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각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각형은 6개의 변과 6개의 각을 가진 다각형으로, 정육각형은 모든 변의 길이가 같고 모든 내각이 120°인 육각형을 의미한다. 정육각형은 벌집, 주상절리, 벤젠 등 자연과 인공물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공간 효율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는 특징을 가진다. 정육각형은 슐래플리 기호 {6}으로 표현되며, 정삼각형으로 구성되거나 테셀레이션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육각형의 영어 표기인 "hexagon"과 "sexagon"의 사용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 - 육진법
    육진법은 6을 밑으로 하는 위치 기수법으로, 6을 "10"으로, 6분의 1을 "0.1"로 표현하며, 2와 3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특징과 손가락으로 쉽게 셀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일부 언어와 단위계에서 사용된다.
  • 6 - 처녀궁
    처녀궁은 점성술에서 황도대의 여섯 번째 별자리로, 8월 23일부터 9월 22일까지 해당하며, 조디악 기호는 처녀이고, 수성이 주인 행성이며, 분석적이고 꼼꼼한 성향과 관련 있다고 여겨진다.
  • 작도가능한 다각형 - 정삼각형
    정삼각형은 세 변의 길이가 같고 모든 내각이 60°인 삼각형으로, 이등변삼각형의 특수한 형태이며 내심, 외심, 무게중심이 일치하는 특징을 가진다.
  • 작도가능한 다각형 - 오각형
    다섯 변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인 오각형은 변의 길이와 각의 크기가 모두 같은 정오각형을 포함하며, 정오각형은 컴퍼스와 자로 작도할 수 있고 자연에서도 발견된다.
  • 변의 수에 따른 다각형 - 오각형
    다섯 변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인 오각형은 변의 길이와 각의 크기가 모두 같은 정오각형을 포함하며, 정오각형은 컴퍼스와 자로 작도할 수 있고 자연에서도 발견된다.
  • 변의 수에 따른 다각형 - 팔각형
    팔각형은 8개의 변과 꼭짓점을 가진 다각형으로, 내각의 합은 1080°이며, 건축 디자인에 활용되고 문화적 상징으로도 나타난다.
육각형
개요
육각형
육각형
종류다각형
변의 수6
각의 수6
정육각형
슈플리 기호'{6}'
꼭지점6
6
대칭군D6
기타
특징볼록 다각형, 등각 다각형, 등변 다각형, 순환 다각형, 접선 다각형

2. 정육각형

다각형인 육각형은 슐래플리 기호 {6}을 가지며, 두 종류의 변을 교대로 갖는 절단된 정삼각형, t{3}으로 구성될 수 있다.[2]

정육각형은 정변이고 정각인 육각형으로 정의된다. 이는 이중심으로, 원내접 (외접원이 있음)이자 접선 (내접원이 있음)임을 의미한다.

변의 공통 길이는 외접원 또는 외접원의 반지름과 같으며, 이는 아포테마 (내접원의 반지름)의 \tfrac{2}{\sqrt{3}} 배와 같다. 모든 내각은 120 이다. 정육각형은 6개의 회전 대칭 (''6차 회전 대칭'')과 6개의 반사 대칭 (''6개의 대칭선'')을 가지며, 이는 이변수 군 D6을 구성한다. 정육각형의 가장 긴 대각선은, 마주보는 꼭짓점을 연결하며, 한 변의 길이의 두 배이다. 이를 통해 정육각형의 중심에 꼭짓점을 두고 정육각형과 한 변을 공유하는 삼각형정삼각형이고, 정육각형이 여섯 개의 정삼각형으로 분할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정사각형정삼각형과 마찬가지로, 정육각형은 빈틈 없이 서로 맞물려 ''평면을 타일링''할 수 있으며 (각 꼭짓점에서 세 개의 육각형이 만남), 따라서 테셀레이션을 구성하는 데 유용하다. 벌집 벌집의 벌집 세포가 육각형인 이유는 이 모양이 공간과 건축 자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정삼각형 격자의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은 육각형의 벌집 테셀레이션이다.

최대 지름 (육각형의 긴 대각선에 해당)인 ''D''는 최대 반지름 또는 외접원 반지름인 ''R''의 두 배이며, 이는 변의 길이인 ''t''와 같다. 최소 지름 또는 내접원의 지름(평행한 변의 간격, 평평한 면에서 평평한 면까지의 거리, 짧은 대각선 또는 평평한 바닥에 놓일 때의 높이)인 ''d''는 최소 반지름 또는 내접원 반지름인 ''r''의 두 배이다. 최대값과 최소값은 동일한 계수로 관련된다.

