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테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티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바다의 여신으로, 아킬레우스의 어머니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녀는 고대 그리스 종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세우다, 확립하다'라는 의미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초기 폴리스의 역할과 관련이 있다. 테티스는 제우스와 포세이돈의 구애를 받았으나, 아들이 아버지보다 위대해질 것이라는 예언 때문에 인간 펠레우스와 결혼했다. 그녀는 신들을 돕는 조력자 역할을 했으며, 헤파이스토스, 디오니소스 등을 도왔다. 테티스는 아들 아킬레우스를 불멸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지만, 완벽하게 성공하지는 못했다. 트로이 전쟁에서 아킬레우스를 위해 제우스에게 간청하고 헤파이스토스에게 갑옷을 의뢰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했다. 고대 숭배의 대상이었으며, 라코니아에서는 숭배받는 여신이었다. 알크만의 우주론에서는 창조신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테티스 신화는 비교신화학적 관점에서 연구되며, 인도 신화의 강가와 유사성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레이데스 - 스킬라
    스킬라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바다 괴물로, 선원을 잡아먹는 끔찍한 존재로 묘사되며 아름다운 님프에서 괴물로 변모하는 비극적인 서사를 가진 존재이다.
  • 네레이데스 - 인어
    인어는 사람의 상반신과 물고기의 하반신을 가진 신화적 존재로, 전 세계 다양한 문화권에서 나타나며, 불길한 징조, 유혹하는 존재, 또는 도움을 주는 존재로 묘사되고, 예술 작품의 소재로 널리 활용된다.
  • 아킬레우스 - 캡틴 마블 (DC 코믹스)
    캡틴 마블은 DC 코믹스에서 출판하는 만화의 슈퍼히어로 캐릭터로, 고아 소년 빌리 뱃슨이 마법사 샤잠의 이름을 외쳐 초능력을 가진 성인 영웅으로 변신하는 설정을 가지며, 만화 황금기 동안 인기를 누렸으나 저작권 소송으로 중단 후 DC 코믹스에 의해 "샤잠!"으로 부활하여 현재 DC 유니버스의 주요 캐릭터이다.
  • 아킬레우스 - 아킬레스건
    아킬레스건은 다리 뒤쪽 아래에 위치하여 종아리 근육을 발꿈치뼈에 연결하는 인체에서 가장 두꺼운 힘줄로, 발의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염증, 파열, 퇴행성 변화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스포츠 활동 중 부상으로 파열되는 경우가 흔하다.
  • 사자의 여신 - 아세라
    아세라는 고대 근동에서 숭배된 여신으로, 풍요와 다산을 상징하며 나무와 연관되어 숭배되었고,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과 역할로 해석되며, 히브리인들에 의해 숭배되기도 했으나 이교의 우상신으로 간주되기도 했다.
  • 사자의 여신 - 하토르
    하토르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하늘, 태양, 사랑, 아름다움, 풍요, 음악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암소 또는 암소 머리를 가진 여성으로 묘사되며 이집트 전역과 해외에서도 숭배되었다.
테티스
기본 정보
트리톤과 함께 있는 테티스 조각상, 로마 복제품
트리톤과 함께 있는 테티스 조각상, 로마 복제품
소속네레이데스
거주지바다
부모네레우스와 도리스
형제자매네레이데스, 네리테스
배우자펠레우스, 제우스
자녀아킬레우스
역할바다의 여신

2. 신화 속 테티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는 테티스에 대한 언급이 많이 나온다. 테티스는 제우스가 아버지보다 더 위대한 아들을 낳을 것이라는 예언 때문에 인간 펠레우스와 결혼하게 되었다. 프로테우스의 조언에 따라 펠레우스는 변신하는 테티스를 붙잡아 결혼에 성공했다.

테티스가 묘사된 (왼쪽) 1861–62년 CSA $10 지폐


테티스와 펠레우스의 결혼식은 펠리온 산에서 열렸고, 많은 신들이 참석하여 축하했다. 아폴론은 리라를 연주했고, 무사들은 노래했다. 케이론은 펠레우스에게 물푸레나무 창을, 네레우스는 '신성한' 소금 바구니를 선물했다. 포세이돈은 불멸의 말 발리우스와 크산토스를 주었다. 그러나 불화의 여신 에리스가 던진 황금 사과는 파리스의 심판으로 이어져 트로이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테티스는 아킬레우스를 불멸로 만들기 위해 스틱스 강물에 담갔으나, 발꿈치는 닿지 않아 약점이 되었다. 트로이 전쟁에서 테티스는 아들을 위해 제우스에게 간청하고, 헤파이스토스에게 새 갑옷을 부탁하는 등 헌신적인 모습을 보였다.

