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펜소르 스포르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펜소르 스포르팅은 1913년 창단된 우루과이의 스포츠 클럽으로, 축구팀을 비롯하여 농구, 육상팀을 운영하고 있다. 축구팀은 1976년, 1987년, 1991년, 2007-08 시즌에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우승했으며, 2014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4강에 진출하는 등 국제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농구팀은 캄페오나토 페데랄에서 18회, 리가 우루과야 데 바스케트볼에서 2회 우승하는 등 우루과이를 대표하는 강호로 자리매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구단 - 페냐롤
    페냐롤은 1891년 창단되어 1913년 재창단된 우루과이의 축구 클럽으로,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등 국제 대회에서도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풋살, 농구, 럭비 팀도 운영한다.
  •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구단 - 플라사 콜로니아
    1917년 창단된 우루과이의 축구 클럽 플라사 콜로니아는 콜로니아 데포르티보를 연고로, 2000년 프로 데뷔 후 2016년 클라우수라 챔피언십 우승으로 "우루과이의 레스터 시티"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2021년 아페르투라 토너먼트 우승으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했다.
  • 1913년 설립된 축구단 - 해밀턴 원더러스 AFC
    해밀턴 원더러스 AFC는 2015년 창단되어 뉴질랜드 풋볼 챔피언십에 참가하며, 2016년 뉴질랜드 내셔널 유스 리그에서 우승했고, 리키 허버트가 감독을 역임했다.
  • 1913년 설립된 축구단 - EC 주벤투지
    EC 주벤투지는 1913년 브라질 카시아스두술에서 창단된 축구 클럽으로, 1994년 세리에 A 승격과 1999년 코파 두 브라질 우승을 통해 전국적인 인지도를 얻었으며, 알프레도 자코니 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 축구 리그 - 프리미어리그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 잉글랜드 1부 리그 클럽들이 풋볼 리그에서 독립하여 창설된 잉글랜드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로, 20개 클럽이 참가하여 승점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 및 유로파리그 진출과 EFL 챔피언십 강등이 결정되는 인기와 수익이 높은 리그이다.
  • 축구 리그 -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은 이탈리아 축구 연맹이 주관한 12번째 리그로, 올림픽 성적 부진 이후 지역별 예선 및 전국 결선 방식으로 개편되었으며, 프로 베르첼리가 우승하여 리그 3연패를 달성했다.
데펜소르 스포르팅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데펜소르 스포르팅 로고
로고
풀 네임데펜소르 스포르팅 클럽
별칭엘 비올레타, 라 비올라, 엘 투에르토, 엘 데페, 라 파롤라, 라 코메타
창단일1913년 3월 15일
홈 경기장에스타디오 루이스 프란시니, 몬테비데오, 우루과이
수용 인원16,000명
회장알베르토 와르드
감독알바로 나바로
리그프리메라 디비시온
시즌2024년
리그 순위프리메라 디비시온, 16개 팀 중 4위
웹사이트데펜소르 스포르팅 공식 웹사이트
클럽 색상
색상자주색, 흰색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상의: 흰색
하의: 자주색
양말: 자주색
원정 유니폼상의: 흰색
하의: 흰색
양말: 흰색

2. 역사

데펜소르 스포르팅은 1913년 3월 15일 클루브 아틀레티코 데펜소르(Club Atlético Defensor)로 창단되었다.[1] 1989년 스포르팅 클루브 우루과이(Sporting Club Uruguay)와 합병하여 현재의 데펜소르 스포르팅 클럽(Defensor Sporting Club)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 이후 1932년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우루과이 최초의 프로 리그 시즌을 치렀다.

