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다메이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이다메이아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스키로스 섬의 왕 리코메데스의 딸이자 아킬레우스의 아내이다. 아킬레우스와의 사이에서 네오프톨레모스를 낳았으며, 아킬레우스가 트로이 전쟁에서 전사한 후에는 헬레노스와 결혼했다. 또 다른 데이다메이아는 벨레로폰의 딸로, 에우안드로스와 결혼하여 사르페돈을 낳았다.
스키로스 섬의 왕 리코메데스의 딸 데이다메이아는 트로이 전쟁 영웅 아킬레우스와의 사이에서 네오프톨레모스(퓌로스)를 낳았다.
2. 스키로스 섬의 리코메데스 왕의 딸
테티스는 아들 아킬레우스가 트로이 전쟁에 참전하면 죽을 것이라는 칼카스의 예언 때문에, 그를 스키로스 섬에 보내 리코메데스에게 맡겼다.[11] 리코메데스는 아킬레우스를 여장시켜 자신의 딸들과 함께 양육했고, 이때 데이다메이아는 아킬레우스를 만나 사랑에 빠졌다. 얼마 후, 오디세우스가 리코메데스의 궁전에 도착하여 아킬레우스의 정체를 밝혀내자, 아킬레우스는 데이다메이아와 아들 네오프톨레모스를 두고 전쟁에 참전했다.[21][22]
아킬레우스가 전사한 후, 네오프톨레모스는 그리스 군의 요청으로 트로이 전쟁에 참전하게 되었다. 데이다메이아는 아들마저 전쟁터로 보내는 것을 슬퍼하며 참전을 만류했지만, 네오프톨레모스의 뜻을 꺾을 수는 없었다.[23][8]
2. 1. 아킬레우스와의 만남과 사랑
테티스는 아킬레우스가 트로이 전쟁에 참전하면 죽을 것이라는 예언 때문에 그를 스키로스 섬에 여장시켜 숨겼다.[11] 리코메데스 왕의 궁정에서 데이다메이아는 아킬레우스와 만나 사랑에 빠졌고, 둘 사이에서 아들 네오프톨레모스가 태어났다.[11] 일부 기록에서는 아킬레우스가 데이다메이아를 강간했으나, 그녀는 그를 용서하고 임신했다고 전해진다.[20]
오디세우스가 리코메데스 왕의 궁전에 도착하여 아킬레우스가 남성임을 밝혀내자, 아킬레우스는 데이다메이아를 남겨두고 트로이아 전쟁에 참전하기로 결정했다.[21][22]
2. 2. 아킬레우스의 참전과 이별
오디세우스가 리코메데스의 궁전에 도착하여 아킬레우스가 남자임을 밝혀내자, 아킬레우스는 데이다메이아를 남겨두고 트로이아 전쟁에 참전하기로 결정했다.[21][22][6][7]
2. 3. 네오프톨레모스의 참전과 데이다메이아의 슬픔
아킬레우스가 전사한 후, 네오프톨레모스는 트로이아 전쟁에 참전해 달라는 그리스 군의 요청을 받았다. 데이다메이아는 아들을 전쟁터로 보내는 것을 슬퍼하며 만류했지만, 네오프톨레모스의 참전을 막을 수는 없었다.[23][8]
일본어 위키백과에서는 데이다메이아가 아들을 전쟁에 보내지 않기 위해 슬픔을 무릅쓰고 오디세우스와 디오메데스에게 즉답하지 않고 시간을 끄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데이다메이아는 오디세우스와 디오메데스가 과거 아킬레우스를 전장으로 데려가 죽음에 이르게 한 계기를 만든 남자들이라는 것을 기억하고, 그들이 스키로스 섬에 온 목적이 네오프톨레모스에게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데이다메이아는 아들에게 전장에 가지 말라고 울며 매달렸지만, 네오프톨레모스의 참전 의지를 꺾을 수는 없었다.[13]
전쟁이 끝난 후, 데이다메이아는 네오프톨레모스에 의해 프리아모스의 아들이자 노예가 된 헬레노스와 결혼했다.[23][8]
2. 4. 전후의 삶
트로이 전쟁이 끝난 후, 데이다메이아는 네오프톨레모스가 에피로스로 데려온 헬레노스와 결혼했다.[23] 일부 기록에서는 아킬레우스와 데이다메이아 사이에 오네이로스라는 또 다른 아들이 있었으며, 그는 포키스에서 텐트를 칠 장소를 두고 싸우다가 그를 알아보지 못한 오레스테스에게 살해당했다고 전해진다.[25]
2. 5. 가계도
오케아노스 | 테튀스 | ||||||||
↓ | |||||||||
아소포스 | 메토페 | ||||||||
↓ | |||||||||
아레스 | 하르피나 | 제토스 | 테베 | ||||||
↓ | |||||||||
스테로페 | 오이노마오스 | 포세이돈 | 살라미스 | 네이스 | |||||
↓ | |||||||||
펠롭스 | 히포다메이아 | 퀴클레우스 | 제우스 | 아이기나 | 악토르 | ||||
↓ | |||||||||
스케이론 | 칼리클로 | 아이아코스 | 엔데이스 | 프사마테 | |||||
↓ | |||||||||
텔라몬 | 페리보이아 | 헤시오네 | 안티고네 | 펠레우스 | 테티스 | 포코스 | 메노이티오스 | ||
↓ | |||||||||
테크메사 | 테우크로스 | 폴리도라 | 아킬레우스 | 데이다메이아 | 파트로클로스 | 크리소스 | |||
↓ | |||||||||
에우리사케스 | 메네스티오스 | 네오프톨레모스 | 안드로마케 | 헤르미오네 | 에페이오스 | 스트로피오스 |
벨레로폰의 딸이다. 리키아 왕 사르페돈(크레테 왕 미노스의 형제)의 아들 에우안드로스와 결혼하여 트로이 전쟁에 참전한 사르페돈을 낳았다.[15]
[1]
문헌
Dictys Cretensis, 4.15
3. 벨레로폰의 딸
참조
[2]
문헌
Statius, Achilleid 296
[3]
문헌
Hyginus, Fabulae 96
[4]
문헌
Bion of Smyrna, Poems 2
[5]
문헌
Statius, Achilleid 640
[6]
문헌
Apollodorus, 3.13.8
[7]
문헌
Epic Cycle Fragments, The Cypria fr. 1 as cited in Eutychius Proclus, Chrestomathia 1
[8]
문헌
Apollodorus, Epitome 6.13
[9]
문헌
Apollodorus, Epitome 5.11
[10]
문헌
Ptolemy Hephaestion, New History 3 as cited in Photius, Bibliotheca 190
[11]
문헌
アポロドーロス、3巻13・8。
[12]
문헌
ヒュギーヌス、96話。
[13]
문헌
スミュルナのコイントス、7巻。
[14]
문헌
アポロドーロス、摘要(E)6・13。
[15]
문헌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ロス、5巻79・3。
[16]
문헌
Dictys Cretensis, 4.15
[17]
문헌
Statius, Achilleid 296
[18]
문헌
Hyginus, Fabulae 96
[19]
문헌
Bion of Smyrna, Poems 2
[20]
문헌
Statius, Achilleid 640
[21]
문헌
Apollodorus, 3.13.8
[22]
문헌
Epic Cycle Fragments, The Cypria fr. 1 as cited in Proclus, Chrestomathia 1
[23]
문헌
Apollodorus, Epitome 6.13
[24]
문헌
Apollodorus, Epitome 5.11
[25]
문헌
Ptolemy Hephaestion, New History 3 as cited in Photius, Bibliotheca 1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