앵그르의 그림 ''주피터와 테티스'': "그녀는 그의 옆에 무릎을 꿇고 앉아 왼팔로 그의 무릎을 감싸고 오른손을 들어 그의 턱을 만지며 크로노스의 왕자에게 간청했다" (''일리아스'', I)


테티스와 시종들이 준비한 갑옷을 아킬레우스에게 가져다주는 모습 (아테네 흑색상 그림 수구, 기원전 575–550년경, 루브르 박물관)


헤파이스토스의 대장간에서 아킬레우스의 새 무기를 기다리는 테티스 (폼페이 프레스코)


테티스는 다음과 같은 여러 예술 작품에도 등장한다.

  • 프란체스코 카발리의 오페라 ''테티스와 펠레우스의 결혼''
  • W. H. 오든의 시 아킬레우스의 방패
  • 레이 해리하우젠의 영화 ''타이탄 족의 멸망''
  • 캐럴 앤 더피의 시집 ''세상의 아내''
  • 볼프강 페터젠의 영화 ''트로이''
  • 매들린 밀러의 소설 ''아킬레우스의 노래''
  • 소설 ''소녀들의 침묵''
  • 레이첼 스마스의 "로어 올림푸스"

2. 1. 초기 생애와 역할

테티스에 관한 현존하는 대부분의 자료는 아킬레우스의 어머니로서의 역할에 관한 것이지만, 그녀가 바다의 여신으로서 고대 그리스의 종교적 신념과 관습에서 더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증거도 있다. 그녀 이름의 근대 이전 어원인 'tithemi' (τίθημι), 즉 "세우다, 확립하다"는 고대 고전 그리스인들이 그녀의 초기 폴리스 역할에 대해 인식했음을 시사한다. 발터 부르케르트[4]는 그녀의 이름을 테튀스의 변형된 중복어라고 생각한다.

제우스는 테티스의 아들이 아버지보다 더 위대한 존재가 될 것이라는 예언을 받았다. 제우스가 자신의 아버지를 몰아내고 다음 판테온을 이끌었던 것처럼 말이다. 결국 테티스의 자손에게 필멸의 아버지를 주기 위해, 제우스와 그의 형제 포세이돈은 그녀가 인간인 펠레우스와 결혼하도록 주선했는데, 그는 아이아코스의 아들이었지만 테티스는 그를 거부했다.[46]

초기 바다의 신인 프로테우스는 펠레우스에게 테티스가 잠든 동안 그녀를 찾아 변신하는 그녀가 도망가지 못하도록 단단히 묶으라고 조언했다. 그녀는 불꽃, 물, 맹렬한 사자, 그리고 뱀으로 변신했다.[9] 펠레우스는 굳건히 붙잡았다. 마침내 굴복한 그녀는 그와 결혼하기로 동의했다. 테티스는 펠레우스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킬레우스의 어머니로, 그는 미르미돈의 왕이 되었다.

두리스가 그린 아티카 붉은색 킬릭스, 기원전 490년경, 에트루리아 불치 출토 - 파리 프랑스 국립도서관. 펠레우스의 공격을 받으며 암사자로 변신하는 테티스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2. 2. 다른 신들과의 관계

일리아스』에서 테티스는 어려움에 직면한 신들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과거 올림포스에서 헤라, 포세이돈, 아테나가 반란을 일으켜 제우스를 묶었을 때, 테티스는 헤카톤케이르 중 한 명인 브리아레오스(별칭 아이가이온)를 불러 제우스를 도왔다. 브리아레오스를 두려워한 신들은 제우스에게 접근하지 못했고, 테티스는 밧줄을 풀어 제우스를 구출했다.[36]

