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레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레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전쟁의 신으로, '파멸', '몰락' 등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 로마 신화의 마르스에 해당하며, 잔혹하고 폭력적인 성격으로 묘사된다. 그리스 본토에서는 숭배가 드물었지만, 스파르타에서는 에니알리오스 신전에 묶인 조각상으로 숭배받았고, 트라키아, 소아시아, 아프리카 등지에서도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아프로디테와의 관계를 통해 포보스, 데이모스, 하르모니아 등을 낳았으며, 트로이 전쟁에서 아카이아인과 트로이 편을 오가며 갈등을 빚었다. 현대 문화에서는 강력하고 호전적인 전사의 이미지로 다양한 매체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화의 신 - 에리스 (신화)
    에리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불화와 분쟁을 의인화한 여신으로, 트로이 전쟁의 발단을 제공했으며, 고난, 망각, 기근 등 부정적인 개념을 의인화한 자녀를 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화성의 신 - 마르스
    마르스는 로마 신화에서 전쟁과 농업을 관장하는 신으로, 주피터와 유노의 아들이자 용기를 상징하는 네리오와 배우자 관계이며, 생명력과 야생의 힘을 상징하는 존재로 로마에서 숭배받았다.
  • 화성의 신 - 베레트라그나
    베레트라그나는 조로아스터교의 신적 존재로 승리 또는 승리를 치는 자를 의미하며 여러 모습으로 화신하고 행성 화성과 연관되어 조로아스터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아레스 - 마르스
    마르스는 로마 신화에서 전쟁과 농업을 관장하는 신으로, 주피터와 유노의 아들이자 용기를 상징하는 네리오와 배우자 관계이며, 생명력과 야생의 힘을 상징하는 존재로 로마에서 숭배받았다.
  • 아레스 - 알렉트리온
    그리스 신화에서 아레스의 부하였던 알렉트리온은 아프로디테와의 밀회 때 망을 보다가 잠이 들어 수탉으로 변하여 아침마다 울음소리로 해가 뜸을 알리는 존재가 되었다.
아레스
그리스 원본에서 복사된 하드리아누스 별장의 로마 조각상. 전통적으로 아레스 또는 헤르메스로 식별됨.
그리스 원본에서 복사된 하드리아누스 별장의 로마 조각상. 전통적으로 아레스 또는 헤르메스로 식별됨.
유형그리스
이름아레스
전쟁과 용기의 신
소속올림포스 12신
거처올림포스 산, 그리스 본토의 신전, 크레타 및 소아시아
상징칼, 창, 방패, 투구
부모제우스헤라
형제자매헤파이스토스, 에일레이티이아, 헤베, 그리고 여러 이복형제자매
배우자아프로디테 및 다른 이들과의 관계
자녀에로테스 (에로스안테로스), 포보스, 데이모스, 플레기아스, 하르모니아, 에니알리오스, 트락스, 오이노마오스, 키크노스, 그리고 아마존
로마 이름마르스
요일화요일 (hēméra Áreōs)
행성화성
기본 정보 (일본어)
기원전 약 320년의 그리스 원형을 모방한 로마의 [[루도비시의 아레스]]. 17세기에는 [[잔 로렌초 베르니니|베르니니]]가 복원했다. 로마 국립 박물관 소장.
기원전 약 320년의 그리스 원형을 모방한 로마의 루도비시의 아레스. 17세기에는 베르니니가 복원했다. 로마 국립 박물관 소장.
이름아레스
그리스어 이름Ἄρης
싸움의 신
숭배 중심지트라키아
거처올림포스
무기창, 방패
상징늑대, 멧돼지, 딱따구리, 수탉, 물푸레나무
배우자아프로디테 (애인)
부모제우스, 헤라
형제자매아테나, 아폴론, 아르테미스, 헤파이스토스, 헤르메스, 디오니소스, 에일레이티이아, 헤베
자녀에로스, 포보스, 데이모스, 하르모니아, 안테로스
로마 이름마르스

2. 어원 및 명칭

아레스라는 이름의 어원은 전통적으로 고대 그리스어 ἀρή|아레grc(''arē'')와 관련이 있는데, 이는 도리아어 ἀρά|아라grc(''ara'')의 이오니아 방언 형태로 "파멸, 몰락, 저주, 악담"을 의미한다.[1] 발터 부르크르트는 "아레스는 분명 전투의 혼란, 전쟁을 의미하는 고대 추상 명사"라고 언급했다.[2] 로버트 S. P. 비크스는 이 이름이 그리스 이전 시대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안했다.[3] 이 이름의 가장 오래된 기록된 형태는 미케네 그리스어 로, 선형 B 음절 문자로 쓰여 있다.[4][5][6]

"전쟁의"를 뜻하는 형용사적 별칭 ''Areios''는 다른 신들이 전사적 측면을 띠거나 전쟁에 관여할 때 그들의 이름에 자주 덧붙여졌다. 예를 들어 제우스 아레이오스, 아테나 아레이아, 심지어 전쟁을 좋아하고 완전 무장을 한 아프로디테 아레이아("아레스 안의 아프로디테" 또는 "여성 아레스")는 스파르타에서 아테나와 협력했고, 키테라의 아프로디테 신전에서 아프로디테 우라니아를 대표했다.[7]

일리아스에서 "ares"라는 단어는 "전투"와 동의어인 보통 명사로 사용되기도 한다.[2]

고대 그리스 시대에 아레스는 에니알리오스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는데, 이는 미케네 그리스어크노소스 KN V 52 점토판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8][9] 에니알리오스는 때로는 아레스와 동일시되기도 하고, 때로는 같은 도시에서도 별도의 숭배를 받는 또 다른 전쟁의 신으로 구분되기도 했는데, 부르크르트는 이들을 "거의 쌍둥이"라고 묘사한다.[12][10]