:\frac{1}{2}d = r = \cos(30^\circ) R = \frac{\sqrt{3}}{2} R = \frac{\sqrt{3}}{2} t 그리고 유사하게, d = \frac{\sqrt{3}}{2} D.

정육각형의 면적

:\begin{align}

A &= \frac{3\sqrt{3}}{2}R^2 = 3Rr = 2\sqrt{3} r^2 \\[3pt]

&= \frac{3\sqrt{3}}{8}D^2 = \frac{3}{4}Dd = \frac{\sqrt{3}}{2} d^2 \\[3pt]

&\approx 2.598 R^2 \approx 3.464 r^2\\

&\approx 0.6495 D^2 \approx 0.866 d^2.

\end{align}

모든 정다각형의 경우, 면적은 아포템 ''a''와 둘레 ''p''로 표현될 수도 있다. 정육각형의 경우, 이 값은 ''a'' = ''r'' 및 ''p''{} = 6R = 4r\sqrt{3}로 주어지므로,

:\begin{align}

A &= \frac{ap}{2} \\

&= \frac{r \cdot 4r\sqrt{3}}{2} = 2r^2\sqrt{3} \\

&\approx 3.464 r^2.

\end{align}

정육각형은 외접원의 \tfrac{3\sqrt{3}}{2\pi} \approx 0.8270 부분을 채운다.

'''정육각형'''(正六角形)은 정다각형의 조건을 만족하는 육각형이다. 이 때문에 정육각형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

각 변의 길이가 모두 같고, 모든 내각이 120°로 일정하다. 한 변의 길이를 a라고 하면, 둘레는 6a\,\!이며, 외접원의 지름(대각선 길이)은 2a\,\!이고, 내접원의 지름(대변 사이의 거리)은 \sqrt{3}a\,\!이며, 면적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 = \frac{3}{2}a^2 \cot \frac{\pi}{6} = \frac{3 \sqrt{3}}{2}a^2 \simeq 2.59808 a^2.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육각형은 반드시 단위 원에 내접한다. 이때 정육각형의 둘레는 6이며, 이는 단위 원의 원주보다 짧다. 단위 원의 지름은 2이므로, 원주율(=원주/지름)이 6/2 = 3보다 크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자주 사용된다. 고대부터 이 성질로 인해 원주율이 약 3보다 조금 큰 값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합동인 정육각형을 규칙적으로 배열하면, 평면을 빈틈없이 채울 수 있는 테셀레이션 중 하나이다. 정육각형으로 평면을 채운 구조는 벌집 등에서 볼 수 있으며, 벌집 구조라고 불린다. 종이 등으로 만든 변형 가능한 여러 개의 원기둥을 내부 공간을 완전히 찌그러뜨리지 않으면서 원기둥 벽만 밀착시켜 묶으면 벌집 구조에 가까워진다는 사실도 알려져 있으며, 간단한 실험으로 확인할 수 있다. 벌집 구조는 적은 재료로 튼튼한 구조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을 포함하기 때문에 경량화도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 방음 성능도 갖출 수 있어, 공업 제품에 사용된 사례도 볼 수 있다. 정다각형으로 분류되는 도형 중, 정육각형이 가장 많은 꼭짓점을 가지고 있다. 정팔각형 이상의 정다각형에 대해 평면 테셀레이션은 알려져 있지 않다.

2. 1. 정육각형의 성질

정육각형은 슐래플리 기호로 {6}으로 표현되며, 절단된 정삼각형 t{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정육각형의 최대 지름(긴 대각선)은 외접원 반지름 ''R''의 두 배이며, 이는 변의 길이 ''t''와 같다. 최소 지름(평행한 변의 간격, 짧은 대각선)은 내접원 반지름 ''r''의 두 배이다. 내접원의 반지름은 외접원 반지름의 \frac{\sqrt{3}}{2}배이다.