데펜소르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여러 차례 출전하며 우루과이를 대표하는 팀 중 하나로 성장했다. 특히 2014년 대회에서는 4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또한, 호르헤 "폴리야" 다 실바, 세르히오 "만테카" 마르티네스, 세바스티안 아브레우 등 우수한 선수들을 많이 배출한 팀으로도 유명하다.[1]

1976년, 리카르도 데 레온 감독의 지휘 아래 데펜소르는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는데, 이는 페냐롤과 나시오날 외의 팀이 프로화 이후 처음으로 우승한 사례였다.[4]

몬테비데오의 푼타 카레타스(Punta Carretas) 지구를 연고지로 하는 데펜소르는 페냐롤, 나시오날과 함께 우루과이 리그를 대표하는 명문 클럽이며, 다누비오와는 '클라시코 데 로스 메디아노스(Clásico de los Medianos)'라는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2. 1. 창단과 초기 역사 (1913-1927)

1913년 3월 15일, '''클루브 아틀레티코 데펜소르'''(Club Atlético Defensor)로 창단되었다.[1] 1989년, '''스포르팅 클루브 우루과이'''(Sporting Club Uruguay)와의 합병을 통해 현재의 '''데펜소르 스포르팅 클럽'''(Defensor Sporting Club)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데펜소르는 1913년 디비시오날 엑스트라 A(3부 리그) 참가를 시작으로, 1914년 세군다 디비시온(2부 리그) 승격, 1915년 프리메라 디비시온(1부 리그)으로 빠르게 승격하였다.[1] 1915 시즌에는 10개 팀 중 4위를 기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1] 1917 시즌 최하위로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되면서 클럽은 해산되었다.[1]

1922년, 페냐롤과 센트랄 (현 센트랄 에스파뇰)이 우루과이 축구 협회(AUF)를 탈퇴하고 우루과이 축구 연맹(FUF)을 설립하자, CA 데펜소르로 재창단하여 1923 시즌부터 FUF 주최 리그에 참가했다.[1] 이후 AUF와 FUF의 재통합을 거쳐 1927 시즌부터 데펜소르는 10년 만에 AUF 주최 리그에 복귀하였다.[1]

2. 2. 프로화와 리그 우승 (1932-1976)

1932년 우루과이에서 프로 리그가 시작되면서, 데펜소르는 1932년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 참가하여 프로 리그 첫 시즌을 치렀다.[1]

리카르도 데 레온 감독은 1976년 데펜소르를 이끌고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게 했다. 이는 페냐롤과 나시오날이 아닌 팀이 프로화 이후 처음으로 우승한 사례였다.[4] 데 레온 감독은 초수비적인 전술로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현대 축구 전술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로 평가받는다.[3]

2. 3. 스포르팅 클럽과의 합병과 현대 (1989-현재)

1989년, 농구를 주체로 하는 스포르팅 클루브 우루과이(Sporting Club Uruguay)와 합병하여 현재의 데펜소르 스포르팅 클럽(Defensor Sporting Club)이 되었다.

이후 1991 시즌, 2007-08 시즌에 프리메라 디비시온을 제패했다. 2007년 9월에는 국제 축구 역사 통계 연맹 (IFFHS)에 의해 세계 월간 최우수 클럽으로 선정되었다.

페냐롤과 나시오날의 2강 체제가 이어지는 우루과이 리그에서 최근에는 다누비오와 함께 3위 클럽으로 여겨진다. 다누비오와의 대결은 '클라시코 데 로스 메디아노스(Clásico de los Medianos)'라고 불린다.

2014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는 역대 최고인 4강에 진출했다. 당시 5골을 기록하며 득점왕이 된 데펜소르의 니콜라스 올리베라는 대회 MVP도 획득했다.