폼페이의 벽화(기원전 20년경~서기 50년대), 마르스와 비너스를 묘사하고 있다. 로마의 전쟁의 신은 그리스의 아레스의 영향을 반영하여 젊고 수염이 없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로마 신화의 신들 중 아레스와 가장 가까운 대응 신은 마르스(Mars)이다. 그는 주피터(Jupiter)와 주노(Juno)의 아들이며, 로마 군대의 군신 중 가장 중요한 신이었지만 원래는 농업의 신이었다.[134] 로마의 전설적인 창시자 로물루스의 아버지로서, 마르스는 고대 로마 종교에서 중요하고 존엄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로마 국가 전체와 그 백성의 수호신이었다. 헬레니즘 문화의 영향 아래, 마르스는 아레스와 동일시되었지만,[135] 두 신의 성격과 위엄은 근본적으로 달랐다.[136][137] 마르스는 평화를 보장하는 수단으로 묘사되었고, 그는 로마 사람들의 아버지(''pater'')였다.[138] 한 전승에 따르면, 그는 레아 실비아를 강간하여 로물루스와 레무스를 낳았다. 또 다른 전승에서는 그의 연인인 여신 비너스(Venus)가 트로이 왕자이자 난민인 아이네이아스를 낳았는데, 그는 로물루스보다 여러 세대 전에 로마를 "건국"했다고 전해진다.

라틴 문학헬레니즘적 경향 속에서 아레스의 신화는 로마 작가들에 의해 마르스라는 이름으로 재해석되었다. 로마 제국 지배하의 그리스 작가들 또한 아레스라는 이름으로 마르스에 관한 숭배 의식과 신앙을 기록했다. 따라서 후대 서구 예술과 문학의 고전적 전통에서 두 인물의 신화는 거의 구분할 수 없게 되었다.[139]

아레스는 화성과 동일시된다. 이 때문에 황도 위에 위치하며 화성과 비슷한 붉은 빛을 내는 천체인 전갈자리의 α별은 안타레스(Antares, '아레스의 대항자'라는 의미)[159]라고 불린다.[160][161] 화성의 위성 포보스데이모스는 아레스의 아들 이름에서 따왔다.

3. 숭배

아테네의 왕 케크로프스의 딸 아글라우로스 사이에서 낳은 딸 알키페를 포세이돈의 아들 할리로티오스가 겁탈하자, 아레스는 그를 때려 죽였다. 이 사건으로 포세이돈이 아레스를 고소하여 올림포스 신들 사이에서 재판이 열렸고, 아레스는 증거 불충분으로 무죄 판결을 받았다. 이 재판을 기념하여 재판이 열린 언덕은 '아레스의 언덕'이라는 뜻의 아레이오스 파고스로 불리게 되었다.[162]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곳에서 종교 및 살인 관련 범죄를 심판하는 법정을 열었으며, 아크로폴리스에서 떨어진 이 바위 절벽은 주로 반역 사건 등을 조사하고 재판하는 법정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다.[14] 오늘날에도 그리스 최고 법원의 이름은 아레이오스 파고스이다.[162]

아레스, 서기 2세기~3세기. 기원전 420년 알카메네스가 만든 그리스 청동 원본을 본뜬 것으로 추정됨. 1925년 로마 토레 아르젠티나 광장에서 발굴.


그리스 본토와 펠로폰네소스 반도에서는 아레스를 위한 정식 사원이나 종교 의식이 드물었다.[11] 파우사니아스올림피아에 아레스 제단이 있었다고 기록했으며,[13]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아테네 아고라로 옮겨진 아레스 신전은 사실상 아우구스투스의 마르스 울토르를 위한 로마 신전으로 재봉헌된 것이라고 언급했다.[11] 화폐 전문가 마틴 프라이스는 아레스가 전통적인 스파르타인의 성격을 상징함에도 불구하고, 스파르타에는 중요한 아레스 숭배 의식이 없었고 스파르타 동전에도 등장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15][16] 그러나 파우사니아스는 스파르타 아크로폴리스에서 전쟁적인 아프로디테와 함께 또는 그 안에서 행해진 두 가지 의식을 언급했다.[17] 일부 연구자들은 그리스 본토의 아레스 숭배가 알려진 것보다 더 일반적이었을 수 있다고 보기도 한다.[18] 그리스 도시 국가 간의 끊임없는 전쟁 속에서 전사들은 아레스에게 공물을 바치며 그의 전투 욕구를 채워주었다.[19] 아레스의 상징물은 투구, 방패, 칼 또는 창과 같은 전쟁 도구이다.[52]

스파르타에서는 에니알리오스(때로는 아레스의 아들, 때로는 아레스 자신으로 여겨짐) 신전에 사슬로 묶인 아레스의 고대 조각상이 있었다. 파우사니아스는 이것이 전쟁과 승리의 정신을 도시에 묶어두기 위한 의도라고 설명했다.[21] 스파르타인들은 아프로디테아르테미스 같은 다른 신들의 조각상도 의례적으로 묶었으며, 다른 지역에서도 사슬로 묶인 아르테미스와 디오니소스 조각상이 발견되었다.[22][23] 스파르타에서는 전투에서 계략으로 승리하면 황소를, 정면 공격으로 승리하면 수탉을 아레스에게 제물로 바쳤다.[25] 또한,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각 소년 부대는 포이베움에서 격투를 벌이기 전에 에니알리오스에게 강아지를 희생시켰다.[29] 이는 지하 세계와 관련된 밤의 개 희생 제의가 에니알리오스 숭배에 통합된 것으로 보인다.[30] 스파르타인들이 아레스에게 인신 공양을 했다는 주장은 포르피리우스가 아테나이의 아폴로도로스를 인용하며 언급했지만, 이는 신화적 선사 시대를 가리키는 것일 수 있으며[31], 역사적으로 헤카톰포니아 의식에서 아레스에게 인신 공양을 했다는 기록은 오래된 오류로 밝혀졌다. 헤카톰포니아는 제우스에게 바치는 동물 제사였다.[26][27]

아레스(오른쪽)와 데메테르, 디오니소스, 헤르메스가 함께 있는 파르테논 신전의 프리즈, 기원전 447~433년경, 대영박물관.