테티스는 대장장이 신 헤파이스토스와 술의 신 디오니소스를 위기에서 구했다. 헤파이스토스는 태어나자마자 어머니 헤라에 의해 하늘에서 바다로 던져졌는데, 이는 헤라가 그의 불편한 다리를 싫어했기 때문이다. 테티스와 에우뤼노메는 헤파이스토스를 구해 9년 동안 해저에 숨겨주었고, 헤파이스토스는 그들을 위해 보석을 만들었다.[38]

트라키아의 왕 뤼쿠르고스에게 쫓기던 디오니소스를 테티스가 바다에 숨겨주기도 했다.[41][42]

이러한 도움 덕분에 제우스, 헤파이스토스, 디오니소스는 테티스와 아킬레우스에게 호의를 베풀었다. 트로이 전쟁에서 제우스는 테티스를 통해 아킬레우스의 소원을 들어주었고,[43] 헤파이스토스는 테티스의 부탁으로 아킬레우스를 위한 무구를 제작했다.[44] 디오니소스는 황금 항아리를 선물했다.[45]

한번은 테티스와 메데이아테살리아에서 누가 가장 아름다운지 다투었고, 크레타의 이도메네우스를 심판관으로 임명하여 테티스가 승리했다. 분노한 메데이아는 모든 크레타 사람들을 거짓말쟁이라고 저주했다.[8]

2. 3. 펠레우스와의 결혼

제우스는 테티스의 아들이 아버지보다 더 위대한 존재가 될 것이라는 예언을 받았다. 이 예언은 제우스가 자신의 아버지를 몰아내고 다음 판테온을 이끌었던 것처럼, 테티스의 자손이 필멸의 아버지를 갖게 하기 위함이었다. 제우스와 그의 형제 포세이돈은 그녀가 인간인 펠레우스와 결혼하도록 주선했는데, 그는 아이아코스의 아들이었지만 테티스는 그를 거부했다.[9]

초기 바다의 신인 프로테우스는 펠레우스에게 테티스가 잠든 동안 그녀를 찾아 변신하는 그녀가 도망가지 못하도록 단단히 묶으라고 조언했다. 그녀는 불꽃, 물, 맹렬한 사자, 그리고 뱀으로 변신했다.[9] 펠레우스는 굳건히 붙잡았고, 마침내 굴복한 그녀는 그와 결혼하기로 동의했다.

테티스와 펠레우스의 결혼식은 펠리온 산 케이론의 동굴 밖에서 거행되었으며, 신들이 참석하여 연회를 열어 결혼을 축하했다. 핀다르는 아폴론이 리라를 연주했고, 무사들이 노래했다고 주장했다. 결혼식에서 케이론은 펠레우스에게 아테나가 다듬고 헤파이스토스가 칼날을 제작한 물푸레나무 창을 주었다. 아프로디테에로스가 엠보싱 처리된 그릇을, 헤라는 클라미스를, 아테나는 피리를 가져왔다. 그의 장인 네레우스는 그에게 '신성한' 소금 바구니를 하사했는데, 이는 과식, 식욕 및 소화에 저항할 수 없는 힘을 가지고 있어, '그녀는 신성한 소금을 부었다'라는 표현을 설명한다. 제우스는 테티스에게 아르케의 날개를 하사했다. 또한 바다의 신 포세이돈은 펠레우스에게 불멸의 말 발리우스와 크산토스를 주었다.[10]

아브라함 블루마르트의 그림 『펠레우스와 테티스의 결혼』(1638년). 마우리츠하이스 미술관 소장.


에리스, 불화의 여신은 초대받지 못했지만, 분노하여 "가장 아름다운 자"에게 주어질 황금 사과를 여신들 사이에 던졌다. 이 사건은 파리스의 심판으로 이어졌고, 결국 트로이 전쟁을 일으켰다.