2022년, 처음으로 개최된 코파 AUF 우루과이에서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

데펜소르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을 위한 많은 예선 토너먼트(프리-리길라)에서 우승했으며, 여러 차례 국제 대회에서 우루과이를 대표했다.[1] 우루과이에서 전 세계적으로 성공한 많은 선수들을 배출하고 육성하는 팀 중 하나로 여겨지며, 호르헤 "폴리야" 다 실바, 세르히오 "만테카" 마르티네스, 세바스티안 아브레우, 안드레스 플레르킨, 마르셀로 테헤라, 다리오 실바, 곤잘로 바르가스, 디에고 "루소" 페레스, 니콜라스 올리베라, 마르틴 카세레스, 막시 페레이라, 알바로 곤잘레스, 타바레 비우데스와 같은 선수들이 이 클럽을 거쳐갔다.[1]

3. 경기장

데펜소르는 18,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자체 경기장인 루이스 프란치니 경기장에서 홈 경기를 치른다. 이 경기장은 1963년 12월 31일에 개장했으며, 몬테비데오 파르케 로도에 위치해 있다.[1] 1998년에 개축되었으며 16,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1] 경기장 명칭은 30년 이상 클럽 회장을 역임한 루이스 프란시니의 이름에서 따왔다.[1]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코파 수다메리카나 등의 국제 대회에서는 데펜소르 외의 다른 클럽이 사용하기도 한다.[1] 2015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는 다누비오코린치앙스, 다누비오 대 상파울루의 두 경기가 열렸다.[1]

4. 라이벌

데펜소르 스포르팅은 최근 몇 년간 다누비오와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는데, 이는 두 클럽이 우루과이의 역사적인 두 클럽인 페냐롤나시오날 다음으로 큰 클럽이기 때문이다. 이들 간의 경기는 "Clásico de los medianos" (Clásico de los medianos|클라시코 데 로스 메디아노스es)라고 불린다.

5. 우승 기록

데펜소르 스포르팅은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4회(1976, 1987, 1991, 2007-08) 우승했으며, 특히 1976년 우승은 페냐롤과 나시오날 외 팀의 첫 우승이었다.[1] 세군다 디비시온 우승 2회(1950, 1965), 세군다 디비시온 (1903-1914) 우승 1회(1914), 디비시오날 테르세라 엑스트라 우승 1회(1913)를 기록했다. 토르네오 아페르투라와 토르네오 클라우수라에서 각각 4회 우승했다. 코파 AUF 우루과이에서는 초대 챔피언(2022)을 포함하여 3회 우승, 리귀야 프리-리베르타도레스 8회 우승, 캄페오나토 나시오날 헤네랄 아르티가스 1회(1960) 우승, 토르네오 콰드란굴라르 1회(1957) 우승을 기록했다.[1]

5. 1. 국내 대회

(리그)프리메라 디비시온41976, 1987, 1991, 2008세군다 디비시온21950, 1965세군다 디비시온 (1903-1914)11914디비시오날 테르세라 엑스트라11913반기/단기
(리그)토르네오 아페르투라41994, 2007, 2010, 2017토르네오 클라우수라41997, 2009, 2012, 2013국내
(컵)코파 AUF 우루과이32022, 2023, 2024리귀야 프리-리베르타도레스81976, 1979, 1981, 1989, 1991, 1995, 2000, 2006캄페오나토 나시오날 헤네랄 아르티가스11960토르네오 콰드란굴라르11957


5. 2. 기타 대회

(컵)코파 AUF 우루과이32022, 2023, 2024리귀야 프리-리베르타도레스81976, 1979, 1981, 1989, 1991, 1995, 2000, 2006캄페오나토 나시오날 헤네랄 아르티가스11960토르네오 콰드란굴라르11957


6. 국제 대회 성적

대회횟수최고 성적
코파 리베르타도레스17회2014: 준결승
U-2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1회2012: 준우승
코파 수다메리카나8회2007, 2015: 8강
코파 CONMEBOL2회1995, 1997: 1라운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참가 상세 기록'''
연도결과
1977조별 리그
1980조별 리그
1982조별 리그
199016강
199216강
199416강
199616강
2001조별 리그
20061라운드
20078강
20098강
2012조별 리그
20131차 예선
2014준결승
2018조별 리그
20193차 예선
20241차 예선