크레타 섬 스타 레니카(Sta Lenika)에서는 라토(Lato)와 올루스(Olus) 사이에 기하학 시대(Geometric period)에 아프로디테 신전이 세워졌고, 기원전 2세기 후반에는 아레스와 아프로디테를 위한 이중 신전으로 재건되었다.[38] 비문에는 아레스와 아프로디테의 이름이 맹세의 증인으로 등장하며, 아프로디테에게 승리 감사 제물을 바친 기록도 있다. 이는 아프로디테가 "아레스의 영역에서 활동하는 전사 수호자"로서의 역할을 했음을 시사한다.[39] 아레스와 아프로디테의 숭배 결합과 전사 수호자로서의 아프로디테는 크레타 지역의 특징적인 모습이다.[40][41]

소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는 아레스가 중요한 신탁의 신으로 숭배되었는데, 이는 다른 그리스나 로마의 마르스 숭배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특징이다.[36] 헬레니즘 후기 시대에는 팜필리아, 리키아, 킬리키아 등 해적의 위협을 받던 도시들에 사슬로 묶인 아레스 조각상을 세우고 매년 의례적으로 족쇄를 채우는 축제를 열라는 신탁이 내려졌다. 이는 아레스를 정의를 구하는 간청자처럼 다루어 평화와 번영을 기원하는 의식이었다.[24] 현재 터키 서부의 헬레니즘 도시 메트로폴리스는 기원전 3세기 이전에 도시 수호신 아레스를 위한 거대한 신전을 건설하기도 했다.[37]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트라키아 평민들은 그리스의 아레스와 동일시되는 신을 숭배했으며, 이는 디오니소스, 아르테미스와 함께 그들이 숭배한 세 신 중 하나였다.[32][33] 또한 스키타이인들은 그리스의 아레스와 동일시되는 토착 신을 숭배했는데, 그의 상징은 철검이었다. 스키타이인들은 이 신에게 소, 말 외에도 전쟁 포로 중 일부를 희생 제물로 바쳤다고 헤로도토스는 기록했다.[34]

아프리카의 악숨 왕국에서는 주요 신인 마흐렘(Maḥrem)이 그리스 비문에서 아레스로 언급되었다. 2세기 후반 또는 3세기 초의 아둘리스 기념비(Monumentum Adulitanum)에는 익명의 왕이 자신을 태어나게 하고 여러 민족을 지배하게 한 "나의 위대한 신 아레스"에게 왕좌를 봉헌한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42] 4세기 초 마지막 이교도 악숨 왕 에자나(Ezana) 역시 "나를 낳으신 무적의 아레스"를 언급했다.[43]

4. 신화 속 모습



아레스는 올림포스 12신 중 하나이며, 제우스헤라의 아들이다.[50] 그는 전쟁의 신이지만, 군사 전략이나 지혜를 상징하는 누이 아테나와는 달리 전쟁의 파괴적이고 잔혹하며 통제되지 않는 측면을 대표한다.[44] 그리스 문학에서 아레스는 종종 순수한 잔혹함과 살육에 대한 만족할 줄 모르는 욕망("압도적이고, 전투에서 만족할 줄 모르고 파괴적이며, 사람을 죽이는" 존재[44])의 의인화로 그려진다. 아레스와의 연관성은 장소나 사물에 야만적이거나 위험한, 군사적인 특징을 부여하는 데 사용되었다.[45]

전쟁터에서 아레스는 아프로디테와의 사이에서 낳은 쌍둥이 아들인 포보스(공포)와 데이모스(두려움)를 동반하며 적에게 공포심을 심어주었다.[68][69] 불화의 여신 에리스와 전쟁의 여신 에니오 역시 그의 자매이자 동반자로 여겨졌으며[70], 때로는 죽음의 신들인 케레스, 전투의 함성(키도이모스), 전투(마카이), 살육(히스미나이), 전쟁(폴레모스), 전쟁의 함성(알랄라) 등과 함께하기도 했다.

보르게세의 아레스상


그리스 신화에서 아레스는 종종 굴욕을 당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46] 연인인 아프로디테와 밀회를 즐기다 헤파이스토스에게 발각되어 다른 신들의 웃음거리가 되기도 했고, 트로이 전쟁에서는 인간 영웅 디오메데스에게 부상을 입고[153] 아버지 제우스에게 꾸지람을 듣기도 했다. 제우스는 올림포스로 도망쳐 와 불평하는 아레스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며 그리스인들이 아레스에게 느끼는 일반적인 혐오감을 드러냈다.

: 그때 구름을 모으는 제우스는 그를 어두운 눈으로 바라보며 말했다.

: "내 곁에 앉아 징징대지 마라, 너 이중적인 거짓말쟁이야.

: 너는 올림포스를 지키는 모든 신들 중에서 나에게 가장 혐오스러운 존재다.

: 영원히 싸움질하는 것이 네 마음에 소중하다, 전쟁과 전투.

: ...

: 그래도 너의 고통을 오래도록 보고 있을 수는 없다. 왜냐하면

: 너는 나의 자식이고, 네 어머니가 나에게 낳았기 때문이다.

: 그러나 네가 다른 신에게서 태어났고 그렇게 파괴적인 존재로 드러났다면

: 오래전에 너는 밝은 하늘의 신들 아래로 떨어졌을 것이다."[47]

또한 아레스는 영웅 헤라클레스에게 거의 죽을 뻔했으며,[153] 거인 형제 알로아다이에게 붙잡혀 청동 항아리에 13개월 동안 갇히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146] 이러한 부정적인 묘사는 아레스가 그리스인들에게 인기가 없었으며, 주로 야만적이고 호전적인 민족으로 여겨졌던 트라키아인들과 연관되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48][152] 트라키아는 아레스의 탄생지이자, 아프로디테와의 밀회가 발각된 후 그가 피신한 곳으로 여겨졌다.