정육각형의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A = \frac{3\sqrt{3}}{2}R^2 = 3Rr = 2\sqrt{3} r^2 \approx 2.598 R^2 \approx 3.464 r^2 (R은 외접원의반지름, r은 내접원의 반지름)

:A = \frac{3\sqrt{3}}{2}a^2 (a는 변의 길이)

정육각형은 6개의 회전 대칭과 6개의 반사 대칭을 가지며, 이는 이면체군 D6을 구성한다. 존 콘웨이는 이러한 대칭에 문자와 군의 차수를 사용하여 레이블을 지정한다.[4] 정규 형태의 전체 대칭은 '''r12'''이고, 대칭이 없는 경우는 '''a1'''으로 표시된다.[4]

이각 대칭은 정점을 통과하는지(대각선에 대한 '''d''') 또는 변을 통과하는지(수직선에 대한 '''p''')에 따라 구분된다. 중간 열의 순환 대칭은 중심 자전 차수 '''g'''로 표시된다.


정육각형의 둘레는 6a이며(a는 변의길이),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육각형은 반드시 단위 원에 내접하는데, 이때 정육각형의 둘레는 6이며, 이는 단위 원의 원주보다 짧다. 단위 원의 지름은 2이므로, 원주율(π)이 3보다 크다는 것을 증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합동인 정육각형을 규칙적으로 배열하면 평면을 빈틈없이 채울 수 있다. 정육각형으로 평면을 채운 구조는 벌집 등에서 볼 수 있으며, 벌집 구조라고 불린다.

2. 2. 정육각형의 작도

자와 컴퍼스에 의한 정육각형 작도.


정육각형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작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개의 정삼각형을 조합하면 정육각형을 만들 수 있다. 이것은 정육각형의 대각선 중 중심을 통과하는 긴 쪽 3개를 긋는 방법으로도 알 수 있으며, 정삼각형도 평면 채움 도형임을 알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컴퍼스로 임의의 반지름의 원을 그리고, 컴퍼스의 폭을 바꾸지 않고, 원주상의 임의의 점에서 같은 반지름의 원을 그리는 방법이 있다. 다음에, 처음에 그린 원과 교차한 점을 중심으로, 역시 컴퍼스의 폭을 바꾸지 않고 같은 반지름의 원을 그리는 작업을 반복하면, 두 번째로 그린 원의 중심을 통과하는 원을 그릴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처음에 그린 원의 원주상에 있는, 나중에 그린 원의 중심을 직선으로 연결하면 정육각형을 그릴 수 있다.

2. 3. 대칭

정육각형은 D6 대칭군을 가지며, 여기에는 16개의 부분군이 존재한다.[4] 콘웨이는 이들 대칭을 문자와 군의 차수로 표시하는데, 예를 들어 전체 대칭은 '''r12''', 대칭이 없는 경우는 '''a1'''으로 나타낸다.[4]

정육각형의 주요 대칭은 다음과 같다:

  • '''p6''': 세 개의 거울로 구성된 등각 육각형. 긴 변과 짧은 변이 번갈아 나타날 수 있다.
  • '''d6''': 동일한 변 길이를 가지지만, 정점이 두 개의 서로 다른 내각을 번갈아 갖는 등면 육각형. '''p6'''의 쌍대 다각형이며, 정육각형 대칭 차수의 절반을 갖는다.
  • '''i4''': 한 대칭 방향을 따라 평평하거나 늘어진 정육각형. 연장된 마름모로 볼 수 있다.
  • '''d2'''와 '''p2''': 각각 수평 및 수직으로 늘어진 연.
  • '''g2''': 반대쪽이 평행인 육각형. 평행사변형이라고도 한다.


정육각형의 6개의 반사선, Dih6 또는 '''r12''' 대칭, 차수 12


각 부분군 대칭은 불규칙 육각형에 대해 하나 이상의 자유도를 허용하며, '''g6''' 부분군만이 자유도가 없어 지향성 변으로 볼 수 있다.[4] '''g2''', '''i4''', '''r12''' 대칭을 갖는 육각형은 평행사변형으로서 평행 이동으로 유클리드 평면을 테셀레이션할 수 있다.

2. 4. 분할

코세터는 모든 존오곤(마주보는 변이 평행하고 길이가 같은 2''m''-각형)은 ''m''(''m'' − 1)개의 평행사변형으로 분할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5] 특히, 이것은 변의 수가 짝수인 정다각형에 적용되며, 이 경우 평행사변형은 모두 마름모이다. 정육각형의 이러한 분해는 6개의 정사각형 면 중 3개를 가진 큐브의 페트리 다각형 투영에 기반한다. 다른 평행사변형과 큐브의 투영 방향은 직육면체 내에서 분할된다.