'''코파 수다메리카나 참가 상세 기록'''
연도결과
20052라운드
20078강
200816강
201016강
20158강
20171차 예선
20182차 예선
20231차 예선


7. 선수

데펜소르 스포르팅은 우루과이에서 전 세계적으로 성공한 많은 선수들을 배출하고 육성하는 팀 중 하나로 여겨진다. 특히, 호르헤 다 실바, 세르히오 마르티네스, 세바스티안 아브레우, 안드레스 프레우리킨, 마르셀로 테헤라, 다리오 실바, 곤살로 바르가스, 디에고 페레스, 니콜라스 올리베라, 마르틴 카세레스, 막시 페레이라, 알바로 곤살레스, 타바레 비우데스 등은 데펜소르의 유소년 시스템을 거쳐 1군에 데뷔한 후 해외 유력 클럽으로 이적하여 우루과이 대표팀유럽 5대 리그에서 활약하였다.

7. 1. 현재 선수 명단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합니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2024년 10월 6일es 기준 선수 명단입니다.

번호포지션이름국적
1GK마티아스 두푸르
2DF루카스 임베르트
3DF기예르모 데 로스 산토스
4DF로리고 카브레라
6MF마우리시오 아마로
7FW클라우디오 스피넬리
8MF프란시스코 바리오스
11FW루카스 아가치
12GK케빈 도슨
13FW아구스토 캄본
14DF렌조 잠파올리
15DF후안 비아카바
16DF호세 알바레스
17FW펠리페 카데나치
18MF아구스틴 소리아
19FW파블로 비우데스
20DF파트리시오 파시피코
21MF호아킨 발리엔테
22MF알폰소 바르코
23GK브루노 시모네
24FW브라이언 만시야
25MF사비에르 비스카이자쿠
27MF후안 마누엘 호르헤
28MF루안 브리투
29FW로리고 두독
30MF에리코 쿠에요
32MF월터 몬토야


7. 2. 역대 주요 선수

데펜소르 스포르팅은 우루과이에서 전 세계적으로 성공한 많은 선수들을 배출하고 육성하는 팀 중 하나로 여겨진다. 다음은 데펜소르 스포르팅을 거쳐간 주요 선수들이다.

} || 1979-1986

|-

| 수비수 || 페르난도 피쿤|es || 1999

|-

| 수비수 || 곤살로 솔론도|es || 1998-2001, 2007

|-

| 수비수 || 막시 페레이라 || 2002-2007

|-

| 수비수 || 마르틴 카세레스 || 2006-2007

|-

| 미드필더 || 루이스 쿠비야 || 1976

|-

| 미드필더 || 마르셀로 테헤라 || 1989-1992

|-

| 미드필더 || 알바로 곤잘레스 || 2003-2007

|-

| 미드필더 || 타바레 비우데스 || 2007-2008

|-

| 공격수 || 자데르 볼네이 스핀들러|바레이pt || 1998-1999

|-

| 공격수 || 세르히오 마르티네스 || 1986-1990

|-

| 공격수 || 마츠바라 요시카|일본어 || 2002

|-

| 공격수 || 호세 마누엘 모레노|es || 1952

|-

| 공격수 || 니콜라스 올리베라 || 1996-1997, 2004, 2005-2006, 2011-2016

|-

| 공격수 || 에르미니오 마사토니오|es || 1943

|-

| 공격수 || 세바스티안 아브레우 || 1996

|-

| 공격수 || 호르헤 다 실바 || 1980-1982, 1995-1997

|-

| 공격수 || 곤살로 바르가스 || 2001-2004

|-

| 공격수 || 페데리코 마갈랴네스|es || 2001

|-

| 공격수 || 베토 아코스타|es || 1994-1996

|-

| 공격수 || 마르셀로 리파틴|es || 1999

|}

특히, 호르헤 다 실바, 세르히오 마르티네스, 세바스티안 아브레우, 안드레스 프레우리킨, 마르셀로 테헤라, 다리오 실바, 곤살로 바르가스, 디에고 페레스, 니콜라스 올리베라, 마르틴 카세레스, 막시 페레이라, 알바로 곤살레스, 타바레 비우데스 등은 데펜소르의 유소년 시스템을 거쳐 1군에 데뷔한 후 해외 유력 클럽으로 이적하여 우루과이 대표팀유럽 5대 리그에서 활약하였다.