아레스에게는 동물 제사가 바쳐졌는데, 특히 스파르타에서는 전투에서 계략으로 승리하면 황소를, 맹공격으로 승리하면 수탉을 바쳤다고 전해진다.[25] 또한 스파르타 소년들은 규칙 없는 격투 시합 전에 에니알리오스(아레스의 별칭 또는 아들)에게 강아지를 희생했다고 한다.[29]

아레스는 로마 신화마르스와 동일시되며,[146] 행성 화성 역시 아레스(마르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화성의 두 위성 포보스데이모스는 아레스의 두 아들 이름에서 따왔다. 붉은색을 띠는 별 안타레스는 '아레스(화성)의 경쟁자'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159][160][161]

4. 1. 아프로디테와의 관계

산드로 보티첼리가 그린 비너스(아프로디테)와 마르스(아레스). 잠든 아레스 옆에서 사티로스들이 그의 무기를 가지고 놀고 있다.


호전적인 성격에도 불구하고 아름다운 외모를 가진 아레스는 사랑과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의 연인이었다.[146] 둘은 아프로디테의 남편인 대장장이 신 헤파이스토스를 피해 자주 밀회를 가졌다.

아레스는 아프로디테와의 사이에서 공포를 상징하는 포보스와 두려움을 상징하는 데이모스, 조화를 상징하는 하르모니아를 낳았다.[73][146] 사랑의 신 에로스와 그의 쌍둥이 형제 안테로스 역시 둘 사이의 자식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73] 에로스의 경우 원래 아프로디테와 관련 없던 것을 나중에 연결시킨 것이라는 설도 있다.[146] 일부 전승에서는 알키페 역시 둘의 딸로 보기도 한다.[73]

호머의 『오디세이』에 따르면,[55] 태양신 헬리오스가 아레스와 아프로디테의 밀회 현장을 목격하고 이를 헤파이스토스에게 알렸다.[56] 분노한 헤파이스토스는 눈에 거의 보이지 않는 정교한 그물을 만들어 침대에 설치했다. 아레스와 아프로디테가 다시 밀회를 즐기다 그물에 걸리자, 헤파이스토스는 다른 올림포스 신들을 불러 모아 망신을 주었다. 여신들은 차마 오지 못했지만, 남신들은 그 광경을 보러 와서 아프로디테의 아름다움을 칭찬하거나 아레스의 처지를 부러워하면서도 두 신을 조롱했다. 그물에서 풀려난 아레스는 창피함에 고향인 트라키아로 돌아갔고, 아프로디테는 파포스로 피했다.[46] 이 사건 이후에도 둘의 관계는 계속되었다.

후대에 덧붙여진 이야기에 따르면, 아레스는 밀회 장소의 문 앞에 자신의 젊은 병사 알렉트리온을 보초로 세워 헬리오스가 오는지 감시하게 했다. 하지만 알렉트리온이 깜빡 잠든 사이 헬리오스가 나타났고, 결국 밀회가 발각되었다.[57] 이에 격분한 아레스는 알렉트리온을 수탉으로 만들어 버렸고, 이때부터 수탉은 아침마다 울어서 태양(헬리오스)의 등장을 알리게 되었다고 한다.[58]

둘은 서로에 대한 질투심도 강했다. 아프로디테가 미소년 아도니스에게 마음을 빼앗기자, 아레스는 멧돼지로 변신해 아дони스를 받아 죽였다. 반대로 아레스가 새벽의 여신 에오스와 관계를 맺자[75], 아프로디테는 에오스에게 끊임없이 필멸의 남성만을 사랑하게 되는 저주를 내렸다.

아이슈킬로스의 비극 『탄원하는 여인들』에서는 아레스를 아프로디테의 "인간을 파멸시키는 잠자리 친구"라고 묘사하기도 했다. 또한 호머의 『일리아드』에서는 아레스가 트로이 전쟁에서 트로이 편을 드는 이유 중 하나가 연인인 아프로디테가 트로이를 지지했기 때문으로 그려진다. 아프로디테는 아레스의 파괴적인 본성을 자신의 목적을 위해 이용하는 모습을 보인다.[40][41]

4. 2. 트로이 전쟁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 아레스는 다른 신들에게 미움받는 존재로 그려진다. 그는 전쟁의 잔인하고 파괴적인 면모를 상징하며, 동료 신들이나 부모조차 그를 좋아하지 않았다고 전해진다.[44] 그는 미치광이, 악의 화신, 파괴자, 피투성이 살인마 등으로 묘사된다.

트로이 전쟁에서 신들은 각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개입했는데, 아레스는 처음에는 아카이아인 편을 들겠다고 아테나헤라에게 약속하지만, 아프로디테의 설득으로 트로이아 편에 서게 되었다.[65][40][41] 그는 정의나 명분보다는 잔인한 전투 자체를 즐기며 많은 살육을 저지르고자 했다. 아레스가 트로이 편에서 싸우자 그리스군은 고전했다. 영웅 디오메데스는 헥토르와 싸우던 중 아레스가 트로이군과 함께 있는 것을 보고 병사들에게 후퇴를 명령하기도 했다.[65]

이에 그리스 편인 아테나는 헤라의 명령과 제우스의 허락을 받아[65] 디오메데스를 도와 아레스를 전장에서 몰아내려 했다. 아테나의 격려와 도움으로 디오메데스는 아레스에게 창을 던졌고, 아테나는 이 창이 아레스의 복부에 정확히 박히도록 유도했다.[66]

치명상은 아니었지만 고통에 찬 아레스의 비명은 양 진영 모두를 떨게 했고, 그는 올림포스 산으로 도망쳤다. 트로이군은 아레스가 사라지자 후퇴했다.[66] 부상을 당해 울면서 돌아온 아레스에게 아버지 제우스는 그가 올림포스 신들 중 가장 밉다고 말하며 꾸짖었다.

: "내 곁에 앉아 징징대지 마라, 너 이중적인 거짓말쟁이야.

: 너는 올림포스를 지키는 모든 신들 중에서 나에게 가장 혐오스러운 존재다.