2D마름모평행사변형
80px
95px
120px
120px
정 {6}육각형 평행사변형
3D정사각형 면직사각형 면
95px
95px
120px
120px
큐브직육면체


2. 5. 관련 다각형 및 타일링

정육각형은 슐레플리 기호 {6}을 갖는다. 정육각형은 각 꼭짓점에 세 개의 육각형 면이 있는 정규 육각형 타일링 {6,3}의 일부이다.

정육각형은 슐레플리 기호 t{3}을 갖는 절단된 정삼각형으로도 만들 수 있다. 두 종류(색상)의 모서리로 보면, 이 형태는 D3 대칭만 갖는다.

절단된 육각형, t{6}은 십이각형 {12}이며, 두 종류(색상)의 모서리가 교대로 나타난다. 교대된 육각형, h{6}는 정삼각형 {3}이다. 정육각형은 모서리에 정삼각형을 사용하여 별 모양으로 만들 수 있으며, 육각별을 생성한다. 정육각형은 중심점을 추가하여 여섯 개의 정삼각형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 패턴은 정규 삼각형 타일링 내에서 반복된다.

정육각형은 주변에 교대로 정사각형정삼각형을 추가하여 정규 십이각형으로 확장할 수 있다. 이 패턴은 마름모삼육각 타일링 내에서 반복된다.

80px
80px
80px
80px
80px
80px
80px
80px
정규
{6}
절단된
t{3} = {6}
과절단 삼각형별 모양
별 모양 2{3}
절단된
t{6} = {12}
교대된
h{6} = {3}



80px
80px
80px
80px
80px
80px
80px
80px
교차
육각형
오목 육각형자기 교차 육각형 (별 다각형)확장
중심 {6} in {12}
비틀린 육각형, 정육면체 내분할된 {6}투영
팔면체
완전 그래프



정규 엇각 육각형은 3-3 쌍프리즘, 3-3 쌍각뿔, 5-단순체 등 고차원 정규, 균일 및 쌍대 다면체 및 다포체의 Petrie 다각형이며, 다음 엇각 직교 투영법으로 나타난다.

4차원5차원
100px

3-3 쌍프리즘
100px

3-3 쌍각뿔
100px
5-단순체


3. 육각형의 종류

육각형은 내각의 크기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모든 내각이 180°보다 작은 육각형은 볼록 육각형, 하나 이상의 내각이 180°보다 큰 육각형은 오목 육각형이라고 한다. 변이 서로 교차하는 육각형은 자기 교차 육각형이라고 한다.

정육각형의 정점 배열을 가진 여섯 개의 자가 교차 육각형이 있다.[11]

정점을 공유하는 자가 교차 육각형
Dih2Dih1Dih3
8자 모양
중앙 뒤집기
단일 궤적
물고기 꼬리
이중 꼬리
삼중 꼬리



육망성


공통 변 ''a''를 갖는 임의의 볼록 등변 육각형(모든 변의 길이가 같은 육각형)에는 주 대각선 ''d''1과 ''d''2가 존재한다.

그 외에도 원에 내접하거나 외접하는 육각형, 르모와느 육각형등 다양한 종류의 육각형이 존재한다.[12]

원에 내접하는 육각형 (좌)과 원에 외접하는 육각형 (우)

4. 자연에서 볼 수 있는 육각형

주상절리는 용암이 식으면서 부피가 줄어들어 만들어지는 육각형 기둥 형태의 지형이다.[16][17] 제주도 주상절리대와 경주 양남 주상절리군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북아일랜드의 자이언츠 코즈웨이에서도 자연적으로 형성된 현무암 기둥을 볼 수 있다.

자이언츠 코즈웨이 근접 촬영


꿀벌의 벌집 방은 육각형 모양으로, 공간 효율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높여준다. 육각형 격자는 넓은 영역을 가장 적은 수의 육각형으로 채울 때 각 선이 가장 짧아지기 때문에, 벌집은 건설에 필요한 밀랍을 절약하고 압축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많은 곤충의 겹눈은 육각형 낱눈이 모여 이루어져 있다. 눈의 결정은 정육각형을 기본으로 다양한 패턴을 이룬다.

눈 결정


베나르 대류는 유체 내에서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육각형 모양의 대류 패턴이다.

일부 광물은 육방정계 결정을 가지며, 육각형 모양의 기둥 형태를 띨 수 있다.[13][14][15] 예를 들어 녹주석과 석영, 그리고 육각형 행크사이트 결정이 이에 해당한다.