8. 유니폼

1993

포지션선수비고
골키퍼{{lang|es|에두아르도 아세베도|} 2014-20152007-현재
-- -- --
1913-1914 홈 유니폼
1913-1914 홈 유니폼
-- -- -- -- ---- -- -- ---- -- -- -- ---- -- -- -- ---- -- -- -- --
어웨이
1989 어웨이 유니폼
-- --
-- -- -- -- --
2009 어웨이 유니폼
-- -- -- --
-- -- -- -- --


9. 기타

페냐롤, 나시오날과 함께 우루과이 리그를 대표하는 명문 구단 중 하나이다. 다누비오와의 경기는 '클라시코 데 로스 메디아노스(Clásico de los Medianos)'라고 불리는데, 이는 역사적인 지역 라이벌 관계가 아닌, 최근 좋은 성적을 거두는 두 팀의 대결을 언론이 부각시킨 것이다.

2019 시즌 종료 기준으로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 4회로 페냐롤, 나시오날에 이어 공동 3위를 기록하고 있다. 프리메라 디비시온 참가 연수는 나시오날, 페냐롤, 완더러스에 이어 4번째로 길다.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는 16번 출전하여 2014년에 4강에 진출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

몬테비데오 로도 공원에 위치한 에스타디오 루이스 프란시니(Estadio Luis Franzini)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30년 이상 클럽 회장을 역임한 루이스 프란시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63년에 개장하여 1998년에 개축되었으며, 16,000명을 수용할 수 있고 클럽이 직접 소유하고 있다.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코파 수다메리카나 등 국제 대회에서는 다른 클럽이 사용하기도 한다.

축구 외에도 농구, 육상 등 다양한 종목의 팀을 운영하고 있으며, 특히 농구팀은 국내외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데펜소르 스포르팅의 전신인 스포르팅 클루브 우루과이(Sporting Club Uruguay) 농구팀을 계승하여 현재까지 우루과이를 대표하는 농구 명문 클럽으로 자리매김했다. 국내 리그인 리가 우루과야 데 바스케트볼(Liga Uruguaya de Básquetbol)에 소속되어 있다.

리가 우루과야의 전신인 캄페오나토 페데랄(Campeonato Federal)에서 최다인 18회 우승을 달성했으며, 남미 클럽 선수권(Campeonato Sudamericano de Clubes Campeones) 2회, 리오플라텐세 선수권(Campeonato Rioplatense) 5회 우승 등 국제 대회에서도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구분대회우승 횟수우승 연도
국내 대회 | 캄페오나토 페데랄18회1918, 1922, 1924, 1926, 1927, 1930, 1932, 1933, 1934, 1936, 1938, 1949, 1950, 1951, 1955, 1980, 1985, 2003
리가 우루과야 데 바스케트볼2회2003, 2009-10
국제 대회 | 남미 클럽 선수권2회1956, 1958
리오플라텐세 선수권5회1924, 1926, 1930, 1932, 1934


참조

[1] 웹사이트 The World's club Team of the Month http://www.iffhs.de/[...] 2007-12-20
[2] 웹사이트 "#245 – Defensor SC : el Tuerto" https://footnickname[...] Footnickname 2023-02-19
[3] 웹사이트 Estreia do Atlético-MG na Copa Libertadores será no estádio Luis Franzini, em Montevidéu https://globoesporte[...]
[4] 웹사이트 Uruguay 2023 RSSSF 2024-03-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