: 영원히 싸움질하는 것이 네 마음에 소중하다, 전쟁과 전투.

: ...

: 그래도 너의 고통을 오래도록 보고 있을 수는 없다. 왜냐하면

: 너는 나의 자식이고, 네 어머니가 나에게 낳았기 때문이다.

: 그러나 네가 다른 신에게서 태어났고 그렇게 파괴적인 존재로 드러났다면

: 오래전에 너는 밝은 하늘의 신들 아래로 떨어졌을 것이다."[47]

이러한 제우스의 반응은 『일리아드』에서 아레스에 대한 그리스인들의 일반적인 혐오감을 보여준다.

이후 아레스는 자신의 아들 아스칼라푸스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복수를 위해 다시 아카이아인 편에 서려 했으나, 제우스의 명령을 어기려는 것을 아테나가 제지하여 실패했다. 나중에 제우스가 신들에게 다시 전쟁 참여를 허락했을 때, 아레스는 이전의 부상에 대한 복수로 아테나를 공격했지만, 아테나가 던진 거대한 바위에 맞아 쓰러지는 굴욕을 당했다.[67]

이처럼 『일리아스』에서 아레스는 군사 전략과 지혜를 상징하는 누이 아테나와는 대조적으로, 전쟁의 통제되지 않는 폭력성과 잔혹함, 살육에 대한 욕망을 대표하는 신으로 묘사되며[44], 신화 속에서 종종 패배하고 굴욕을 겪는 모습으로 나타난다.[46] 아테나 역시 이복 남동생인 아레스를 "포악하고 사나워서 가까이 하기 어렵다"고 평가하며, 헤파이스토스가 모든 면에서 낫다고 말했다.

4. 3. 기타 신화

아테네의 왕 케크로프스의 딸 아글라우로스 사이에서 낳은 딸 알키페를 포세이돈의 아들 할리로티오스가 겁탈하자, 아레스는 격분하여 그를 죽였다.[146] 이 일로 포세이돈은 아레스를 고소했고, 이해 당사자를 제외한 올림포스 신들이 모여 재판을 열었다. 재판 결과 증거 불충분을 이유로 아레스는 무죄 판결을 받았다.[162] 이 재판을 기념하여 재판이 열린 언덕은 '아레스의 언덕'이라는 뜻의 아레이오스 파고스라고 불리게 되었으며, 고대 그리스에서는 종교 및 살인 관련 범죄를 심판하는 법정으로 사용되었다. 오늘날 그리스 최고 법원의 이름도 아레이오스 파고스이다.[162][152]

''루도비시 아레스상'', 기원전 320년경 그리스 원본을 바탕으로 한 로마 시대 작품으로, 17세기에 베르니니에 의해 복원되었다


아폴로니오스 로도스의 '''아르고나우티카'''에서는 황금 양털이 아레스에게 신성한 숲에 걸려 있다가 이아손에게 도둑맞는 것으로 묘사된다. 또한, 아레스의 새(Ornithes Areioi)들은 흑해 연안의 섬에 있는 아마조네스 여왕의 아버지인 아레스의 신전을 지키기 위해 깃털 화살을 떨어뜨려 방어한다.[51]

아레스는 테베 건국 신화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카드모스가 죽인 물의 용이 바로 아레스의 자손이었기 때문이다. 카드모스가 용의 이빨을 땅에 뿌리자 완전히 무장한 토착민인 스파르토이가 태어났다. 카드모스는 용을 죽인 죄를 속죄하기 위해 8년간 아레스의 종으로 봉사해야 했다.[52] 이후 카드모스는 아레스와 아프로디테 사이에서 태어난 딸 하르모니아와 결혼하여 아레스를 달랬고, 이를 통해 테베를 건국할 수 있었다.[2]

일리아스에 따르면, 알로아다이라 불리는 거인 형제 오토스와 에피알테스가 아레스를 사슬로 묶어 청동 항아리에 가두었다. 아레스는 13개월 동안 갇혀 비명을 질렀고, 거인들의 계모 에리보이아가 이 사실을 헤르메스에게 알리지 않았다면 영영 빠져나오지 못했을 수도 있다.[59][146] 헤르메스가 아레스를 구출했고, 아르테미스는 알로아다이를 속여 서로를 죽이게 만들었다. 일부 학자들은 이를 13번째 달에 열리는 방종의 축제와 연관 짓기도 한다.[60][61]

괴물 튀폰이 올림포스를 공격했을 때, 신들은 동물로 변신하여 이집트로 도망쳤다. 이때 아레스는 물고기(레피도투스)로 변신했다.[63][64] 다른 신들도 아폴론은 매, 헤르메스는 황새, 아르테미스는 고양이, 디오니소스는 염소, 헤라클레스는 사슴, 헤파이스토스는 황소, 레토는 땃쥐로 변신했다고 전해진다.[155]

아레스는 전쟁의 신임에도 불구하고 인간 영웅에게 패배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아테나의 도움을 받은 디오메데스에게 패배했으며,[153] 영웅 헤라클레스에게는 거의 죽을 뻔한 경험을 하기도 했다.[153] 또한, 아레스와 퓌레이네[156](혹은 페로피아[157])의 아들 퀴크노스를 헤라클레스가 죽이자, 아레스는 아들의 죽음에 분노하여 헤라클레스와 싸우려 했으나, 제우스가 둘 사이에 번개를 떨어뜨려 싸움을 중단시켰다.[156][157][158] 이러한 신화 속 패배담과 알로아다이 형제에게 감금당한 사건 등은 아레스가 그리스인들에게 그다지 인기 있는 신이 아니었으며, 주로 그리스 변방인 트라키아에서 숭배되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152]

코린토스의 왕 시시포스가 제우스의 노여움을 사 저승의 사자 타나토스에게 끌려가게 되었을 때, 시시포스는 타나토스를 속여 감금했다. 이로 인해 지상의 인간들이 죽지 않게 되자, 아레스가 직접 나서 타나토스를 구출했다.[154]

기본적으로 다른 신들에게 미움을 받지만, 정부인 아프로디테와 그의 시종 및 자녀들, 그리고 자신이 일으킨 전쟁으로 인해 저승의 주민을 늘려주는 하데스와는 친분이 있다고 여겨진다.