2. 4. 아킬레우스의 어머니

테티스는 아들 아킬레우스를 불멸로 만들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했다. 테티스는 갓 태어난 아킬레우스를 물이 가득한 솥에 넣어 익사시키려 했으나, 펠레우스가 이를 막았다.[53] 또 다른 이야기에서는 테티스가 아킬레우스의 발꿈치를 잡고 스틱스 강물에 담가 신체의 대부분을 불멸로 만들었지만, 발꿈치는 강물에 닿지 않아 약점으로 남았다.[54] 엘레우시스의 데메테르 신화와 유사하게, 테티스는 밤에는 아킬레우스를 불에 태워 인간적인 부분을 없애고 낮에는 암브로시아를 발라 불멸을 부여하려 했다. 그러나 펠레우스가 이 광경을 보고 놀라 테티스를 막았고, 테티스는 아들과 남편을 버리고 바다로 돌아갔다.[55][56] 이후 아킬레우스는 켄타우로스 케이론에게 맡겨져 자랐다.[56]

루벤스의 『테티스가 스틱스 강에 아킬레우스를 담그는 모습』(1630년-1635년경). 보이만스 반 베닝겐 미술관 소장.


트로이 전쟁이 발발하자, 테티스는 아킬레우스가 전쟁에 참가하면 죽을 것을 예견하고 그를 여장시켜 스퀴로스 섬의 뤼코메데스 왕에게 맡겼다. 그러나 아킬레우스는 오디세우스에게 정체가 발각되어 전쟁에 참가하게 되었다.[61]

2. 5. 트로이 전쟁에서의 역할

테티스는 트로이 전쟁에서 아들 아킬레우스를 위해 헌신적으로 행동했다. 아킬레우스가 아가멤논과의 불화로 전투 참여를 거부하자, 테티스는 제우스에게 간청하여 트로이군을 지원하게 했다.[11] 이는 아들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한 어머니의 노력이었지만, 동시에 전쟁의 장기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파트로클로스가 죽은 후, 테티스는 헤파이스토스가 만든 새로운 갑옷을 아킬레우스에게 가져다주었다.[15] 아킬레우스가 헥토르의 시신을 훼손하자, 신들은 테티스를 통해 아킬레우스에게 시신을 돌려주도록 설득했다.[17]

테티스는 아킬레우스의 죽음에 대한 예언을 알고 있었으며, 그의 죽음을 슬퍼했다.

3. 테티스 숭배

파우사니아스는 라코니아에서 테티스가 숭배받는 여신이었다는 기록을 남겼다. 테티스 신앙은 가장 오래된 사원이 건설되기 전부터 나무 신상('크소아논')을 중심으로 존재했다. 스파르타는 반란을 일으킨 메세니아와의 전쟁 중, 테티스의 여사제 클레오를 포로로 잡았다. 아기스 왕조의 아낙산드로스 왕(재위: 기원전 640년-기원전 615년경)의 아내는 클레오가 테티스의 나무 조각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 그녀를 여신을 위한 사원에 세웠다. 이 조각상은 비밀리에 보관되었다.[18]

역사가 헤로도토스페르시아 전쟁과 관련하여 테살리아 지방의 테티스 숭배에 대해 언급했다. 테르모필레 전투 (기원전 480년)에 앞서, 크세르크세스 1세가 이끄는 페르시아 해군이 그리스에 도착했을 때,[86] 마그네시아 지방의 카스타나이에(Kasthanaie) 시와 세피아스(Sepias) 곶 사이의 해변에 정박했다. 그러나 페르시아군은 폭풍우에 시달려[87] 400척의 군함을 잃었다.[88] 이에 페르시아군은 이오니아인의 조언에 따라 세피아스 곶을 성역으로 삼아 테티스와 네레이데스에게 폭풍우를 잠재워달라고 기원했다고 한다.[33]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테티스는 스파르타에 성역을 가지고 있었다. 아낙산드로스 왕 시대에 스파르타는 메세니아 지방을 침공하여 여자들을 포로로 잡았다. 그 중 테티스의 여사제 클레오가 있었는데, 왕의 아내 레안드리스는 그녀가 테티스의 나무 조각 신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아차리고, 왕에게 청하여 그녀를 넘겨받아 둘이 함께 테티스의 신전을 건설했다.[90] 또한 나무 조각 신상은 비공개로 성역에서 보호되었다.[91]

필로스트라토스가 언급하는 테살리아 지방의 아킬레우스 숭배에 따르면, 테살리아인들은 도도나의 신탁에 따라 트로이 지방까지 항해하여 아킬레우스에게 제물을 바쳤다. 그들은 상륙할 때 배 위에서 테티스의 찬가를 불러야 했다. 그러나 그들이 제물 봉헌을 중단했을 때, 아킬레우스와 테티스는 테살리아 지방에 재앙을 가져왔다고 한다.[92]