육방정계 광물 중 하나인 육각형 행크사이트 결정


토성의 북극에는 육각형 모양의 거대한 구름 패턴이 존재하는데, 이를 토성 육각형이라고 부른다.[18] 1981년 탐사선 보이저 2호에 의해 처음 관측되었으며, 2014년 4월 2일에는 탐사선 카시니가 촬영한 사진이 공개되었다.

일부 거북의 등딱지는 육각형 모양의 각판으로 이루어져 있다.[19]

벤젠은 6개의 탄소 원자가 정육각형 고리 모양으로 결합된 방향족 탄화수소이다.

육각형 모양을 가진 가장 간단한 방향족 화합물인 벤젠

5. 인공물에서 볼 수 있는 육각형



벌집벌집은 가볍고 튼튼한 구조가 필요한 곳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육각형 구조이다. 벌집은 건설에 필요한 밀랍이 적게 들고 압축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벌집 구조는 항공기나 건축물 등에 널리 사용된다.

연필의 단면은 정육각형인 경우가 많다. 볼트와 너트는 육각형 머리를 가지고 있어 육각 렌치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조이고 풀 수 있다.

로 l'Hexagone프랑스어은 대략적인 육각형 모양 때문에 프랑스 본토를 지칭한다.[22]

일부 도로 표지판에서도 육각형을 볼 수 있다. 대한민국의 도도부현도 표지판은 둥근 모서리의 정육각형 모양이다. 또한, 일부 보드 게임이나 전략 게임에서 육각형 타일을 사용하기도 한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주경은 18개의 육각형 거울 조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6. 육각형과 관련된 논쟁

육각형의 영어 표기에 대한 논쟁은 용어의 어원에서 시작되었다. 접두사 "hex-"는 그리스어 "hex"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6"을 의미하고, "sex-"는 라틴어 "sex"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또한 "6"을 의미한다. 일부 언어학자 및 수학자들은 많은 영어 수학 용어가 라틴어에서 파생되었으므로 "섹사곤(sexagon)"을 사용하는 것이 이러한 전통에 부합한다고 주장한다. 역사적 논의는 19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당시 수학자들이 기하학 용어를 표준화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육각형(hexagon)"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인 사용과 학술 문헌에서 우세하여 "섹사곤"에 대한 역사적 주장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수학 용어에 자리를 굳혔다. 합의는 "육각형"이 그리스어 기원과 수학에서의 확립된 사용법을 반영하여 적절한 용어라는 것이다.

7. 기타

점을 정육각형 형태로 배열했을 때, 그 점의 총수에 해당하는 수를 육각수라고 부른다.

프랑스 본토는 육각형과 비슷한 모양 때문에 "l'Hexagone"(엘엑사곤/l’Hexagone프랑스어)으로 불리기도 한다.

참조

[1] 그림 Cube picture https://deimel.org/i[...]
[2] 서적 Polyhedron Model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11-06
[3] 학술지 Cyclic Averages of Regular Polygons and Platonic Solids https://www.rgnpubli[...] 2020
[4] 서적 The Symmetries of Things
[5] 서적 Mathematical recreations and Essays
[6] 간행물 About hexagons
[7] 학술지 Dao's theorem on six circumcenters associated with a cyclic hexagon http://forumgeom.fau[...] 2014-11-17
[8] 서적 Advanced Euclidean Geometry Dover Publications
[9] 웹사이트 Hexagon, Inscribed Circle, Tangent, Semiperimeter http://gogeometry.co[...] 2012-04-17
[10] 학술지 Equilateral triangles and Kiepert perspectors in complex numbers http://forumgeom.fau[...] 2015-04-12
[11] 웹사이트 Inequalities proposed in "[[Crux Mathematicorum]]" http://www.imomath.c[...] 2017-08-30
[12] 웹사이트 円に内接・外接する正六角形の周長と面積から円周率との関係を考える https://p-suugaku.bl[...] 2021-07-21
[13] kotobank 자형
[14] 웹사이트 鉱物の結晶 http://www2.city.kur[...]
[15] kotobank 육방정계
[16] kotobank 주상절리
[17] 웹사이트 爪木崎の俵磯 https://izugeopark.o[...]
[18] 뉴스 Voyager - Saturn Then and Now: 30 Years Since Voyager Visit https://voyager.jpl.[...]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JPL)
[19] kotobank 갑
[20] kotobank 귀갑문
[21] kotobank 귀갑
[22] 서적 川と文化: 欧米の歴史を旅する https://books.google[...] 玉川大学出版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