전장에서는 주로 걸어 다니지만, 때로는 금색 머리띠를 한 네 마리의 신마가 끄는 전차를 타고 청동 갑옷을 입고 거대한 창을 들고 누볐다고 한다.[152] 트로이 전쟁에서는 땅에 쓰러졌을 때 그의 시체가 7에이커의 땅을 덮을 정도였다고 묘사된다.[152]

『호메로스풍 찬가』의 「아레스 찬가(제8번)」에서는 창의 명수이자 황금 투구와 청동 갑옷, 방패를 착용하고 불을 뿜는 말들이 끄는 전차를 타고 하늘을 순회하며 올림포스와 도시를 수호하는 신으로 묘사된다. 또한 인간에게 빛과 용기를 주고, 강력한 힘으로 승리와 평화를 가져오며, 질서의 여신 테미스의 지지자이자 승리의 여신 니케의 아버지로 찬양받는다.

5. 가족 관계

아크로폴리스에서 바라본 아레오파고스


그리스 신화 관련 문학에서 아레스는 비교적 역할이 제한적이지만, 그의 수많은 연애와 많은 자식들은 자주 언급된다.[73]

가장 유명한 연인은 헤파이스토스의 아내인 아프로디테로, 둘 사이에서는 공포를 상징하는 포보스데이모스 형제, 조화를 상징하는 딸 하르모니아가 태어났다.[80][81] 에로스안테로스 역시 이들의 자식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82][83] 에로스의 경우 본래 관련 없던 아프로디테와 연결하기 위해 후대에 만들어진 설정이라는 설도 있다.[146] 어떤 판본에서는 아글라우로스와의 사이에서 낳은 알키페를 그의 딸 중 하나로 포함하기도 한다.[101]

아레스는 새벽의 여신 에오스와도 관계를 맺었는데, 이를 알게 된 아프로디테가 질투하여 에오스에게 끊임없이 남자를 갈망하게 되는 저주를 내렸다고 전해진다.[75]

또한 마케도니아 출신의 아들 키크노스는 아레스를 위해 신전을 짓고자 손님이나 여행자를 죽여 그 해골과 뼈를 모으려 했다. 헤라클레스가 그와 싸워 죽였다는 설과, 아레스가 아들을 죽인 헤라클레스와 싸우려 했으나 제우스가 번개로 싸움을 중단시켰다는 설이 있다.[74]

테이레네라는 여인과의 사이에서는 딸 트라사를 낳았고, 트라사는 다시 폴리폰테를 낳았다. 폴리폰테는 아프로디테의 저주를 받아 곰과 관계를 맺어 아그리우스와 오레이우스 형제를 낳았는데, 이들은 신들에게 오만하게 굴고 손님을 잡아먹는 악행을 저질렀다. 제우스가 헤르메스를 보내 처벌하려 하자, 아레스는 자신의 후손임을 이유로 막아섰고, 결국 폴리폰테 가족은 새로 변신하게 되었다. 오레이우스는 올빼미, 아그리우스는 독수리, 폴리폰테는 작은 올빼미(아마도 스트릭스)가 되었고, 폴리폰테의 하녀는 딱따구리가 되었다고 한다.[76][77]

이 외에도 아레스는 아마존을 비롯한 여러 부족의 시조로 여겨지기도 한다.[146] 시인이나 극작가들이 다양한 전승을 재구성하거나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면서 아레스의 자식에 대한 설은 매우 다양해졌다.[78][79] 포보스와 데이모스는 일관되게 아레스의 자식으로 묘사되지만, 멜레아그로스, 시노페, 솔리무스 등 다른 인물들은 아레스의 자식이라는 설과 다른 아버지를 두었다는 설이 공존한다.

아래 표는 다양한 문헌과 전승에 나타난 아레스의 자식들을 정리한 것이다.

자식어머니출처연대class="unsortable" scope="col" style="width: 10pt;" |
포보스아프로디테Hes. Theog.기원전 8세기[80]
데이모스Hes. Theog.기원전 8세기[80]
하르모니아Hes. Theog.기원전 8세기[81]
에로스Simonides[82]
안테로스Cic. DND기원전 1세기[83]
오도만투스칼리오페
Mygdon
에도누스
비스톤테르프시코레Etym. Mag.서기 12세기[84]
칼리로에Steph. Byz.서기 6세기[85]
에날리오스에니오[86]
테베의 용텔푸사의 에리니이스
니케어머니 미상HH 8[87]
시노페 (아마도)아이기나Schol. Ap. Rhod.[88]
에도누스칼리로에Steph. Byz.서기 6세기[85]
오도만투스Steph. Byz.서기 6세기[85]
퀴크누스Cleobula[89]
펠로피아Apollod.서기 1세기/2세기[90]
피레네Apollod.서기 1세기/2세기[91]
디오메데스키레네Apollod.서기 1세기/2세기[92]
크레스토네츠테체스서기 12세기[93]
아마존하르모니아
오이노마오스스테로페Hyg. Fab.서기 1세기[94]
하르피네Diod. Sic.기원전 1세기[95]
다나이데스인 에우리토에츠테체스서기 12세기[96]
에베누스스테로페Ps.-Plutarch[97]
데모니케Apollod.서기 1세기/2세기[98]
트라사테레이네Ant. Lib.서기 2세기/3세기[76]
멜라니푸스트리테이아Paus.서기 2세기[99]
아에로푸스아에로페Paus.서기 2세기[100]
알키페아글라우로스Apollod.서기 1세기/2세기[101]
멜레아그로스알타이아Apollod.서기 1세기/2세기[102]
칼리돈아스티노메[103]
아스칼라푸스아스티오케Paus.서기 2세기[104]
이알메누스Paus.서기 2세기[105]
파르테노파이오스아탈란테Apollod.서기 1세기/2세기[106]
솔리무스칼데네Etym. Mag.서기 12세기[107]
플레게이아스크리세Paus.서기 2세기[108]
도티스Apollod.서기 1세기/2세기[109]
판가이오스크리토불레Ps.-Plutarch[110]
몰루스, 필루스데모니케Apollod.서기 1세기/2세기[111]
테스티우스피시디케Ps.-Plutarch[112]
데모니케Apollod.서기 1세기/2세기[113]
스팀펠루스도르모테아Ps.-Plutarch[114]
안티오페오트레라Hyg. Fab.서기 1세기[115]
히폴리테Hyg. Fab.서기 1세기[116]
멜라니페
펜테실레이아Apollod.서기 1세기/2세기[117]
시노페파르나사Eumelus[118]
뤼카온피레네[119]
뤼카스투스필로노메Ps.-Plutarch[120]
파르하시오스Ps.-Plutarch[120]
옥실루스프로토게네이아Apollod.서기 1세기/2세기[121]
비티스세테[122]
트몰루스테오고네Ps.-Plutarch[123]
이스마루스트라키아[89]
알콘 of 트라키아어머니 미상Hyg. Fab.서기 1세기[124]
칼립스[125]
케이마로스Schol. Hes., WD[126]
드리아스Apollod.서기 1세기/2세기[127]
히페르비우스[128]
뤼쿠스 of 리비아[129]
니소스Hyg. Fab.서기 1세기[130]
오아이그루스논누스서기 5세기[131]
파이온Etym. Mag.서기 12세기[84]
포르테우스 (포르타온)Ant. Lib.서기 2세기/3세기[132]
테레우스Apollod.서기 1세기/2세기[133]