4. 알크만의 우주론

기원전 7세기 스파르타 시인 알크만의 한 조각난 찬가[19]에서 테티스는 데미우르고스로 나타난다. 알크만의 시에서 테티스는 '포로스'(πόρος, "길, 궤적")와 '테크모르'(τέκμωρ, "표시, 종점")로 창조를 시작한다. 세 번째는 '스코토스'(σκότος, "어둠")였고, 그 다음은 태양이었다. 테티스와 메티스 사이에는 밀접한 관련이 주장되어 왔는데, 메티스는 제우스가 사랑했던 또 다른 변신 바다의 힘이지만, 그녀의 강한 힘 때문에 아버지보다 더 위대한 아들을 낳을 것이라고 예언되었다.[20]

1957년 옥시린쿠스 파피루스에서 발견된 알크만의 우주론적 시는 고대 주석가들에 의해 단편적으로 인용되었으며, 이들은 철학적인 용어를 사용하며 알크만의 시를 해설하려고 시도했다. 그 내용에 따르면, 최초의 우주는 무질서하고 부정형의 질료(휠레, hylē)로 이루어져 있었고, 이어서 테티스가 나타났다. 그 뒤 포로스(Poros)가 나타났으며, 포로스가 지나간 뒤 테크모르(Tekmor)라는 신이 나타났다고 한다. 만물은 청동과 같고, 테티스는 거기에서 청동기를 만드는 장인에 비유된다. 또한 포로스는 시초이고 테크모르는 종말이며, 더 나아가 어둠(스코토스, skotos)이 생겨났다고 언급한다. 그러나 주석은 뒤섞여 있으며, 테티스가 태어났을 때 만물의 시초와 종말도 동시에 생겨났다고 한다.

5. 연구 및 해석

테티스 신화는 인도-유럽 신화와 비교 연구되기도 한다. 테티스와 아킬레우스의 관계는 인도의 서사시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강가와 비슈마의 관계와 유사성이 지적된다.[100][101] 바다의 여신 테티스는 많은 아이를 물에 빠뜨려 익사시켰다고 전해지는데,[53] 갠지스 강의 화신인 여신 강가 또한 (전생의 죄 때문에 강가의 아들로 지상에 태어난 바수 신군을 하늘로 돌려보내기 위해) 많은 아이들을 강에 빠뜨려 익사시켰다고 전해진다.[99] 테티스와 강가는 모두 수역의 여신이며, 아이를 익사시키고, 마지막으로 남은 아이가 나중에 대전쟁에서 활약하는 대영웅이 된다는 점에서 일치한다. 이러한 유사성은 인도-유럽 공통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전승임을 나타낸다고 한다.

테티스는 문학, 예술 작품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어 왔다. 르네상스 이후 서양 회화에서는 테티스와 펠레우스의 결혼, 아킬레우스와 관련된 에피소드가 주로 다루어졌다.

발터 부르케르트[4]는 테티스의 이름을 테튀스의 변형된 중복어라고 생각한다.

알크만의 우주론적인 시에 따르면, 최초의 우주는 무질서하고 부정형의 질료로 이루어져 있었고, 이어서 테티스가 나타났다고 한다. 그러나 이 시는 고대 주석가들에 의해 단편적으로 인용되었고, 그 내용을 철학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해설하려고 시도했기 때문에 신중하게 다루어야 한다.[32][94]

테티스의 원초적 성격은 그녀의 이름에서 엿볼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테티스의 이름은 원초의 바다의 여신 테티스와 발음과 의미가 서로 비슷하며, 둘 다 원래 바다의 여주인이었다고 생각된다.[98]

