않기로 선택한다.[38] 그러나 일부 등반가들은 마운틴 스테이츠 법률 재단과 함께 공원 관리국을 상대로 부적절한 정부의 종교 개입이라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다.[39]
7. 대중문화
1977년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 ‘미지와의 조우’는 데빌스타워를 주요 플롯 요소이자 클라이맥스 장면의 배경으로 활용했다.[44][45] 이 영화의 인기로 데빌스타워를 방문하는 관광객과 등반가 수가 크게 증가했다.[46]
8. 기타
데빌스타워는 흰꼬리사슴, 프레리도그, 흰머리수리 등 다양한 야생 동물을 보호하고 있다.[42][43] 또한, 데빌스 타워 국립 기념물 내에는 국립 역사 유적지로 지정된 곳들이 있다.
8. 1. 생태
흰꼬리사슴, 프레리도그, 흰머리수리 등 다양한 야생 동물을 보호하고 있다.[42][43]8. 2. 국립 역사 유적지
데빌스 타워 국립 기념물 내에는 국립 역사 유적지로 지정된 다음 네 곳이 있다.- 입구 도로
- 입구 정류장
- 구 본부 지역 역사 지구
- 타워 사다리
참조
[1]
웹사이트
Apsáalooke Place Names Database
http://lib.lbhc.edu/[...]
Little Big Horn College
2020-05-24
[2]
Peakbagger
Devils Tower, Wyoming
https://www.peakbagg[...]
2012-12-14
[3]
Gnis
Devils Tower
https://geonames.usg[...]
2012-12-14
[4]
웹사이트
Devils Tower in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s://www.protecte[...]
IUCN
2018-11-02
[5]
간행물
NPS area
NPS
2012-05-13
[6]
Wikisource
Proclamation 658: Setting aside Devils Tower National Monument, Wyoming
https://en.wikisourc[...]
1906-09-24
[7]
간행물
NPS visitation
NPS
2019-02-20
[8]
문서
"''Mato Tipila'', or Bear's Lodge, the stunning monolith of stone in northeastern Wyoming that settlers dubbed 'Devil's Tower.#REDIRECT
[9]
웹사이트
Devils Tower First 50 Years
http://www.nps.gov/d[...]
National Park Service
2014-10-11
[10]
웹사이트
Little Big Horn College Library
http://lib.lbhc.edu/[...]
2012-06-05
[11]
문서
"Why is it called Devils Tower? Some Native Americans called it Mato Tipila, meaning Bear Lodge. Other Native American names include Bear's Tipi, Home of the Bear, Tree Rock and Great Gray Horn. In 1875, on an expedition led by Col. Dodge, it is believed his interpreter misinterpreted the name to mean Bad God's Tower, later shortened to Devils Tower."
http://www.nps.gov/d[...]
NPS Frequently Asked Questions
2008-07-22
[12]
웹사이트
USGS Frequently Asked Questions, #18
http://geonames.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2-11-29
[13]
웹사이트
Cubin Fights Devils Tower Name Change
http://www.house.gov[...]
2008-07-22
[14]
뉴스
Request made to change Devils Tower name to Bear Lodge
http://www.rapidcity[...]
2015-07-19
[15]
뉴스
Proposal could rename Devils Tower to Bear Lodge (with PDFs)
http://trib.com/news[...]
2015-09-24
[16]
논문
Geology of Devils Tower National Monument, USGS Bulletin 1021-I
https://pubs.er.usgs[...]
USGS
2021-04-14
[17]
문서
'[http://www.nps.gov/deto/naturescience/geologicformations.htm National Park Service: Devils Tower: Geologic Formations]'
http://www.nps.gov/d[...]
2021-08
[18]
서적
A Report on the Geology of Devils Tower National Monument
https://books.google[...]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19]
웹사이트
Facts on the Devils Tower in Wyoming
https://traveltips.u[...]
USA Today
2018-12-22
[20]
논문
Potassium-Argon Age of Devils Tower, Wyoming
1961-10
[21]
서적
Alkaline Rocks and Carbonatites of the World, Part 1: North and South America
London,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University of Texas Press
[22]
웹사이트
Devils Tower #2, Wyoming 1991–2020 Monthly Normals
https://www.ncei.noa[...]
2023-12-18
[23]
웹사이트
xmACIS
https://xmacis.rcc-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12-18
[24]
문서
Burnham's Celestial Handbook
[25]
문서
Marquis
[26]
문서
Marquis
[27]
문서
Marquis
[28]
웹사이트
N. Scott Momaday, Kiowa/Cherokee
http://nativeamerica[...]
2020-07-17
[29]
웹사이트
An Overview of Post-1960 Native American Literature
http://nativeamerica[...]
2020-07-17
[30]
서적
The Black Hills journals of Colonel Richard Irving Dodg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31]
웹사이트
Listing of National Park System Areas by State
http://www.nps.gov/h[...]
National Park Service
2011-06-30
[32]
문서
Devils Tower NM – Final Climbing Management Plan
http://www.nps.gov/d[...]
National Park Service
2009-03-13
[33]
웹사이트
Parachutist George Hopkins – Devils Tower National Monument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34]
서적
Looking Wes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35]
뉴스
Parachutist gains five pounds while stranded on rock
https://news.google.[...]
2021-02-15
[36]
뉴스
Alpinists bring down man on Devil's Tower; 'rather go back than face crowd,' he says
https://select.nytim[...]
1941-10-07
[37]
웹사이트
devilstowerclimbing.com
http://www.devilstow[...]
2014-10-20
[38]
웹사이트
Sacred Land Film Project
https://web.archive.[...]
[39]
웹사이트
It's Time to Rethink Climbing on Devils Tower
2019-05-02
[40]
웹사이트
NPS Incident Reports - Devils Tower National Monument
https://npshistory.c[...]
2024-12-06
[41]
웹사이트
Fall kills climber and strands partner on Wyoming's Devils Tower
https://www.latimes.[...]
2024-12-06
[42]
웹사이트
Mammals – Devils Tower National Monument
https://www.nps.gov/[...]
U.S. National Park Service
2019-02-20
[43]
웹사이트
Birds – Devils Tower National Monument
https://www.nps.gov/[...]
U.S. National Park Service
2019-02-20
[44]
웹사이트
Close Encounters of the Third Kind (1977)
http://www.filmsite.[...]
2011-11-03
[45]
서적
Directed by Steven Spielberg: Poetics of The Contemporary Hollywood Blockbuster
Th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Inc.
[46]
서적
Nature and Landscape: An Introduction to Environmental Aesthetics
Columbia University Press
[47]
서적
世界の聖地バイブル : パワースポット&スピリチュアルスポットのガイド決定版
ガイアブックス、産調出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