아레스의 측근으로는 불화의 여신 에리스와 전쟁의 여신 에뉴오가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아레스의 여동생으로 여겨지지만,[146] 누나나 아내로 묘사되기도 하며, 특히 에뉴오는 어머니 또는 딸로 여겨지는 경우도 있다.

6. 현대 문화 속 아레스

르네상스신고전주의 시대 예술 작품에서 아레스의 상징은 창과 투구이며, 그의 동물은 개이고, 새는 독수리이다. 이 시대의 문학 작품에서는 아레스가 로마 신화마르스로 대체되는데, 마르스는 그리스 신화의 잔혹하고 피에 굶주린 신과는 달리 남성적인 용기를 상징하는 낭만적인 이미지로 그려진다.

참조

[1] 서적 A Homeric Dictionary https://www.perseus.[...]
[2] 서적 Greek Religion https://archive.org/[...]
[3]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4] 논문 A-re in the Linear B Tablets and the Continuity of the Cult of Ares in the Historical Period http://www.utexas.ed[...]
[5] 웹사이트 a-re https://web.archive.[...] Deaditerranean 2014-03-08
[6] 웹사이트 The Linear B word a-re http://www.palaeolex[...]
[7] 서적 Brill's Companion to Aphrodite Brill Publishers
[8] 서적 The Mycenaean World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e-nu-wa-ri-jo https://web.archive.[...] Deaditerranean 2014-03-19
[10] 서적 Greek Religion
[11] 서적 Greek Religion https://archive.org/[...]
[12] 서적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Pausanias https://www.perseus.[...]
[14] 서적 Myths and Legends of Ancient Greece and Rome Project Gutenberg
[15] 서적 Pausanias http://data.perseus.[...]
[16] 논문 Greek Imperial Coins: Some Recent Acquisitions by the British Museum 2021-08-04
[17] 서적 Brill's Companion to Aphrodite
[18] 논문 The Oracle and Cult of Ares in Asia Minor
[19] 논문 War and the Warrior: Functions of Ares in Literature and Cult https://discovery.uc[...]
[20] 서적 Progymnasmata https://books.google[...]
[21] 서적 Pausanias http://data.perseus.[...]
[22] 논문 The Oracle and Cult of Ares in Asia Minor
[23] 서적 Greek Religion https://archive.org/[...]
[24] 논문 The Oracle and Cult of Ares in Asia Minor
[25] 서적 Human Sacrifice in Ancient Greece Routledge
[26] 서적 Human Sacrifice in Ancient Greece
[27] 논문 Binding and Burying the Forces of Evil: The Defensive Use of 'Voodoo Dolls' in Ancient Greece 2021-08-18
[28] 서적 Pausanias http://data.perseus.[...]
[29] 논문 Women, War, and Warlike Divinities 2021-08-13
[30] 웹사이트 Ares http://academic.eb.c[...] Britannica Academ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07-10-10
[31] 서적 Human Sacrifice in Ancient Greece https://www.tertulli[...] Routledge
[32] 웹사이트 Herodotus, The Histories, Book 5, chapter 7, section 1 https://www.perseus.[...] 2021-07-23
[33] 서적 Oxford Classical Dictionary
[3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 2: The Median and Achaemenian Perio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서적 Living with the Dead in the Middle Ages Cornell University Press
[36] 서적 2005
[37] 논문 Iyarri at the Interface: The Origins of Ares Leiden 2013
[38] 논문 Portrait of a Polis: Lato Pros Kamara (Crete) in the Late Second Century B. C. The American School of Classical Studies at Athens 1989
[39] 논문 The Sanctuary of Aphrodite and Ares (Paus. 2.25.1) in the Periurban Area of Argos and Temples with a Double Cella in Greece 2017
[40] 논문 Iyarri at the Interface: The Origins of Ares Leiden 2013
[41] 논문 War and the Warrior: Functions of Ares in Literature and Cult https://discovery.uc[...] University College, London 2013
[42] 서적 The Throne of Adulis: Red Sea Wars on the Eve of Islam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43] 서적 Throne of Adulis
[44] 서적 Greek Religion, Classical Mythology: A Guide to the Mythical World of the Greeks and Romans Blackwell,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2005
[45] 서적 Classical Mythology
[46] 서적 Classical Mythology
[47] 서적 Iliad
[48] 서적 Iliad, Ars Amatoria
[49] 서적 One Hundred Greek Sculptors: Their Careers and Extant Works
[50] 서적 Theogony, Fasti
[51] 서적 Argonautica, Fabulae
[52] 서적 Encyclopedia of Greek and Roman mythology. 2010
[53] 논문 The Dancing Floor of Ares: Local Conflict and Regional Violence in Central Greece 2020
[54] 서적 Marcellus
[55] 서적 Odyssey
[56] 서적 Greek Religion https://archive.org/[...]
[57] 웹사이트 Avian and Serpentine https://brill.com/vi[...] Brill Rodopi 2009-01-01
[58] 서적 Gallus, Birds, Ad Odysseam, Progymnasmata
[59] 서적 Iliad
[60] 서적 https://archive.org/[...]
[61] 서적 Binding and Burying 1991
[62] 서적 Dionysiaca https://archive.org/[...]
[63] 리뷰 Bryn Mawr Classical Review http://ccat.sas.upen[...] 1994
[64] 서적 Antoninus Liberalis, The Metamorphoses of Antoninus Liberalis https://books.google[...] Routledge, London 1992, 2018-10-24
[65]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66]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67]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68] 서적 Iliad, Shield of Heracles,