참조

[1] 웹사이트 Nereus: Sea-God, the Old Man of the Sea | Greek mythology, w/ pictures http://www.theoi.com[...] Theoi.com 2013-05-04
[2] 문서 Hesiod, Theogony 240 ff.
[3]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Halosydne https://www.perseus.[...]
[4] 서적 The Orientalizing Revolution: Near Eastern Influence on Greek Culture in the Early Archaic Age 1993
[5] 서적 Psyche: Seelen Unsterblickkeitsglaube der Grieche 1898
[6] 문서 Eighth Isthmian Ode
[7] 문서 Slatkin 1986:10
[8] 서적 New History Book 5 https://topostext.or[...]
[9] 문서 Ovid:Metamorphoses xi, 221ff.; Sophocles: Troilus; Apollodorus: iii, 13.5; Pindar: Nemean Odes iv .62; Pausanias: v.18.1
[10] 문서 Photius, Bibliotheca 190.46.
[11] 서적 The Iliad of Home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
[12] 서적 The Iliad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2001
[13] 서적 The Iliad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2001
[14] 서적 The Iliad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2001
[15] 서적 The Iliad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2001
[16] 서적 The Iliad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2001
[17] 서적 The Iliad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2001
[18] 문서 Description of Greece 3.14.4–5
[19] 문서 The papyrus fragment was found at Oxyrhynchus.
[20] 서적 Les Ruses de l'intelligence: la métis des Grecs 1974
[21] 서적 Histories http://www.perseus.t[...]
[22] 문서 ヘーシオドス『神統記』244行
[23] 문서 アポロドーロス、1巻2・7
[24] 문서 ヒュギーヌス『天文譜』2巻18
[25] 문서 ロドスのアポローニオス『アルゴナウティカ』1巻558への古註
[26] 문서 クレタのディクテュス、1巻14、6巻7
[27] 문서 ヘーシオドス『神統記』1006行-1007行
[28] 문서 アポロドーロス、3巻13・5-13・6
[29] 문서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ロス、4巻72・6
[30] 문서 『イーリアス』18巻127行
[31] 문서 『神統記』1006行
[32] 문서 Cosmogonic Fragment of Alcman (Oxyrhynchus Papyri XXIV)
[33] 문서 ヘロドトス、7巻191
[34] 문서 パウサニアス、3巻14・4-5
[35] 문서 ホメロス作品世界の精神史的考察 新稿
[36] 서적 イーリアス
[37] 서적 トロイア戦記
[38] 서적 イーリアス
[39] 서적 ホメーロス風讃歌
[40] 서적 アポロドーロス
[41] 서적 イーリアス
[42] 서적 アポロドーロス
[43] 서적 イーリアス
[44] 서적 イーリアス
[45] 서적 オデュッセイア
[46] 서적 イストミア祝勝歌
[47] 서적 アポロドーロス
[48] 서적 ヒュギーヌス
[49] 서적 変身物語
[50] 서적 キュプリア
[51] 서적 ネメア祝勝歌
[52] 서적 文学便覧
[53] 서적 アイギミオス
[54] 서적 アキレイス
[55] 서적
[56] 서적 アポロドーロス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アポロドーロス
[60] 서적 トロイア戦争全史
[61] 서적 アポロドーロス
[62] 서적 アポロドーロス
[63] 서적 アポロドーロス
[64] 서적 イーリアス
[65] 서적 イーリアス
[66] 서적 イーリアス
[67] 서적 イーリアス
[68] 서적 イーリアス
[69] 서적 イーリアス
[70] 서적 イーリアス
[71] 서적 イーリアス
[72] 서적 イーリアス
[73] 서적 パウサニアス
[74] 문서 アイスキュロス断片
[75] 서적 オデュッセイア
[76] 서적 文学便覧
[77] 서적 クイントゥス
[78] 서적 ヘーロイコス
[79] 서적 ヘーロイコス
[80] 서적
[81] 서적 歴史
[82] 서적 アンドロマケー
[83] 문서 ビューザンティオンのステファノス
[84] 서적 アンドロマケー
[85] 서적 アンドロマケー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논문 Thetis and Cheiron in Tessaly
[90] 서적 パウサニアス
[91] 서적 パウサニアス
[92] 서적 ヘーロイコス
[93] 문서 アルクマーン断片5
[94] 논문 哲学の始まりと抒情詩 アルクマンの場合
[95] 서적 Antike Wald- und Feldkulte aus nordeuropäischer Überlieferung 1877
[96] 서적 ホメロスと叙事詩の環
[97] 서적 Peleus 1937
[98] 서적 ギリシアの神話 神々の時代
[99] 서적 マハーバーラタ
[100] 서적 ギリシァ神話と日本神話
[101] 논문 印欧語族の豊穣女神に共通する諸特徴について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