[69] 서적 Theogony
[70] 논문 Spenser, Homer, and the mythography of strife http://link.galegrou[...] 2005
[71] 서적 Eustathius on Homer
[72] 서적 Pausanias http://data.perseus.[...]
[73] 서적 Classical Mythology https://archive.org/[...]
[74] 서적 Bibliotheca http://www.perseus.t[...]
[75] 서적 Bibliotheca https://www.perseus.[...]
[76] 서적 Antoninus Liberalis https://topostext.or[...]
[77] 논문 The Story of the Strix: Ancient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78] 서적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79] 서적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80] 서적 Theogony http://www.perseus.t[...]
[81] 서적 Theogony http://www.perseus.t[...]
[82] 서적 Poetae Melici Graeci https://books.google[...]
[83] 서적 De Natura Deorum https://archive.org/[...]
[84] 서적 Etymologicum Magnum https://archive.org/[...]
[85] 서적 https://books.google[...]
[86] 서적 Brill's New Pauly https://referencewor[...]
[87] 서적 Homeric Hymn to Ares http://data.perseus.[...]
[88] 서적 Argonautica
[89] 서적 A Classical Manual, being a Mythological, Historical and Geographical Commentary on Pope's Homer, and Dryden's Aeneid of Virgil with a Copious Index https://archive.org/[...]
[90] 서적 Bibliotheca http://www.perseus.t[...]
[91] 서적 Bibliotheca http://www.perseus.t[...]
[92]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93] 서적 Alexandra
[94] 서적 Fabulae https://topostext.or[...]
[95] 서적 Pausanias http://data.perseus.[...]
[96] 서적 Alexandra
[97] 서적 Parallela minora http://data.perseus.[...]
[98]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99] 서적 Pausanias http://data.perseus.[...]
[100] 서적 Pausanias http://data.perseus.[...]
[101] 서적 Bibliotheca http://www.perseus.t[...]
[102]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103] 서적 Brill's New Pauly https://referencewor[...]
[104] 서적 Brill's New Pauly https://referencewor[...]
[105] 서적 Brill's New Pauly https://referencewor[...]
[106] 서적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http://data.perseus.[...]
[107] 서적 Etymologicum Magnum https://archive.org/[...]
[108] 서적 Pausanias (geographer) http://data.perseus.[...]
[109] 서적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http://data.perseus.[...]
[110] 서적 On Rivers http://data.perseus.[...]
[111] 서적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http://data.perseus.[...]
[112] 서적 On Rivers http://data.perseus.[...]
[113] 서적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http://data.perseus.[...]
[114] 서적 On Rivers http://data.perseus.[...]
[115] 서적 Brill's New Pauly https://referencewor[...]
[116] 서적 Fabulae https://topostext.or[...]
[117] 서적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http://data.perseus.[...]
[118] 서적 Scholia
[119] 서적
[120] 서적 Parallela minora http://data.perseus.[...]
[121] 서적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http://data.perseus.[...]
[122] 서적 Ethnica
[123] 서적 On Rivers http://data.perseus.[...]
[124] 서적 Fabulae https://topostext.or[...]
[125] 서적 Argonautica
[126] 서적 Works and Days
[127] 서적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http://data.perseus.[...]
[128] 서적 Naturalis Historia
[129] 서적 Greek and Roman Parallel Stories
[130] 서적 Fabulae https://topostext.or[...]
[131] 서적 Dionysiaca
[132] 서적 https://topostext.or[...]
[133] 서적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http://data.perseus.[...]
[134] 서적 Religions of Rome: A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5] 서적 Larousse Desk Reference Encyclopedia The Book People
[136] 서적 War and Peace in the Ancient World Blackwell
[137] 서적 Imperium and Cosmos: Augustus and the Northern Campus Martiu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38] 서적 Etymologiae
[139] 서적 Odyssey https://www.sothebys[...]
[140] 서적 Theogony
[141]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142]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143]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144]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145] 서적 Iliad, Odyssey http://data.perseus.[...]
[146]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事典 大修館書店
[147] 서적 神統記
[148] 서적 イリアス
[149] 서적 ギリシア神話
[150] 서적 神話集
[151] 서적 アレース讃歌(第8番)
[152] 서적 ギリシア神話 青土社
[153] 서적 ギリシア神話小事典
[154] 서적 ギリシア神話
[155] 서적 変身物語集
[156] 서적 ギリシャ神話
[157] 서적 ギリシャ神話
[158] 서적 神話集
[159] 문서 Άντάρης의 어원 설명
[160]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Sky Pub. Corp.
[161] 웹사이트 Antares http://stars.astro.i[...] 2018-04-04
[162] 서적 그리스 신화의 이해 아카넷 2010-0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